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956B1 -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 Google Patents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956B1
KR102315956B1 KR1020190164300A KR20190164300A KR102315956B1 KR 102315956 B1 KR102315956 B1 KR 102315956B1 KR 1020190164300 A KR1020190164300 A KR 1020190164300A KR 20190164300 A KR20190164300 A KR 20190164300A KR 102315956 B1 KR102315956 B1 KR 10231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aquaculture
seaweed
mooring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742A (ko
Inventor
조영현
김홍진
박칠석
Original Assignee
박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칠석 filed Critical 박칠석
Priority to KR102019016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9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우렁쉥이와 해조류를 복합적으로 양성하는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물과 식물양식의 수질개선 기반의 복합양식으로 상부의 해조류양식을 통해 수질개선과 해조류생산을 유도하고, 하부의 우렁쉥이 양식은 개선된 수질양식의 효과를 통해 동물양식에서 발생하기 쉬운 질병발생 및 오염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인 양식이 가능함으로 양식어장의 오염저감, 안전, 안심 수산물의 안정적 생산 공급과 양식수산물의 부가가치 극대화 및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for seaweeds and sea squirt}
본 발명은 다영양입체양식(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 및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면을 이용하는 해조류 양식장치와 수하식의 우렁쉥이 양식시설을 상, 하 수심에서 복합양식시켜 양식시설 간의 간섭을 최소화 및 긴장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량 극대화 및 친환경 양식이 가능한 생태통합양식을 위한 복합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식이란 물고기나 김 같은 수산동물 및 식물을 인공적으로 기르고, 번식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식장이 연안 혹은 육상에 위치하여 적조 및 전염병 등에 양식생물이 취약해지면서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히 육상양식의 경우 안정적인 수질의 유지를 위해서 산소공급, 환수, 수온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비용과 인력의 투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육상에서의 고밀도양식은 생산량에 비해 오염물질을 과도하게 발생시켜 이에 대한 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양식을 위해 양식공간을 해면으로 옮기는 노력 등이 실시되고 있으며, 특히 외해의 깊은 바다를 이용하는 양식기술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외해 양식이란 수심 35m이상 깊은 해역에 양식시설을 설치하여 생물을 키우는 양식기술을 지칭한다.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생물을 양식하므로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기 용이하며, 특히, 깊은 수심의 수층을 이용하여 양식에 안정적인 해수조건을 확보할 수 있고, 해양외력에도 효과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양식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신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내에서도 깊은 수심을 이용하여 기존 연안양식에서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식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는 멍게 양식이다. 남해안을 중심을 연안에서 밀식으로 생산하던 멍게양식은 연안수질의 악화와 양식생물의 내성 저하로 생산성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자. 안정적인 수온 및 수질 그리고 생산시기의 조절을 위한 대수심 양식이 활발하게 실시하였다.
안정적인 수질과 깊은 수심 그리고 생산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해역은 동해안이며, 수심이 45m 정도인 수심에서 2년 8개월간 우렁쉥이를 양식하여, 낮은 폐사율(거의 0%), 안정적인 수심생산시기의 조절을 통한 거의 0%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안 근처의 수면에서 줄을 내려 양식하는 수하식 양식어장은 지역별 폐사율이 50∼70%에 달했고, 해저 저층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양식하는 침하식 양식어장의 폐사율은 10∼30%인 반면에 수심이 깊은 외해 어장에서 멍게를 양식하게 되면 연안에서의 양식보다 폐사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는 척색동물문(Chordata), 미색동물안문(Urochordata), 해초강(Ascidiacea)에 속하여 계통학적인 관점에서도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의 진화적 경로에 위치해 있다.
우렁쉥이는 기호식품에 속하며 횟감으로 이용되는 수산동물로 경상도 지방에서는 멍게라 불리워 왔으나 최근에 우렁쉥이와 멍게 모두 표준어로 쓰이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2300여종이 알려져 있고, 연안의 바위, 패각, 배의 바닥에도 부착하는 부착형 해양동물로 심지어 진흙이나 모래에서도 발견된다. 분류학상으로는 척색동물문, 미색강, 우렁쉥이목, 우렁쉥이과에 속하며, 척추동물의 특징인 척생을 유생기에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어 척추동물과는 유사종이다.
