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076A - 성형체 - Google Patents
성형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8076A KR20200128076A KR1020207027775A KR20207027775A KR20200128076A KR 20200128076 A KR20200128076 A KR 20200128076A KR 1020207027775 A KR1020207027775 A KR 1020207027775A KR 20207027775 A KR20207027775 A KR 20207027775A KR 20200128076 A KR20200128076 A KR 20200128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df
- tfe
- molded article
- based copolymer
- crystal
- Prior art date
Links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group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21 ferro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0235 small-angle X-ray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736 wide-angle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HCDGVLDPFQMKDK-UHFFFAOYSA-N hexafluoropropylene Chemical group FC(F)=C(F)C(F)(F)F HCDGVLDPFQMK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IZLGWKEZAPEFJ-UHFFFAOYSA-N 1,1,2-tri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C(F)F MIZLGWKEZAPE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ZAIFHULBGXAKX-UHFFFAOYSA-N 2-(2-cyanopropan-2-yldiazenyl)-2-meth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SDPWZHWYPCBBB-UHFFFAOYSA-N Methanethiol Chemical compound SC LSDPWZHWYPCB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674 dispersion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24 x-ray crystal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YECOAILUNWEAL-NUDFZHEQSA-N (4z)-4-[[2-methoxy-5-(phenylcarbamoyl)phenyl]hydrazinylidene]-n-(3-nitrophenyl)-3-oxonaphthale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OC1=CC=C(C(=O)NC=2C=CC=CC=2)C=C1N\N=C(C1=CC=CC=C1C=1)/C(=O)C=1C(=O)NC1=CC=CC([N+]([O-])=O)=C1 ZYECOAILUNWEAL-NUDFZHEQSA-N 0.000 description 1
- AYMDJPGTQFHDSA-UHFFFAOYSA-N 1-(2-ethenoxyethoxy)-2-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COCCOCCOC=C AYMDJPGTQFH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EPOKWHJYJXUGD-UHFFFAOYSA-N 2-(3-phenylmethoxyphenyl)-1,3-thiazole-4-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SC(C=2C=C(OCC=3C=CC=CC=3)C=CC=2)=N1 OEPOKWHJYJXUG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69 Debye-Scherr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lass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2 acet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RVTWLLMYUSKJS-UHFFFAOYSA-N carboxyoxy 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OC(O)=O IRVTWLLMYUSK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1 coal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6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8 fre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1 organic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04 sample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4 small-angle X-ray scattering dat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81 super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8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7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8 vacuum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2—Vinylidene flu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6—Tetrafluoro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01L29/04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by thei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3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movement of moulds or mould parts, e.g. opening or closing, actu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6—PVDF, i.e. polyvinylidene flu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2—Nano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8—Fillers orie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6—Non-flammable or resistant to h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Orie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7—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4—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erroelectric gate insul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공한다.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결정을 포함하는 성형체로서, 상기 결정은 β정이며, 상기 결정은 사이즈가 100㎚ 이하인 나노 배향 결정이며, 산술 평균 조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우수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강유전성 재료인 압전 필름이나, 일렉트로웨팅 용도, 필름 콘덴서 용도에 사용되는 필름으로서, 다양한 유기 유전체 필름이나 무기 유전체막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 중합체의 필름은,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무기 유전체 박막과는 달리 가요성을 가진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종래, 고분자 강유전성 필름의 전형례인 VdF 중합체의 강유전성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는, 융액 결정화에 의해 필름 성형 후에는 α정을 형성하기 때문에, 강유전성을 발현하는 β정으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연신, 열고정, 폴링(poling) 처리라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였다.
종래, VdF/TFE계 공중합체의 강유전성 필름은, TFE 단위가 7mol% 이상 포함될 때에는 융액 결정화로 β정에 직접 결정화된 필름이 성형되기 때문에, 필름을 폴링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높은 강유전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연신, 열고정하는 복잡한 공정에 의해 분자쇄를 배향시킬 필요가 있었다(비특허문헌 1).
종래, VdF/TFE계 공중합체의 강유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고온 고압화로 융액 결정화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고결정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 필름은 백탁되어 있어 취약하다는 결점이 있었다(비특허문헌 2).
연신 처리에 의해 제작된 필름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서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의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근년의 고도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범용 플라스틱에서는, 나노 배향 결정(nano-oriented crystal, NOC)을 포함함으로써, 내열성 등을 개선한 필름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불소 수지에서는, NOC를 포함함으로써,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및 VdF/트리플루오로에틸렌(TrFE)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개선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Hicks, J. C. et al. J. Appl. Phys., 49, 6092(1978).
Tasaka.S. et al. J. Appl. Phys. 57(3), 906(1985)
Hikosaka, M.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4(2), 1G11(2015).
Lovinger, A. J. et al. Macromolecules 19, 1491(1986).
Hikosaka, M. Polymer 28, 1257(1987).
Okada, K.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3(1), 1331(2014).
Hikosaka, M. et al. J. Macromol. Sci. Phys. B31(1), 87(1992).
Fukushima, T.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6(1), 2C03(2017).
Lovinger, A. J. et al. Macromolecules 21, 78(1988).
본 발명은,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VdF/TFE계 공중합체의 융액을 《임계 신장 변형 속도》이상의 속도로 신장 결정화를 행함으로써, VdF/TFE계 공중합체가 극히 작은 결정을 포함하는 성형체를 취득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성형체가, 탄성률로 나타내어지는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결정을 포함하는 성형체로서, 상기 결정은 β정이며, 상기 결정은 사이즈가 100㎚ 이하의 나노 배향 결정(NOC)이며, 산술 평균 조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상기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가 고결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위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의 합계 100몰%에 대해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위가 50 내지 95몰%이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가 5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강유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융점이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내열 온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탄성률이 1.0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잔류 분극이 45m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항전기장이 35MV/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을 갖는다.
