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183B1 -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183B1
KR102500183B1 KR1020220111887A KR20220111887A KR102500183B1 KR 102500183 B1 KR102500183 B1 KR 102500183B1 KR 1020220111887 A KR1020220111887 A KR 1020220111887A KR 20220111887 A KR20220111887 A KR 20220111887A KR 102500183 B1 KR102500183 B1 KR 10250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aweed
unit
fram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수
Original Assignee
김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수 filed Critical 김택수
Priority to KR102022011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05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16Trawlers
    • B63B35/20Trawlers adapted to hoisting nets a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서 채묘된 해조류를 적은 노동력으로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협소한 건축물의 내부에서도 보다 많은 양으로 해조류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의 채묘 성공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이 거치되는 양식발 거치부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에 거치된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의 해수를 분사하는 해수분사부와; 상기 해수분사부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와; 상기 해수공급부가 상기 해수분사부로 공급하는 해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Land-based seaweed farming equipment}
본 발명은 육상에서 채묘된 해조류를 적은 노동력으로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협소한 건축물의 내부에서도 보다 많은 양으로 해조류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의 채묘 성공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다시마, 미역, 톳, 실말 등의 갈조류와; 김,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및 파래 등의 녹조류; 세 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해조류 중 김을 양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수중에 잠긴 김발을 해면에서 자동으로 부상 및 침수시켜 김을 양식하는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40732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40732호 등으로 제안된 김 양식 방법은 해상 채묘방법으로서, 이러한 해상 채묘방법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됨과 더불어 해황변화나 담수유입과 같은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과, 수온조절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채묘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407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육상에서 채묘된 해조류를 적은 노동력으로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협소한 건축물의 내부에서도 보다 많은 양으로 해조류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의 채묘 성공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이 거치되는 양식발 거치부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에 거치된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의 해수를 분사하는 해수분사부와; 상기 해수분사부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공급부가 상기 해수분사부로 공급하는 해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되고, 상부에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이 거치되는 거치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축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치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층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거치롤러와; 상기 거치롤러의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구비되는 보조거치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축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양식발은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를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태로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에 상기 양식발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전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양식발에서 해조류를 채취하기 위한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회전체에 안착 및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거치롤러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양식발의 전측 및 후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회전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하는 스트랩과;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스트랩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회전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되도록 상기 스트랩을 견인하는 견인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해조류 채취부가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해조류 채취부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전측방향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해조류 채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이 상기 스트랩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고정되며,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 및 후측과 상기 스트랩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이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견인롤러와;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견인롤러와; 상기 상부견인롤러가 상기 스트랩이 안착된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견인롤러 또는 상기 상부견인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해조류 채취기로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스트랩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식발을 감지하는 양식발 감지부와; 상기 양식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견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해수분사부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스트랩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 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양식발에 해수를 분사하는 보조해수분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수공급부는 해양의 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해수분사부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안내라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급라인으로 해양의 해수를 펌핑 및 상기 안내라인으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육상의 건축물에 상기 건축물의 내부의 해수를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공급하는 해수순환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수순환공급부는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가 저장되는 보조저장탱크와;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보조안내라인과;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저장탱크의 공급하는 리턴라인과; 상기 리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리턴라인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수순환공급부는 상기 리턴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를 해양으로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이 분기되는 상기 리턴라인의 분기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 또는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해수순환공급부의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부와; 상기 수질측정부가 측정한 해수의 수질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양식발 거치부에 거치된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의 해수를 분사하여 상기 양식발에서 생장한 해조류를 해조류 채취부를 통해 적은 노동력으로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를 통해 협소한 건축물의 내부에서도 많은 양의 해조류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부를 통해 일정온도로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는 해수를 상기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분사 및 해수순환공급부를 통해 오염되지 않은 해수를 상기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분사할 수 있어 상기 양식발에서의 해조류의 채묘 성공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양식발 거치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양식발 거치부로부터 양식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해조류 채취기와 스트랩 및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해조류 채취기와 스트랩 및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해조류 채취기가 복수의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해조류 채취기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해수분사부가 해수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해조류 채취기가 양식발로부터 해조류를 채취하는 과정 및 보조해수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조해수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4는 해수순환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해양의 해수가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보조저장탱크의 해수가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보조저장탱크의 오염된 해수가 해양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양식발 거치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양식발 거치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양식발 거치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양식발 거치부(10), 해수분사부(20) 및 해수공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5)이 거치되는 것으로서,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건축물(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양식발 거치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10), 거치롤러(120), 연장바(140) 및 회전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상기 프레임(1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111)가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되어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롤러(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양식발 거치부로부터 양식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거치롤러(120)의 상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5)이 수평으로 안착거치될 수 있다.
