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077A -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077A
KR20200131077A KR1020190055855A KR20190055855A KR20200131077A KR 20200131077 A KR20200131077 A KR 20200131077A KR 1020190055855 A KR1020190055855 A KR 1020190055855A KR 20190055855 A KR20190055855 A KR 20190055855A KR 20200131077 A KR20200131077 A KR 2020013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ver
supply pipe
liqui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732B1 (ko
Inventor
배헌민
배정호
Original Assignee
배헌민
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헌민, 배정호 filed Critical 배헌민
Priority to KR102019005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7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05B7/06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잠긴 김발을 해면에서 자동으로 부상 및 침수시켜 김을 양식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김이 부착되는 김발의 양측에는 간답대가 설치되며, 각각의 간답대의 전,후방에는 공기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력 조정수단이 관통 고정되고, 각각의 부력 조정수단에는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액체 분사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부력 조정수단들 중 하나에는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배출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분사액 공급관이 연결된 김 양식 수단과; 관리 바지선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분사액 공급관으로 액상의 산처리제나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폐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잡조 자동 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김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을 차단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산처리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분사한 다음,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방한 후 김발이 침수되면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닫아 김을 다시 침수시키는 과정으로 산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Cultivate automation system of Laver}
본 발명은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잠긴 김발을 해면에서 공기 중으로 자동 부상시키거나 수중으로 자동 침수시켜 김을 양식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갯가 바위 등에 부착되어 있는 자연산 김만을 채취하여 식용으로 사용하였던 시대를 거쳐, 김의 인공채묘가 가능해지고 다양한 양식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김의 안정적인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김을 양식함에 김의 엽체에 부착되어 병을 일으키고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잡 조류 등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김 양식장에서 잡 조류(이하, "잡조"라 한다.)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은 오랜 기간동안 계속 되어왔는데, 1977년부터 2년에 걸쳐 일본 찌바현의 해태 양식업자가 김의 병과 잡조 제거를 위해 여러 가지 실험을 행하던 중 우연히 콜라에 파래 부착 방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난 후에 김 양식장에 대한 산처리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에 김 양식장에서의 산처리 기술은 급속하게 확산되어, 1979년 말경에는 일본의 대부분 김 양식장에서 산처리제를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1980년경에는 찌바현 및 타현의 수산시험장에서의 실험 결과, 산처리제는 파래 제거 외에도 규조의 구제, 병이나 부착세균의 제거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법이 도입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처리제(염산)는 김의 잡조 제거에 그 효과가 탁월한 반면에, 사용한 후에 바다에 그냥 투기하게 될 경우 해양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산처리제는 사용 후 선박에 보관하여 재사용하거나 육지로 회수하여 중화제로 pH 7.8 ~ 8.3 정도로 중화 처리하여 폐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산처리제를 중화 처리하여 폐기하는데는 시간과 처리 경비 등의 문제로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그대로 바다로 투기되어 해양생태계를 망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산처리제는 환경을 고려하여 유기산만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무기산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금지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김 양식장 산처리제 사용기준고시가 정해져서 산처리제 심의회의 및 지도위원회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산은 비싼 가격과 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로는 감시를 피해 무기산만을 사용하는 일이 다반사로 발생하고 있으며, 어민들의 집단 항의 등으로 현재 산처리제 고시에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일정비율로 섞어 사용하도록 정해 놓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심지어 전착제라고 하는 농약까지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양식장 욕조 내의 김발에는 산처리제(염산)를 pH 2 정도로 해서 만들어 김을 침지시키면서 pH 4 정도로 맞추어 영양제를 같이 욕조에 풀어, 침지 시간대를 경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무기산 염산을 사용할 경우 20 ~ 30초 정도 유기산인 경우는 3 ~ 5분 정도로 시간대를 두어 김을 산처리제에 접촉시킨다. 