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281A -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281A
KR20200131281A KR1020207029079A KR20207029079A KR20200131281A KR 20200131281 A KR20200131281 A KR 20200131281A KR 1020207029079 A KR1020207029079 A KR 1020207029079A KR 20207029079 A KR20207029079 A KR 20207029079A KR 20200131281 A KR20200131281 A KR 2020013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anched polylysine
hair
atoms
polylys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나 마리아 뮐러-크리스타도로
올리피어 플라이쉘
카테리네 바이홀트
크리슈티나 콜만
비외른 클로츠
시빌레 코르넬젠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0013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0Alpha-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4Dendrimers, Hyperbranched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가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이들 치환기는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인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 처리를 위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을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상기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본 발명은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가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가지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이들 치환기는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인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 처리를 위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을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상기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표면, 특히 인간 모발의 표면은 모발 처리, 예를 들어 탈색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모발에 대한 복구 효과가 있는 물질이 필요하다.
모발 복구의 지표는 인간 모발의 변성 온도 (Tmax)이다. 인간 모발 단백질의 변성 온도는 Wortmann et al. (J. Appl. Polym. Sci. volume 48 (1993), page 137) 에 기재된 바와 같이 2K/min의 가열 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변성 온도는 Tmax, 즉 변성 피크 최대 온도로 표현된다.
처리되지 않은, 본래의 모발은 손상된 모발 (예를 들어, 탈색된 모발)보다 Tmax가 더 높다. 이하, "모발 복구 효과"는 (손상된) 모발의 Tmax의 증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라이신은 아미노산이다. 라이신, L-라이신 및 D-라이신의 2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있다. 라이신은 2 개의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알파-위치에, 하나는 엡실론-위치에 있다. 선형 L-폴리라이신은 자연 발효에 의해 생산되며, 엡실론-폴리라이신 또는 ε-폴리라이신으로 지칭된다. 이 발효는 스트렙토미세스 속의 박테리아 균주, 예를 들어 스트렙토미세스 알불루스 (Streptomyces albulus)로 수행될 수 있다.
분지형 폴리라이신은 라이신의 두 아미노기 (알파 및 엡실론)가 라이신의 카르복실산기와 중축합 반응에서 반응할 때 형성된다.
WO 2007/060119, US 201/0123148, 및 WO 2016/062578 분지형 폴리라이신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분지형 폴리라이신의 유도체도 또한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포화 또는 불포화 장쇄 카르복실산과 반응한 폴리라이신이 개시되어 있다 (WO 2016/062578, 9 페이지, 29 내지 30 행).
WO 2013/013889는 셰일 억제제로 과분지형 폴리라이신의 용도를 개시한다.
모발 관리 적용에 있어서 선형 (분지되지 않은) 폴리라이신의 용도가 공지되어 있다.
EP 2 036 536 A1은 컨디셔닝 적용 (모발 관리 (곱슬 머리) 및 안티프리즈 적용)에서 폴리아민의 용도를 개시한다. 폴리라이신이 언급된다.
EP 1 563 826 A1은 스프레이 적용 (컨디셔너 효과가 있음)에서 폴리라이신의 용도를 기재한다.
JP 62221616은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모발 미용 적용에서 폴리라이신의 용도를 기재한다. 박테라이에 의해 수득된 물질은 선형이며 엡실론 형태이다.
JP 2007169192JP 2007153791은 다시 컨디셔닝 적용을 위해, 4차화된 아민과 조합된 폴리라이신 또는 그 염을 사용하는 모발 화장품 및 샴푸 제제를 각각 기재한다.
WO 2015/128566은 케라틴 섬유에 폴리아민 (폴리라이신이 언급됨)을 적용한 후 활성화된 에스테르를 크레아틴 섬유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처리를 기재한다. 복구 효과가 언급된다.
US 20090074700은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기 위해 산 및 불용성 물질과 함께 폴리아민 (폴리라이신이 언급됨)의 용도를 기재한다.