몸통은 피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수로부터 미세한 플랑크톤과 영양물질을 여과 섭취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독립생활을 하는 종류와 군집생활을 하는 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독립생활을 하는 우렁쉥이는 유성생식이 일반적이나, 군체 생활을 하는 우렁쉥이 류는 무성생식을 하는 형이 대다수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남방한계로 하여 동해안과 남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우렁쉥이는 고부가 양식종으로 남해안을 중심으로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해 남부해역에서도 대량으로 양식되고 있어 어업인의 주요 소득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렁쉥이의 독특한 맛은 글리신, 알라닌, 글루타민산, 베타인 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에 의한 것이며, 특이한 향미는 휘발성 미량성분인 불포화 알코올에 의한 것으로 이는 Cynthiol 이라 불리는 성분으로 여름철 육질 부의 글리코겐 량은 굴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많아 중요한 건강식품이 될 수 있다.
우렁쉥이의 자연 채묘는 산란시기에 멍게가 많이 서식하는 곳에 새끼줄, 폐 그물, 섬유로프 및 팜사로 만든 채묘기를 수중에 수하 하거나 바닥에 깔아두면 유생이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채묘 시기의 해황 조건에 따라 채묘 성적이 좌우되므로 양식어민들이 선호를 하지 않고 있다.
현재 양식어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채묘기와 채묘 방법은 코코넛 속 껍질을 이용하여 가는 새끼줄처럼 꼬아서 만든 팜사를 약 200m의 길이로 엮어 만든 채묘 틀을 수조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채묘가 이루어지며, 이후에 가이식 기간인 10 내지 12개월 후 천을 꼬아 만든 두께 24mm, 길이 5 내지 6m의 수하 연에, 부착된 씨앗의 많고 적음에 준하여 일정 간격으로 감아서 본 양성에 들어가게 된다.
통상적인 우렁쉥이 양식은 연승수하식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멍게 수하식 양식 장치는 부자를 수면에 띄워놓고 멍게가 성장하기 좋은 수심까지 수면 아래로 부자와 연사 연결로프를 내린 다음 바둑판 모양으로 수평 연결된 로프인 연사에 연결하고, 그 아래로 수직으로 포자를 부착시킨 로프를 메어단다. 이때 해저면에 위치한 고정체와 연결된 고정로프가 연사와 연결됨으로써, 멍게 양식장치는 해중에서 상, 하로 전개될 수 있다. 그러나 우렁쉥이 양식은 양식장치 설치 후 2년 동안 양성이 실시되어야 함으로 보다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양식장치 및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3-0091131호에는 우렁쉥이를 양식하는 어민들이 기존의 배양장과 양식장에서도 돌멍게를 양식할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 어한기를 이용해 높은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돌멍게 양식용 채묘기 및 양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5939호에는 멍게를 양식 할 수 있는 육성기 내부의 부력조절부분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자연재해(태풍, 고착성 생물의 부착, 고수온, 등)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286706호에는 수하연을 제조하는 수하연제조단계, 상기 수하연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수하연을 해수에 함침하여 독성을 제거한 후에 채묘 수조에 가로 및 세로로 엇갈리게 적치하는 수하연적치단계, 상기 수하연적치단계를 거쳐 수하연이 적치된 채묘 수조에 멍게 유생을 분산하는 멍게유생 분산단계, 상기 멍게유생분산단계를 거쳐 멍게유생이 부착된 수하연을 연승줄에 연결하는 수하연연결단계 및 상기 수하연연결단계를 거친 수하연에서 양성된 멍게 성체를 수확하는 수확단계로 이루어진 멍게의 양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06085호에는 해저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류장치; 상기 계류장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계류로프; 상기 계류로프의 말단부와 연결되고 해수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해조류 양성장치; 상기 해조류 양성장치와 연결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부자; 상기 해조류 양성장치의 하부와 연결되고 수하식으로 담치류가 채묘되는 담치류 양성장치; 상기 담치류 양성장치의 하부 말단과 연결되어 해저 갯벌부에 착저되는 해삼 유니트로 이루어진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복합양식은 동물양식 중심으로 상, 하 유기물 순환을 기반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대수심을 이용한 동식물 상하 복합양식기술을 이용하여 양식시설 간의 간섭을 최소화 및 긴장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량 극대화 및 친환경 양식이 가능한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은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할 해역을 설정하고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하는 양식준비단계(가); 부화한 유생이 입식된 채묘 수조에 유생을 우렁쉥이 채묘장치에 부착시킨 후 상기 (가)단계의 생태통합양식장치의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연결 설치하는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단계(나); 상기 (나)단계를 거친 후 수온이 22℃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를 시작하여 최저수온이 되는 이듬해 2월까지 실시하는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단계(다); 상기 (다)단계를 거친 후 상기 (나)단계를 기준으로 3년차까지 우렁쉥이와 해조류를 복합적으로 양성하는 복합양성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단계는 1년차 4월 내지 6월에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 단계의 생태통합양식장치는 상기 설정된 해역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류장치; 상기 계류장치 일단과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우렁쉥이 양성로프와 연결되는 계류로프; 상계 계류로프 일단과 양단이 연결되어 해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우렁쉥이 양성로프;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에는 