도 1은 나노 배향 결정(NOC)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제작에 사용된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편광 현미경 화상(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소각 X선 산란 이미지이며,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광각 X선 산란 이미지이며,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Pr)과 항전기장(Ec)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Pr)과 항전기장(Ec)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플롯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플롯 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제작에 사용된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편광 현미경 화상(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소각 X선 산란 이미지이며,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광각 X선 산란 이미지이며,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Pr)과 항전기장(Ec)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Pr)과 항전기장(Ec)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플롯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플롯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설명에 구속되는 일은 없으며, 이하의 예시 이외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공지 문헌의 전체가, 본 명세서 중에서 참고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결정의 사이즈가 100㎚ 이하인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을 포함한다.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는, VdF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 (이하 「VdF 단위」라고도 함) 및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이하 「TFE 단위」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VdF/TFE계 공중합체는, 성형체의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VdF 단위와 TFE 단위의 합계 100몰%에 대해서, VdF 단위가 50 내지 95몰%이며, TFE 단위가 5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VdF/TFE계 공중합체는, VdF 단위가 60 내지 95몰%이며, TFE 단위가 5 내지 4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VdF 단위가 70 내지 90몰%이며, TFE 단위가 10 내지 30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는, VdF 단위 및 TFE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VdF 및 TFE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단, VdF 및 TFE를 제외함)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VdF 단위 및 TFE 단위의 합계가 9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VdF 및 TFE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에틸렌, 프로필렌, 알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CH2=CHCF3, CH2=CFCF3, CH2=CF(CF2)nH(n=3 내지 7), CH2=CH(CF2)nF(n=1 내지 8)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HFP 및 CH2=CFCF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HFP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VdF 및 TFE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성형체의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0 내지 1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VdF/TFE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4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는 값이다.
VdF/TFE계 공중합체는, 육방정의 결정 형태(Morphology)로 결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비특허문헌 4), 폴리머쇄가 미끄러져 확산되기 쉽고(비특허문헌 5), 나노 배향 결정화를 위한 임계 신장 변형 속도를 작게 할 수 있으리라고 추정된다(비특허문헌 6).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NOC를 형성하기 쉬워, 산업화에 유리하다.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는, 종래 공지된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분산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도 중합법에 따라서 종래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클로로플루오로아실)퍼옥시드, 비스(퍼플루오로아실)퍼옥시드, 비스(ω-히드로퍼플루오루아실)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종류, 중합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은 중합시키는 단량체 전체에 대해서 0.005 내지 5중량%, 특히 0.05 내지 0.5중량% 정도가 채용된다.
중합 반응 조건으로서는, 넓은 범위의 반응 조건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반응 온도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최적값이 선정될 수 있지만, 통상은 0 내지 100℃ 정도, 특히 30 내지 90℃ 정도가 채용될 수 있다. 반응 압력도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통상은 0.1 내지 5MPa, 특히 0.5 내지 3MPa 정도가 채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VdF계 공중합체는, 상기 반응 압력으로 중합을 유리하게 행할 수 있지만, 더욱 높은 압력하여도, 반대로 감압 조건하여도 된다. 또한, 중합 형식은 회분식, 연속식 등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또한 VdF/TFE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정할 목적으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등을 들 수 있다. 첨가량은 사용하는 화합물의 연쇄 이동 상수의 크기에 따라 바뀔 수 있지만, 통상 중합 용매에 대해서 0.0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중합 용매는 중합법에 따라서 종래 관용의 액상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VdF/TFE계 공중합체는, 불소계 용매의 존재하에서 현탁 중합(분산 중합)하는 것이, 얻어지는 성형체의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에 포함되는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 사이즈는 100㎚ 이하이다. 성형체의 기계 강도, 내열성, 표면 조도 및 강유전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결정 사이즈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 사이즈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여도 된다. 내열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상기 결정 사이즈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의 사이즈는, 공지된 소각 X선 산란법(이하 「SAXS법」이라고 함)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SAXS법에 있어서의, 산란 벡터(q)- 소각 X선 산란 강도(Ix) 곡선의 1차 피크는, 고결정성이므로, 평균 사이즈 d의 미결정이 랜덤하게 서로 채워져 있는 경우의 미결정간 최근접 거리(=결정 사이즈 d)에 상당하기 때문에(참고 문헌: A. Guinier 저, 「X선 결정학의 이론과 실제」, 리가쿠 덴키(주), p513, 1967), 결정 사이즈 d는 하기의 Bragg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Bragg의 식: d=2π÷q
또한,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은, β정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성형체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강유전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고결정성의 VdF/TFE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은, 나노 배향 결정(NOC)을 구성한다. 여기서, NOC는, 결정 사이즈가 100㎚ 이하이며, 또한 고분자쇄가 신장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 배향된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나노 결정(nano crystal, NC)이라고도 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NOC의 구조를 편광 현미경과 X선 회절의 결과로부터 해석한바, NOC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의 나노 결정(NC)이 신장 방향(MD)을 따라 염주형으로 연속되는 구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보다 우수한 기계 강도, 내열성 및 강유전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VdF/TFE계 공중합체의 NOC를 주체로 하여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성형체는, VdF/TFE계 공중합체의 NOC를 60%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95%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형체 중에 포함되는 NOC의 비율(NOC 분율)은, X선 회절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NOC는 고배향이며, 비 NOC는 등방적이기 때문에, 광각 X선 산란의 강도비로부터 NOC 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성형체를 구성하는 NOC에 포함되는 NC의 고분자쇄나, NOC를 구성하는 NC 자체가 배향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편광 현미경에 의한 관찰이나, 공지된 X선 회절(소각 X선 산란법(SAXS법), 광각 X선 산란법(WAXS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성형체가 고결정성인 것은 WAXS로 비결정 헬로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으로부터 결론지을 수 있다. 편광 현미경 관찰이나 X선 회절(소각 X선 산란법, 광각 X선 산란법)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가 적절히 참조된다.
