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860B1 -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 Google Patents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860B1
KR101921860B1 KR1020180040122A KR20180040122A KR101921860B1 KR 101921860 B1 KR101921860 B1 KR 101921860B1 KR 1020180040122 A KR1020180040122 A KR 1020180040122A KR 20180040122 A KR20180040122 A KR 20180040122A KR 101921860 B1 KR101921860 B1 KR 10192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oysters
fixed
support
k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일
김상국
정석관
김민영
조말구
이인선
양사랑
문성칠
박상진
나종태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신안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신안군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8004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일단이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김을 양식할 수 있는 김발, 상기 김발이 고정된 지주대의 하부에 김발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굴의 채묘연을 고정할 수 있는 채묘연고정줄 및 굴의 종묘가 부착하여 성장하는 채묘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그조수간만의 차가 일정한 제한된 지역에서 김과 굴을 동시에 복합양식하여 양식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킬 수 있다.

Description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The combinated fa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rming together Lavor, Oyster}
본 발명은 김과 굴을 동시에 혼합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와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김 양식 시설을 이용하여 김과 굴을 혼합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 및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보라털목 보라털과에 속하는 홍조류의 일종으로, 해태(海苔)라고도 하며, 남반구와 북반구의 조간대 상부에서 자라며 질소가 풍부한 물에서 잘 자라며 수확하여 말린 뒤 식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뛰어난 맛과 품질로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국산김은 국내 농수산물 단일품목 최초로 2016년 3억 5천달러 수출을 달성하였으며,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면서 매년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김은 아열대지역에서부터 극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바다 암반에 붙어 자라는데, 수온이 20℃ 이하로 떨어지는 10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겨울과 봄에 걸쳐 자라며 그 이후에는 성숙하여 수정이 일어나며 여름에는 실모양의 사상체로 지낸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김양식을 수행해 왔는데, 특히 서해안과 남해안의 김양식이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양식되는 김에는 방사무늬김, 잇바디돌김, 모무늬돌김 등이 있는데, 방사무늬김은 얇고 부드러워 주로 김밥용으로 가공되며, 잇바디돌김과 모무늬돌김은 엽체가 두꺼워 식감이 좋고 단맛이 난다. 어떤 품종을 양식하는지에 따라 채취시기가 다른데, 잇바디돌김은 날씨가 추워지는 11월 초순부터 1~2회 채취하고, 방사무늬김은 12월부터 5월까지 생산하며, 모무늬돌김은 1월부터 5월까지 생산한다.
김의 채취는 김의 성장속도에 따라 초벌 채취 후, 20~25일 간격으로 이듬해 5월까지 채취하는데, 먼 바다보다 수온이 빨리 오르는 지주식의 경우에는 약 5~6회, 부류식의 경우 약 8~10회 정도 채취할 수 있다.
김 양식은 경사가 완만하고 수심이 얕은 바다에 말목을 박아 양식하는 지주식 방법과 깊고 먼 바다에 뜸을 띄워 양식하는 부류식 방법이 있다. 김 양성은 한겹씩 분망된 채묘 그물을 양식장에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이때 지주식은 김발을 지주에 매달아 고정하며, 부류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뜸에 달아 김발이 뜨게 하는 방식이다.
김 양성은 무엇보다 햇빛 노출이 중요한데, 지주식의 경우 밀물과 썰물에 의해 김발이 자연적으로 노출과 잠김을 반복하기 때문에 별도의 뒤집기 작업은 하지 않으나 부류식의 경우 바닷물에 잠겨있는 상태이므로 김 성장기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인위적으로 김발을 뒤집어 햇볕과 바람을 맞게 하여야 한다. 이른 아침에 뒤집어 놓았다가 해가 지면 다시 되돌려 놓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며, 이 과정을 거쳐야 김의 광합성을 돕고, 파래 등의 다른 부착생물 성장을 막아 건강하게 양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는 지주식 양식이 관리가 용이한 점이 있으나, 조수간만의 차이가 있는 입지조건의 지역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굴은 굴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비타민A, B1, B2, B12, 철분, 동, 망간, 요오드, 인, 칼슘 등이 많다. 특히 굴의 당질의 대부분은 글리코겐으로, 이 성분은 소화 흡수가 잘 되어서 어린이나 노약자, 환자 등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식품으로 권장되고 있고, 옛날부터 빈혈과 간장병 후의 체력회복에 좋은 강장식품으로도 여겨져 왔다. 이처럼 굴은 영양가가 풍부하고, 특별한 맛과 향을 갖고 있어 오랫동안 식재료로 사랑받아 왔고 이에 따라 양식의 역사 또한 오래된 해산물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굴 양식은 채묘과정, 치패양성과정과 수확과정으로 구분되는데, 자연채묘는 성숙한 굴이 수온이 2~5℃로 되는 5~8월에 산란하면, 수중을 부유하고 있는 유생이 0.3㎜ 정도로 자란 후 바위에 부착하기 시작하면 굴껍데기나 큰가리비의 조가비를 연결한 부착기를 바다 속에 넣어 치패(稚貝)를 부착시켜 채묘(採苗)하는 방식이다. 한편 인공 채묘 방법은 실내 탱크와 같은 구조물에서 굴 모패를 사육, 성숙시킨 후, 수온 조절에 의한 온도자극을 통해 인위적으로 산란을 유발하고, 산란된 유생을 사육하여 종패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채묘과정에서 부착된 치패는 주로 전통적인 수하식 양식에 이용되는데, 굴의 부착성을 이용하여 조개껍데기 등의 부착기에 붙인 다음, 이 부착기를 다시 긴 줄에 꿰어 뗏목식, 말목식, 또는 로프식 등의 방법으로 수하시켜 연안해에서 양식한다.
