KR102598497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97B1
KR102598497B1 KR1020210127156A KR20210127156A KR102598497B1 KR 102598497 B1 KR102598497 B1 KR 102598497B1 KR 1020210127156 A KR1020210127156 A KR 1020210127156A KR 20210127156 A KR20210127156 A KR 20210127156A KR 102598497 B1 KR102598497 B1 KR 10259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ound
tag module
presen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700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35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 B60C23/0444Antenna structures, control or arrangements thereof, e.g. for directional antennas, diversity antenna, antenna multiplexing or antennas integrated in fe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4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attachable to a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1Aggregate identification or specification, e.g. usin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 및 흡음부에 접촉가능한 태그모듈부를 포함하고, 태그모듈부는, 무선 인식 칩과, 무선 인식 칩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식별 기술(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은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시스템으로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RFID 기술은 기록 측정, 상품의 생산 이력 추적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를수록, 인식하는 데까지 폭넓게 쓰이고 있으며, 바코드 시스템 대비 더 다양한 정보를 수록할 수 있고, 각 상품별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최근 타이어 업계에서는 차량 제조 및 운송 단계에서 타이어의 물류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타이어 내 RFID 태그를 적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타이어 내 RFID 태그를 적용하는 경우, 인식률이 100%에 가깝고, 인식 거리가 길수록 타이어 물류 및 이력 관리가 유리하기 때문에 RFID 태그의 인식률과 인식 거리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타이어에 설치되는 RFID 태그는 보호를 위하여 토핑 고무로 덧씌운 후 삽입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극한 환경에 노출되어 부적합품 발생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삽입형 RFID 태그가 설치되는 타이어는 완제품 검사 시 태그 손상이나 인식 불능 시에는 타이어 성능과 관련없이 불량으로 취급되며 수리가 불가능하여 생산 원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어의 주행 시 내부 구조에 장착되는 RFID 태그는 내외부 간섭으로 인해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속 공정으로서 타이어에 설치되는 흡음부에 접촉가능하게 태그모듈부를 배치함으로써, 제조 공정 상의 부적합품 발생 가능성을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내부 구조로 인한 파손의 위험성을 줄이며 타이어 부적합 등급 하락으로 인한 생산 원가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 및 상기 흡음부에 접촉가능한 태그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모듈부는, 무선 인식 칩과; 상기 무선 인식 칩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 인식 칩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선 인식 칩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두께는 상기 접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태그모듈부가 흡음부에 접촉가능하며 타이어의 제조 공정이 완료되고 후속 공정으로서 흡음부와 함께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종래 타이어에 태그모듈부를 삽입하는 방식에 비해 태그모듈부가 타이어의 제조 공정 중에서 고온, 고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타이어의 내부에 태그모듈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는 타이어의 완제품 검사 시 태그 손상이나 인식 불능 시에 타이어의 성능과 관계없이 불량으로 취급되며 수리가 불가능하여 생산 원가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태그모듈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흡음부를 타이어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후 후속 공정으로서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태그모듈부의 내구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태그모듈부를 타이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모듈부가 타이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이 아니라 후속 공정에서 부착되는 흡음부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흡음부의 내부에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태그모듈부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모듈부가 타이어, 구체적으로 트레드부, 이너라이너 등 타이어의 내외면과 소정 거리를 가지며 이격 배치됨으로 인하여,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진동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 및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도 9는 도 3의 B부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그모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 및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흡음부(151), 태그모듈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rim,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드부(110)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트레드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홈(115)은 적어도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레드홈(115)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홈(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차량에 타이어(100)를 장착하여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가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타이어(100)를 림(도면 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rim)에 안착 및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는 와이어, 예를 들면 스틸 와이어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영역을 감싸며 완충 효과를 발휘하는 비드 필러(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10)와 중첩되는 영역에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바디 플라이(130)의 양측부는 비드부(140)를 감싸며 반경 방향(r)을 따라 타이어(10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턴업부(도면부호 미설정)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턴업부는 비드부(140)를 감싸며 마주보며 배치되는 바디 플라이(130)의 소정 영역과 중첩되며 연결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캡플라이(120)가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51)는 타이어(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부(151)는 타이어(100)의 내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양단부가 서로 만나 타이어(100)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흡음부(151)는 접착부(155)에 의해 타이어(100)의 내측벽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흡음부(151)의 두께는 접착부(155)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55)가 흡음부(151)를 타이어(100)의 내측벽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 흡음부(151)가 타이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51)는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명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공성 부직포, 다공성 폼 및 이들의 적층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또는 폴리스티렌계 부직포일 수 있고, 상기 다공성 폼은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고,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은 