그러나 계속 김발이 욕조 내로 들어오면서 해수가 유입, 희석이 되면서 산처리제 농도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효과가 일정치 않아 욕조에는 계속 산처리제 및 영양제를 추가시킨다. 침지된 김발이 다시 바다로 들어가면서 김발에 적셔진 염산 등이 그대로 바다로 들어가 해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영양제도 해수에 희석되어 영양제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부 양식장에서는 영양제가 김에 잘 들어붙도록 전착제(농약)를 사용하고 있어 해양의 오염을 가속화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종래의 김 양식 방법들의 여러 실시 예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김 양식 방법의 일예로 부류식 산처리제 방식의 김 양식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류식 산처리 방식의 김 양식방법은, 김발에 고정 부력을 가진 부이를 부착하여 김발이 물 수면에 적당히 잠기게 하고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채묘한 김을 김발에 부착시켜 양식하는 양식방법으로, 김과 같이 김발에 부착하여 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잡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김발을 선박 위에 끌어올려 선박 내 통속에 산처리제(염산) 농도를 pH 4 정도로 조절하여 그 액체 내에 김발을 침지시켜 김에 부착된 잡조를 제거하고 다시 김발을 바다로 내려 보내 수면에 적당히 잠기게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류식 산처리 방식의 김 양식 방법은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김 양식 방법으로써, 모든 공정을 사람들의 인력으로 양식을 하며, 동시에 무기산 산처리제를 해수와 섞어서 쓰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처리한 산처리제는 바다에 버려지면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폐단이 큰 양식방법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산 처리방식이 아닌 또 하나의 김 양식 방법으로는 부류식 뒤집기식 무 염산 양식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류식 뒤집기식 무 염산 양식방법은 김발을 뒤집어주어 부력을 가진 부이가 김발 밑으로 들어가게 하여 김발이 부이의 위에 얹히면서 햇볕에 노출되어 자외선에 의해 김발에 김과 같이 부착되어 있는 잡조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부류식 뒤집기식 무 염산 양식 방식의 양식 방법은 산처리제 염산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방식이라 할 수 있으나, 하루 여러 번 김발을 뒤집어 주는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방식이며, 그리고 산처리제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최종 상품화된 김에는 일부 남아있는 잡조 등으로 비릿한 맛이 강하여 이 또한 상품의 질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산 처리방식 아닌 또 하나의 김 양식 방법으로는 지주식 김 양식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주식 김 양식방법은 수심이 얕은 곳에 지주대를 해저에 박아 세워 그 양쪽 지주 대에 끈으로 김발을 묶어 바다의 밀물과 썰물을 이용하여 썰물 시 김발이 수면 위로 들어날 때 햇볕을 쪼이게 하여 자외선에 의해 김발의 잡조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지주식 김 양식 방법은 전술한 부류식 뒤집기식 무 염산 김 양식과 마찬가지로 상품에 비릿한 맛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김 양식을 할 수 있는 수심이 얕고 김이 성장할 수 있는 양식 환경을 갖춘 적지가 적어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21860호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잠긴 김발을 수면에서 자동으로 부상시켜 공기에 노출시켜 자외선을 쪼여 잡조를 제거해 주고 공기에 노출된 김에 산처리제를 살포시켜 잡조를 이중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처리제를 먼저 분사하고 시간의 경과 후 해수를 분사하여 산처리제를 김에서 씻어 내고 영양제를 자동 살포함으로써, 영양제를 공기에 노출시켜 영양제가 해수에 희석되지 않는 상태에서 김에 흡수되도록 하여 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김이 수중에 잠겨 있을 때에는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이온화된 살균 효과가 탁월한 미세 나노 기포를 수중으로 자동 분사시켜 김에 접촉하게 해줌으로써, 김 성장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김에 병을 일으키는 병균들을 살균시킬 수 있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은 김이 부착되는 김발의 양측에는 간답대가 설치되며, 각각의 간답대의 전, 후방에는 공기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력 조정수단이 관통 고정되고, 각각의 부력 조정수단에는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액체 분사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부력 조정수단들 중 하나에는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배출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분사액 공급관이 연결된 김 양식 수단과; 관리 바지선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분사액 공급관으로 액상의 산처리제나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폐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잡조 자동 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김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을 차단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산처리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분사한 다음,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방한 후 김발이 침수되면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닫아 김을 다시 침수시키는 과정으로 산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의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은 전기 공급수단과, 상기 분사액 공급관과 연결되고 중간에 펌프가 구비된 액체 주 공급관과, 상기 액체 주 공급관에 제1 전자밸브가 구비된 제1 연결관으로 연결된 산처리제 저장조와, 상기 액체 주 공급관에 