분지형 폴리라이신을 특성화하기 위한 매개변수 (L- 및 D-라이신의 차이는 제외)는 평균 몰 질량, 또는 수 평균 Mn 또는 중량 평균 Mw, 다분산성 PD = Mw/Mn (??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측정됨), 분지의 정도, 및 아민가이다. 이들 매개변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및 또는 WO 2016/062578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지형 폴리라이신의 골격 및 분지형 폴리라이신의 측쇄는 모두 알파-아미노기 및 엡실론 아미노기에 의해 형성된 아미드기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골격 및 측쇄에서 알파- 및 엡실론 아미드기의 상대적인 양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문제는 모발 복구 효과를 갖는 물질 및/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즉 특히 이 변성 온도가 이전에 모발을 손상시킴으로써 감소된 경우, 인간 모발의 변성 온도 (Tmax)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 및/또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문제에 대한 제1 해결책, 및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치환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 화학식 -CH2-CH(OH)-R 또는 화학식 -CHR-CH2(OH)를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O)-NH-R을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H2-CH2-C(=O)OR1의 치환기, 여기서 R1 은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기임,
·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와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산 무수물 (PIBSA)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치환기,
· 및 이들의 혼합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임의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하고,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하며,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처리에 적합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은 그의 알파-아미노기를 통해 또 다른 라이신-모이어티에 결합되고 그의 엡신론-아미노기를 통해 또 다른 라이신-모이어티에 결합되는, 라이신-모이어티인 폴리라이신-분자당 적어도 하나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라이신이다.
이 문제에 대한 추가의 해결책, 및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이며, 여기서 이들 치환기는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모발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모발) 처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모발, 바람직하게는 인간 모발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이는 모발을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본문의 종속항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처리에 적합한 조성물"은 모발 처리에 적합한 임의의 조성물일 수 있다. 모발 세정에 적합한 조성물, 특히 샴푸일 수 있으며,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컨디셔너)일 수 있으며, 마스크일 수 있다.
헤어 컨디셔닝의 의미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US 2017/0333734 (BASF 내부 참조 PF 77681 US02)의 단락 [0007]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에서 라이신 반복 단위는 L-라이신 또는 D-라이신 또는 L- 및 D-라이신의 혼합물, 특히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반복 단위는 L-라이신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 (후자의 경우 유도체화 없이, 폴리라이신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대하여 계산됨)은 전형적으로 하기 특성을 가진다:
· 몰 질량 Mn의 수 평균은 300 내지 5000 g/mol 이다.
· 몰 질량 MW의 중량 평균은 500 내지 1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g/mol 이다.
· 다분산성 PD (= Mw/Mn)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 이다.
· 아민가는 350 내지 600 mgKOH/g,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500 mgKOH/g 이다.
· 분지도 DB는 0.1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 이다.
아민가의 정의와 "분지도" DB의 정의는 본 본문의 실시예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폴리라이신은 특히 WO 2016/06257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라이신과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및 특히 4 내지 1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은, 본 본문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분지형 폴리라이신을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마이클 공여체 지방 사슬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에 아미노기의 마이클 첨가를 통해 수득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PIBSA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산 무수물)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및 특히 4 내지 1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은, 본 본문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하기 특성을 갖는다:
· 몰 질량 Mn의 수 평균은 300 내지 5000 g/mol 이다.
· 몰 질량 MW의 중량 평균은 500 내지 1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g/mol 이다.
· 다분산성 PD (= Mw/Mn)는 1.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 이다.
· 아민가는 350 내지 600 mgKOH/g,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500 mgKOH/g 이다.
· 분지도 DB는 0.1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 이다.
아민가의 정의와 "분지도" DB의 정의는 본 본문의 실시예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임의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US 2017/0333734 (BASF 내부 참조 PF 77681 US02)의 단락 [0029] 내지 [0032]에 기재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한, 및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한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은 US 2017/0333734 (BASF 내부 참조 PF 77681 US02)의 단락 [0033] 내지 [0066]에 기재된 성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방법 및 정의
농도
%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분지도 (DB)
분지형 폴리라이신의 분지도 (DB)는 H. Frey et al., Acta Polymer., 48, 30 내지 35 페이지 (1997)에 따라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DB [%] = 100 x 2D/(2D+L)
여기서 D는 수지상 단위의 비율을 나타내고 L은 관련된 샘플에서 선형 단위의 비율을 나타낸다.