수하식으로 하나 이상의 우렁쉥이 채묘장치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 및 계류로프와 연결되는 해조류 고정로프;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해조류 양성장치;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에는 복수개의 부력장치가 코너플레이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기존의 복합양식은 동물양식 중심으로 상,하 유기물 순환을 기반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대수심을 이용한 상하 복합양식기술을 이용하여 동물과 식물양식의 수질개선 기반의 복합양식으로 상부의 해조류양식을 통해 수질개선과 해조류생산을 유도하고, 하부의 우렁쉥이 양식은 개선된 수질양식의 효과를 통해 동물양식에서 발생하기 쉬운 질병발생 및 오염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인 양식이 가능함으로 양식어장의 오염저감, 안전, 안심 수산물의 안정적 생산 공급과 양식수산물의 부가가치 극대화 및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통한 신 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조류 양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플래이트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부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부력장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복합양식방법 양식생물 양성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과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생태통합양식은 먹이사슬을 활용하여 어류의 배설물 및 잔존사료에 의한 해양오염을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 양식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태통합양식의 양식어종은 해조류와 우렁쉥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조류 품종은 대형해조류이며, 양식이 가능한 갈조류를 대상으로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미역, 다시마, 톳, 지충이, 자이언트 켈프, 모자반, 대황, 감태, 곰피, 등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렁쉥이는 바람직하게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우렁쉥이일 수 있고, 저수온에서는 매우 강하나, 고수온에서는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5℃에서 24℃까지의 수온이 유지되는 해역에서 양식이 수행된다. 산란성기는 8℃~12℃로 12월 중순부터 1월 말까지이며, 채묘이후 4월에서 6월 사이에 양성을 실시하며, 시설의 형식은 수하식시설을 사용한다.
자연상의 서식지는 해저에 있는 암반이나 암석, 사력 또는 침하된 목재 및 해조류 등 고형물이 많은 곳에 고착하여 서식하는 특징이 있고, 해수중에 부유하는 규조류, 대편류, 원생동물, 연체동물의 유생 외에 요각류 또는 엽각류 등 조개류 및 해면류와 같은 식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은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할 해역을 설정하고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하는 양식준비단계(가); 부화한 유생이 입식된 채뮤 수조에 유생을 우렁쉥이 채묘장치에 부착시킨 후, 상기 (가)단계의 생태통합양식장치의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연결 설치하는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단계(나); 상기 (나)단계를 거친 후 수온이 수온이 22℃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를 시작하여 최저수온이 되는 이듬해 2월까지 설치하는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단계(다); 상기 (다)단계를 거친 후 상기 (나)단계를 기준으로 3년차까지 우렁쉥이와 해조류를 복합적으로 양성하는 복합양성단계(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 양식준비단계
본 발명의 양식준비단계(가)는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할 해역을 설정하고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해역 설정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생물이 서식하기에 적절한 수심에 탐색하는 것으로 수표면과 해저의 수직거리가 15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역은 연중 수온이 5~24℃범위로 유지되고 담수 유입이 적고 조류의 소통이 양호하며 풍파의 영향이 없는 곳이 적절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는 상기 설정된 해역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류장치(10); 상기 계류장치 일단과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우렁쉥이 양성로프와 연결되는 계류로프(20); 상계 계류로프 일단과 양단이 연결되어 해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우렁쉥이 양성로프(30);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에는 수하식으로 하나 이상의 우렁쉥이 채묘장치(4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 및 계류로프와 연결되는 해조류 고정로프(50);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해조류 양성장치(60);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는 복수개의 부력장치(70)가 코너플레이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부력장치(70)가 코너플레이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성은 상단 부자와 코너플레이트의 사이에는 해조류수심로프(55)가 연결되며 코너플레이트 하단부와 우렁쉥이 양식장치 사이에 우렁쉥이 간승줄(45)이 연결되어 우렁쉥이 양식장치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계류장치(10)는 일반적으로 수하식 채묘시설에 설치되는 계류 닻 구조로 또는 계류 블록구조로 형성되어 해저 바닥부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는 중력식 앵커로 중력시의 좌우 끌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탁 앵커를 이용하여 지지하도록 설치하였다. 