연결되고 중간에 제2 전자밸브가 구비된 해수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에 공기 개폐 전자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 공급관으로 연결된 컴프레셔와, 상기 전기 공급수단, 펌프, 제1,2 전자밸브, 컴프레셔, 공기 개폐 전자밸브, 공기 배출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의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은 액상의 영양제가 저정되는 영양제 저장조와 액체 주 공급관에 연결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된 제3 전자밸브가 구비된 제2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부에서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한 후 김을 침수시키기 전에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영양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으로 두고 순서적으로 더 살포하는 영양제 살포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은 양측의 간답대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기포 이동관을 포함하고, 양측의 기포 이동관의 사이에는 김발의 상부로 플라즈마기포를 분출하는 다수의 기포 분출홀이 형성된 다수의 기포 분출관이 연결 구비되며, 상기 기포 이동관 중 하나에는 기포 공급관이 구비된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은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된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와,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와 상기 기포 공급관을 연결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기포 공급 전자밸브가 구비된 기포 주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산처리를 마친 양식 김이 해수에 침수된 후에 상기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포 공급 전자밸브를 개방하여 플라즈마기포를 김발의 상부에 더 분출시키는 플라즈마기포 분출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중에 잠긴 김발을 수면에서 자동으로 부상시켜 김에 자외선을 쪼여 잡조를 제거하고 공기에 노출된 김에 산처리제를 분사시켜 잡조를 이중으로 제거함으로써, 최소량의 산처리제를 사용하여도 김의 충분한 잡조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처리제를 먼저 분사하고 시간의 경과 후 해수를 분사하여 산처리제를 김에서 씻어 내고 공기 중에서 영양제를 자동 살포함으로써, 영양제를 공기에 노출시켜 영양제가 해수에 희석되지 않는 상태에서 김에 흡수되도록 하여 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김이 수중에 잠겨 있을 때에는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를 통해 이온화된 살균 효과가 탁월한 미세 나노 기포를 수중으로 자동 분사시켜 김에 접촉하게 해줌으로써, 김 성장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김에 병을 일으키는 병균들을 살균시켜 건강한 양식 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김 양식 수단을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김 양식 수단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c는 김 양식 수단과 잡조 자동 제거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잡조 자동 제거수단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간답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력 조정수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은 수중에 잠긴 김발(11)을 수면(해면)에서 자동으로 공기 중으로 부상시키고 김발(11)의 상부에 인공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채묘된 양식 김에 산처리제를 자동으로 살포시켜 김의 잡조를 이중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김 양식 수단(1)과 잡조 자동 제거수단(2)을 포함한다.
상기 김 양식 수단(1)은 해양에 설치되어 채묘된 김이 수면의 하부로 침수되거나 수면에서 부상되는 것으로, 인공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채묘된 김이 부착되는 김발(11)을 포함하고, 상기 김발(11)의 양측에 설치되는 간답대(12)와, 각각의 간답대(12)의 전, 후방에 관통 구비되어 서로가 공기 연결관(14)으로 연결되고 유입 공기량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다수의 부력 조정수단(13)과, 각각의 부력 조정수단(13)에 연결관(16)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액체 분사수단(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김 양식 수단(1)은 상기 부력 조정수단(13)들 중 하나에 구비되어 후술할 잡조 자동 제거수단(2)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관(131) 및 부력 조정수단(13)들의 공기를 빼주는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와, 상기 연결관(16)에 연결 구비된 분사액 공급관(16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김 양식 수단(1)은 김발이 해양에서 침수되어 유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김발(11)의 일측의 전, 후방이나 양측의 전, 후방에 연결줄(171)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김발 지지부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조정수단(13)은 간답대(12)에 관통 고정되고 상판에는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된 고정부이(133a)가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기 챔버(133)와, 상기 공기 챔버(133)의 하판에 관통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상기 공기 챔버(133)의 내부와 연통되게 개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바라관 형태의 상하 부력변동부이(1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이(133a)는 김발을 해수면에서 일정 깊이로 잠기게 해주면서 더 이상 가라앉지 않게 일정한 부력을 제공하며 부력변동부이(134)는 팽창시 부력이 증가되어 김발을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게 한다. 물론 부력변동부이(134)의 에어를 제거하면 부력변동부이(134)가 절첩되면서 다시 김발이 해수면 아래로 잠기게 된다.
