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375A -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375A
KR20200125375A KR1020190108021A KR20190108021A KR20200125375A KR 20200125375 A KR20200125375 A KR 20200125375A KR 1020190108021 A KR1020190108021 A KR 1020190108021A KR 20190108021 A KR20190108021 A KR 20190108021A KR 20200125375 A KR20200125375 A KR 2020012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emiconductor device
type semiconductor
pair
he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91B1 (ko
Inventor
장위
정석권
Original Assignee
티비에스테스트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에스테스트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에스테스트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 핸들러에 의해 제공된 DUT의 양/불량을 검사하는 장치로 지지부, 헤드 본체부를 구비하고, 헤드 본체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헤드 본체부는 다수의 테스트 기판들이 슬롯들에 각각 삽입되는 기판 장착부와, 기판 장착부 상하측 중 어느 일측 공간에 배치된 전원부와, 기판 장착부의 전면 공간에 배치된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 본체부는 테스트 핸들러의 접촉방향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각도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와 호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Universal-type Semiconductor Device Test Apparatus }
유니버설 타입의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스트 핸들러의 타입 또는 피측정소자( DUT : Device Under Test, 이하 DUT라 칭함)의 형태, 구성기술 또는 사용분야에 따라 적응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가 이끄는 차세대 ICT 시대에는 아직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양의 데이터 고속처리 기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시스템의 저전력의 요구도 점점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ICT 환경이 요구하는 High-speed, High-capacity, Low-power 사양을 만족시키는 제품의 폭발적인 급증에 따라, 초고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차세대 제품개발에 있어 '테스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반도체 소자는 제조과정에서 제품의 양/불량을 검사하기 위하여 테스트 공정을 거친다. 테스트 공정은 크게 전공정 테스트와 후공정 테스트로 구분된다. 전공정 테스트는 웨이퍼 레벨 테스트와 번인 테스트로 진행되며, 후공정 테스트는 패키지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 컴포넌트 테스트와 번인 테스트로 나뉜다.
테스트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는 크게 두 종류의 장비 즉, 테스트 핸들러와 테스트 헤드로 구성된다.
테스트 핸들러는 트레이에 담긴 다수의 반도체 소자( DUT : Device Under Test, 이하 DUT라 칭함)들을 테스트 헤드의 소켓에 삽입시켜서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테스트 환경에 노출시킨 DUT를 전기적으로 검사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테스트 핸들러는 조성된 테스트 환경에서 DUT를 로딩/자동 장착/언로딩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화 장비이다.
테스트 헤드는 테스트 프로그램에 따라 테스트 신호를 DUT에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에 응답한 DUT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DUT의 양/불량을 검사하는 검사장비이다.
그러므로 테스트 핸들러는 테스트 헤드에서 검사된 양/불량 판정 결과에 응답하여 DUT를 양/불량으로 구분하여 언로딩한다. 따라서 테스트 헤드는 인체의 두뇌에 해당한다면 테스트 핸들러는 인체의 손발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테스트 헤드는 테스트 핸들러의 타입에 따라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DUT가 웨이퍼 레벨인지 아니면 패키지된 개별 부품 레벨인지에 따라 테스트 헤드의 구성이 달라진다. 또한, 개별 부품일지라도 부품의 구성이 아날로그 IC, 디지털 IC, 아날로그 및 디지털 혼합 IC인지에 따라 테스트 헤드의 구성이 달라진다. 또한, 개별 부품일지라도 부품의 사용분야가 메모리 분야, 비메모리 분야, 디스플레이분야, 무선분야 등에 따라 테스트 헤드의 구성이 달라진다. 도 10은 종래의 수직접속방향 테스트 핸들러를 나타내고, 도 11은 종래의 수평접속방향 테스트 핸들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기존의 테스트 헤드 장비는 테스트 핸들러의 접속방향에 종속되어 어느 일방향으로만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DUT의 구성상태, 구성기술, 사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테스트 헤드들이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들을 모두 범용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유니버설 타입의 테스트 헤드 장비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10-2019-0038295 공개특허 10-2013-0102473 공개특허 10-2012-0127241 공개특허 10-2004-0028925 등록특허 10-1794134 등록특허 10-1490286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핸들러의 모든 접촉방식에 호환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이픽스부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이픽스 고정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스트 