DB는 1H NMR에 의해 결정되었다.
아민가
아미노가라고도 지칭되는, 아민가 (단위: mg KOH/g)는, 적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WO 2016/062578의 13 페이지에 제공된 공식에 따라 WO 2016/062578에 기재된 대로 결정되었다:
Figure pct00001
아민가 = 총 아민의 분율, mg KOH/g 로 계산됨
Vp = 변곡점까지 표준 용액의 소비 [ml]
VB = 블랭크 값 적정에서 표준 용액 소비 [ml]
t = 표준 용액의 역가
c = 표준 용액의 농도 [=0.1 ml/l]
56.1 = KOH의 몰 중량 [g/mol]
E = 채취한 샘플의 중량 [g]
평균 몰 질량 Mn (수 평균) 및 Mw (중량 평균)
Mn 및 Mw는 WO 2016/062578 (WO 2016/062578의 12 페이지, 여기서 트리플루오로아세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의미함)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되었다:
Mw 및 Mn은 하기 조건에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되었다:
용매: 0.1% (w/w)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증류수 중 0.1M NaCl
유속: 0.8 ml/분
주입량: 100 ㎕
컬럼 재료: 수산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TSKgel G3000PWXL)
보정: 839 내지 1,020,000 g/mol의 몰 질량 범위의 폴리(2-비닐피리딘) 표준 (PSS, 마인츠, 독일)
다분산성
PD는 PD = Mw/Mn으로 정의된다.
수행된 실험
실시예 1: 분지형 폴리라이신 1
500g의 50% L-라이신 수용액을 교반기, 응축 컬럼, 온도계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2l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L-라이신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열하였다. 이후 외부 열원의 온도를 하기 프로파일에 따라: 150℃에서 1시간, 160℃에서 1시간, 170℃에서 1시간 및 180℃에서 1시간 동안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증가시켰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다. 약 2시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반응 용융물은 120℃에서 냉각시켰고 234g의 물에 용해시켰다.
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점도, pH, 고체 함량, 분지도 및 아민가의 결정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Mn: 2150 g/mol
Mw: 4110 g/mol
PD: 1.9
점도 (25 ℃): 200 mPas (Rheomat, 동적 점도 100 *1/초)
pH: 10-11
고체 함량: 50.5 %
1H-NMR로 측정한 분지도 = 0.25
아민가: 용액의 경우 185 mg KOH/g (순수 폴리라이신의 390 mg KOH/g)
실시예 2: 분지형 폴리라이신 2
500g의 50% L-라이신 수용액을 교반기, 응축 컬럼, 온도계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2l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L-라이신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열하였다. 이후 외부 열원의 온도를 하기 프로파일에 따라: 150℃에서 1시간, 160℃에서 1시간, 170℃에서 1시간 및 180℃에서 1시간 동안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증가시켰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다. 약 1시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반응 용융물은 120℃에서 냉각시켰고 242g의 물에 용해시켰다.
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점도, pH, 고체 함량, 분지도 및 아민가의 결정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Mn: 1350 g/mol
Mw: 2590 g/mol
PD: 1.9
점도 (25 ℃): 110 mPas
pH: 11-12
고체 함량: 49.7 %
1H-NMR로 측정한 분지도 = 0.24
아민가: 215 mg KOH/g (433 mg KOH/g 순수 폴리라이신)
실시예 3: 분지형 폴리라이신 3
1700g의 50% L-라이신 수용액을 교반기, 응축 컬럼, 온도계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2l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L-라이신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열하였다. 이후 외부 열원의 온도를 하기 프로파일에 따라: 150℃에서 1시간, 160℃에서 1시간, 170℃에서 1시간 및 180℃에서 1시간 동안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증가시켰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고, 약 1시간 30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따뜻한 반응 용융물을 알루미늄 용기에 수집하였다. 실온에서, 고체 물질을 수득하였다.