상기 액체 분사수단(15)은 분사액 연결관(16)에 연결되고 상기 부력 조정수단(13)의 내부를 관통하여 부력 조정수단(13)에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 고정부이(151)와, 상기 수직 고정부이(151)의 상부에서 김발(11)의 상부 중앙의 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고 끝단부와 양측에는 분사액을 김발(11)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52a)이 구비된 분사액 분사관(1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2)은 김 양식 수단(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관리 바지선(3)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공급관(131)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액체 공급관으로 액상의 산처리제나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를 개폐하는 조작 제어부(29)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제어부(29)는 상기 공기 공급관(131)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김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131)을 차단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산처리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분사한 다음, 상기 공기 공급관(131)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를 개방한 후 김발이 침수되면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를 닫아 김을 다시 침수시키는 과정으로 산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2)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나 전기가 충전된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 공급수단(21)과, 상기 분사액 공급관(161)과 연결되고 중간에 펌프(221)가 구비된 액체 주 공급관(22)과, 상기 액체 주 공급관(22)에 제1 전자밸브(V1)가 구비된 제1 연결관(P1)으로 연결된 산처리제 저장조(23)와, 상기 액체 주 공급관(22)에 연결되고 중간에 제2 전자밸브(V2)가 구비된 해수 공급관(25)과, 상기 공기 공급관(131)에 공기 개폐 전자밸브(262)가 구비된 공기 주 공급관(261)으로 연결된 컴프레셔(26)와, 상기 전기 공급수단(21), 펌프(221), 제1,2 전자밸브, 컴프레셔(26), 공기 개폐 전자밸브(262),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와 연결되어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29)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관(25)은 해수 저장조와 연결되거나 해양의 해수에 해수 흡입 단부가 침수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해수에 흡입 단부가 침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시스펨을 통해 김을 양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김을 양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김발(11)에 채묘된 김이 부착된 김발(11)이 수면에서 침수된 상태에서 양식자가 관리 바지선(3)에서 조작 제어부(29)를 온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상기 공기 개폐 전자밸브(262)를 개방 제어하고 컴프레셔(26)를 작동 제어하여 상기 김발(11)의 양측 전, 후방에 배치된 부력 조정수단(13)들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시켜 각 부력 조정수단(13)의 하부에 위치된 상하 부력변동부이(134)의 부피를 늘어나게 팽창시킴에 따라, 김발(11)이 수면으로 부상되어 김이 공기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김이 부상되면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컴퓨레셔의 작동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고 공기 주 공급관(261)에 구비된 공기 개폐 전자밸브(262)를 차단 제어하여 공기의 공급을 중지시킨 다음, 김이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건조되게 일정 시간동안 시간 간격을 둔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상기 산처리제 저장조(23)와 연결된 제1 연결관(16)에 구비된 제1 전자밸브(V1)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액체 주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21)를 작동 제어시켜 액상의 산처리제를 각각의 분사수단(15)의 분사액 분사관(152)으로 공급하여 분사액 분사노즐(152a)을 통해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산처리제를 분사 살포한 다음, 상기 펌프(221)를 정지 제어시키고 상기 제1 전자밸브(V1)를 차단 제어 한 다음, 산처리제가 잡조에 흡수될 수 있도록 10초 내지 5분의 시간 동안 시간 간격을 둔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상기 해수 공급관(25)에 구비된 제2 전자밸브(V2)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액체 주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21)를 작동 제어시켜 해상이나 해수 저장조에서 해수를 상기 분사액 분사관(152)으로 공급하여 분사액 분사노즐(152a)을 통해 해수를 김에 분사 살포하여 김에 살포된 산처리제를 세척한 다음, 상기 펌프(221)를 정지 제어시키고 상기 제2 전자밸브(V2)를 차단 제어 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시간 간격을 둔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하나의 부력 조정수단(13)에 구비된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를 개방 제어하여 각각의 부력 조정수단(13)의 하부에 구비된 상하 