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44B1 -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144B1
KR102558144B1 KR1020200188749A KR20200188749A KR102558144B1 KR 102558144 B1 KR102558144 B1 KR 102558144B1 KR 1020200188749 A KR1020200188749 A KR 1020200188749A KR 20200188749 A KR20200188749 A KR 20200188749A KR 102558144 B1 KR102558144 B1 KR 10255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engine
pulley
transmission case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368A (ko
Inventor
최덕순
고광명
이봉규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와이엠
Priority to KR102020018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용 작업기에서 엔진의 동력전달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 동력전달장치는, 볼트에 의하여 엔진 출력축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엔진연결풀리(30)와, 상기 엔진연결풀리와 결합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는 입력구동판(40)을 포함하고 있다. 엔진연결풀리(30)의 외측에는, 엔진연결풀리와 엔진 출력축을 결합하는 볼트(B)의 헤드가 수납될 수 있는 오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연결풀리(32)에는, 벨트에 의하여 별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한 풀리홈을 구비하는 예비풀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케이스(50)는, 그 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면브라켓(56)과, 그 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브라켓(5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Description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와 같은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서 출력축을 통하여 나오는 메인 동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하는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별도의 예비 동력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식을 위한 농업용 작업기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특허 제10-1717161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면, 전후 방향에 대하여 더욱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엔진을 가로(좌우 방향)로 배치함과 동시에, 주행 안전성을 위한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U자형의 엔진프레임에 엔진을 장착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는, 엔진에서 출력되는 동력이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이앙기와 같은 작업기의 작업 환경에서 정확한 동력전달이 문제시 될 수 있는 단점이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하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엔진 주변의 구조의 컴팩트화를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이상의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엔진을 가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이식용 작업기에서 엔진의 출력을 미션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에서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중에서 예비적인 동력을 별도로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에서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는, 볼트에 의하여 엔진 출력축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엔진연결풀리와, 상기 엔진연결풀리와 결합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는 입력구동판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케이스는 입력구동판과 연동하는 기어를 포함하여 동력전달을 위한 다수의 기어를 내장하고, 후방을 향하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엔진연결풀리의 외측에는, 엔진연결풀리와 엔진 출력축을 결합하는 볼트의 헤드가 수납될 수 있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엔진연결풀리에는, 벨트에 의하여 별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한 풀리홈을 구비하는 예비풀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입력구동판에서 입력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케이스의 기어의 중심축과 입력구동판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동력전달케이스는, 그 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면브라켓과, 그 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동력전달케이스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방진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방진구의 상부는 상부브라켓를 통하여 동력전달케이스에 연결되고, 방진구의 하부는 하부브라켓을 통하여 보강브라켓에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연결풀리의 외측에는 오목홈이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오목홈을 통하여 볼트로 엔진연결풀리와 엔진의 출력축을 연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다 컴팩트한 동력전달장치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전달케이스가 전후방에서 각각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방진프레임에 지지되고 있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지지강도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케이스가 별도의 방진구를 이용하여 보강프레임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특히 동력전달케이스의 출력축 부근의 진동 및 견고한 구조적 지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엔진 주변을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엔진 주변을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엔진 주변을 분해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발명의 엔진 출력축 주변의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엔진 동력전달장치의 요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먼저 엔진의 출력축에서 미션에 이르기까지의 동력전달장치에 대하여 살펴본 후, 이러한 동력전달장치의 요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은, 방진프레임(18)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한 쌍의 U형 엔진프레임(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엔진프레임(10)은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의 전체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진프레임(18)과 엔진프레임(10) 사이에는 