NOC에 포함되는 NC와, NC에 포함되는 고분자쇄는, 대체로 성형체(예를 들어, 시트)의 MD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NOC를 구성하는 NC의 결정 사이즈는, MD의 사이즈를 측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NOC의 결정 사이즈는, 약 29㎚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산술 평균 조도가 3.0㎛ 이하이다. 산술 평균 조도는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VdF/TFE계 공중합체의 NOC를 주체로 하여 포함하고 있는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술 평균 조도는, 소형 표면 조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ISO1997에 따라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융점은,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체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5K/min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열 곡선에 있어서의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이다. 또한, 상기 성형체의 융점은, 핫 스테이지 장착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1K/min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 거동에 있어서 리타데이션 변화의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의 융점은, VdF/TFE계 공중합체의 정치장의 β정의 평형 융점보다 14℃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의 융점은, β정의 평형 융점보다 10℃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β정의 평형 융점보다도 7℃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평형 융점(Tm 0)은, 고분자의 분자쇄(이하, 적절히 「고분자쇄」라고도 함)가 완전히 신장된 상태에서 결정화된 거시적 사이즈의 완전 결정의 융점을 의미하고, 하기에 의해 산출된다.
Tm 0=ΔHu÷ΔSu, ΔHu: 융해 엔탈피, ΔSu: 융해 엔트로피
구체적으로는, 편광 현미경 관찰을 사용한 히코사카 등의 방법으로 상기 평형 융점을 결정할 수 있다(비특허문헌 7). 예를 들어, VdF/TFE계 공중합체: VdF/TFE=80/20(mol비)의 정치장에 있어서의 육방정 결정의 평형 융점은 약 134.3℃로 결정되어 있으며(비특허문헌 8), 정치장의 β정의 평형 융점을 143.9℃로 결정하였다(미발표).
또한, 상기 융점은, 단량체 조성비가 동일한 VdF/TFE계 공중합체의 평형 융점과 대비한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내열 온도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의 내열 온도는, 상기 VdF/TFE계 공중합체의 정치장의 β정의 평형 융점보다 54℃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34℃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 낮은 온도보다도 고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열 온도」란, 광학 현미경을 사용한 시험편 사이즈 직독법에 의해 측정한 내열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시험편 사이즈 직독법」은, CCD 카메라 장착 광학 현미경(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BX51)과, 핫 스테이지(Linkam사 제조, LK-600PM)와, 화면상의 사이즈를 정량할 수 있는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Media Cybernetics사 제조, Image-Pro PLUS)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시험편의 사이즈는, 세로 0.7㎜, 가로 0.5㎜의 시험편을 사용하였다. 시험편을 승온 속도 1K/min으로 가열하고, 그때, 시험편이 세로 방향(MD) 또는 가로 방향(TD)으로 3% 이상 변형(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했을 때의 온도를 내열 온도로 하였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인장 파단 강도가 8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파단 강도는, 110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MPa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파단 강도는, JIS-K7127에 준하여, 세로 42㎜, 가로 2㎜, 두께 0.01 내지 0.3㎜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인장 속도는 0.3㎜/s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탄성률이 1.0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률은, 1.2G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GPa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GPa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성률은, JIS-712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강유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잔류 분극이 45m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류 분극은, 55mC/㎡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mC/㎡여도 된다.
상기 잔류 분극은, 20㎜×20㎜로 잘라낸 시료 필름의 중앙부 5㎜×5㎜로 알루미늄 전극(평면 전극)을 진공 가공 증착에 의해 패터닝하고, 절연 테이프를 첩부하여 보강한 알루미늄박제의 2개의 리드(30㎜×80㎜)의 전극을, 도전성 양면 테이프로 평면 전극에 접착하고, 이 시료 필름, 펑션 제너레이터, 고압 증폭기, 및 오실로스코프를 소야 타워 회로에 내장하고, 삼각파를 시료 필름에 인가(최대 ±10㎸)하여, 시료 필름의 응답을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항전기장이 35MV/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전기장은, 34MV/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3MV/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항전기장의 하한값은, 예를 들어 5MV/m이어도 된다.
상기 항전기장은, 20㎜×20㎜로 잘라낸 시료 필름의 중앙부 5㎜×5㎜에 알루미늄 전극(평면 전극)을 진공 가공 증착에 의해 패터닝하고, 절연 테이프를 첩부하여 보강한 알루미늄박제의 2개의 리드(30㎜×80㎜)의 전극을, 도전성 양면 테이프로 평면 전극에 접착하고, 이 시료 필름, 펑션 제너레이터, 고압 증폭기 및 오실로스코프를 소야 타워 회로에 내장하고, 삼각파를 시료 필름에 인가(최대±10㎸)하여, 시료 필름의 응답을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VdF/TFE계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VdF/TFE계 공중합체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시트, 튜브, 파이버 등이어도 되지만,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에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압출량등으로 조정하면 된다. 구체적인 두께는 80㎛ 내지 10㎜의 범위, 또한 90㎛ 내지 5㎜, 특히 110㎛ 내지 1㎜의 범위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시트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기계 강도, 내열성 및 강유전성을 갖는다. 또한, 치수 안정성, 전기 특성, 가스 배리어성 등에도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수한 전기 특성을 살려, 압전 필름이나, 일렉트로웨팅 디바이스용 필름, 필름 콘덴서용 필름 등에 적합하다. 또한, 초전 필름 등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제조 방법은, 융액 상태의 VdF/TFE계 공중합체를 압연 신장하여 결정화(고화)를 행하는 방법이며, 일단 고화한 성형체를 압연 신장하여 연신하는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이다.