부력변동부이(13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하 부력변동부이(134)를 축소시켜 김발을 하강시킴에 따라 김을 수면의 하부로 다시 침수시킨 다음,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132)를 차단 제어하여 산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중에 잠긴 김발을 수면에서 자동으로 부상시켜 김에 자외선 쪼여 잡조를 제거하고 공기에 노출된 김에 산처리제를 분사시켜 잡조를 이중으로 제거함으로써, 최소량의 산처리제를 사용하여도 김의 충분한 잡조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김발을 자동으로 부상시켜 공기에 노출시키고 산처리제를 자동 살포함에 따라 인력이 최대로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2)은 액상의 영양제가 저정되는 영양제 저장조(24)와 액체 주 공급관(22)에 연결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29)와 연결된 제3 전자밸브(V3)가 구비된 제2 연결관(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 살포 한 후 김을 침수시키기 전에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영양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으로 두고 순서적으로 더 살포하는 영양제 살포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영양제 살포과정은 상기 조작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영양제 살포과정은 상기와 같이 해수를 김에 분사 살포 한 후 일정 시간동안 시간 간격을 둔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29)에서는 상기 영양제 저장조(24)와 연결된 제2 연결관(16)에 구비된 제2 전자밸브(V2)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액체 주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21)를 작동 제어시켜 액상의 영양제를 분사액 공급관(161)과 연결관(16)을 통해 각각의 분사수단(15)의 분사액 분사관(152)으로 공급하여 분사액 분사노즐(152a)을 통해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영양제를 분사 살포한 다음, 상기 펌프(221)를 정지 제어시키고 상기 제3 전자밸브(V3)를 차단 제어 한 다음, 영양제가 김에 흡수되게 일정 시간동안 시간 간격을 두는 과정을 통해, 영양제 살포과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처리제를 먼저 분사하고 시간 간격을 두고 해수를 분사하여 산처리제를 김에서 씻어 내고 공기 중에서 영양제를 자동 살포함으로써, 영양제를 공기에 노출시켜 영양제가 해수에 희석되지 않는 상태에서 김에 흡수되도록 하여 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중에서 영양제를 살포함에 따라 영양제의 양을 줄여도 김의 충분히 성장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중에서 영양제를 살포함에 따라 영양제가 공기 중에서 김에 충분히 전착하기 때문에 전착제와 같은 농약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는 친환경적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은 양측의 간답대(12)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기포 이동관(181)을 더 포함하고, 양측의 기포 이동관(181)의 사이에는 김발(11)의 상부로 플라즈마기포를 분출하는 다수의 기포 분출홀이 형성된 다수의 기포 분출관(182)이 연결 구비되며, 상기 기포 이동관(181) 중 하나에는 기포 공급관이 구비된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기포 공급수단(18)은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2)에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 제어부(29)와 연결된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27)와,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27)와 상기 기포 공급관을 연결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29)와 연결되는 기포 공급 전자밸브(281)가 구비된 기포 주 공급관(28)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조작 제어부(29)는 상기 산처리를 마친 양식 김이 해수에 침수된 후에 상기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27)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포 공급 전자밸브(281)를 개방하여 플라즈마기포를 김발(11)의 상부에 분출시키는 플라즈마기포 분출 과정을 더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김이 수중에 잠겨 있을 때에는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27)를 통해 이온화된 살균 효과가 탁월한 미세 나노 기포를 수중으로 자동 분사시켜 김에 접촉하게 해 줌으로써, 김 성장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김에 병을 일으키는 병균들을 살균시켜 건강한 양식 김을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상기 조작 제어부(29)에는 송수신 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29)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29)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하는 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조작 제어부(29)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무인화 된 김 양식도 가능한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김 양식 수단
11 : 김발
12 : 간답대
13 : 부력 조정수단
14 : 공기 연결관
15 : 액체 분사수단
16 : 연결관
17 : 김발 지지부이
18 :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
2 : 잡조 자동 제거수단
21 : 전기 공급수단
22 : 액체 주 공급관
23 : 산처리제 저장조
24 : 영양제 저장조