기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슬롯 가이드를 통하여 착탈 가능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 핸들러에 의해 제공된 DUT의 양/불량을 검사하는 장치로 지지부, 헤드 본체부를 구비하고, 헤드 본체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헤드 본체부는 다수의 테스트 기판들이 슬롯들에 각각 삽입되는 기판 장착부와, 기판 장착부 상하측 중 어느 일측 공간에 배치된 전원부와, 기판 장착부의 전면 공간에 배치된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 본체부는 테스트 핸들러의 접촉방향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각도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와 호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는 높낮이 조절 캐스터가 설치된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축이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브래킷과, 브래킷에 설치되고, 헤드 본체부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부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축공들이 형성된 박스형 케이스와, 한 쌍의 축공들 각각에 고정되어 대응하는 축이 삽입된 한 쌍의 베어링 블록들과, 한 쌍의 베어링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베어링 블록 주위의 박스형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고, 축을 중심으로 -90도, -45도, 0도, 45도, 90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홈들이 각각 형성된 픽싱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높이 조절부는 박스형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전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가이드 봉들과, 4개의 가이드 봉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중앙에 하이픽스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이픽스 고정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접속방향을 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 조절부에 의해 하이픽스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이픽스부의 인터페이스기판과 하부의 테스트 기판 사이의 케이블 작업이 용이하여 조립 작업성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헤드 본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이픽스부의 소켓 장착 작업이나, 테스트 기판의 교체작업시 작업자의 작업동작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각도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설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헤드 본체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높이 조절부(126)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각도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의한 픽싱 베이스(2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설계도.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 본체부(120)의 각도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100)의 수직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100)의 수평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종래의 수직접속방향 테스트 핸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종래의 수평접속방향 테스트 핸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치환 내지 대체물 치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100)는 테스트 핸들러에 의해 제공된 DUT의 양/불량을 검사하는 장치로 지지부(110), 헤드 본체부(120)를 구비한다. 헤드 본체부(12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부(110)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부(110)는 높낮이 조절 캐스터(111)가 설치된 수평 프레임(112)과, 수평 프레임(11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축이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14)을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 본체부(120)는 테스트 핸들러의 접촉방향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각도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와 호환이 가능하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헤드 본체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3a는 본체부(120)를 정면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며, 도 3b는 본체부(120)를 배면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헤드 본체부(120)는 박스형 케이스(121)로 구성되고, 박스형 케이스(121)는 중앙 공간부에 기판 장착부(122)가 배치되고, 기판 장착부(122) 상하측 중 어느 일측 공간에 전원부(124)가 배치되고, 기판 장착부(122)의 전면 공간에 높이 조절부(126)가 배치된다. 박스형 케이스(121)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전면 개구부를 통해서는 테스트 기판들과 하이픽스부의 인터페이스 기판 사이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후면 개구부를 통해서는 조립시에 테스트 기판들이 삽입되는 개구로 상부에지와 하부 에지에는 16개의 슬롯을 형성하기 위한 슬롯 가이드 블록들이 고정된다.