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지도 및 아민가의 결정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Mn: 2150 g/mol
Mw: 3650 g/mol
PD: 1.7
1H-NMR로 측정한 분지도 = 0.28
아민가: 410 mg KOH/g
실시예 4: 분지형 폴리라이신 4
1700g의 50% L-라이신 수용액을 교반기, 응축 컬럼, 온도계 및 질소 주입구가 장착된 2l 4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L-라이신 용액을 끓는점까지 가열하였다. 이후 외부 열원의 온도를 하기 프로파일에 따라: 150℃에서 1시간, 160℃에서 1시간, 170℃에서 1시간 및 180℃에서 1시간 동안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증가시켰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고, 약 2시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따뜻한 반응 용융물을 알루미늄 용기에 수집하였다. 실온에서, 고체 물질을 수득하였다.
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지도 및 아민가의 결정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Mn: 2070 g/mol
Mw: 4070 g/mol
PD: 2
1H-NMR로 측정한 분지도 = 0.3
아민가: 366 mg KOH/g
실시예 5: 올레산으로 개질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올레산으로 아미노 말단기의 4.8 %의 개질)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250g의 분지형 폴리라이신 (물에 용해되지 않음)을 120 ℃에서 용융시키고 26.37g 올레산을 교반하에 첨가하였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고, 약 1시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실온에서, 고체 물질을 수득하였다.
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Mn: 1710 g/mol
Mw: 2930 g/mol  
PD: 1.7
실시예 6: 올레산으로 개질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올레산으로 아미노 말단기의 10 %의 개질)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50g의 분지형 폴리라이신 (물에 용해되지 않음)을 120 ℃에서 용융시키고 10.25g 올레산을 교반하에 첨가하였다. 압력은 이후 외부 열원이 180℃로 유지되는 동안 200 mbar로 감소하였고, 약 1시간 동안의 반응은 진공 (200mbar) 하에서 계속되었다. 실온에서, 고체 물질을 수득하였다.
적용예
인간 모발 단백질의 변성 온도는 Wortmann et al. (J. Appl. Polym. Sci. 48 (1993) 137) 에 기재된대로 2K/min의 가열 속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변성 온도는 Tmax, 즉 변성 피크 최대 온도로 표현된다. 이 온도가 높을수록 좋다. 손상된 모발의 경우 이 변성 온도는 손상되지 않은 본래의 모발의 경우보다 낮다. 손상된 모발의 변성 온도를 모발 관리 조성물로 처리하여 높일 수 있다면 모발 복구 효과를 나타낸다. 표 1은 수득한 DSC-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1: 본래의 모발, 3 회 탈색된 모발 및 3 회 탈색된 모발에 대한 이후 폴리머 농도가 1 중량%인 폴리머 수용액으로 처리한 DSC 데이터
Figure pct00002
결과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으로 처리하면 복구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복구 효과는 선형 엡실론-폴리라이신 (비교예 1)으로 달성된 복구 효과보다 높다. 올레산으로 개질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실시예 5에 따름)의 복구 효과는 테스트된 모든 샘플 중에서 달성된 최상의 복구 효과이다.
제제의 실시예
하기의 제제가 제조되었다. 이들의 pH 및 점도가 결정되었다.