25 : 해수 공급관
26 : 컴프레셔
27 :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
28 : 기포 주 공급관
29 : 조작 제어부

Claims (8)

  1. 김이 상부에 부착되는 김발의 양측에는 간답대가 설치되며, 각각의 간답대의 전,후방에는 공기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력 조정수단이 관통 고정되고, 각각의 부력 조정수단에는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액체 분사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부력 조정수단들 중 하나에는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배출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분사액 공급관이 연결된 김 양식 수단과;
    관리 바지선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분사액 공급관으로 액상의 산처리제나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폐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잡조 자동 제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김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을 차단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산처리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분사한 다음, 상기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개방한 후 김발이 침수되면 공기 배출 전자밸브를 닫아 김을 다시 침수시키는 과정으로 산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은
    전기 공급수단과,
    상기 분사액 공급관과 연결되고 중간에 펌프가 구비된 액체 주 공급관과,
    상기 액체 주 공급관에 제1 전자밸브가 구비된 제1 연결관으로 연결된 산처리제 저장조와,
    상기 액체 주 공급관에 연결되고 중간에 제2 전자밸브가 구비된 해수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에 공기 개폐 전자밸브가 구비된 공기 주 공급관으로 연결된 컴프레셔와,
    상기 전기 공급수단, 펌프, 제1,2 전자밸브, 컴프레셔, 공기 개폐 전자밸브, 공기 배출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조 자동 제거수단은
    액상의 영양제가 저장되는 영양제 저장조와 액체 주 공급관에 연결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된 제3 전자밸브가 구비된 제2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서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한 후 김을 침수 시키기 전에는,
    상기 산처리제와 해수를 분사한 후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공기에 노출된 김에 액상의 영양제와 해수를 시간 간격으로 두고 순차적으로 더 살포하는 영양제 살포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정수단은
    상기 간답대에 관통 고정되고 상판에는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된 고정부이가 구비되는 공기 챔버와,
    상기 공기 챔버의 하판에 관통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공기 챔버의 내부와 연통되게 개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바라관 형태의 상하 신축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분사액 연결관 연결되고 상기 부력 조정수단의 내부를 관통하여 부력 조정수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 고정부이와,
    상기 수직 고정부이의 상부에서 김발의 상부 중앙의 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고 끝단부와 양측에는 분사액을 김발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된 분사액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 수단은
    상기 김발의 일측의 전후방이나 양측의 전,후방에 연결줄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김발 지지부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은
    양측의 간답대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기포 이동관을 포함하고, 양측의 기포 이동관의 사이에는 김발의 상부로 플라즈마기포를 분출하는 다수의 기포 분출홀이 형성된 다수의 기포 분출관이 연결 구비되며, 상기 기포 이동관 중 하나에는 기포 공급관이 구비된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기포 공급수단은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된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와,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와 상기 기포 공급관을 연결하고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기포 공급 전자밸브가 구비된 기포 주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산처리를 마친 양식 김이 해수에 침수된 후에 상기 플라즈마기포 발생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포 공급 전자밸브를 개방하여 플라즈마기포를 김발의 상부에 더 분출시키는 플라즈마기포 분출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에는 송수신 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 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055855A 2019-05-13 2019-05-13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KR10224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5A KR102240732B1 (ko) 2019-05-13 2019-05-13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5A KR102240732B1 (ko) 2019-05-13 2019-05-13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077A true KR20200131077A (ko) 2020-11-23