기판 장착부(122)의 내부공간에는 슬롯 가이드 블록에 얼라인되게 레일 가이드가 설치되어 삽입된 테스트 기판들이 슬롯 가이드 블록 및 레일 가이드에 의해 삽입되어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가이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16개의 테스트 기판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16개의 슬롯을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8개 또는 32개 등으로 축소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기판은 반도체 테스트를 위한 정해진 테스트 패턴 신호를 발생시키는 ALPG(ALgorithm Pattern Generater), ALPG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패턴 신호를 DUT에 인가하는 패턴드라이버와 DUT에 의해 판독된 테스트 패턴의 판독 신호와 해당 반도체의 특성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그 비교 값을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PE(Pin Electronic)부, 반도체 테스트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및 테스트 헤드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E부란 DUT에 구비되는 반도체에 직접 테스트 패턴에 따른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이다. 또한, ALPG의 테스트 패턴 신호 발생부에 의해 테스트 패턴 신호가 출력되면 PE부의 패턴드라이버는 해당 테스트 패턴 신호를 통상 BGA(Ball Grid Array) 타입의 DUT에 구비된 테스트 대상 반도체에 인가하게 된다. 이렇게 인가된 패턴 신호는 DUT에 의해 판독되어 비교기로 출력되게 되며, 비교기는 테스트 패턴의 판독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한 결과에 따른 비교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어컴퓨터로 송신하고, 제어 컴퓨터는 해당 비교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반도체가 그 특성에 맞게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부(124)는 기판 장착부(122)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테스트 전원 예컨대 0V의 그라운드 전원전압과 48V의 동작전압을 발생하여 기판 장착부(122)에 공급한다. 전원부(124)는 복수의 냉각팬들을 구비하고 기판 장착부(122)에 삽입되는 테스트 기판들을 냉각시킨다.
높이 조절부(126)는 기판 장착부(122)의 전방에 배치되는 4개의 가이드 봉들(130)을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126)는 박스형 케이스(121)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고정되는 2개의 장방형 봉 고정판들(132) 각각에 2개씩 가이드 봉들(13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 봉들(130)은 전방으로 연장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높이 조절부(126)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4a는 높이 조절부(126)를 측면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며, 도 4b는 높이조절부(126)를 평면 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126)는 4개의 가이드 봉들(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이픽스 고정판(140)을 설치하고, 하이픽스 고정판(14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하이픽스 고정판(140)은 가이드 봉(13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되고, 스톱퍼(142)에 의해 가이드 봉의 일정 높이에 고정된다. 가이드 봉(130)에는 리미트 수단(134)이 설치되어 하이픽스 고정판(140)의 최저 높이를 제한한다. 하이픽스 고정판(140)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 기판(144)이 설치되고, 인터페이스 기판(140)은 하방에 위치한 테스트 기판에 케이블(150)로 연결된다. 여기서 하이픽스(Hi-Fix : High Fidelity Tester Access Fixture)부란 테스트 기판과 핸들러 사이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하이픽스부는 테스트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부품들(Connector, Pogo pin, rubber block)와 회로를 구성하는 PCB, DUT가 로딩되는 Socket, Socket guide, Handler 및 Tester와 Docking을 위한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의 각도 조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5a는 각도 조절 구성을 측면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며, 도 5b는 각도 조절 구성을 정면 사시도 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며, 도 5c는 각도 조절 구성을 상부쪽 사시도 방향에서 본 이미지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들(114) 각각의 상단부에 브래킷(160)이 설치된다. 브래킷(160)은 하부 수직판(162), 수평판(164) 및 상부 수직판(166)을 포함한다. 하부 수직판(162)에 축(170)이 고정되고, 상부 수직판(166)에 고정레버(180)가 설치된다. 축(170)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114) 각각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다.