제제 1: 무 황산염 소프트 샴푸
Figure pct00003
pH 값 5.6 (22 ℃에서 pH-미터 Schott Instrument Lab 850으로 측정)
점도 9028 mPas (rpm 60 - s64 - 22 ℃) (디지털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 분당 60 회전, 스핀들 no. s64, 측정 온도는 22 ℃)
제제 2: 순한 베이비 워시
Figure pct00004
pH 값 5.6 (22 ℃에서 pH-미터 Schott Instrument Lab 850으로 측정)
점도 4909 mPas (rpm 60 - s64 - 22 ℃) (디지털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 분당 60 회전, 스핀들 no. s64, 측정 온도는 22 ℃)
제제 3: 아르간(Argan) 오일 헤어 컨디셔너
Figure pct00005
pH 값 3.8 (22 ℃에서 pH-미터 Schott Instrument Lab 850으로 측정)
점도 <100 mPas (디지털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 분당 60 회전, 스핀들 no. s64, 측정 온도는 22 ℃)

Claims (12)

  1.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분지형 폴리라이신
    및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 이들 치환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 화학식 -CH2-CH(OH)-R 또는 화학식 -CHR-CH2(OH)를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O)-NH-R을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H2-CH2-C(=O)OR1의 치환기, 여기서 R1 은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기임,
    ·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와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산 무수물 (PIBSA)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치환기,
    · 및 이들의 혼합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임의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하고,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과 상이하며,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처리에 적합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이고, 치환기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10 내지 20 개의 C-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 화학식 -CH2-CH(OH)-R 또는 화학식 -CHR-CH2(OH)를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O)-NH-R을 갖는 치환기, 여기서 R은 2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임,
    · 화학식 -CH2-CH2-C(=O)OR1의 치환기, 여기서 R1 은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알킬기임,
    ·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와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산 무수물 (PIBSA)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치환기,
    · 및 이들의 혼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모발 세정에 적합한 조성물 또는 모발 컨디셔닝에 적합한 조성물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중합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 내지 99.8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8.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5 내지 1.5 중량%의 중합체,
    6 내지 19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 내지 93.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0.5 내지 1.5 중량%의 중합체,
    16 내지 24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 내지 83.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0.5 내지 1.5 중량%의 중합체,
    0.5 내지 1.2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 내지 99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미용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의 무기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의 소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8. 분지형 폴리라이신에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1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및 특히 4 내지 10 %가 유도체화되어 1 개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보유하는 분지형 폴리라이신으로서, 여기서 이들 치환기는 6 내지 24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개의 C-원자를 갖는 아실기인 분지형 폴리라이신.
  9. 제 8 항에 있어서, 치환기가 올레산 유래의 아실기인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10. 모발 (바람직하게는 인간 모발)을 처리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처리될 모발이 손상되고, 처리가 모발 복구 효과를 야기하는 용도.
  12. 모발, 바람직하게는 인간 모발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모발을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아미노기가 유도체화된 분지형 폴리라이신, 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
KR1020207029079A 2018-03-15 2019-03-08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KR202001312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2092 2018-03-15
EP18162092.3 2018-03-15
PCT/EP2019/055811 WO2019175041A1 (en) 2018-03-15 2019-03-08 A composition suitable for hair c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281A true KR20200131281A (ko) 2020-11-23

Family

ID=6168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079A KR20200131281A (ko) 2018-03-15 2019-03-08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00734A1 (ko)
EP (1) EP3764982A1 (ko)
JP (1) JP2021518341A (ko)
KR (1) KR20200131281A (ko)
CN (1) CN111885998A (ko)
BR (1) BR112020017592B1 (ko)
WO (1) WO2019175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828A1 (en) 2020-01-30 2021-08-05 Basf Se The use of a polylysine for increasing the gloss of hair