상기 양식발(5)은 일예로, 그물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톳, 실말 등의 갈조류와; 김,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및 파래 등의 녹조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바(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50)는 연장바(14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풀리, 롤러, 도르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150)는 일예로, 상기 연장바(140) 중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전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바(140)의 상부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50)는 상기 연장바(140) 중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바(140)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분사부(20)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의 생장을 위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S)의 해수(SW)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수분사부(20)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해수저장몸체(210)와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에는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가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의 상부 내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내부에 해수(SW)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220)은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해수저장몸체(2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로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공급부(30)는 상기 해수분사부(20)의 해수저장몸체(210)의 내부로 해양(S)의 해수(SW)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저장탱크(310), 공급라인(320), 안내라인(330) 및 펌프(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는 육상의 건축물(3)의 외부 주변의 지면에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는 해양(S)의 해수(SW)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320)은 상기 저장탱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310)에 연결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로 해양(S)의 해수(SW)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320)의 전측은 상기 저장탱크(310)의 후측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320)의 후측은 해양(S)의 해수(SW)에 일정깊이로 침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330)은 상기 해수분사부(20)의 해수저장몸체(210) 및 상기 저장탱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해수분사부(20)의 해수저장몸체(210)와 상기 저장탱크(310) 사이에 구비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상기 해수분사부(20)의 해수저장몸체(21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330)의 전측은 육상의 건축물(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을 관통하여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기 안내라인(330)의 전측은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해수분사부(20)의 해수저장몸체(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프(340)는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라인(320)으로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양(S)의 해수(SW)를 펌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340)는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라인(330)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펌핑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주면 전측 상부 또는 내주면 후측 상부에는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는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상기 저장탱크(310)에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펌프 작동스위치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펌프 작동스위치가 ON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펌프 작동스위치가 OFF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수공급부(30)가 상기 해수분사부(20)로 공급하는 해수(SW)를 일정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양식발(5)에서의 해조류의 채묘 성공률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냉각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0)는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되는 라디에이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와 상기 냉각부(40) 사이의 상기 안내라인(330) 부위에는 상기 안내라인(330)의 내부를 통과하는 해수(SW)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도 12의 3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센서(331)의 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냉각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센서(331)의 온도측정값과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냉각부(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측정센서(331)의 온도측정값이 기준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부(4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센서(331)의 온도측정값이 기준온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부(40)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안내라인(330)을 통과하는 해수(SW)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예의 해조류 채취기와 스트랩 및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해조류 채취기와 스트랩 및 견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조류 채취기(50), 스트랩(60) 및 견인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채취기(50)는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를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전측방향에 배치되도록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채취기(50)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5167호,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08758호 등을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해조류 채취기가 복수의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협소한 건축물(3)의 내부에서도 많은 양의 해조류를 채취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상기 해조류 채취부(50)는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10)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예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조류 채취부(5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케스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바퀴(5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9는 해조류 채취기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는,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전측방향의 상기 건축물(3)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건축물(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레일(31)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해조류 채취부(50)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10)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해수분사부가 해수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식발(5)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양식발(5)의 전측 외부방향 및 후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결스트랩(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은 밧줄, 끈, 와이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 중 상기 양식발(5)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전측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 중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작업자에 의해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 중 상기 양식발(5)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후측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 중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이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작업자에 의해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수분사부(20)의 분사노즐(220)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상기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2)로 해수(SW)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60)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에 거치된 양식발(5)을 상기 해조류 채취부(50)로 이송 및 상기 해조류 채취부(50)를 통과한 상기 양식발(5)을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로 다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상기 스트랩(60)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의 상부 측면에 축결합된 상기 회전체(150)의 상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60)의 전측은 상기 스트랩(60)의 전측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60)의 후측은 상기 스트랩(6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처질 수 있다.