상기 스탁앵커와 중력식 앵커의 연결은 체인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류장치는 후술 할 우렁쉥이 양성로프가 일정 수심에서 수평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계류로프(20)는 일단은 상기 계류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우렁쉥이 양성로프와 연결되어 우렁쉥이 양성로프가 일정 수심에서 수평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의 우렁쉥이 양성로프(30) 양 말단부는 상기 계류로프 타단과 연결되어 일정 수심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가 전개되는 수심은 우렁쉥이가 서식하는 실제 수심인 수면을 기준으로 15 내지 45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렁쉥이 채묘장치(40)는 우렁쉥이가 채묘된 로프형상으로 수하식으로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계류로프와 우렁쉥이 양성로프 연결부에는 고압부자(31)가 설치되어 시설의 동요시 계류계의 엉킴이나, 상부에 설치되는 해조류 양성장치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조류 양성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해조류 양성장치(6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주로프(61)가 연결되어 사각틀의 사이드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라인 내부에는 사이드 라인 어느 한 변과 수평하게 하나 이상의 주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주로프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해조류 양성로프(62)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해조류 양성로프 양 말단에는 아이스플라이스 형태로 매듭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주로프에는 복수개의 막대봉이 설치될 수 있다. 해조류 양성로프의 길이는 사이드 라인 내부에 설치된 주로프의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고 해조류 양성로프의 고정은 아이스플라이스 매듭에 막대봉을 끼워 넣음으로써 복수개의 해조류 양성로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조류 양성로프와 주로프는 스위벨 구조를 매개로 보다 용이하게 착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양성장치는 우렁쉥이 양성로프와 연결되는 해조류 고정로프(50)와 연결된다. 해조류 고정로프는 상기 해조류 양성장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해조류 양성장치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플래이트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해조류 고정로프에는 하나 이상의 코너플래이트(63)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코너플래이트는 고중량 및 고강도의 금속판에 연결공이 형성된 구조로 해조류 고정로프의 연결점 역할을 하고 상부에는 부력장치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 및 부력장치와의 연결은 심블, 아이스플라이스, 샤클 등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상하복합양식으로 상기 양식시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설의 상하 교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시키고 상하 시설을 코너플래이트를 매개로 연결함으로써 상하시설의 긴장계류가 가능하다. 상기 긴장계류는 너울성 파랑과 해류 흐름과 같은 외력에 효과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평상시 시설의 동요를 저감하여 우렁쉥이 양식의 생산성 저하의 주된 원인인 양식생물의 유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장을 통한 시설안정성 및 해수소통을 양호하게 하여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부력장치(70)를 나타낸다. 부력장치는 부력로프와 부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력로프 측면에는 고정구가 일정간격으로 상, 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고 최상단에는 부자가 설치되며 하부는 코너플레이트와 연결된다. 상단 부자와 코너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부력로프(55)가 연결되며 코너플레이트 하단부와 우렁쉥이 양식장치 사이에는 우렁쉥이 간승줄(45)이 연결되어 우렁쉥이 양식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부력로프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블형상 또는 스플라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해조류 양식에서 해조류는 광합성 및 성장을 위해서는 해면의 수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고 해면의 수면적 확보는 해역의 불확정적인 외력환경에 노출되어 시설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에 위험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해조류 양식은 대부분 남해나 서해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해조류는 높은 탁도로 인해 해면에 가까이 있도록 해야 양식이 가능하고 해조류 성장시키기에 적합한 적정 광량의 조절이 필요하며 이는 해조류 고정로프의 설치 수심을 달리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기존의 해조류 양식장치를 설치할 경우 동해안과 같이 투명도가 높은 해역에서는 강한 태양광에 의해 양식 해조류의 성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해조류 고정로프를 상기 부력로프(55)의 아이스플라이스의 연결위치를 변경이 가능함으로 고정위치에 따라 해조류 양성장치의 설치 수심을 제어함으로써 해수의 특성에 따른 태양광 투과도를 파악하여 해조류 성장에 적절한 수심으로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단계
본 발명의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단계(나)는 부화한 유생이 입식된 채묘 수조에 유생을 우렁쉥이 채묘장치에 부착시킨 후, 상기 (가)단계의 생태통합양식장치의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는 1년차 4월 내지 6월에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유생의 채묘는 산란기 동안 자연산 어미가 많은 곳에 채묘기를 투하하여 자연 채묘하는 방법과 건강한 성숙어미를 수득하여 수조 내에서 인공채묘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부화한 올챙이형 유생은 수중에서 활발한 유영을 하다가 꼬리부분이 서서히 흡수되면서 유영능력을 상실하고 바닥의 고형물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채묘장치를 넣어 유생을 부착시킨다.