지주망홍식 김 양식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주목을 설치해야 하며, 국내 현행법에 따라 김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계절에는 철거되어야만 한다. 설치된 지주목은 김발을 지지에만 이용될 뿐 그 외에는 활용되지 못하여 김양식 철거에 대한 경비와 노력의 투입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인근해에 양식장이 포화를 이루어 좋은 양식장을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어 비용을 감수하고 보다 먼 바다로 나가 양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1715호에서는 해저에 위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성게 또는 전복등의 어패류를 양식하고, 외부 구조물에는 미역, 다시마등의 해조류를 양식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침하방식을 이용한 어패류 및 해조류의 복합양식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537호에서는 합성섬유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복수 가닥의 그물실로 엮은 그물망이 설치되는 김양식망으로, 합성섬유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복수개의 그물망지지용 로프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그물망지지용 로프사이에는 단일 가닥의 그물실로 엮은 복수개의 소그물망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김양식망을 구성하되, 상기 김양식망의 그물실매듭부에는 끝단부가 자유단으로 노출된 포자활착용 실오리부를 각각 설치하므로써, 그물망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더욱 더 많은 김포자가 활착될 수 있게 하여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상기 김양식망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나일론 모노필라멘트재질로 구성하므로써 제조시에는 김양식망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사용시에는 그물망에 바닷물이 스며들지 않아 무게가 가벼워져 김채취작업을 위한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해지게 될 뿐 아니라 그물망의 처짐현상도 감소되어 더욱 더 많은 김포자를 활착할 수 있게 되고, 또 폐기 시에는 그물망을 녹여서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5614호에서는 바닷물 또는 축제식 양식장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로 유동하는 부유 모듈(10); 상기 부유 모듈(1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분사 모듈(20); 상기 공기 분사 모듈(20) 상부에 배치되는 조개류 양식망(30); 상기 부유 모듈(1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유체 공급 모듈(40); 및 상기 공기 분사 모듈(20) 및 상기 유체 공급 모듈(40)에 연결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 모듈(10)은, 중공의 부유 구조체(110) 및 상기 부유 구조체(110)의 상부단에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에어 벤트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유체 공급 모듈(40)을 통해 공기 내지 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부유 구조체(110) 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부유 구조체(11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9531호에서는 체결구 몸체(1)의 받침주와 걸대의 체결 방식을 홈통 체결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서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시키는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침하를 발생시키는 폐해 생물을 퇴치하여 구조물의 안정적인 설치를 유도하는 굴 양식을 위한 가상세트식(굴 수평망식) 굴 양식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조수간만의 차가 일정한 제한된 지역에서 김과 굴을 동시에 복합양식하고 김과 굴의 생산성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김 굴 복합양식장치 및 김굴 복합양식방법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최근 포화상태를 겪고 있는 인근해 양식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김과 굴의 복합양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복합양식장치와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일단이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김을 양식할 수 있는 김발, 상기 김발이 고정된 지주대의 하부에 김발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굴의 채묘연을 고정할 수 있는 채묘연고정줄 및 굴의 종묘가 부착하여 성장하는 채묘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 및 김 굴 복합양식방법을 이용하여 남해안, 서해안의 제한된 인근해 양식장을 충분히 활용하여 수요가 높은 김과 굴을 동시에 양식함으로써 양식비용을 절감하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김 양식과 함께 굴 양식산업의 인력 수요를 창출하여 어한기에 2차 소득을 유발할 수 있어 양식어가의 소득증대와 수산물 생산량을 증가시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채묘연고정줄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채묘연고정줄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굴 성장에 따른 채묘연고정줄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주대고리 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2줄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주목을 나타낸다.