도 11은 해조류 채취기가 양식발로부터 해조류를 채취하는 과정 및 보조해수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보조해수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양식발(5)에서의 해조류(2)의 생장완료 후, 상기 해수분사부(20)의 분사노즐(220)의 해수(SW)분사가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에 거치된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로부터 분리된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 중 상기 양식발(5)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스트랩(6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로부터 분리된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 중 상기 양식발(5)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스트랩(60)의 후측에 분리가능하게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5)과 함께 상기 스트랩(60)은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상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기 회전체(150)의 상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상부 후측에 위치하는 연장바(140)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기 회전체(150)의 하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거치롤러(1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을 각각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와 상기 스트랩(60)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고정하기 위한 연결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크(112)와 고리(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12)는 스냅후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112)는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 중 상기 양식발(5)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전단부 및 상기 양식발(5)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연결스트랩(5a)의 후단부에 각각 묶음고정, 접착고정, 매듭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리(113)는 상기 스트랩(6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묶음고정, 접착고정, 매듭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113)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 중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의 하부 전측 및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의 하부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112)는 상기 고리(113)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70)는 상기 양식발(5)과 함께 상기 스트랩(60)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와 상기 회전체(1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되도록 상기 스트랩(60)을 견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견인롤러(710), 상부견인롤러(720)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견인롤러(710)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전방에 일정높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견인롤러(710)는 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전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는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의 상부방향에 승강부재(721)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21)는 일예로, 승강프레임(721a)과 액츄에이터(7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721a)은 단면형상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내측에 상기 상부견인롤러(7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부견인롤러(7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721b)는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상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721b)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721b)의 실린더의 로드의 하부는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721b)의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721a)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승강프레임(721a)과 함께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버튼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승강버튼이 상승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기 승강부재(721)가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승강버튼이 하강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721)가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랩(60)의 전측은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와 상기 상부견인롤러(720) 사이와,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태로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처질 수 있다.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와 상기 상부견인롤러(720)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6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일측면 전측 상부 또는 타측면 전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재를 이룰 수 있는 구동모터는 상기 상부견인롤러(72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721)의 승강프레임(721a)의 일측 외면 또는 타측외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견인롤러(720)가 상기 승강부재(721)에 의해 상기 스트랩(60)이 안착된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견인롤러(710)(의 상부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를 이룰 수 있는 구동모터는 상기 하부견인롤러(7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기 상부견인롤러(7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에 거치된 양식발(5)과 함께 상기 스트랩(60)을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상부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52)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후방에 일정높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롤러(52)는 다른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후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52)의 상부는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상부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스트랩(60) 및 상기 양식발(5)을 순차적으로 안착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에 거치된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2)로 해양(S)의 해수(SW)를 분사하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2)를 상기 해조류 채취부(50)를 통해 적은 노동력으로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식발 감지부(80)와 상기 제어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식발 감지부(80)는 일예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전측 상부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식발(5)의 전측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양식발 감지부(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견인부(70)의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예로, 상기 제어부(90)에는 견인부 작동스위치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평상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에 거치된 양식발(5)의 전측을 상기 양식발 감지부(80)가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견인부 작동스위치가 ON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견인부(70)의 구동부재로 전원공급부(901)의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견인부(70)가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양식발(5)을 상기 해조류 채취기(50)로 견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식발(5)이 상기 양식발 거취부(10)이 완전이탈되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로 견인된 경우, 상기 양식발 감지부(80)는 상기 양식발(5)을 감지할 수 없고,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와 상기 회전체(1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시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프레임(1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양식발(5)의 