도 2에 본 발명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1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10)는, 과냉각 융액 공급기(VdF/TFE계 공중합체를 융해시켜, VdF/TFE계 공중합체의 융액을 공급하는 압출기(2a)와, 압출기(2a)로부터의 융액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시키는 냉각 어댑터(2b)를 구비함) 및 끼움 지지 롤(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과냉각 융액 공급기에 있어서, 압출기(2a)의 토출구에 슬릿 다이(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으며, 당해 슬릿 다이의 선단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 슬릿 다이로부터 토출된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은, 냉각 어댑터(2b) 내를 통과할 때 과냉각 상태로 될 때까지 냉각되고(과냉각 상태의 융액을 「과냉각 융액」이라고 함), 과냉각 융액이 끼움 지지 롤(3)을 향해 토출된다. 정치장의 육방정 결정의 평형 융점과 결정화 온도의 차를 「과냉각도 ΔT」라고 정의하면, 특히 최적의 과냉각도는, 고분자의 종류와 캐릭터리제이션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ΔT=-35 내지 +35℃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30℃가 더욱 바람직하며, -20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화 온도란 과냉각 융액의 온도이다.
상기 끼움 지지 롤(3)은, 회전 가능한 쌍의 롤이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과냉각 융액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과냉각 융액(1)을 사이에 두고, 롤의 회전 방향으로 신장되어, 시트형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과냉각 융액(1)을 과냉각 융액 공급기로부터 공급하고, 끼움 지지 롤(3) 사이에 두고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의 신장 변형 속도로 압연 신장함으로써 결정화시키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과냉각 융액(1)이 배향 융액으로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결정화시킬 수 있고, 배향 융액에 포함되는 분자쇄끼리가 회합하여 이물의 도움을 받지 않고 핵 생성(「균일 핵 생성」이라고 함) 및 성장이 일어남으로써 NOC가 생성되어, 본 발명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1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더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끼움 지지 롤(3)에 의한 압연 신장 개시 (A)로부터, 압연 신장 종료 (B)까지 사이의 영역(이하 「영역 AB」라고 함)에 착안한다.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10)의 끼움 지지 롤(3)의 반경을 R, 끼움 지지 롤(3)의 각속도 ω, 끼움 지지 롤(3)의 회전하는 각도를 θ, 영역 AB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의 과냉각 융액의 두께를 L0, 압연 신장 종료 후의 B점에 있어서의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의 두께를 L, 끼움 지지 롤에 있어서의 시트 인취 속도를 V, 신장 변형 속도를 ε로 한다. 영역 AB에 있어서의 롤 회전각 θ는 매우 작다.
롤의 반경 R은, 시트의 두께 L0이나 L보다도 매우 크다.
영역 AB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의 미소 체적 Φ에 대하여, 미소 체적의 중심을 원점으로 취하여 생각한다. 과냉각 융액 및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가 이동하는 방향(MD)을 x축, 과냉각 융액 시트의 폭 방향(TD)을 y축, 과냉각 융액 시트의 두께 방향을 z축으로 취한다. 미소 체적 Φ를 직육면체로 근사하여, 직육면체의 각 변 길이를 x, y, L0으로 한다.
시트 성형에 있어서는, 과냉각 융액 시트의 폭, 즉 y는 x, L0보다도 충분히 커서, 압연 신장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끼움 지지 롤에 의한 압연 신장 과정에 있어서, 과냉각 융액 시트는 z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즉, 끼움 지지 롤에 의한 압연 신장은, x축과 z축에만 관여한다.
여기서,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변형 속도 텐서를 εxx,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변형 속도 텐서를 εzz로 하면, 양자의 관계는,
로 부여된다.
(5) 식의 도출에 있어서,
압연 신장에 있어서의 미소 체적 Φ에 관한 질량 보존칙,
를 이용하였다.
도 2의 영역 AB의 z 축방향에 있어서의 변형 속도 εzz는 정의식으로부터,
으로 부여된다. 단, t는 시간이다.
여기서,
이므로, (6)식과 (7)식, 및 (1)식으로부터,
이 근사적으로 얻어진다.
(5)식과 (8)식으로부터, 구해야 할 신장 변형 속도
가 얻어진다.
εxx는 (9)식으로부터 L0의 함수이다.
에서 극대치를 갖는다. 이것은, L0=2L에서 εxx가 최대로 되어, 과냉각 융액에 대해서 최대의 신장 변형 속도가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극대치의 신장 변형 속도를 εmax라고 기재하면,
(9) 식에 (10) 식을 대입하여,
여기서 초임계 신장 변형 속도에 있어서 성형하기 위해서는, εmax가 임계 신장 변형 속도 ε* 이상인 것이 조건이다.
따라서 (11) 식을 신장 변형 속도 ε라 정의하여,
로 된다.
상기 식 (12) 및 (14)로부터,
이다.
따라서, 상기 식 (15)를 이용하여, 신장 변형 속도 ε(R, L, V)가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이 되도록, 끼움 지지 롤의 반경 R, 신장 후의 고분자 시트의 평균 두께 L, 및 끼움 지지 롤에 있어서의 시트 인취 속도 V를 설정하면, 원하는 본 발명의 성형체가 제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계 신장 변형 속도 ε*(R, L, V)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속도여도 되지만, 예를 들어 하기의 근사식 (식 ⅰ)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어도 된다.
(식 ⅰ)
여기서 상기 임계점의 시트 인취 속도 V*는, 과냉각 상태의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공급하고, 반경이 R인 한 쌍의 끼움 지지 롤 사이에 두고 당해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시트 인취 속도 V로 압연 신장함으로써, 두께 L의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로 결정화시켰을 때 NOC가 생성되는 임계점의 시트 인취 속도 V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신장 변형 속도 ε*(R, L, V)는, 하기의 근사식 (식 ⅱ)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어도 된다.