기본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polyisocyanate compound)과 폴리올(polyhydroxycompound)을 우레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51)에는 뒤에 설명할 태그모듈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모듈부(190)는 흡음부(1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51)의 내부, 구체적으로 원주 방향(RT)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 방향 중심축과 태그모듈부(19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는 흡음부(151)의 폭 방향 기준 중앙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원주 방향(RT)을 따라 회전하는 타이어(100) 및 타이어(100)의 내측에 위치 고정되는 흡음부(151)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며 흡음부(151)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태그모듈부(190)가 흡음부(15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되고, 후속 공정으로서 흡음부(151)를 타이어(100)의 내측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태그모듈부(190)가 내부에 배치된 흡음부(151)를 설치함으로서, 태그모듈부(190)가 타이어(100)의 제조 공정 중에서 고온, 고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타이어(100)의 내부에 태그모듈부(19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는 타이어(100)의 완제품 검사 시 태그 손상이나 인식 불능 시에 타이어(100)의 성능과 관계없이 불량으로 취급되며 수리가 불가능하여 생산 원가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태그모듈부(190)가 내부에 설치되는 흡음부(151)를 타이어(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후 후속 공정으로서 타이어(100)의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태그모듈부(190)의 내구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태그모듈부(190)를 타이어(100)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타이어(100)의 내부에 태그모듈부(19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는 주행 중 내외부 간섭으로 인한 충격이 태그모듈부(19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태그모듈부(190)에 파손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타이어(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151)의 내부에 태그모듈부(190)가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주행 중 타이어(100)의 내외부 간섭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모듈부(190)가 타이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이 아니라 후속 공정에서 부착되는 흡음부(151)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흡음부(151)의 내부에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태그모듈부(190)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모듈부(190)가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트레드부(110), 이너라이너(160) 등 타이어(100)의 내외면과 소정 거리를 가지며 이격 배치됨으로 인하여,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받는 진동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트레드부(110)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타이어(100)의 내주면과 흡음부(15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흡음부(15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155)는 접착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이어(100)의 내주면과 흡음부(151)에 각각 접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접착부(155)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단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외면이 각각 흡음부(151), 타이어(100)의 내주면과 접착 연결될 수 있다. 흡음부(151)는 접착부(155)에 면접촉되며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흡음부(151)가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태그모듈부(190)의 위치 또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길이 방향 중심축이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축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흡음부(151)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흡음부(151)가 타이어(10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공기가 밸트부로 침투되어 유발되는 벨트부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이너라이너(16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라이너(160)는 부틸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160)는 바디 플라이(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비드부(14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바디 플라이(13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40)와 접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 태그모듈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는 흡음부(151)에 접촉가능한 것으로, 무선 인식 칩(191), 안테나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는 타이어(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흡음부(151)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칩(191)은 타이어(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리더기(도면 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타이어(100)의 고유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각종 물류 정보를 갱신하여 타이어(100)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리더기에서 무선 인식 칩(191)에 타이어(100)의 물성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면, 무선 인식 칩(191)이 상기 리더기에서 제공된 전파를 구동원으로 하여 작동하게 되고, 한 쌍의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부(195, 195a, 195b)를 통해 무선 인식 칩(191)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리더기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무선 인식 칩(191)의 급전 회로는 안테나부(195, 195a, 195b)를 통해 인가되는 전파를 정류하여 무선 인식 칩(191)의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 칩(191)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리더기에서 특정 정보가 포함되는 전파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파를 안테나부(195)에서 수신한 다음 무선 인식 칩(191)으로 전달하게 되며, 무선 인식 칩(191)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로 인하여 태그모듈부(190), 구체적으로 무선 인식 칩(191)에 저장되는 제조일, 제조사, 상품 번호 등과 같은 타이어(100)의 고유 정보는 물론, 타이어(100)의 공기압이나 온도 등의 타이어(100) 물성에 대한 정보 및 판매에서 폐기에 이르는 전체 물류 정보를 확보하여 고객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가 설치되는 타이어(100)는 승용차용 타이어(100), 경트럭용 타이어(100), 중하중용 타이어(100), 건설용 타이어(100), 농기계용 타이어(100), 항공기용 타이어(100) 등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100)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195)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부(195, 195a, 195b)는 무선 인식 칩(19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부(195, 195a, 195b)가 한 쌍이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이 구비되며 무선 인식 칩(191)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195, 195a, 195b)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무선 인식 칩(19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가 흡음부(151)에 접촉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흡음부(15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카본 블랙과 같은 전도성 물질이 포함되는 전도성 고무로 형성되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전도성 고무로 인한 전파 흡수를 방지할 수 있고, 태그모듈부(190)의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100) 