전측을 상기 양식발 감지부(80)가 다시 감지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견인부(7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견인부 작동스위치가 OFF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견인부(7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50) 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2)로 해수(SW)를 분사하는 보조해수분사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해수분사부(21)는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2)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양식발(5)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도록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2)로 해수(SW)를 분사하여 상기 해조류 채취기(50)의 해조류 채취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조분사부재(211), 보조공급라인(212) 및 보조개폐밸브(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분사부재(211)는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과 분사노즐(2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은 상기 양식발 거치부(10)의 연장바(140)의 전측에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11b)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재(211)의 하부에 상기 분사부재(2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50) 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한 해조류(2)로 해수(SW)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은 상기 분사부재(211)의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 및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사부재(211)의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과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상기 분사부재(211)의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의 전측은 상기 분사부재(211)의 분사대 또는 분사관(211a)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의 후측은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기 안내라인(330)의 전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개폐밸브(213)는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을 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에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내라인(330)을 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개폐밸브(3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330)의 개폐밸브(332)는 상기 해수공급부(30)의 해수저장몸체(210)와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의 후측 사이의 상기 안내라인(330) 전측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에 구비된 상기 보조개폐밸브(213)가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을 폐쇄 및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개폐밸브(332)가 상기 안내라인(33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가 작동되어 상기 해수분사부(20)가 상기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2)로 해수(SW)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양식발(5)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 방향으로 견인될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에 구비된 상기 보조개폐밸브(213)가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을 개방 및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개폐밸브(332)가 상기 안내라인(33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 감지부(80)가 상기 양식발(5)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가 작동되어 상기 보조해수분사부(21)가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50) 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양식발(5)로 해수(SW)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70)에 의해 상기 스트랩(60)과 함께 상기 양식발(5)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50) 방향으로 견인되는 과정 중 상기 양식발 감지부(80)가 상기 양식발(5)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로부터 상기 해초류 채취기(50) 방향으로 상기 양식발(5)이 완전이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펌프(340)를 작동 중지 및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에 구비된 상기 보조개폐밸브(213)가 상기 보조공급라인(212)을 폐쇄 및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안내라인(330)에 구비된 개폐밸브(332)가 상기 안내라인(330)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해수순환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상의 건축물(3)에는 상기 건축물(3)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하는 해수(SW)를 상기 건축물(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2)는 일예로, 상기 안내라인(3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축물(3)의 후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2)로 분사된 해수(SW)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기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해수(SW)를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저장탱크(310)로 순환공급하기 위한 해수순환공급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수순환공급부(100)는 일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조저장탱크(101), 보조안내라인(102), 리턴라인(103) 및 펌프(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탱크(101)는 상기 해수공급부(30)의 저장탱크(3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육상의 건축물(3)의 외부 주변의 지면에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는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해수(SW)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이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 및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와 연통되도록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은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의 전측은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의 후측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전측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안내라인(102)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로 육상의 상기 건축물(3)의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해수(SW)를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리턴라인(103)이 상기 보조저장탱크(101) 및 상기 저장탱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리턴라인(103)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와 상기 저장탱크(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라인(103)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턴라인(103)의 전측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후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턴라인(103)의 후측은 상기 해수공급부(30)의 공급라인(320)의 전측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310)의 후측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턴라인(103)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펌프(340)는 상기 리턴라인(103)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상기 리턴라인(103)으로 펌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가 오염 및 오염된 해수(SW)가 상기 양식발(5)로 분사될 경우, 상기 양식발(5)에서의 해조류(2)의 채묘 성공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해수순환공급부(100)를 통해 오염되지 않은 해수(SW)를 상기 양식발(5)에 채묘된 해조류(2)로 분사하여 상기 양식발(5)에서의 해조류(2)의 채묘 성공률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해수순환공급부(100)는 배출라인(105), 방향전환밸브(106) 및 수질측정부(20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105)은 상기 리턴라인(103)을 통과하는 해수(SW)를 해양(S)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리턴라인(103)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리턴라인(103)에서 해양(S)으로 분기되어 