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164A -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 Google Patents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164A
KR20200125164A KR1020190049029A KR20190049029A KR20200125164A KR 20200125164 A KR20200125164 A KR 20200125164A KR 1020190049029 A KR1020190049029 A KR 1020190049029A KR 20190049029 A KR20190049029 A KR 20190049029A KR 20200125164 A KR20200125164 A KR 2020012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rame
support
frames
rice trans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042B1 (ko
Inventor
최덕순
고광명
이봉규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0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프레임(50)이 메인프레임(3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앙기 프레임을 제안한다. 메인프레임(30)은, 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32,34)과, 상기 전후프레임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가로프레임(36)을 포함한다. 엔진프레임은, 전후프레임(32,34) 및 전방 가로프레임(36)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을 구성되고 상방이 열린 U자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2,54)과, 상기 지지프레임(52,54)의 전후 상단부를 양측면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 그리고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프레임 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브라켓(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52,54)에 의하여 엔진(2)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2,54)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3,55)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는 수평부분이 전후프레임(32,34)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A frane havie a engine support frame for a 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을 별도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을 별도로 설계함으로써 엔진과 관련된 모든 부품을 조립한 후, 이앙기의 메인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성이 특히 향상되는 이앙기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의 프레임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얀마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하여 출원되고 공개된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2-0084761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 문헌에 의한 프레임은 엔진의 무게 중심을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상 불편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을 구동하기 위하여, 엔진과 관련된 여러가지 부품이 엔진 주변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체 프레임이 용접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면, 엔진과 관련된 여러 가지 부품을 조립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 문헌에 의한 이앙기는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우려된다.
일반적으로 이앙기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엔진에서 예를 들면 HST(Hydrostatic Transmission)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벨트 동력 전달을 이용하고 있다. 이앙기의 사용은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동력전달을 위한 벨트가 물에 노출되면 풀리에 대하여 벨트의 슬립이 발생하는 등 동력전달의 측면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에서 벨트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특히 하부에 있는 물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거나, 대형 트렉터의 로터리 작업에 의하여 논이 깊어지는 이앙기의 작업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단점은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논의 물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동력전달의 문제점 이외에도, 벨트가 소모성 부품이라는 점에 기인해서도 상당한 불편함이 제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주변에서 부품의 조립이 용이하고, 더 나가서는 전체적인 부품 조립이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는 이앙기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기가 많은 이앙기의 작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동력전달의 손실이 없는 이앙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기타 여러 가지 부수적인 목적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이앙기 프레임은, 엔진 및 주변부품을 지지하는 엔진프레임과 상기 엔진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은, 이앙기의 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과, 상기 전후프레임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가로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엔진프레임은, 전후프레임 및 전방 가로프레임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을 구성되고 상방이 열린 U자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 상단부를 양측면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 그리고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프레임 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엔진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엔진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엔진프레임의 지지프레임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는 수평부분이 전후프레임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방의 지지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전방 상향프레임과, 상기 상향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는 수평부분이 전방 상향프레임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엔진의 동력을 HST에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는 출력축과 엔진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를 내부에 구비하는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어박스의 반대측 엔진의 측면에 해당하는 지지브라켓에는 방진고무를 통하여 엔진과 연결되는 요잉 스토퍼가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는 엔진과 HST의 높이차에 대응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립공정에서 먼저 엔진과 라디에이터 및 이들 주변에 설치되는 다양한 부품을 엔진프레임에 직접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립은 메인프레임에 엔진과 라디에이터 등을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임은 통상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이앙기가 사용되는 물이 고인 논의 환경에 무관하게 정확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기어박스에서 HST로 동력을 전달하는 경로 상에 설치된 유니버셜 죠인트를 이용함으로써 엔진 및 주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이앙기의 전체 프레임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엔진프레임과 엔진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엔진프레임의 조립 상태에서 저면에서 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게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앙기 프레임은, 엔진 및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관련 부품을 지지하는 엔진프레임(50)과, 상기 엔진프레임(50)을 지지함과 같이 기체의 주행 및 모심기 작업과 관련된 부품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30)으로 구성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앙기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30)은 이앙기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주행 휠 및 모판의 지지 및 이식 등을 위한 모든 부품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프레임(50)은 엔진 및 라디에이터 등과 같이 엔진의 구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엔진 및 그 관련 부품을 지지하는 엔진프레임(50)을 별도로 성형하고, 메인프레임(30)에 별도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프레임(50)을 별도로 성형하게 되면, 엔진의 지지는 물론이고, 엔진의 구동과 직접적인 관련부품을 모두 