(식 ⅱ)
여기서 상기 임계점의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의 두께 L*는, 과냉각 상태의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공급하고, 반경이 R인 한 쌍의 끼움 지지 롤 사이에 두고 당해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시트 인취 속도 V로 압연 신장함으로써, 두께 L의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로 결정화시켰을 때 NOC가 생성하는 임계점의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의 두께 L이다.
또한 NOC가 생성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하는 X선 회절법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유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롤을 사용하여 압연 신장 결정화하는 경우에, 끼움 지지 롤로 신장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으로 신장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성형체(VdF/TFE계 공중합체 시트)를 제작할 때에는,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으로 신장을 행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멜트 플로 레이트: Melt flow rate: MFR)으로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성형체(VdF/TFE계 공중합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유동성을 조정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유동성은,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에서 신장을 행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으로 조정해 두면 되는데, 예를 들어 230℃에 있어서의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MFR이 100(g/10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80(g/10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g/10분)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며, 50(g/10분)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230℃에 있어서의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MFR의 하한은, 임계 신장 변형 속도 이상으로 신장을 행할 수 있을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3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하기 VdF/TFE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 1: VdF/TFE=80/20(mol비), MFR 16(g/10분, 측정 온도 230℃, 하중 2.1kgf), 중량 평균 분자량=19×104
비교예에서는, 하기 VdF/TFE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 2: VdF/TFE=80/20(mol비), MFR 6(g/10분, 측정 온도 230℃, 하중 2.1kgf), 중량 평균 분자량=23×104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1) 편광 현미경 관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료에 대하여, 편광 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편광 현미경은, 올림푸스(주) 제조 BX51을 사용하여, 크로스니콜로 관찰을 행하였다. 리타데이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예민색 검판을 편광 현미경의 폴라라이저와 애널라이저(편광판)의 사이에 삽입하였다(참고 문헌: 고분자 소재의 편광 현미경 입문 아와야 유타카, 아그네 기술 센터, 2001년, p.75-103). 편광 현미경에 의한 관찰은, 실온 25℃에서 행하였다. 시료에 대해서, 시트 두께 방향(ND, through 방향)로부터, 관찰을 행하였다.
(2) X선 회절(소각 X선 산란법)
각종 시료를, SAXS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SAXS법은, 「고분자 X선 회절 가쿠도 마사오 카사이 노부타미, 마루젠 가부시키가이샤, 1968년」이나 「고분자 X선 회절 제3. 3판 마스코 도오루, 야마가타 대학 생협, 1995년」의 기재에 준하여 행해졌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 고휘도광 과학 연구 센터(JASRI) SPring-8, 빔 라인 BL40B2에 있어서, X선의 파장 λ=0.15㎚, 카메라 길이 3m로, 검출기에 이메징 플레이트(Imaging Plate)를 사용하여, 실온 25℃에서 행하였다. MD와 TD에 수직인 방향(through)과 TD에 평행한 방향(edge)과 MD에 평행한 방향(end)의 3방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through와 edge의 시료에 대해서는 MD를 Z축 방향으로 세트하고, end에 대해서는 TD를 Z축 방향으로 세트하며, X선의 노출 시간은 5초 내지 180초로 행하였다. 이메징 플레이트를 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제의 판독 장치와 리딩 소프트웨어(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 raxwish, control)로 판독하고, 2차원 이미지를 얻었다.
(3) X선 회절(광각 X선 산란법)
각종 시료를, WAXS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WAXS법은, (재)고휘도광 과학 연구 센터(JASRI) SPring-8, 빔 라인 BL03XU 또는 BL40B2로, X선의 파장(λ)은 λ=0.0709㎚, 카메라 길이(R)는 R=280㎜로, 검출기에 이메징 플레이트(Imaging Plate)를 사용하여, 실온 25℃에서 행하였다. through와 edge의 시료에 대해서는 MD를 Z축 방향으로 세트하고, end에 대해서는 TD를 Z축 방향으로 세트하며, X선의 노출 시간은 10초 내지 180초로 행하였다. 이메징 플레이트를 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 제조의 판독 장치와 리딩 소프트웨어(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 raxwish, control)로 판독하고, 2차원 이미지를 얻었다.
(4) 결정 사이즈 및 NOC의 구조
소각 X선 산란 이미지의 MD 방향으로 2점 상(像)으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 사이즈(d)를 구하였다. SAXS법에 있어서의, 산란 벡터(q)-소각 X선 산란 강도(Ix) 곡선의 1차 피크는, 평균 사이즈 d의 미결정이 랜덤하게 서로 채워져 있는 경우의 미결정간 최근접 거리(=결정 사이즈 d)에 상당하기 때문에(참고 문헌: A. Guinier 저, 「X선 결정학의 이론과 실제」, 리가쿠 덴키(주), p513, 1967), 결정 사이즈 d는 Bragg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Bragg의 식: d=2π÷q
(5) 내열 온도, 융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내열 온도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한 시험편 사이즈 직독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핫 스테이지(Linkam사 제조, L-600A) 내에 시험편(세로 0.6㎜, 가로 0.8㎜)을 얹어 놓고, 승온 속도 1K/min으로 핫 스테이지 내를 승온시켰다. 이때, CCD 카메라 장착 광학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BX51)으로 관찰과 기록을 행하였다.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Media Cybernetics사 제조, Image-Pro PLUS)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을 정량적으로 계측하고, MD 또는 TD로 3% 이상 수축(또는 팽창)을 개시했을 때의 온도를, 내열 온도 TH로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의 융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융점은, 핫 스테이지 장착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1K/min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 거동에 있어서 리타데이션 변화의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로서 구하였다.
(6) 융점
성형체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5K/min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열 곡선에 있어서의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로서 구하였다.
(7) 인장 파괴 응력
JIS-7127에 준하여 측정한다.
(8) 인장 탄성률
JIS-712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9) 표면 조도
소형 표면 조도 측정기(미츠토요사 제조 SJ-210)를 사용하여 ISO1997에 따라서, 산술 평균 조도(Rz)를 측정하였다.