해양(S)에 일정길이로 침지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밸브(106)는 상기 배출라인(105)이 분기되는 상기 리턴라인(103)의 분기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라인(103)을 통과하는 해수(SW)가 상기 저장탱크(310)로 공급 또는 상기 배출라인(105)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리턴라인(103)을 통과하는 해수(SW)의 흐름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3웨이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질측정부(200)는 상기 해수순환공급부(100)의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 이온 농도(pH), 용존 산소량(DO: Dissolved oxygen),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Biolog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 질산 농도, 인산 농도, 탁도, 염분/염도, 투명도, 액체 전도도 및 잔류 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 모듈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질측정부(200)는 상기 해수순환공급부(100)의 보조저장탱크(101)의 내주면 전측 하부 또는 내주면 후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수질측정부(200)가 측정한 해수(SW)의 수질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밸브(106)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수질측정부(200)가 측정한 수질 상태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90)에 저장된 수질 오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의 수질 오염 정도를 판단 및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밸브(106)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에는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는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는 상기 수질측정부(20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주면 전측 하부 또는 내주면 후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와 상기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와 상기 리턴라인(103)에 구비된 펌프(10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의 감지여부와 관련없이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와 상기 리턴라인(103)에 구비된 펌프(104)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도 15는 해양의 해수가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 또한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턴라인(103)에 구비된 펌프(104)는 작동중지 및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가 작동되어 해양(S)의 해수(SW)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6은 보조저장탱크의 해수가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11)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보조저장탱크 수위감지센서(300)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320)에 구비된 펌프(340)는 작동중지 및 상기 리턴라인(103)에 구비된 펌프(104)가 작동되어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의 해수(SW)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7은 보조저장탱크의 오염된 해수가 해양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의 수질 상태를 오염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오염된 해수(SW)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턴라인(103)과 상기 배출라인(10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해양(S)으로 배출(도 16의 점선 화살표 참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방향전환밸브(106)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SW)의 수질 상태를 오염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보조저장탱크(101)의 내부에 저장된 오염되지 않은 해수(SW)가 상기 리턴라인(103)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로 공급(도 16의 실선 화살표 참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방향전환밸브(106)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양식발 거치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협소한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서도 보다 더욱 많은 양의 해조류(2)를 채취하기 위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다른예로서, 크게, 상기 프레임(110), 상기 거치롤러(120), 상기 연장바(140) 및 상기 회전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롤러(12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이 육상의 건축물(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정높이로 수평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 각 모서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다리(111)가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상기 거치롤러(120)가 회전가능하게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 중 최상부의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기 연장바(140)가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의 상기 거치롤러(12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양식발(5)이 수평으로 각각 안착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60)의 전체 전후길이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의 상기 거치롤러(120)에 수평으로 각각 안착거치된 복수의 상기 양식발(5)의 연결스트랩(5a)과 각각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전후길이면 족하다.
도 19는 양식발 거치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협소한 육상의 건축물(3)의 내부에서도 보다 많은 양의 해조류(2)를 채취하기 위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또 다른예로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프레임(110), 상기 거치롤러(120), 보조거치롤러(130), 상기 연장바(140) 및 상기 회전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방향의 상기 지지다리(111) 부위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바(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14)의 전측은 상기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 중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14)의 후측은 상기 프레임(110)의 지지다리(111) 중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부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111)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거치롤러(130)가 상기 거치롤러(120)와 엇갈리게 상기 거치롤러(1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는 상기 연결바(114)에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식발(5)은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태로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에 거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양식발 거치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양식발(5)이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지그재그로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할 경우,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하는 복수의 해조류(2)가 상기 양식발(5)의 하부방향으로 처진상태로 서로 접촉되어 복수의 해조류(2)의 생장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양식발(5)에서 생장하는 복수의 해조류(2)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해조류(2)의 생장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양식발 거치부(10)는 또 다른예로서,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프레임(110), 상기 거치롤러(120), 상기 보조거치롤러(130), 상기 연장바(140) 및 상기 회전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에 상기 양식발(5)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는 일예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측 하부에서 후측 상부방향으로 사선방향으로 동일선상(도 20의 점선 참조.)에 배치될수 있다.
또는,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는 다른예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 하부에서 전측 상부방향으로 사선방향으로 동일선상(도 21의 점선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식발(5)은 사선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 상기 거치롤러(120)와 상기 보조거치롤러(130)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10; 양식발 거치부, 20; 해수분사부,
30; 해수공급부, 40; 냉각부.