별도로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프레임(50)에 설치되는 부품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엔진(2)과, 이러한 엔진(2)의 측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4), 그리고 엔진(2)과 라디에이터(4)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힘으로 회전하는 냉각팬(도시 생략)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엔진(2)과 라디에이터(4)를 연결하는 냉각호스, 쉬라우드, 에어클리너 등도 엔진프레임(50)에 같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엔진프레임(50)을 별도로 성형하게 되면, 엔진(2) 및 라디에이터(4),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많은 부품들이 엔진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엔진프레임(50)이 별도로 마련되지 못하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 특허 문헌 등에 의하면, 엔진과 관련된 수많은 부품이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공간적으로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프레임(50)에 엔진(2) 및 라디에이터(4), 그리고 그 주변 부품을 모두 미리 설치한 후, 엔진프레임(50)을 메인프레임(30)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조립성이 현저하게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엔진프레임(50)의 조립을 위하여, 메인프레임(30)의 전방부분(30A)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32,34)을 구비하고 있다. 전후프레임(32,34) 사이의 간격은 상술한 엔진프레임(5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함을 이하의 설명에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프레임(32,34)의 전방에는 전후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가로프레임(3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 개의 프레임(32,34,36)이 엔진프레임(50)을 조립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30)의 후방부분(30B)은 모판에서 일정 크기로 성장한 모를 심기 위한 여러 가지 부품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나,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프레임(5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도 1 및 도 2를 같이 참조하면서 엔진프레임(5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프레임(50)은 엔진(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52,5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52,54)은 상부가 열려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U자형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프레임(52,54)은 가로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전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이앙기의 전방(F)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지지프레임(52,54)의 좌우측 상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전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프레임(54)의 우측상단부와 후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52)의 우측 상단부는 하나의 지지브라켓(55)에 의하여 서로 연결(용접)되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54)과 제2지지프레임(52)의 좌측 상단부는 다른 하나의 지지브라켓(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부분(53a,55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브라켓(53,55)의 수평부분(53a,55a)은 실질적으로 좌우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의 수평부분(53a,55a)은 한 쌍의 전후프레임(32,34) 상에 올려진 상태로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지지브라켓(53,55)의 수평부분(53a,55a) 및 전후프레임(32,34)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성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의 수직부분의 내측에는 라디에이터(4)를 지지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브라켓(60)이 고정(예를 들면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브라켓(60)은 그 상부에 라디에이터(4)를 올려놓고 지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부분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4)는 엔진(2)의 측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라디에이터 브라켓(60)도 동일한 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52,54)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보강프레임(6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프레임(62)은 지지프레임(52,54)의 하부의 수평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엔진(2)의 저면을 같이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후(주행)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62)에는 보강브라켓(62a)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브라켓(62a)은 엔진(2)의 가로(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을 막기 위하여 방진고무를 통하여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방의 지지프레임(54)에는 위를 향하는 전방 상향프레임(56)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 상향프레임(56)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52,54)과 같이 그 내부에 엔진을 수납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엔진의 크기 및 지지프레임(52,54)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외측으로 약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전방 상향프레임(5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7)에도 적어도 일부는 수평부분으로 성형되고, 체결공이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상향프레임(56)의 상단 지지브라켓(57)의 일부는 수직부분으로 형성하여, 주변의 인접 부품 또는 프레임과 볼트를 이용한 연결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52,54)의 수평부분에는 엔진(2)의 방진고무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엔진 지지브라켓(58)이 4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엔진 지지브라켓(58)은 엔진(2)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진고무(2a)와 결합되어 엔진(2)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고, 방진고무(2a)의 설치 방향에 대응하여 설치 방향도 결정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엔진 지지브카렛(58)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다수의 엔진 지지브라켓(58)은 엔진(2)의 전후 방향에 진동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시한 실시 예의 엔진 지지브라켓(58)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주로 엔진의 전후방향 진동을 흡수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보강브라켓(62a)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별도의 방진고무를 통하여 엔진의 가로 방향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프레임(50) 상에 올려지는 엔진(2)은 상술한 지지브라켓(52,54)과 같은 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엔진(2)의 출력은 내부에 다수의 기어가 설치된 기어박스(10)의 출력축(18)을 통하여 HST(8)(도 4 참조)로 전달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어박스(10)가 설치되어 있는 반대측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54)에는 엔진의 시동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한 요ㅇ이잉(Yawing)(6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요잉 스토퍼(66)는 엔진프레임(50)의 일부와 엔진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시동시 발생하는 흔들림 등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고, HST(8)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10)와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엔진프레임(50) 상에 올려져 지지되는 엔진의 출력을 전달하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의 동력을 HST(Hydrostatic Transmission)(8)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써 기어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이앙기의 동력전달은 벨트 구동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이 많은 논에서 작업하는 이앙기의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물기에 의하여 동력전달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기어를 이용하고자 한다.