도 9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이 시험양식 설치장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외줄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2줄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방법으로 양식한 굴의 월별 크기 및 비만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낸다.
도 17은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지방산 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김과 굴을 동시에 혼합 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와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양식지역에서 김과 굴의 생산성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김 양식 시설을 활용함으로써 양식비용 절감 및 김 양식 어업인의 소득증대에도 도움이 되는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남서해안의 대부분의 김양식장은 오래 전부터 큰 대나무를 쪼개어 발을 만들고 이것을 미리 갯벌에 박아 놓은 지주에 적당한 높이로 매달아 양식하는 죽홍식 양식을 해왔다. 김발이 고정되는 지주대는 일단이 갯벌에 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조류나 기상변화에도 안정적인 양식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지주대는 계속해서 갯벌에 박혀있고 부분적으로 교체, 수리하며 따라서 김양식장으로 사용되는 갯벌은 계속 김양식장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김 양식의 기간 중 인근해의 양식장을 이용하는 기간은 가을에서 늦은 봄까지로, 양식장의 휴지기가 발생한다.
굴의 경우, 양식을 시작하고 상품화까지 1년 반 이상이 소요되며, 김 양식과 자연적 서식지가 유사하면서도 수심을 달리하여 키울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으며, 김과 굴을 복합양식함으로써 김과 굴의 성장에 서로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김 양식장치를 이용한 굴 양식 시에 채묘연 처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김과 굴을 복합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 양식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외줄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일단이 바닥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대(100), 상기 지주대(100)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김을 양식할 수 있는 김발(200), 상기 김발(200)이 고정된 지주대(100)의 하부에 김발(200)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굴의 채묘연(400)을 고정할 수 있는 채묘연고정줄(300) 및 굴의 종묘가 부착하여 성장하는 채묘연(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지주대(100)는 대나무 등으로 제작되며, 조수간만의 차이가 있고 조류의 소통이 원활한 갯벌에 5m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주대(100)의 길이는 갯벌 밖으로 노출된 길이만 총장 6~8m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수의 높이에 따라 지주대(100)의 3~5m 내외에 김발(200)을 설치한다. 김발(200)은 대나무발 또는 합성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김발(200)이 고정된 지주대(100)의 하부 채묘연고정줄(300)을 고정한다. 지주대(100)의 하부, 김발(200)보다 낮은 위치에 굴의 채묘연(400)을 고정할 수 있는 채묘연고정줄(300)을 고정하며, 채묘연고정줄(300)의 높이는 갯벌 표면에서 1m 내외인 굴 서식층에 위치하도록 한다. 채묘연고정줄(300)의 양단은 연장되어 지주목(6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굴 양식의 경우, 굴이 부착된 채묘연을 수직으로 내려서 양식하는 수하식으로 양식하는데, 본 발명의 김 굴 복합양식장치는 김 양식장치의 하부공간을 이용하기 위하여 굴의 채묘연을 수평식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채묘연고정줄(300)은 지주대(100) 간을 팽팽하게 연결하여 굴의 성장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여 채묘연고정줄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채묘연고정줄이 연결되면, 굴의 채묘연(400)을 고정끈(410)으로 고정하여 굴을 양식한다.
도 2는 채묘연고정줄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지주대(100)에서 채묘연을 고정하는 높이에 지주대고리(120)를 고정하고 여기에 채묘연고정줄(300)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채묘연고정줄(300)을 연장하여 지주대(100)의 상부에 고정한 복수개의 지주대고리(120)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채묘연고정줄(300)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굴 성장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채묘연고정줄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고리(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로 지주대가 관통 고정되는 지주대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대 수용부 측면에는 채묘연 고정줄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의 채묘연고정줄 수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채묘연고정줄(300)은 채묘연고정줄 수용부에 걸어 상부로 올려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지주대(100) 상부에서 채묘연고정줄(300)을 고정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채묘연고정줄(300)의 양단에는 고정줄고리(310)이 형성되어 있어 채묘연고정줄의 고정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주대(100) 상부에 지주대고리(120)를 복수개 연결하여 굴이 성장하면서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채묘연고정줄(300)이 갯벌 바닥으로 쳐지는 경우, 보다 높은 위치의 지주대고리(120)에 고정줄고리(310)를 걸어 채묘연고정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주대고리(120)의 고리부분은 일면이 열린형태로 형성되어 채묘연고정줄(300)을 용이하게 걸거나 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지주대고리 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고리 프레임 내부구조는 상협하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 내부측면에 하나 이상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협하광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협이되는 부분은 지주대 기둥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의 상협으로 이루어지며 하광은 지주대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 돌기의 끝은 실리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를 갖는 내면의 내측면의 지름은 지주대의 지름과 동일하기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돌기를 갖는 경우 돌기가 서는 방향이 아래로 향할 수 있도록 결착하여 프레임 내부에서 돌기가 밀리지 않도록 한다.