Claims (20)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되고 상부에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이 거치되는 거치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축결합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양식발 거치부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에 거치된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의 해수를 분사하는 해수분사부와;
    상기 해수분사부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축결합되는 거치롤러와, 상기 거치롤러의 하부방향에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구비되는 보조거치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축결합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해조류가 채묘되는 양식발이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를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태로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에 거치되는 양식발 거치부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에 거치된 양식발에 채묘된 해조류로 해양의 해수를 분사하는 해수분사부와;
    상기 해수분사부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가 상기 해수분사부로 공급하는 해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롤러와 상기 보조거치롤러에 상기 양식발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전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양식발에서 해조류를 채취하기 위한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회전체에 안착 및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거치롤러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양식발의 전측 및 후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회전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하는 스트랩과;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스트랩이 상기 해조류 채취기와 상기 회전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순환이동되도록 상기 스트랩을 견인하는 견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해조류 채취기가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해조류 채취기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는 육상의 건축물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전측방향에 상기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해조류 채취기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양식발 거치부 중 어느 하나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이 상기 스트랩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고정되며,
    상기 양식발의 전측과 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 및 후측과 상기 스트랩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연결고정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스트랩이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견인롤러와;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견인롤러와;
    상기 상부견인롤러가 상기 스트랩이 안착된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견인롤러의 상부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견인롤러 또는 상기 상부견인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채취기로 상기 양식발과 함께 상기 스트랩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식발을 감지하는 양식발 감지부와;
    상기 양식발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견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분사부는 상기 양식발 거치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스트랩과 함께 상기 해조류 채취기 방향으로 견인되는 상기 양식발에 해수를 분사하는 보조해수분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는 해양의 해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 해양의 해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해수분사부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안내라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급라인으로 해양의 해수를 펌핑 및 상기 안내라인으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육상의 건축물에 상기 건축물의 내부의 해수를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공급하는 해수순환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순환공급부는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가 저장되는 보조저장탱크와;
    상기 건축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보조안내라인과;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저장탱크의 공급하는 리턴라인과;
    상기 리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리턴라인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순환공급부는 상기 리턴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를 해양으로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이 분기되는 상기 리턴라인의 분기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가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 또는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리턴라인을 통과하는 해수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순환공급부의 보조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부와;
    상기 수질측정부가 측정한 해수의 수질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20. 삭제
KR1020220111887A 2022-09-05 2022-09-05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KR10250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7A KR102500183B1 (ko) 2022-09-05 2022-09-05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7A KR102500183B1 (ko) 2022-09-05 2022-09-05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183B1 true KR102500183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87A KR102500183B1 (ko) 2022-09-05 2022-09-05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1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322A (ja) * 1983-08-19 1985-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海草の工業的生産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20190090951A (ko) * 2018-01-26 2019-08-05 이균 롤러형 김 광배양장치
KR20190090948A (ko) * 2018-01-26 2019-08-05 이균 육상양식용 김 광배양장치
KR20190091721A (ko) * 2018-01-29 2019-08-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육상 양식장
KR102240732B1 (ko) 2019-05-13 2021-04-16 배헌민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322A (ja) * 1983-08-19 1985-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海草の工業的生産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20190090951A (ko) * 2018-01-26 2019-08-05 이균 롤러형 김 광배양장치
KR20190090948A (ko) * 2018-01-26 2019-08-05 이균 육상양식용 김 광배양장치
KR20190091721A (ko) * 2018-01-29 2019-08-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육상 양식장
KR102240732B1 (ko) 2019-05-13 2021-04-16 배헌민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9743A1 (en) Modular systems and methods for propagating plants in hydrophonic and aquaponic environments
US8622025B2 (en) Indoor fishfarm with raised tank
CN109618754B (zh) 用于在水池中的水上进行栽培的栽培系统中的浮动载体
US8622024B2 (en) Sea cucumber cultivator
JP2017502700A (ja) 水塊から魚を引き上げ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219787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CN103826448A (zh) 鱼类养殖设备、模块、方法和用途
KR20200054528A (ko) 다단식 플로우팅 산소공급 식물공장 기계
KR101690177B1 (ko)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기능을 갖는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2500183B1 (ko) 육상 해조류 양식장치
CN110800672B (zh) 一种水产养殖用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207744580U (zh) 一种循环流水鱼水质分析系统
CN108012976A (zh) 一种循环流水鱼水质分析系统及其工作方法
CN212212127U (zh) 一种农业大棚用滴灌装置
KR101701394B1 (ko) 배액 측정장치
EP25862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ng aquatic plants
CN212993344U (zh) 一种大棚有机种植养鱼装置
JPH07327531A (ja) 海苔網展張装置、海苔の刈り取り方法、海苔網の酸処理方法ならびに海苔の刈り取りおよび海苔網の酸処理方法
CN103782941A (zh) 沉性鱼卵孵化器
CN209403329U (zh) 一种淡水池塘底层、表层水体交换装置
CN206413497U (zh) 一种园林灌溉装置
CN114980728B (zh) 用于水生植物收割的系统及方法
CN214328815U (zh) 一种湖泊蓝藻高效治理设备
CN221329837U (zh) 家禽养殖结构
CN215346075U (zh) 一种农业种植培育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