WO2021239622A1 (en) 2020-05-27 2021-12-02 Basf Se Branched amino-acid-based polymers for hair strengthening
CN114621431B (zh) * 2022-01-20 2023-05-09 浙江大学 具有低多分散性指数的超支化聚赖氨酸粉末及其生产方法
CN114869802B (zh) * 2022-07-06 2022-10-04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护发助染功效的贻贝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3137A (en) 1979-05-31 1980-12-18 Yoshizaki Kozo Plasticcmade pressure container and making method thereof
DE10041559A1 (de) * 2000-08-24 2002-03-07 Basf Ag Verwendung von aminosäurehaltigen Polymeren als Bestandteile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FR2865639B1 (fr) 2004-01-29 2007-10-19 Oreal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traitement cosmetique a partir de fluide sous pression, et d'acides amines, de peptides et de proteines
FR2889448B1 (fr) * 2005-08-05 2010-06-0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lysines a chaine grasse, destinee a ameliorer l'etat de surface des fibres keratiniques
DE102005056592A1 (de) * 2005-11-25 2007-05-31 Basf Ag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hochfunktionellen, hoch-oder hyperverzweigten Polylysinen
JP2007153791A (ja) 2005-12-05 2007-06-21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7169192A (ja) 2005-12-21 2007-07-05 Lion Corp 毛髪化粧料
FR2912650A1 (fr) * 2007-02-16 2008-08-2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des matieres keratiniques, et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aminoacide greffe
FR2920966B1 (fr) 2007-09-14 2010-03-19 Oreal Procede capillaire comprenant l'application d'une polyamine et d'un acide gras
US20090074700A1 (en) 2007-09-14 2009-03-19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arting shine onto hair
WO2009150090A2 (de) * 2008-06-12 2009-12-17 Basf Se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verminderung des hautgeruchs
US8204346B2 (en) 2009-11-21 2012-06-19 Corrado Pietro Dragone Optical router with nearly ideal performance
EP2551326A1 (de) 2011-07-28 2013-01-30 Basf Se Verwendung von Polylysin als Shale Inhibitor
FR3017797B1 (fr) 2014-02-26 2019-09-27 L'oreal Procede d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avec un polymere amine et un ester active
WO2016062578A1 (en) 2014-10-21 2016-04-28 Basf Se A process for preparing polylysines
EP3020390A1 (de) 2014-11-13 2016-05-18 Basf Se Shampoos und Spülungen mit konditionierender Wirkung
AU2018264672A1 (en) * 2017-05-12 2019-11-21 Basf Se Poly-lysine derivative and its use in solid-based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4982A1 (en) 2021-01-20
BR112020017592B1 (pt) 2023-10-03
JP2021518341A (ja) 2021-08-02
US20210000734A1 (en) 2021-01-07
CN111885998A (zh) 2020-11-03
WO2019175041A1 (en) 2019-09-19
BR112020017592A2 (pt)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1281A (ko) 모발 관리에 적합한 조성물
TWI782869B (zh) 具疏水改質纖維素纖維及油之膜
D’Este et al. Single step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responsive hyaluronan hydrogels
JP3462128B2 (ja) ポリペプチド−ポリシロキサン−コポリマー、その製法及び界面活性剤としてのその使用
KR100568656B1 (ko) 크레이핑 접착제를 위한 폴리알칸올아미드 점착 부여 수지
AU2003228909B2 (en) Copolymers of amino acids and methods of their production
US9902812B2 (en) Consumer goods product comprising functionalised lignin oligomer
Aricov et al. New insights into the self-assembling of some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crylates in aqueous solution
WO2021151828A1 (en) The use of a polylysine for increasing the gloss of hair
CN106413682B (zh) 减轻皱纹的美容方法
Adam et al. Enzymatic mediated modification of gum Arabic by curcumin oxidation products: Physicochemical and self-assembly study
Chejara et al. Studies on th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sodium alginate based thixotropic hydrogels
WO2016207809A1 (en) Consumer goods product comprising functionalised lignin oligomer
WO2021004845A1 (en) Lysine-branched copolymer
Chiriac et al. Copolymerization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with a comonomer with spiroacetal moiety
WO2021239622A1 (en) Branched amino-acid-based polymers for hair strengthening
Solovskij et al. Investigation of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water-soluble conjugates of polymer p-nitrophenyl esters with polymer primary amines
JP2021533217A (ja) レオロジー修飾ポリマーの調製及びその使用のための合成方法
JP7372087B2 (ja) 流動抵抗低減剤
JP6442288B2 (ja) レオロジーが改善した毛髪組成物
Baldessari et al. Chemoenzymatic Synthesis of Nitrogen Polymers with Biomedical Applications Catalyzed by Lipases
Gauthier et al. Arborescent polystyrene-graft-poly (2-vinylpyridine) copolymers: solution polyelectrolyte behavior
CN115975184A (zh) 一种阳离子生物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