프레임 내부 측면에 하나 이상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채묘연 고정줄 내부로 관통된 지주대를 설치방향으로 하부를 향할수록 수렴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주대고리 프레임 실시예는 채묘연 고정줄에 채묘된 굴이 성장하여 하중이 무거워지거나, 해류에 의해 지주대고리의 설치위치가 해저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2> 2줄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장치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2줄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채묘연고정줄(300)은 갯벌 바닥으로부터 상부 1 m의 굴 서식층 내에 2줄로 형성될 수 있다. 2줄 채묘연 실시예를 이용한 경우, 외줄 채묘연 실시예보다 높은 굴 수확량을 얻을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이때 채묘연고정줄1 및 채묘연고정줄2(300, 500)의 각 양단을 지주대고리(120)에 각각 연결하여 채묘연고정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굴이 성장하여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채묘연고정줄(300)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지주대(100) 중간에 채묘연고정줄 받침(미도시)을 설치하여 두 개의 채묘연고정줄 중 아래에 위치한 채묘연고정줄2(500)가 갯벌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상면도이다. 상기 외줄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2줄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장치는 양식장의 상황에 따라 복합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과 굴의 복합양식장치를 위에서 볼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김발(200)의 사이사이에 굴의 채묘연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김과 굴은 수직상의 높이와 수평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됨으로써 조류의 소통이 원활한 상태로 동시 양식이 가능하다. 또한 양식장의 상황에 따라 외줄 채묘연과 2줄 채묘연을 동시에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주목을 나타낸다. 지주목(600)은 굴 또는 부착생물의 성장에 따른 무게증가로 인해서 채묘연이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채묘연고정줄 양 말단에 연결되어 해저 저질 약 1~2m 깊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목은 목재 재질로 직경은 , 길이는 1.8m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경우 채묘연고정줄은 직경이 9mm로 형성된 것을 지지하기 적절하다.
지주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가 가능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가 가능하다.
<실시예 3> 다수평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장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실시예 1, 또는 2의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김 양식장치에 굴 채묘연고정줄과 채묘연을 연결하여 김 굴 복합양식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양식지에 설치하는 경우, 실시예 3과 같이 지주대(100)를 3m 간격으로 보다 촘촘히 설치하고 여기에 채묘연고정줄(300)을 연결한 다음 채묘연고정줄(300)과 수직이 되도록 굴 채묘연(400)을 연결하여 다수평 채묘연의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묘연고정줄(300)이 보다 조밀하게 형성되어 채묘연(400)을 지탱하게 되므로, 굴의 성장에 따라 하부로 쳐지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평 채묘연의 실시예의 경우, 지주대(100)를 보다 조밀하게 설치하여 굴 양식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수평으로 상부에 김 양식장치를 설치하여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지주대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지주대의 일단을 바닥에 삽입 고정하는 단계(1), 상기 고정된 지주대에 김발을 설치하는 단계(2), 상기 김발이 고정된 지주대 하부에 채묘연고정줄을 고정하는 단계(3), 상기 채묘연고정줄에 굴채묘연을 고정하는 단계(4), 굴의 성장에 따라 채묘연고정줄이 하부로 쳐지지 않게 관리하는 단계(5) 및 상기 김과 굴의 성장에 따라 김 또는 굴을 수확하는 단계(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굴 복합양식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김 양식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지주대와 김발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3)단계부터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양식장에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채묘연고정줄을 고정하는 단계(3)와 상기 채묘연고정줄에 굴 채묘연을 고정하는 단계(4) 후, 김발을 설치하는 단계(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3의 다수평 채묘연 김 굴 복합양식의 경우 채묘연고정줄과 채묘연을 먼저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시험예 1> 김 굴 복합양식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를 이용하여 신안군 압해읍 송공리 일대 근해에서 김 굴 복합양식을 실시하였다.
2016년 2월부터 기존의 김양식장이 있는 송공과 갯벌인 수락에서 김 굴 복합양식장치 제작, 설치하고 3월부터 11월까지 김 굴 복합양식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에서는 김과 굴의 복합양식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새로 시설하는 수락양식장에는 굴양식만을 실시하였다. 연간 해황 변화 범위는 5.4℃/27.1ppm ~ 26.6℃/30.3ppm 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이 시험양식 설치장소를 나타낸 것이다. 송공어장에는 굴 채묘연 약 900 m 시설로 2016년 3월 24일 설치하였으며, 수락어장은 굴 채묘연 300 m 시설로 2016년 4월 15일 설치 완료하였다. 각 채묘연은 m 당 가리비 10개의 밀도로 시설하였으며, 7월과 11월 채묘연의 시설보수를 실시하였다.