(10) 잔류 분극 및 항전기장
20㎜×20㎜로 잘라낸 시료 필름의 중앙부 5㎜×5㎜에 알루미늄 전극(평면 전극)을 진공 가공 증착에 의해 패터닝하였다. 절연 테이프를 첩부하여 보강한 알루미늄박제의 2개의 리드(30㎜×80㎜)의 전극을, 도전성 양면 테이프로 평면 전극에 접착하였다. 이 시료 필름, 펑션 제너레이터, 고압 증폭기, 및 오실로스코프를 소야 타워 회로에 내장하고, 삼각파를 시료 필름에 인가(최대±10㎸)하였다. 시료 필름의 응답을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잔류 분극, 항전기장을 구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0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를 사용하여, VdF/TFE계 공중합체의 신장 결정화를 행하였다. 신장 결정화의 조건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 중의 「압출 최고 온도(Tmax)/℃」는 VdF/TFE계 공중합체를 압출 성형기의 히터로 융해하고,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제조할 때의 압출기 설정 온도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융액의 온도(Tmelt)/℃」는,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롤로 압연 신장할 때의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의 온도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롤 온도(TR)/℃」는,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롤로 압연 신장할 때의 롤 표면 온도를 나타낸다. 표 1 중에 2개의 온도가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2개의 대향하는 각각의 롤의 표면 온도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신장 변형 속도(ε)/s-1」은, VdF/TFE계 공중합체 융액을 롤로 압연 신장할 때의 신장 변형 속도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시료 두께/㎜」는, 신장 결정화에 의해 얻어진 시료의 두께를 나타낸다.
표 1 중의 「결정 사이즈(d)/㎚」는, 신장 결정화에 의해 얻어진 시료의 NOC의 결정 사이즈를 나타낸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VdF/TFE계 공중합체 시트를 제작하였다. 압출 성형의 조건은, 설정 온도 240℃에서 수지를 용융시켜 다이부터 시트형으로 압출하고, 온도 60℃로 설정한 캐스트 롤 위에서 시트를 고화시켜, 비교예 2에 따른 시료를 조제하였다. 시료 두께 0.057㎜.
상기에서 얻어진 시트를 연신기(이모토 세이사쿠쇼사 제조 필름 2축 연신기)를 사용하여 연신하고, 1축 연신 시트를 제작하였다. 연신은, 분위기 온도 60℃에서, MD 방향으로 연신 배율이 5배로 되도록 연신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1축 연신 시트를 프레임 내에 고정하고, 분위기 온도 113℃에서 10분간 열 고정을 행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를 조제하였다. 시료 두께 0.021㎛.
편광 현미경 관찰
상기에서 얻어진 각 시료에 대하여, 시료에 대해서, 시트 두께 방향(ND, through 방향)으로부터 편광 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대표예로서, 표 1의 실시예 11에 대하여 편광 현미경 관찰을 행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의 (a)는, 예민색 검판에 대해서 MD를 평행하게 놓은 경우의 편광 현미경 상(像)이며, 도 3의 (b)는 소광각의 경우의 편광 현미경 상이다.
예민색 검판을 삽입한 상태에서 시료를 회전함으로써, 신장 방향(MD)의 색 (즉 리타데이션)이 적자색으로부터 황색(도 3의 (a))으로, 그리고 적자색으로 변화되어, 명확한 소광각(적자색)을 나타내었다(도 3의 (b)). 따라서, 이 리타데이션의 변화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시료(표 1의 실시예 11)는 신장 방향(MD)으로 고분자쇄가 배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X선 회절(소각 X선 산란법)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SAXS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대표예로서, 표 1의 실시예 11의 SAXS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의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에 있어서, MD에 강한 2점 상이 보였다. 이것이, VdF/TFE계 공중합체의 결정(NC)이 MD에 배향되어 있다는 증거이다. 또한, 도 4의 (c)에 있어서, 산만 산란만이며, TD, ND에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것은, TD, ND에는 무배향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는 NOC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X선 회절(광각 X선 산란법)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WAXS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대표예로서, 표 1의 실시예 11의 WAXS 이미지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의 (a)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b)는 edge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 (c)는 end 방향으로부터의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b)에 있어서, 파이버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으로써 고분자쇄(결정의 c축)는 MD에 고배향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의 (c)가 거의 무배향의 디바이 셰러 링(Debye-Scherrer ring)을 나타내는 사실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결정 a, b축이 거의 무배향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는 NOC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의 결과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결정이 β정인 것도 확인되었다(비특허문헌 9 참조). 비결정 헬로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결정성인 것이 확인되었다.
결정 사이즈 및 NOC의 구조의 검토
도 4의 MD 방향의 2점 상으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결정 사이즈(d)를 구하였다.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대표예로서, 표 1의 실시예 11의 d를 구한 결과, 29㎚임을 알게 되었다. 실시예 1 내지 16, 18 내지 20에 대하여, 표 1에 결정 사이즈를 나타낸다.
현미경 관찰 및 X선 관찰의 결과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는 도 1과 같은 거의 구형의 NC가 MD에 파라 크리스탈적으로 배열한 구조라고 추정되었다.
내열 온도와 융점의 검토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표 1의 실시예 20) 및 VdF/TFE계 공중합체의 비교예 1의 시료 내열 온도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한 시험편 사이즈 직독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을 정량적으로 계측하고, MD 또는 TD에 3% 이상 수축(또는 팽창)을 개시했을 때의 온도를, 내열 온도 Th로 하였다. 또한 융점 Tm도 함께 검토하였다.
도 11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 20의 시료가 3% 이상 변형되었을 때의 내열 온도 Th는 약 134℃였다. 융점 Tm은, 약 140℃였다.
한편, 도 12로부터, 비교예 1의 시료의 내열 온도 Th는 약 75℃였다. 또한 융점 Tm은, 약 129℃였다.