전방(F) 및 후방(R)을 표시하는 화살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구동원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2)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엔진(2)을 배치하게 되면 전후방향의 길이를 더욱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엔진의 출력축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기어박스(10)를 통한 동력전달 설계가 더욱 편리하게 된다고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2)의 냉각과 관련된 라디에이터(4)는 엔진(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엔진(2)과 라디에이터(4) 사이에는 냉각팬(6)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박스(10)는, 라디에이터(4)와 엔진(2)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각팬(6)과 엔진(2) 사이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어박스(10)를 엔진(2)과 라디에이터(4) 사이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어박스(10)의 출력축(18)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 6을 같이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기어박스(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어박스(10)의 내부에는,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구동기어(12)와, 이러한 구동기어(12)와 맞물려 있는 중간기어(14), 그리고 중간기어(14)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어(12,14,16)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기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기어(12,14,16)가 전후 방향을 가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그 중심축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기어박스(10) 내부의 모든 기어는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심축을 가지고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기어(12,14,16)의 배치는 가로로 배치되는 엔진(2)의 출력축 방향을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동기어(16)의 회전은 동력전달장치의 출력축(18)과 연결되는데, 종동기어(16)의 중심축은 가로로 배치되고 기어박스 출력축(18)은 세로(이앙기의 전후방향)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베벨기어 역시 기어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기어박스(10) 내부의 기어 배치에 의하여, 가로 배치의 엔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출력축(18)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기어(12,14,16)가 내장되는 기어박스(10)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기어(12,14,16)를 내장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박스본체(10a)와, 이러한 박스본체(10b)의 외측을 개폐하는 커버(10b)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0) 내부의 기어(12,14,16)는 다수 개, 바람직하게는 3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엔진(2)과 HST(8)의 위치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은 제조원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는 이앙기의 구조를 보면, 엔진(2)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그리고 HST(8)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치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최소한의 설계 변경으로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기어(12)는 엔진의 출력축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종동기어(18)는 HST(8)의 입력축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하고, 그 사이에 동력전달을 위한 중간기어(14)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어박스(10)의 내부에 구동기어(12) 및 종동기어(16) 두 개의 기어로 구성하면, 불필요하게 기어가 커지기 때문에, 기어박스(10)의 배치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중간기어(14)를 복수 개로 구성하게 되면, 기어가 너무 작아지고 중간기어를 경유하는 효율 저하라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은 기어배치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어박스(10)에 내장된 기어(12,14,16)를 이용하면 별도의 독립된 외부 구동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상의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12,14,16)의 어느 하나의 중심축을 커버(10b)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기어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외부로 동력전달이 가능한 별도의 독립된 PTO축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종동기어(16)의 중심 회전축을 커버(10b)의 외측으로 연장, 설계하여 별도의 외부 구동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엔진(2)으로부터 동력을 직접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기어박스(10)의 출력축(18)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출력축(18)은 HST(8)의 입력축(8a)과 연결된다. 여기서 기어박스(10)의 출력축(18)과 HST(8)의 입력축(8a)이 비록 동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엔진(2) 자체의 진동 및 주행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18)과 입력축(8a) 사이에는 유니버셜 죠인트(U)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유니버셜 죠인트(U)는 한 쌍(Ua,Ub)으로 구성함으로써, 내재되어 있는 베어링의 보호함으로써 수명을 보호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니버셜 죠인트(U)를 개재하는 것은, 출력축(18)과 입력축(8a) 배치의 공차 흡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프레임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엔진 및 그 주변부품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엔진프레임에 올려져서 지지되는 엔진과 HST 사이의 동력전달장치도 이앙기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있는 것도 하나의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 ..... 엔진