도 12, 13, 및 14는 송공과 수락어장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의 외줄 채묘연, 2줄 채묘연 및 다수평 채묘연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각 어장에 설치된 굴은 매월 1회 가리비 2개체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부착된 굴을 크기 상위 30개체를 측정하였다. 표 1은 월별 굴의 크기 및 비만도를 나타낸 것이다.
월별 굴의 크기 및 비만도
각장(㎝) 각고(㎝) 비만도(%)
송공 수락 송공 수락 송공 수락
6 2.44 2.15 3.36 3.11 27.5 24.6
7 3.18 2.72 4.46 3.87 20.7 20.4
8 3.40 2.82 5.33 4.23 15.3 19.1
9 3.35 2.67 5.56 4.45 16.8 17.3
10 3.17 3.10 5.53 5.19 16.7 18.6
11 3.59 2.92 6.16 4.73 16.2 13.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식 시작 시 평균 각고는 1.66 cm, 각장은 1.21 cm이었던 것이 시설 8개월 후인 11월에는 평균 각고가 송공 6.16 cm, 수락 4.73 cm로 성장하였다. 비만도는 6월 송공은 27.5%, 수락은 24.6%에서 8~9월까지 점차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15는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험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 양식장에서 본 발명의 김 굴 복합양식 방법으로 양식한 굴(송공어장)의 성장은 굴만을 양식한 경우(수락어장)와 비교하여 각장, 각고 및 비만도에서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굴만을 양식하는 경우보다 각 채묘연간의 간격이 넓어 성장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굴과 함께 양식되는 김 또한 김만을 성장시키는 경우보다 좋은 성장을 나타낼 수 있다. 김 양식을 위해서는 우량종묘를 생산해야하는데, 김의 엽상체는 난자(조과기)와 정자(조정기)를 갖는 배우체 세대를 지내게 된다. 충분히 성장한 암배우체에 있는 조과기는 정자를 받아들여 난자와 수정하고 과포자를 만들며, 성숙한 과포자는 4~5월 하순까지 바닷물에 방출되며, 이때 엽상체는 녹듯이 사라진다.
이때 방출된 과포자는 해저에 있는 조기비의 진주층을 뚫고 들어가 그 속에서 자라면서 여름철의 고수온기를 지내게 되며 이를 사상체라 한다. 일반적인 김 양식과정에서 사상체는 주로 실험실에서 대량배양되어 유리사상체 형태로 있다가 주로 패각에 붙여 패각사상체로 길러진다. 이때 패각은 주로 편평하고 넓은 면적의 굴 껍데기가 이용되며 유리사상체는 물에 떠다니다가 패각의 진주층을 뚫고 들어가 여름철 고수온기를 넘기며 성장한다. 사상체는 굴껍데기속에서 검붉은 반점을 형성하며 성장하면서 씨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안에 각포자가 형성된다. 각포자는 굴껍데기를 뚫고 나와 김발에 붙어 성장하게 된다.
굴 사상체 배양이 끝나는 9월이 되면 각포자가 성숙된 굴껍데기를 김발에 놓고 채묘한다.이들은 수온이 24℃ 이하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9월 하순~10월 초순에 사상체로부터 각포자가 방출되어 김발에 붙어 커다란 엽상체로 자라게 되며, 엽상체의 끝에 있는 영양 세포들은 하나씩 떨어져 나와 다시 김발에 착생하여 개체의 다수증식을 이룰 수 있는 중성포자를 형성한다.