상기 채묘장치는 채묘 전 수개월전에 준비하여 여러 차례 해수에 담궈 자재의 독성을 완전히 용출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채묘자재로는 팜사, 구라론, 헌 그물, 포도넝쿨, 엔비론, 사란, PE로프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후 채묘장치에 우렁쉥이 유생이 고착하는 것이 인식하면 상기 (가)단계에 설치된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설치한다. 상기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수심은 15m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m 일 수 있다.
(다)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단계
본 발명의 해조류 양성장치 설치단계(다)는 상기 (나)단계를 거친 후 수온이 22℃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를 시작하여 최저수온이 되는 이듬해 2월까지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10월 내지 3월에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우렁쉥이의 배설물이 해조류 양성에 유기물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해조류 양성로프는 해조류 종묘가 가이식 된 씨줄과, 씨줄을 부착하여 어린 유엽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질을 제공하는 어미줄로 이루어진 단일의 해조류 채묘로프가 상, 하, 전, 후, 좌우로 하나 이상 연결되고 해수면과 평행하게 해중에서 수평으로 전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씨줄에 가이식된 해조류는 5~10mm엽체 크기로 성장한 것이 적절하다. 어미줄은 씨줄에 붙은 어린 유엽이 자라서 나뭇가지 모양의 부착기를 형성하여 단단히 착생할 수 있는 기질로 통상적으로 해조류 양식에 사용되는 합성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양성로프의 설치수심은 1 내지 10m 일 수 있다.
(라) 복합양성단계
본 발명의 복합양성단계(라)는 상기 (나)단계를 실시 기준으로 3년차까지 우렁쉥이와 해조류를 복합 양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복합양성단계를 나타내는 단계별 양식생물 투입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통상적으로 우렁쉥이가 채묘 후, 양성 및 수확까지 2년이 걸리기 때문이고, 해조류의 경우 한시적으로 1년 중 10월 내지 2월까지 양식하는 시간적인 성장특성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은 채묘된 양성망 혹은 양성줄을 해면에 부류하게 하여 광합성 및 해수로부터의 영양분 흡수를 통해 해조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무급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동해에서 실시하게 되는 경우 동해의 해수는 해조류가 성장하기에 부족한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우렁쉥이와의 복합양식을 통해 우렁쉥이의 배설물 혹은 유기물을 해조류의 영양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해조류 및 우렁쉥이 양식장치가 동해안의 동해선풍에 의한 장주기 고파랑에 의해 발생을 견딜 수 있는 내구력을 부여함으로 장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조류와 우렁쉥이 복합양식은 수질환경의 개선과 탄소 동화작용으로 충분한 산소량이 공급될 수 있어 양식장 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수확시기가 달라 2년 동안 성장시켜야 하는 우렁쉥이 양성기간 중에 추가적이 소득발생이 가능하여 경제성 및 환경개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 양식과 우렁쉥이 양식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는 대수심 및 층별 수온특성을 이용하여 양식시설의 상하 공간적인 복합양식이 가능하고 시간적으로는 매년 5월~6월에 시설을 설치 후 약 2년 동안 우렁쉥이를 양성함과 동시에 한시적으로 양식하는 해조류를 수확하여 공간적인 효율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관련 어업인의 이윤 창출을 도모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계류장치
20: 계류로프
30: 양성로프 31: 고압부자
40: 우렁쉥이 채묘장치 45: 우렁쉥이 간승줄
50: 해조류 고정로프 55: 부력로프
60: 해조류 양성장치
61: 주로프 62: 해조류 양성로프 63: 코너플래이트
70: 부력장치

Claims (5)

  1. 설정된 해역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류장치; 상기 계류장치 일단과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우렁쉥이 양성로프와 연결되는 계류로프; 상기 계류로프 일단과 양단이 연결되어 해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우렁쉥이 양성로프;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에는 수하식으로 하나 이상의 우렁쉥이 채묘장치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우렁쉥이 양성로프 및 계류로프와 연결되는 해조류 고정로프;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해조류 양성장치;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에는 복수개의 부력장치가 코너플래이트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부력장치는 부력로프와 부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로프 측면에는 고정구가 상, 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 이격되며 최상단에는 부자가 설치되고 최하단에는 코너플래이트가 연결 설치되는 것인 생태통합양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고정로프의 설치수심은 1 내지 10m 에 설치되고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수심은 15 내지 50m 에 설치되는 것인 생태통합양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성장치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주로프가 연결되어 사각틀의 사이드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라인 내부에는 사이드 라인 어느 한 변과 수평하게 하나 이상의 주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주로프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해조류 양성로프가 설치되는 것인 생태통합양식장치