KR102240732B1 KR102240732B1 (ko) 2021-04-16

Family

ID=7368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55A KR102240732B1 (ko) 2019-05-13 2019-05-13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473B1 (ko) * 2021-12-30 2022-12-12 배헌민 질소플라즈마 가스가 혼합된 김 산처리제 제조장치
KR102566544B1 (ko) * 2022-06-08 2023-08-10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레인보우랩스 김 실내 양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183B1 (ko) 2022-09-05 2023-02-14 김택수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37A (ja) * 1993-05-31 1994-12-06 Masanori Yoshinaga ゴム製の魚礁
KR100786804B1 (ko) * 2006-07-20 2007-12-18 연혜란 김발고정용 부구 및 이를 이용하는 김발 자동부침장치
JP2009278910A (ja) * 2008-05-22 2009-12-03 Toshio Kondo 海藻の養殖に使用する施肥装置、養殖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養殖方法
KR20140047764A (ko) * 2012-10-12 2014-04-23 박송범 해상 굴 양식 장치
KR20140144780A (ko) * 2013-06-11 2014-12-22 최석재 공기부양식 김양식장치
KR101489510B1 (ko) * 2008-06-05 2015-0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해조류의 대량 양식을 위한 광합성에 필요한 광원 장치,해조류 양식을 위한 지지체, 심해수 공급 펌프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11-23 전라남도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337A (ja) * 1993-05-31 1994-12-06 Masanori Yoshinaga ゴム製の魚礁
KR100786804B1 (ko) * 2006-07-20 2007-12-18 연혜란 김발고정용 부구 및 이를 이용하는 김발 자동부침장치
JP2009278910A (ja) * 2008-05-22 2009-12-03 Toshio Kondo 海藻の養殖に使用する施肥装置、養殖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養殖方法
KR101489510B1 (ko) * 2008-06-05 2015-0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해조류의 대량 양식을 위한 광합성에 필요한 광원 장치,해조류 양식을 위한 지지체, 심해수 공급 펌프
KR20140047764A (ko) * 2012-10-12 2014-04-23 박송범 해상 굴 양식 장치
KR20140144780A (ko) * 2013-06-11 2014-12-22 최석재 공기부양식 김양식장치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11-23 전라남도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473B1 (ko) * 2021-12-30 2022-12-12 배헌민 질소플라즈마 가스가 혼합된 김 산처리제 제조장치
KR102566544B1 (ko) * 2022-06-08 2023-08-10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레인보우랩스 김 실내 양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732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732B1 (ko)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DK1789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exterior parasites from fish and fish feeding system and method
CA2120969A1 (en) In situ marine fish incubator
CN105746330A (zh) 一种龙须菜的池塘养殖方法
EP2129213A1 (en) Growing algae in a body of water contained in an open or closed container that floats on another larger body of water
KR101544708B1 (ko) 부력기능을 구비한 양식장 프레임을 이용한 해저양식 시스템
WO199301265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marine organisms
CA2120968A1 (en) Variable buoyancy ballast assembly for fish incubator
US200700621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subaquatic vegetation
US20010029694A1 (en) Fish trap habitat system
JP4359399B2 (ja) 養殖水浄化装置
KR20190033819A (ko) 정수 시스템이 결합 된 수경 재배 및 양어 장치
CN209749525U (zh) 一种船载式埋栖型底栖动物捕捞器
CN106688869A (zh) 条斑紫菜贝壳丝状体黄斑病防治方法及培养装置
JPH06327375A (ja) 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10722A (ja) 真珠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1957022B1 (ko) 모자반류 접합자를 자연석인 현무암에 부착 및 생장시켜 바다숲을 조성하는 신규 바다숲 조성방법
CN109156401A (zh) 泥鳅活水养殖设备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KR10218398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제거장치
JP3091345B2 (ja) 養殖生簀
CN108184637B (zh) 水培植物寄养装置及其方法
CN1419818A (zh) 大菱鲆自然产卵的养殖方法
KR20170094902A (ko)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RU2324658C1 (ru) Электр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ктиватор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