이때 김의 과포자 성장은 주로 굴의 패각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김과 굴을 복합양식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굴의 패각은 김의 양식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굴은 김의 양식 기간보다 길게 양식되기 때문에, 김발에 채묘하여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과정에서 김 하부에 위치한 굴 패각에서 각포자, 중성포자의 공급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김 양식 엽상체가 탈락한 경우에도 쉽게 김발에 김의 싹이 붙어 자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험예 2> 김 굴 복합양식으로 양성된 참굴 성분함량 확인
본 발명의 시험예 2는 상기 시험예 1에 따라 양성한 참굴의 성분함량을 확인하였다.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pH, 염도는 목포지원 실험실에서,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일반성분, 지방산, 미네날, 비타민, 유리아미노산 등의 성분분석은 전남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pH, 염도 및 글리코겐 함량
시료 분석항목
pH (수락) 염도(수락) 글리코겐(mg/g, 송공)
참굴 6.37±0.02 5.12±0.15
상기의 표 2는 송공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pH, 염도 및 글리코겐 함량을 나타낸다.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채취한 참굴의 pH는 6.73이었으며, 경남지역에서 생산된 참굴의 연평균 pH는 6.29-6.59이었다. 상기 pH는 통상적인 연구 결과의 pH 6.02-6.38와 유사한 값으로 판단된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글리코겐 측정 결과는 경남 거제 및 자란만 지역의 글리코겐 함량이 4-35mg/g인 반면에, 본 시험어업 어장에서 채취한 참굴의 경우에는 5.12mg/g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양식굴의 경우 글리코겐 함량이 겨울철에 증가하고, 봄, 여름철에 감소한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시험어업 어장에서 2017년 3월 30일에 채취한 참굴의 글리코겐 함량이 비교적 낮은 수치에 해당된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일반성분 함량 (단위:%)
성분
시료
수분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참굴 77.76 1.59 11.91 0.67 8.07
자연채묘 87.12 0.98 9.26 0.33 2.31
수하식 79.53 1.14 10.56 0.8 7.97
상기 표 3은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나타낸다. 자원조성과에서 수행한 갯벌 참굴과 수하식 참굴의 성분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본 사업에 의해 양성된 참굴과 일반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연채묘 및 수하식 참굴의 수분함량이 79.53-87.12%인 것에 비하여 본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수분함량은 77.76%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조회분, 탄수화물, 조단백질 등의 성분 면에서는 자연채묘굴과 수하식굴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굴의 체내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조회분, 조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성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굴의 수분함량이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본 시험어업 어장의 참굴은 자연채묘 및 수하식 굴보다 수분함량이 낮은데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도 16은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낸다. (단위 : ㎎/100g)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 육질의 주요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Alanine, Glycine, Arginine, Threonine, serine, Leucine, Lysine, Valine, Histidine, Isoleucine, phenylalanine, Cysthathionine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Taurine (396.69mg%)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Proline (324.47mg%), Alanine (170.31mg%), Glycine (136.70mg%), Arginine (121.75mg%), Threonine (104.08mg%) 순으로 모두 자연채묘굴과 수하식 굴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Tryptopan, Asparagine 등의 몇몇 유리아미노산을 제외하고 참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자연채묘굴과 수하식 굴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수산물의 맛에 관여하는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시험예에 따라 양성된 참굴에서는 감칠맛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 Proline, Glycine 및 Alanine등의 함량이 자연채묘굴과 수하식 굴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해당 성분의 함량이 자연채묘굴(G: 40.83mg%, A: 4.37mg%)과 수하식굴(G: 3.03mg%, A: 20.02mg%)에서도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성분에 대한 관능적인 문제는 어느 정도 완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특히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적어 반드시 음식으로부터 공급해야만 하는 9종의 필수 아미노산(성인기준)인 Valine, Leucine, Isoleucine, Methionine, Threonine, Lysine, phenylalanine, Tyrosine, Histidine을 모두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Threonine, Leucine, Lysine, Valine, Histid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아가 어린이의 경우 성장호르몬을 합성하기 위해 필수아미노산으로 Arginine 등이 더해지는데, 본 양식 시험어업을 통해 생산된 참굴의 경우, Arginine의 함량(121mg%)이 자연채묘굴(18.99mg%)과 수하식굴(26.12mg%)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지방산 함량을 나타낸다. 송공 시험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주요 지방산은 20:5 (n-3), 16:0, 17:0, 21:0, 22:6 (n-3)등이 분석되었으며, 그 구성 비율은 폴리엔산(polyunsaturated), 포화산(saturated), 모노엔산(monounsaturated)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자원조성과에서 수행한 갯벌참굴과 수하식굴 성분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본 시험어업에 의해 양성된 참굴과 지방산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어업에 의해 양성된 참굴의 경우 n-3계열 고도불포화 지방산인 20:5 (n-3)의 함량이 자연채묘 참굴(30.45%)과 수하식 참굴(36.11%)에 비해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데 반해 포화지방산의 경우, 자연채묘 굴(33.22%)과 수하식 굴(38.52%) 보다 낮은 함량(30.45%)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음식물을 통해 섭취해야만 하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콜레스테롤 저하, 뇌기능 촉진 등 각종 질병에 예방 효과가 있는 DHA (C:22, n-3, Docosahexaenoic acid)와 EPA (20:5, n-3, Eicosapentaenoic acid)함량은 자연채묘굴이 39.48%, 수하식굴이 44.51%, 본 시험어업에 의해 양성된 참굴이 57.7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영일반성분함량 및 양적, 품질적인 면에서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한 참굴이 기존의 양식방법에 의해 양성한 참굴과 유사한 우수한 품질의 것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비타민 함량 (단위 : ㎎/100g)
성분
시료
Vitamin A Vitamin E Vitamin C
참굴 N.D. N.D. 10.2254
자연채묘* N.D. 0.8157 N.D.