한편, 박스형 케이스(121)의 측면에 보강 플레이트(190)가 설치되고, 보강 플레이트(190)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축공을 중심으로 베어링 블록(200)이 보강 플레이트(190)에 고정된다. 축공의 위치는 박스형 케이스(121)의 정중앙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의 상하 중심에서는 상측으로 치우치고, 전후 중심에서는 전면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 본체부(120)의 무게 중심에 축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90)에 고정된 베어링 블록(200)의 주변에는 부채꼴 형상의 픽싱 베이스(210)가 축공을 중심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축(170)에 베어링 블록(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픽싱 베이스(2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설계도이다. 도 6a는 픽싱 베이스(210)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픽싱 베이스(210)의 측면도이며, 도 6c는 픽싱 베이스(210)의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픽싱 베이스(210)에는 180도 이상의 호 형상으로 축을 중심으로 -90도, -45도, 0도, 45도, 90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통공들(2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픽싱 베이스(210)의 통공들(212)은 각 각도에서 고정레버(180)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고정레버(180)는 고정위치(0도)에서 해제위치(90도)로 회동시키고 후진시키면 통공(212)에 삽입된 고정돌기가 통공(212)에서 벗어나게 되어 각도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헤드 본체부(120)를 회전시켜서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켜서 통공과 고정레버의 고정돌기의 위치를 얼라인시킨 상태에서 고정레버를 전진시켜서 통공 내에 고정돌기를 삽입한 후 고정위치(0도)로 회동시켜서 각도를 고정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 본체부(120)의 각도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 이미지는 0도(수직접속방향), 중앙 이미지는 45도(하이픽스 작업방향), 우측 이미지는 90도(수평접속방향)로 각각 각도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100)의 수직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100)의 수평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서는 수직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반도체 소자를 이동시켜서 하이픽스부에 있는 소켓에 삽입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접속방향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서는 수평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반도체 소자를 이동시켜서 하이픽스부에 있는 DUT소켓에 삽입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헤드 본체부(120)를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0도 45도 90도 등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타입의 테스트 핸들러에 호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타입, 핀 타입, 구성 타입, 사용 분야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기판, 하이픽스부, 연결 케이블 등의 교체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체 작업시 헤드 본체부(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작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헤드 본체부(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작업방향을 작업자의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126)는 하이픽스 고정판(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이픽스의 인터페이스 보드와 테스트 기판 사이의 케이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테스트 핸들러와 도킹 간격 등에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지지부 111 ; 높낮이 조절 캐스터 112 : 수평 프레임
114 : 수직 프레임 120 : 헤드 본체부 121 : 박스형 케이스
122 : 기판 장착부 124 : 전원부 126 : 높이 조절부
130 : 가이드 봉 132 : 봉 고정판 140 : 하이픽스 고정판
142 : 스톱퍼 144 : 리미트 수단 150 : 케이블
160 : 브래킷 162 : 하부 수직판 164 : 수평판
166 : 상부 수직판 170 : 축 180 : 고정레버
190 : 보강 플레이트 200 : 베어링 블록 210 : 픽싱 베이스
212 : 통공

Claims (4)

  1. 테스트 핸들러에 의해 제공된 DUT의 양/불량을 검사하는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는 지지부, 헤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본체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 본체부는 다수의 테스트 기판들이 슬롯들에 각각 삽입되는 기판 장착부와, 상기 기판 장착부 상하측 중 어느 일측 공간에 배치된 전원부와, 상기 기판 장착부의 전면 공간에 배치된 높이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본체부는 상기 테스트 핸들러의 접촉방향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낮이 조절 캐스터가 설치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축이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 본체부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레버를 구비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축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축공들이 형성된 박스형 케이스;
    상기 한 쌍의 축공들 각각에 고정되어 대응하는 축이 삽입된 한 쌍의 베어링 블록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베어링 블록 주위의 상기 박스형 케이스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90도, -45도, 0도, 45도, 90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홈들이 각각 형성된 픽싱 베이스를 구비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가이드 봉들;