다수의 방진구(12)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의 지지구조 자체는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의 출력축(20)은, 엔진연결풀리(30), 입력구동판(40)을 거쳐 동력전달케이스(50)의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기어를 거쳐서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케이스(50)의 출력축(50a)은 예를 들면 유니버셜죠인트(53)를 거쳐서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기의 엔진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축(20)은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동력전달케이스(50)의 출력축(50a)은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케이스(50)는 측면을 향하는 엔진 출력축(20)의 동력을 다수의 내부 기어를 통하여 후방을 향하는 동력전달케이스 출력축(50a)으로 방향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서, 엔진의 출력축(20)에서 동력전달케이스(50)까지의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출력축(20)은 연결볼트(B)에 의하여 엔진연결풀리(30)와 동축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엔진연결풀리(30)의 외측면(연결볼트가 결합되는 외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홈(32)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연결풀리(30)를 엔진의 출력축(2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B)의 헤드가 상술한 오목홈(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볼트(B)는 와셔를 개재한 상태로 출력축(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볼트(B)의 헤드를 오목홈(32)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력전달장치가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한다. 그리고 엔진연결풀리(30)의 외부연결부(36)의 내측(엔진측)에는 예비풀리부(34)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예비풀리부(34)는 벨트를 감을 수 있는 풀리홈으로 성형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벨트를 감아 걸어서 엔진연결풀리(30)로부터 별도의 동력을 취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엔진연결풀리(30)의 외측에는, 외부연결부(36)를 통하여 입력구동판(40)이 다수의 볼트(B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구동판(40)의 외측에는 동력전달케이스(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케이스(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프레임(10) 및/또는 방진프레임(18)에 의하여 지지된다. 동력전달케이스(5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가 기어열을 이루면서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케이스(50) 내부의 기어 중에서, 가장 먼저 동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51)의 중심축(51a)는 내측(엔진측)으로 연장되어 동력전달케이스(50)를 돌출한 상태이다. 이러한 중심축(51a)의 돌출된 내측단부에는 스플라인(수 스플라인) 가공되어 있어서, 입력구동판(40)의 중심공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암 스플라인)과 서로 맞물림으로써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중심축(51a)의 단부에는 볼트(B)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먼 피난 홈을 형성)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엔진의 출력축(20)에서, 엔진연결풀리(30), 입력구동판(40)을 거쳐 동력전달케이스(50) 내부의 제1기어(51)로 동력이 전달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케이스(50) 내부의 기어열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동력전달케이스(50)의 출력축(50a)은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축(50a)은 도시하지 않은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유니버셜 죠인트(53)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동력전달케이스(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전달케이스(50)의 후면은 후면브라켓(54)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후면브라켓(54)의 일측(상부의 수직부분)은 동력전달케이싱(50)의 후면에 볼트 연결되어 있고, 후면브라켓(54)의 타측(하부의 수평부분)은 방진프레임(18) 상에 수평 방향으로 볼트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케이스(50)의 전면 측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브라켓(56)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전면브라켓(56)의 일측(외측의 수직부분)은 동력전달케이스(50)의 내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전면브라켓(56)의 타측(내측의 수평부분)은 방진프레임(18) 상에 수평으로 볼트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케이스(50)는,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 각각 전면브라켓(56) 및 후면브라켓(5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지구조 이외에도, 동력전달케이스(50)의 출력축(50a)에 인접한 부분은 별도의 방진구(58)를 통하여 보강브라켓(52)에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방진구(58)가 보강브라켓(52)과 동력전달케이스(5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동력전달케이스(50)를 진동흡수와 같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구(58)의 상부는 상부브라켓(58a)를 통하여 동력전달케이스(50)에 연결되고, 방진구(58)의 하부는 하부브라켓(58b)을 통하여 보강브라켓(52)에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부브라켓(58a) 및 하부브라켓(58b)은, 방진구(58)의 연결을 위하여 개재되는 것이고, 부착되는 부분의 외형에 따라서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보강브라켓(52)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엔진프레임(10)에 연결되어 엔진프레임(1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브라켓(52)은 좌우 한 쌍이 엔진프레임(10)에 설치되는데, 일측의 보강프레임(52)(도 1에서 우측의 것)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방진구(58)를 통하여 동력전달케이스(50)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브라켓(52)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방진구(58)를 동력전달케이스(50)의 출력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이 부분에 대한 진동을 감쇄하는 등 안정적인 지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출력축에서 시작되는 동력전달장치에서는 보다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벨트를 통하여 별도의 동력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력전달장치에 포함된 동력전달케이스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도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할 것이라고 할 것이다.