수하식* 1.3847 1.1303 14.3154
상기 표 4는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비타민 함량을 나타낸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비타민 A, E 및 C의 분석결과, 비타민 A와 E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C의 경우 10.23mg/100g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연채묘 굴의 경우 비타민 E를 0.82mg/100g 함유하고 있었으며, 수하식 굴의 경우 비타민 A를 1.38mg/100g, 비타민 E를 1.13mg/100g, 그리고 비타민 C를 14.32mg/100g 함유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비타민의 함량으로 보았을 때, 수하식 굴의 경우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성장도 및 서식 환경에 따른 성분 차이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무기질 함량 (단위 : ㎎/100g)
성분
시료
Na K Ca Mg Fe Cu Mn Zn
참굴 206.80 266.30 48.62 40.03 10.96 6.97 N.D. 18.57
자연채묘* 125.90 150.00 21.95 28.42 10.25 4.89 N.D. 13.85
수하식* 139.80 193.10 9.55 25.95 4.18 N.D. N.D. 4.71
상기 표 5는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무기질 함량을 나타낸다. 송공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에서 주요 무기질은 Na, K, Ca, Mg, Fe, Zn등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K (266.3mg%)과 Na (206.8mg%)의 함량이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다. 본 시험어업에 의해 양성된 참굴의 무기질 함량은 자연채묘 굴과 수하식 굴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시험예 3> 김 굴 복합양식으로 양성된 참굴 안전성 확인
상기 시험예 1에 따라 양성된 김 굴 복합양식으로 양성된 참굴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다. 하기의 표 6은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안전성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안전성 검사 결과
검사항목 검사결과 허용기준 검토의견
중금속
(mg/kg)
총수은 0.0mg/kg 0.5mg/kg이하 적합
0.1mg/kg 2.0mg/kg이하 적합
카드뮴 0.7mg/kg 2.0mg/kg이하 적합
방사능
(Bq/kg)
¹³¹I 불검출 300Bq/kg이하 적합
1 34Cs+137Cs 불검출 100Bq/kg이하 적합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채취한 참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총수은, 납, 카드뮴에 대한 중금속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수은은 0.0mg/kg이 검출되어 식품공전상 총수은의 허용 기준치인 0.5mg/kg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납도 0.1mg/kg이 검출되어 허용 기준치인 2.0mg/kg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카드뮴은 0.7mg/kg이 검출되어 다른 중금속 검사 항목보다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허용기준치인 2.0mg/kg을 초과하지 않아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양성된 참굴의 식품으로써의 안전성이 확인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수락 시험어업 어장에서 채취한 참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131I와 134Cs+137Cs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사능 131I와 134Cs+137Cs은 검출되지 않아 수락 시험어장에서 수확한 참굴의 방사능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굴 복합양식장치 및 김 굴 복합양식방법을 이용하여 최근 수요가 높은 김과 굴을 동시에 양식함으로써, 양식비용을 절감하고 양식산업의 인력 수요를 창출하여 어한기에 2차 소득을 유발할 수 있어 양식어가의 소득증대와 수산물 생산량을 증가시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지주대 120: 지주대고리
200: 김발
300: 채묘연고정줄1 310: 고정줄고리
400: 채묘연 410: 고정끈
500: 채묘연고정줄 2 600: 지주목

Claims (4)

  1. 서로 마주보는 복수개의 지주대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지주대 일단은 갯벌 바닥에 삽입 고정되어 갯벌 밖으로 노출된 길이가 총장 6~8m로 설치되며 상기 마주보는 지주대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김을 양식할 수 있는 김발이 고정되고, 김발이 고정된 지주대 하부에 굴의 종묘가 부착하여 성장하는 채묘연을 고정할 수 있는 채묘연 고정줄이 고정되며,
    상기 지주대의 채묘연 고정줄이 고정되는 높이 상부에는 지주대 고리가 형성되어 채묘연 고정줄을 고정하거나 걸거나 통과하여 고정하며,
    상기 채묘연 고정줄에는 고정줄 고리(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에는 지주대 고리(120)가 일정 간격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굴의 성장에 따른 채묘연의 무게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줄 고리를 높이가 다른 지주대 고리로 옮겨 연결하여 채묘연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주대 고리(120)의 프레임 내부 측면에 하나 이상 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의 말단부는 실리콘 처리되며 프레임 내측면 지름은 지주대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방향의 경사 돌기의 작용으로 지주대 고리가 지주대에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 것인 김 굴 복합양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0122A 2018-04-06 2018-04-06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KR10192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22A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04-06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22A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04-06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860B1 true KR101921860B1 (ko) 2018-11-23