  4. 생태통합양식을 실시할 해역을 정하고 생태통합양식장치 설치를 준비하는 단계(가);
    부화한 우렁쉥이 유생이 입식된 채묘 수조에 유생을 우렁쉥이 채묘장치에 부착시킨 후, 상기 (가)단계의 생태통합양식장치의 우렁쉥이 양성로프에 4월 내지 6월까지 연결 설치하는 우렁쉥이 채묘장치 설치단계(나);
    상기 (나)단계를 거친 후, 수온이 22℃ 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를 시작하여 이듬해 2월까지 로프 설치를 실시하는 해조류 양성로프 설치단계(다);
    상기 (다)단계를 거친 후 상기 (나)단계를 기준으로 3년차까지 우렁쉥이와 해조류를 복합적으로 양성하는 복합양성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인 생태통합양식장치를 이용한 복합양식방법
  5. 삭제
KR1020190164300A 2019-12-11 2019-12-11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KR10231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00A KR102315956B1 (ko) 2019-12-11 2019-12-11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00A KR102315956B1 (ko) 2019-12-11 2019-12-11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42A KR20210073742A (ko) 2021-06-21
KR102315956B1 true KR102315956B1 (ko) 2021-10-20

Family

ID=7659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00A KR102315956B1 (ko) 2019-12-11 2019-12-11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9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43B1 (ko) 2013-09-12 2014-07-11 조성환 해조류 이식 가능한 앵커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조류와 해삼양식 기능을 갖는 복합 양식 시스템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11-23 전라남도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863A (ko) * 1997-12-29 1999-07-15 윤덕희 양식설비
KR20030091131A (ko) 2002-05-23 2003-12-03 이종진 돌멍게 양식용 채묘기 및 그 양식 방법
KR100514437B1 (ko) * 2003-07-30 2005-09-13 대한민국 바닥식 복합양성기
KR20050025939A (ko) 2004-10-25 2005-03-14 서상민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KR20110002540U (ko) * 2009-09-07 2011-03-15 장민수 우렁쉥이 채묘 & 육성기
KR101286706B1 (ko) 2012-07-30 2013-07-16 장민수 멍게의 양식방법
KR101806085B1 (ko) 2017-09-05 2017-12-07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43B1 (ko) 2013-09-12 2014-07-11 조성환 해조류 이식 가능한 앵커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조류와 해삼양식 기능을 갖는 복합 양식 시스템
KR101921860B1 (ko) 2018-04-06 2018-11-23 전라남도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42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3552B (zh) 一种生态修复型海洋牧场及其构建方法
CN203999152U (zh) 一种由水生动植物立体配置的水体净化系统
CN105994072B (zh) 一种松江鲈鱼人工配合饲料的养殖方法
CN103404462A (zh) 一种刀鲚土池育苗的方法
CN113647356A (zh) 牧鱼控草式河蟹养殖池塘水质控制装置及方法
CN101990850A (zh) 青蟹苗种的分级培育及移苗方法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CN108552090B (zh) 一种二龄美洲鲥仿洄游土池大棚越冬育肥方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3125417A (zh) 一种利用网箱培育曼氏无针乌贼受精卵及育苗技术
CN102687688B (zh) 一种大黄鱼与刺参的轮养方法
CN103270982B (zh) 解放眉足蟹人工苗种培育方法
KR20130042803A (ko) 씨뿌림 살포에 의한 해삼 양식 방법
CN108207728A (zh) 生态大水深鱼礁网箱一体化海洋牧场及系统及方法
CN102524116B (zh) 中华仙影海葵的人工繁殖方法
CN103814853B (zh) 一种进口对虾亲虾自然淘汰的选育方法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KR101348070B1 (ko)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KR102315956B1 (ko)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CN111670847B (zh) 一种日本海神蛤秋季大规格苗种人工培育方法
Macintosh Aquaculture in coastal lagoons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CN105325323A (zh) 一种贻贝人工养殖方法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