10 ..... 엔진프레임
12 ..... 방진구
18 ..... 방진프레임
20 ..... 엔진의 출력축
30 ..... 엔진연결풀리
32 ..... 오목홈
40 ..... 입력구동판
50 ..... 동력전달케이스
52 ..... 보강브라켓
54 ..... 후면브라켓
56 ..... 전면브라켓
58 ..... 방진구

Claims (5)

  1. 볼트(B)에 의하여 엔진 출력축(20)에 결합되는 엔진연결풀리(30)와;
    상기 엔진연결풀리(30)의 외측에 다수의 볼트(Ba)로 결합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는 입력구동판(40); 그리고
    입력구동판과(40) 연동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어를 내장하고, 후방을 향하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있는 동력전달케이스(50)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연결풀리의 외측에는, 엔진연결풀리와 엔진 출력축을 결합하는 볼트의 헤드가 수납될 수 있는 오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케이스(50) 내부의 기어 중에서, 가장 먼저 동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51)의 중심축(51a)은 동력전달케이스(50)를 돌출하여 엔진 출력축(20)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심축(51a)의 내측단부와 입력구동판(40)의 중심공 사이에서는 스플리인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연결풀리에는, 벨트에 의하여 별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한 풀리홈을 구비하는 예비풀리부가 형성되는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케이스는, 그 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면브라켓과, 그 후면과 방진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면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케이스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방진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방진구(58)의 상부는 상부브라켓(58a)를 통하여 동력전달케이스(50)에 연결되고, 방진구(58)의 하부는 하부브라켓(58b)을 통하여 보강브라켓(52)에 연결되는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200188749A 2020-12-31 2020-12-31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55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9A KR102558144B1 (ko) 2020-12-31 2020-12-31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9A KR102558144B1 (ko) 2020-12-31 2020-12-31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68A KR20220096368A (ko) 2022-07-07
KR102558144B1 true KR102558144B1 (ko) 2023-07-21

Family

ID=8239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49A KR102558144B1 (ko) 2020-12-31 2020-12-31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4099A (ja) * 2008-07-07 2010-01-21 Yanmar Co Ltd エンジン
WO2017198792A1 (en) * 2016-05-18 2017-11-23 Valeo Otomotiv Sanayi Ve Ticaret A.S. A powertrain unit having a bolt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726A (ja) * 2001-05-22 2002-11-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CN104219945A (zh) * 2012-03-27 2014-12-17 洋马株式会社 插秧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4099A (ja) * 2008-07-07 2010-01-21 Yanmar Co Ltd エンジン
WO2017198792A1 (en) * 2016-05-18 2017-11-23 Valeo Otomotiv Sanayi Ve Ticaret A.S. A powertrain unit having a bolt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6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062B2 (en) Work vehicle comprising vehicle frames
KR101244708B1 (ko)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JP6066808B2 (ja) 作業車
KR102558144B1 (ko)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US20020139597A1 (en) Wheel type traveling and operating vehicle
US8069944B2 (en) Vehicle engine mount
US2940534A (en) Power take-off mechanism
KR102316277B1 (ko)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KR102298376B1 (ko)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KR102180042B1 (ko) 엔진 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앙기 프레임
KR102255133B1 (ko) 이앙기의 동력전달장치
JP6257479B2 (ja) コンバイン
CA1151441A (en) Pto rear mounting
KR102316275B1 (ko)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KR101348265B1 (ko) 농기계 장착용 예취기
CN214197128U (zh) 小型农机传动链条盒
KR101093727B1 (ko) 중공축형 모터와 하모닉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동일 축 상에 구동 축을 일체화한 다축 구동 장치
WO2011137462A1 (en) Oscillating device for generating seismic loads and compacting soil
JP5646268B2 (ja) チェーンコンベアカッタ
KR102530334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조립체
CN108200802B (zh) 联合收割机
JPS6221470Y2 (ko)
KR101182894B1 (ko) 이앙기
JP2014193716A (ja) 田植機
RU2184439C2 (ru) Самоходный корм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