4 ..... 라디에이터
6 ..... 냉각팬
8 ..... HST
8a ...... 입력축
10 ..... 기어박스
10a ..... 기어박스본체
10b ..... 커버
12 ..... 구동기어
14 ..... 중간기어
16 ..... 종동기어
18 ..... 기어박스 출력축
30 ..... 메인프레임
32, 34 .... 전후프레임
36 ..... 전방 가로프레임
50 ..... 엔진프레임
52, 54 ..... 지지프레임
53, 55 ...... 지지브라켓
56 ..... 전방 상향프레임

Claims (5)

  1. 이앙기의 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프레임(32,34)과, 상기 전후프레임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가로프레임(36)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30); 그리고
    상기 전후프레임(32,34) 및 전방 가로프레임(36)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을 구성되고 상방이 열린 U자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2,54)과, 상기 지지프레임(52,54)의 전후 상단부를 양측면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55), 그리고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프레임 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브라켓(60)을 포함하는 엔진프레임(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2,54)에 의하여 엔진(2)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엔진프레임(50)은 메인프레임(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엔진프레임(50)의 지지프레임(52,54)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3,55)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는 수평부분이 전후프레임(32,34)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의 지지프레임(54)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전방 상향프레임(56)과, 상기 상향프레임(5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57)의 적어도 일부에 성형되는 수평부분이 전방 상향프레임(56)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앙기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의 동력을 HST에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는 출력축(18)과 엔진의 동력을 상기 출력축(18)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를 내부에 구비하는 기어박스(10)를 더 포함하는 이앙기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의 반대측 엔진의 측면에 해당하는 지지브라켓(53)에는 방진고무를 통하여 엔진(2)과 연결되는 요잉 스토퍼(66)가 구비되는 이앙기 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는 엔진과 HST의 높이차에 대응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이앙기 프레임


KR1020190049029A 2019-04-26 2019-04-26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KR10218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29A KR102180042B1 (ko) 2019-04-26 2019-04-26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29A KR102180042B1 (ko) 2019-04-26 2019-04-26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64A true KR20200125164A (ko) 2020-11-04
KR102180042B1 KR102180042B1 (ko) 2020-11-17

Family

ID=7357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29A KR102180042B1 (ko) 2019-04-26 2019-04-26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0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66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엔진마운팅구조
KR100956704B1 (ko) * 2007-12-03 2010-05-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주행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20120084761A (ko) * 2009-11-10 2012-07-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66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엔진마운팅구조
KR100956704B1 (ko) * 2007-12-03 2010-05-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주행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20120084761A (ko) * 2009-11-10 2012-07-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형 농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042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208A (en) Mid-mount tractor
US20090051210A1 (en) Construction Machine, in Particular Road Milling Machine, Recycler or Stabilizer, and Drive Train for Construction Machines of This Type
CA2493237A1 (en) Modular vehicle drivetrain
KR102180042B1 (ko)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US5531642A (en) Vibration-proof power take-off device for engine including two displacement absorbing joint members connected by a resilient member
CN107882969B (zh) 一种减速机保护装置
US8069944B2 (en) Vehicle engine mount
KR101582684B1 (ko)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KR102255133B1 (ko) 이앙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558144B1 (ko)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JP5275063B2 (ja) 作業車輌
JP2004248581A (ja) 移動農機
JP3896500B2 (ja) 振動騒音低減機構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ユニット
JP5694403B2 (ja) 田植機
CN218302307U (zh) 一种玉米收获机
JP2009299513A (ja) エンジン
CN211490130U (zh) 一种激光水冷机
JP3359707B2 (ja) モーアのブレード軸取付け構造
KR20230060249A (ko) 전기구동형 트랙터
CN114651695B (zh) 一种水稻种植用防折断的秧苗固定装置
JP7228910B2 (ja) 振動締固め機
JP5710875B2 (ja) 乗用型農作業機
JP2004257457A (ja) 電動式作業機械
JP2014193716A (ja) 田植機
JP5246894B2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