    상기 4개의 가이드 봉들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중앙에 하이픽스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이픽스 고정판을 구비한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KR1020190108021A 2019-04-24 2019-09-02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KR102179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7715 2019-04-24
KR1020190047715 2019-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75A true KR20200125375A (ko) 2020-11-04
KR102179191B1 KR102179191B1 (ko) 2020-11-18

Family

ID=7357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21A KR102179191B1 (ko) 2019-04-24 2019-09-02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1297A (zh) * 2021-09-09 2021-11-19 罗美兰 一种电子测量仪器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781A (ja) * 1997-05-30 1998-12-18 Ando Electric Co Ltd Icテスタのテストヘッド用接続台
KR20040028925A (ko) 2001-07-16 2004-04-03 인테스트 아이피 코포레이션 테스트 헤드 도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78882A (ko) * 2008-01-16 2009-07-21 옥은호 책상의 경사 조절 장치
KR100958276B1 (ko) * 2008-02-05 2010-05-19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회전장치
JP2010197202A (ja) * 2009-02-25 2010-09-09 Yokogawa Electric Corp 半導体試験装置及びその診断方法
KR20120127241A (ko) 2011-05-12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시험장치, 소켓보드 조립체 및 인터페이스 장치
KR20130102473A (ko) 2012-03-07 2013-09-1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소켓, 소켓보드,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490286B1 (ko) 2014-10-21 2015-02-04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일체형 자동 테스트 장치
KR101794134B1 (ko) 2016-05-10 2017-12-01 (주)엑시콘 반도체 검사용 테스트헤드
KR20190038295A (ko) 2017-09-29 2019-04-08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781A (ja) * 1997-05-30 1998-12-18 Ando Electric Co Ltd Icテスタのテストヘッド用接続台
KR20040028925A (ko) 2001-07-16 2004-04-03 인테스트 아이피 코포레이션 테스트 헤드 도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78882A (ko) * 2008-01-16 2009-07-21 옥은호 책상의 경사 조절 장치
KR100958276B1 (ko) * 2008-02-05 2010-05-19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회전장치
JP2010197202A (ja) * 2009-02-25 2010-09-09 Yokogawa Electric Corp 半導体試験装置及びその診断方法
KR20120127241A (ko) 2011-05-12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시험장치, 소켓보드 조립체 및 인터페이스 장치
KR20130102473A (ko) 2012-03-07 2013-09-1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소켓, 소켓보드,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490286B1 (ko) 2014-10-21 2015-02-04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일체형 자동 테스트 장치
KR101794134B1 (ko) 2016-05-10 2017-12-01 (주)엑시콘 반도체 검사용 테스트헤드
KR20190038295A (ko) 2017-09-29 2019-04-08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1297A (zh) * 2021-09-09 2021-11-19 罗美兰 一种电子测量仪器
CN113671297B (zh) * 2021-09-09 2022-03-25 罗美兰 一种电子测量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91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8782B2 (en) Probe card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1135440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EP0817973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automatic test equipment
KR20170136482A (ko) 기판 검사 장치
US5838568A (en) Heated circuit assembly tester and method
KR20070058996A (ko) Soc 파이프라인 테스터, 파이프라인 테스트 모듈 및파이프라인 테스트 방법
KR20070121023A (ko) 웨이퍼 프로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능동 진단 인터페이스
KR102179191B1 (ko) 유니버설 타입의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US20130249581A1 (en) Probe apparatus
KR101111124B1 (ko) 검사용 소켓
US10031178B2 (en) Portable vacuum chamber and an associated automated test system and method for the testing of electronic devices
US20150276810A1 (en)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US20170115327A1 (en) Manipulator in automatic test equipment
CN208459554U (zh) 芯片电路测试装置及测试系统
Albee The evolution of ICT: PCB technologies, test philosophies, and manufacturing business models are driving in-Circuit test evolution and innovations
US5659483A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onductor formation processes
US9234853B2 (en) Probe apparatus
TW201738578A (zh) 基板檢查裝置及基板檢查方法
US6717432B2 (en) Single axis manipulator with controlled compliance
JPH0669296A (ja) 試験装置
KR102432815B1 (ko) 피검사물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101230626B1 (ko) 전자모듈칩 검사용 소켓
US7821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load time for automated test equipment
JP2017129544A (ja) 基板検査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25342B1 (ko) 기판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