Family

ID=6456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22A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04-06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8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522A (zh) * 2019-09-29 2019-12-03 湖南农业大学 一种立体综合种养系统及立体综合种养方法
KR102108337B1 (ko) * 2019-10-11 2020-05-07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조류 이식 및 보식을 위한 로프 고정구
KR102108338B1 (ko) * 2019-10-11 2020-05-07 한국수산자원공단 천연 해조장 조성을 위한 양성줄 결속장치
KR20200131077A (ko) 2019-05-13 2020-11-23 배헌민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KR20210073742A (ko) * 2019-12-11 2021-06-21 박칠석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KR20220074189A (ko) 2020-11-27 2022-06-03 사단법인 수진회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CN117204379A (zh) * 2023-11-09 2023-12-12 海南大学三亚研究院 基于牡蛎-裙带菜混合养殖模式的碳汇增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565A (ja) * 1999-06-30 2001-01-16 Nichimo Co Ltd 海苔網設置構造
KR101348070B1 (ko) 2013-09-08 2014-01-10 전라남도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KR101563730B1 (ko) * 2015-06-02 2015-10-26 주식회사 미성테크 밴드를 이용한 해양수산물 양식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565A (ja) * 1999-06-30 2001-01-16 Nichimo Co Ltd 海苔網設置構造
KR101348070B1 (ko) 2013-09-08 2014-01-10 전라남도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KR101563730B1 (ko) * 2015-06-02 2015-10-26 주식회사 미성테크 밴드를 이용한 해양수산물 양식구조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뉴스(신안군, 신안군 고정관념 깨는 발상으로 농가소득 100억원 달성 시동-김과 굴 함께 양식하는 복합적 양식 시험어업, http://www.widenews.kr/132, 2016.01.28. 공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077A (ko) 2019-05-13 2020-11-23 배헌민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CN110521522A (zh) * 2019-09-29 2019-12-03 湖南农业大学 一种立体综合种养系统及立体综合种养方法
KR102108337B1 (ko) * 2019-10-11 2020-05-07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조류 이식 및 보식을 위한 로프 고정구
KR102108338B1 (ko) * 2019-10-11 2020-05-07 한국수산자원공단 천연 해조장 조성을 위한 양성줄 결속장치
KR20210073742A (ko) * 2019-12-11 2021-06-21 박칠석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KR102315956B1 (ko) 2019-12-11 2021-10-20 박칠석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KR20220074189A (ko) 2020-11-27 2022-06-03 사단법인 수진회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CN117204379A (zh) * 2023-11-09 2023-12-12 海南大学三亚研究院 基于牡蛎-裙带菜混合养殖模式的碳汇增汇方法
CN117204379B (zh) * 2023-11-09 2024-03-22 国家海洋环境监测中心 基于牡蛎-裙带菜混合养殖模式的碳汇增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60B1 (ko)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CN104108797B (zh) 一种由水生动植物立体配置的水体净化系统及其净化方法
CN203999152U (zh) 一种由水生动植物立体配置的水体净化系统
CN101897309A (zh) 黄鳝、泥鳅的生态养殖方法
CN101305700B (zh) 一种利用早繁蟹苗养成河蟹的方法
CN105994072B (zh) 一种松江鲈鱼人工配合饲料的养殖方法
CN103918615B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养殖红沙蚕的方法
CN102301973A (zh) 一种花鳗鲡养殖方法
CN105494193A (zh) 一种双线紫蛤的育苗方法
CN109804953B (zh) 一种紫伪翼手参人工苗种的繁育方法
CN104082215A (zh) 一种斑石鲷的人工育苗方法
CN108552090B (zh) 一种二龄美洲鲥仿洄游土池大棚越冬育肥方法
Meggers The indigenous peoples of Amazonia, their cultures, land use patterns and effects on the landscape and biota
KR100764515B1 (ko) 개다시마의 인공 종묘 생산 및 양식 방법
CN109699537B (zh) 一种花刺参人工苗种的繁育方法
Mohamed Current trends and prospects of seaweed farming in India
CN102524129A (zh) 一种海参海上网箱生态育苗方法
CN110419472A (zh) 一种单环刺螠立体生态养殖方法
CN101940171A (zh) 海刺猬苗种培育方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3098735A (zh) 大黄鱼养殖方法
CN208402793U (zh) 一种羊栖菜与牡蛎轮养装置
CN100341403C (zh) 刺参杂交育苗方法
CN111165403A (zh) 一种方格星虫和近江牡蛎苗种池塘立体生态培育方法
KR101348070B1 (ko)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