융점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표 1의 실시예 9, 10, 16) 및 VdF/TFE계 공중합체의 비교예 1의 시료 융점을,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5K/min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열 곡선에 있어서의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로서 구하였다. 융점 Tm은, 실시예 9의 시료는 137.2℃, 실시예 10의 시료는 138.1℃, 실시예 16의 시료는 137.7℃였다. 한편, 비교예 1의 시료 융점 Tm은, 126.4℃와 128.0℃에 2개의 극대치가 있었다.
상기 광학 현미경과 DSC의 검토로부터,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 1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내열 온도 및 융점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료가,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라고 알 수 있다.
인장 파괴 응력, 인장 탄성률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표 1의 실시예 10, 11, 12, 13, 14, 15, 16, 18, 19, 20) 및 VdF/TFE계 공중합체의 비교예 1 및 2의 인장 파괴 응력,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 σB와 인장 탄성률 Et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을 도 6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을 도 7에 도시한다. 비교예 2의 시료에 대하여 인장 파괴 응력(σB)과 인장 탄성률(E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을 도 10에 도시한다.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와 비교예를 비교하면, 탄성률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료가,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었다.
표면 조도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표 1의 실시예 9, 10, 11)을 소형 표면 조도 측정기(미츠토요사 제조 SJ-210)를 사용하여 ISO1997에 따라서, 산술 평균 조도(Rz)를 측정하였다. Rz는, 실시예 9의 시료는 2.54㎛, 실시예 10의 시료는 0.39㎛, 실시예 11의 시료는 0.19㎛였다. 실시예 10, 11과 실시예 9의 시료를 비교하면, Rz에 대하여 실시예 10, 11의 시료는, 실시예 9의 시료를 크게 하회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실시예 10, 11에 있어서는 결정화 온도보다도 롤 온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성형 시료가 롤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잔류 분극 및 항전기장
VdF/TFE계 공중합체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표 1의 실시예 10, 16, 17)와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0의 시료는 전계 85MVm-1, 실시예 16의 시료는 전계 80MVm-1, 실시예 17의 시료는 전계 80MVm-1, 비교예 1의 시료는 전계 140MVm-1에 있어서 잔류 분극 및 항전기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의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 Pr과 항전기장 E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도면을 도 8에 도시한다.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하여 잔류 분극 Pr과 항전기장 E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 9에 도시한다. 실시예(표 1의 실시예 10, 16, 17)의 시료는, 비교예 1의 시료에 비하여, 45mCm-2를 초과하는 높은 잔류 분극 Pr을 나타냈다. 실시예(표 1의 실시예 10, 16, 17)의 시료는 높은 잔류 분극을 나타내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35MVm-1 미만의 낮은 항전기장 Ec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종래의 VdF/TFE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내열성, 역학 특성 및 강유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결정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용도, 예를 들어 압전 필름, 초전 센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항전기장으로 분극 반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속 스위칭 소자, 진동 발전 소자, 화상 소자, 웨어러블 센서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 과냉각 융액
2a: 압출기
2b: 냉각 어댑터
3: 끼움 지지 롤
10: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
2a: 압출기
2b: 냉각 어댑터
3: 끼움 지지 롤
10: 롤 압연 신장 결정화 장치
Claims (9)
-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결정을 포함하는 성형체로서,
상기 결정은 β정이며, 상기 결정은 사이즈가 100㎚ 이하인 나노 배향 결정이며,
산술 평균 조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가 고결정성인, 성형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위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의 합계 100몰%에 대해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단위가 50 내지 95몰%이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가 5 내지 50몰%인,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융점이 130℃ 이상인,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열 온도가 90℃ 이상인,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률이 1.0GPa 이상인,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잔류 분극이 45mC/㎡ 이상인, 성형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전기장이 35MV/m 이하인,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69704 | 2018-03-30 | ||
JPJP-P-2018-069704 | 2018-03-30 | ||
PCT/JP2019/013109 WO2019189319A1 (ja) | 2018-03-30 | 2019-03-27 | 成形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8076A true KR20200128076A (ko) | 2020-11-11 |
KR102430668B1 KR102430668B1 (ko) | 2022-08-09 |
Family
ID=6806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7775A KR102430668B1 (ko) | 2018-03-30 | 2019-03-27 | 성형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17375A1 (ko) |
EP (1) | EP3778724B1 (ko) |
JP (1) | JP7101373B2 (ko) |
KR (1) | KR102430668B1 (ko) |
CN (1) | CN111936562B (ko) |
TW (1) | TWI759589B (ko) |
WO (1) | WO20191893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9316A1 (ja) | 2018-03-30 | 2019-10-0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成形体 |
CN116675800B (zh) * | 2023-08-03 | 2024-01-30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含氟聚合物、制备方法、正极极片、二次电池及用电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0825A (ko) * | 2007-09-21 | 2009-03-2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높은 함량의 β-결정을 가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필름의 제조 방법 |
KR20140004134A (ko) * | 2010-12-22 | 2014-01-10 |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
JP5487964B2 (ja) | 2007-03-02 | 2014-05-14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高分子結晶体 |
JP2014156581A (ja) * | 2012-10-16 | 2014-08-28 | Daikin Ind Ltd | 高誘電性フィルム |
KR20160007623A (ko) * | 2013-07-19 | 2016-01-20 |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 결정화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WO2016035598A1 (ja) | 2014-09-02 | 2016-03-10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高耐熱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9750A (ja) * | 2000-11-10 | 2002-08-06 | Asahi Glass Co Ltd | 機械的強度の高いフッ素樹脂フィルム |
US7214410B2 (en) * | 2002-10-04 | 2007-05-08 | Shipley Company, L.L.C. | Process for selecting solvents for forming films of ferroelectric polymers |
JP5467771B2 (ja) * | 2007-01-26 | 2014-04-0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高耐電圧を有する高誘電体フィルム |