주행 시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는 마찰에 의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나 흡음부(15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로 형성되며,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흡음부(151)의 내부에 태그모듈부(190)가 위치할 시 온도에 따른 태그모듈부(19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100)의 주행 시 진동, 변형에 따른 충격이 타이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태그모듈에 전달되며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모듈부(190)는 흡음부(151)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진동, 변형으로부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과 피로 현상에 의하여 태그모듈부(19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 및 태그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흡음부(151), 접착부(155), 태그모듈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접착부(155)는 흡음부(151)와 타이어(10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흡음부(15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접착부(155)는 트레드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도 7 기준 좌우 방향)에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착부(155)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5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 방향 중심축과 나란하게 길이 방향 중심축을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접착부(155) 사이에 태그모듈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에서는 태그모듈부(190)는, 타이어(100)의 내주면, 흡음부(151)의 상면, 좌우(도 7 기준)에는 복수 개의 접착부(155)가 배치되며, 이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태그모듈부(19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타이어(100)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 충격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태그모듈부(190)가 흡음부(151) 또는 타이어(10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접착부(155)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원주 방향(RT) 둘레를 따라 타이어(100)의 내면과 흡음부(151)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접착부(155) 사이에 태그모듈부(190)가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와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태그모듈부(190)의 구성, 작동 원리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도 9는 도 3의 B부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그모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흡음부(151), 태그모듈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태그모듈부(19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8과 같이 흡음부(1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흡음부(151)의 측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태그모듈부(190)는 트레드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도 8, 도 9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태그모듈부(190)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리더기로 전기적 신호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리더기는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태그모듈부(190)로부터 정확도 높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태그모듈부(190)가 복수 개 구비되며, 흡음부(151)에 접촉가능한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와 트레드부(110), 흡음부(151), 접착부(155), 사이드월(180), 태그모듈부(190)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15: 트레드홈 120: 캡플라이
130: 바디 플라이 140: 비드부
151: 흡음부 155: 접착부
160: 이너라이너 170: 벨트층
180: 사이드월 190: 태그모듈부
191: 무선 인식 칩 195, 195a, 195b: 안테나부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음부; 및
    상기 흡음부에 접촉가능한 태그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모듈부는, 무선 인식 칩과; 상기 무선 인식 칩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는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미리 설정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태그모듈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과 상기 흡음부의 일면 및 상기 복수 개의 접착부에 의해 둘러싸이며 배치되는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 인식 칩의 양측에 연결되는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무선 인식 칩에 연결되는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이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두께는 상기 접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타이어.
KR1020210127156A 2021-09-27 2021-09-27 타이어 KR10259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156A KR102598497B1 (ko) 2021-09-27 2021-09-27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156A KR102598497B1 (ko) 2021-09-27 2021-09-27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00A KR20230044700A (ko) 2023-04-04
KR102598497B1 true KR102598497B1 (ko) 2023-11-07

Family

ID=8592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156A KR102598497B1 (ko) 2021-09-27 2021-09-27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88A (ja) * 2009-02-09 2010-08-1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2240507A (ja) 2011-05-18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27232A (ja) 2015-08-18 2018-09-20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空気式車両用タイヤ
JP2019023045A (ja) 2017-07-24 2019-02-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888A (ja) * 2009-02-09 2010-08-1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2240507A (ja) 2011-05-18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27232A (ja) 2015-08-18 2018-09-20 コンティネンタル・ライフェン・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空気式車両用タイヤ
JP2019023045A (ja) 2017-07-24 2019-02-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00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9906B (zh) 包括电子元件的轮胎
CN112519513B (zh) 重载用充气轮胎及其制造方法
US20200108579A1 (en) Tire manufacturing method
EP3659819B1 (en) Pneumatic tire
JP2020055452A (ja) タイヤ
US20220402311A1 (en) Pneumatic tire
KR102598497B1 (ko) 타이어
US20220410640A1 (en) Pneumatic tire
KR102598495B1 (ko) 타이어
KR102669816B1 (ko) 타이어
CN115038597B (zh) 充气轮胎
KR102598509B1 (ko) 타이어
JP2020055461A (ja) タイヤ
KR102584791B1 (ko) 타이어
EP3971777A1 (en) Permanent attachment type uhf band rfid tire tag having excellent buffer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ire
KR20230045345A (ko) 타이어
KR20230044689A (ko) 타이어
KR102598508B1 (ko) 타이어
CN117922203A (zh) 充气轮胎
KR102520667B1 (ko) 전자 장치를 가지는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8499B1 (ko) 타이어
KR102606333B1 (ko) 타이어
KR102605818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2201067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653145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