JP2008248039A (ja) * | 2007-03-29 | 2008-10-16 | Hiroshima Univ | 高分子結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20090317916A1 (en) * | 2008-06-23 | 2009-12-24 | Ewing Kenneth J | Chemical sampl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 using atmospheric pressure ionization |
WO2010084750A1 (ja) * | 2009-01-23 | 2010-07-29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高分子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628054B2 (ja) * | 2011-01-18 | 2014-11-19 | 株式会社クレハ |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組成物、着色樹脂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 |
JP2012181513A (ja) * | 2011-02-10 | 2012-09-20 | Daikin Ind Ltd | エレクトロウエッティング用疎水性誘電体フィルム |
US10096352B2 (en) * | 2013-03-14 | 2018-10-09 |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 Ferroelectric capacitor with improved fatigue and breakdown properties |
JP6455367B2 (ja) * | 2014-09-16 | 2019-01-23 | Agc株式会社 | 含フッ素樹脂組成物、成形品、電線および含フッ素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2019
- 2019-03-27 JP JP2020509169A patent/JP7101373B2/ja active Active
- 2019-03-27 US US17/043,294 patent/US20210017375A1/en active Pending
- 2019-03-27 WO PCT/JP2019/013109 patent/WO201918931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3-27 CN CN201980023067.8A patent/CN111936562B/zh active Active
- 2019-03-27 KR KR1020207027775A patent/KR102430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3-27 EP EP19775572.1A patent/EP3778724B1/en active Active
- 2019-03-28 TW TW108110981A patent/TWI759589B/zh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87964B2 (ja) | 2007-03-02 | 2014-05-14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高分子結晶体 |
KR20090030825A (ko) * | 2007-09-21 | 2009-03-2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높은 함량의 β-결정을 가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필름의 제조 방법 |
KR20140004134A (ko) * | 2010-12-22 | 2014-01-10 |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
JP2014156581A (ja) * | 2012-10-16 | 2014-08-28 | Daikin Ind Ltd | 高誘電性フィルム |
KR20160007623A (ko) * | 2013-07-19 | 2016-01-20 |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 결정화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WO2016035598A1 (ja) | 2014-09-02 | 2016-03-10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高耐熱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 |
Non-Patent Citations (9)
Title |
---|
Fukushima, T.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6(1), 2C03(2017). |
Hicks, J. C. et al. J. Appl. Phys., 49, 6092(1978). |
Hikosaka, M. et al. J. Macromol. Sci. Phys. B31(1), 87(1992). |
Hikosaka, M.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4(2), 1G11(2015). |
Hikosaka, M. Polymer 28, 1257(1987). |
Lovinger, A. J. et al. Macromolecules 19, 1491(1986). |
Lovinger, A. J. et al. Macromolecules 21, 78(1988). |
Okada, K. et al. Polymer Preprints, Japan 63(1), 1331(2014). |
Tasaka.S. et al. J. Appl. Phys. 57(3), 906(19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59589B (zh) | 2022-04-01 |
EP3778724A1 (en) | 2021-02-17 |
JP7101373B2 (ja) | 2022-07-15 |
US20210017375A1 (en) | 2021-01-21 |
TW201942156A (zh) | 2019-11-01 |
WO2019189319A1 (ja) | 2019-10-03 |
JPWO2019189319A1 (ja) | 2021-01-14 |
EP3778724A4 (en) | 2021-12-29 |
CN111936562B (zh) | 2023-06-16 |
EP3778724B1 (en) | 2024-05-01 |
CN111936562A (zh) | 2020-11-13 |
KR102430668B1 (ko) | 202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5392B1 (ko) | 광학 보상 필름 | |
Dragaun et al. | Shear‐induced β‐form crystallization in isotactic polypropylene | |
Li et al. |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PVDF from α to β phase by stretching | |
Lee et al. | Lamellar crystalline structure of hard elastic HDPE films and its influence on microporous membrane formation | |
Sasaguri et al. |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y and Deformation Mechanisms of Polyolefins. II | |
KR102430668B1 (ko) | 성형체 | |
US4268653A (en) | Process for preparation of a polymeric piezo-electric material and material prepared by said process | |
Chen et al. | Deformation behavior of oriented β-crystals in injection-molded isotactic polypropylene by in situ X-ray scattering | |
Zhao et al. | The effect of hard block content on the orient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olefin block copolymer films as obtained via melt stretching | |
Ma et al. | The supramolecular organization of PVDF lamellae formed in diphenyl ketone dilution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 |
Mhalgi et al. | Stretching induced phase transformations in melt extruded poly (vinylidene fluoride) cast films: effect of cast roll temperature and speed | |
Jain et al. | Detailed studies on the formation of piezoelectric β-phase of PVDF at different hot-stretching conditions | |
WO2017150193A1 (ja) | 高耐熱性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シート | |
Yang et al. | Formation of oriented β‐transcrystals induced by self‐assembly of nucleating agent and its micropores formation during uniaxial stretching | |
WO2020217930A1 (ja) |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 |
JP7186974B2 (ja) | ポリアミド樹脂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5962115A (ja) | 誘電体フイルム | |
JP7321145B2 (ja) | 成形体 | |
Nakayama et al. |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rolled polypropylene sheets | |
TWI852925B (zh) | 成形體 | |
Rettenberger et al. | Uniaxial deformation behavior of different polypropylene cast films at temperatures near the melting point | |
Gocek et al. | Effect of processing parameters on polypropylene film properties | |
Gupta et al. | Thermally-inverted strain-optical and stress-optical behavior of poly (4-methyl-1-pentene) in rubbery state. | |
Ganguly et al. | Study of Stiffness and flexible sensing performanc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 piezo polymer with varying polarization components | |
Capt et al. |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of PP Resins of Varying Tacticity: Melting and Deformation Behavi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