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768A -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768A
KR20200123768A KR1020200138088A KR20200138088A KR20200123768A KR 20200123768 A KR20200123768 A KR 20200123768A KR 1020200138088 A KR1020200138088 A KR 1020200138088A KR 20200138088 A KR20200138088 A KR 20200138088A KR 20200123768 A KR20200123768 A KR 2020012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bacillus
memory
ability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숙
이보경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3768A/ko
Publication of KR2020012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내지 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차조기 추출물에 비하여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유의적으로 증강시키므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내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iber or fragrance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for cognitive or memory abilit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내지 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사회적 환경이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점점 더 많은 자극을 접하게 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청소년, 특히 수험생들의 장기간 학습 활동 내지 기억 활동은 심신을 비롯하여 두뇌의 피로를 유발하며 두뇌의 건전한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년기 이후에는 중추신경의 기능저하로 인한 기억력감퇴 또는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노인층에서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 의해 기억능력이 저하되어 그 정도가 심한 경우 사회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되고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기억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과거의 일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말하는데, 특히 학습과 기억은 상호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항상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기억은 기술의 습득, 습관 등이 포함되는 무의식적인 비서술성 기억(nondeclarative memory)과 과거에 일어났던 사실이나 사건과 같이 의식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서술성 기억(declarative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운전이나 피아노를 치는 것과 같은 복잡한 행동도 습관화되면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듯이 반복에 의하여 서술성 기억이 비서술성 기억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서술성 기억은 현재 주어지는 정보에 집중하고 수초 동안만 임시로 저장하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 수시간 내지 수일간 기억이 지속되는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오랜 시간이 지난 과거의 일을 기억하는 장기기억(remote memory) 등으로 구분된다. 단기기억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전환되는 기간을 포함한다. 이 기간 동안 기억으로서의 저장이 취약하여 망각되기 쉬우나, 일단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면 뇌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쉽게 잊어버리지 않는다.
기억은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첫 번째로 새로운 정보 또는 지식을 외워서 뇌에 입력하는 입력단계, 두 번째는 상기 뇌에 입력된 정보 또는 지식을 뇌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세 번째는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지식을 다시 생각하는 회상단계가 그것이다. 상기 세 단계 중에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보 또는 지식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없게 되는 현상 즉, 기억력 저하 내지 감퇴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기억력의 저하 내지 감퇴는 뇌조직의 신경세포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작용으로 인한 아세틸콜린의 양의 감소, β-amyloid(βA) 등으로 유발된 신경독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뇌세포의 괴사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기억능력의 저하 내지 감퇴에 대하여 현재 외과적 방법이나 약물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고 있으나, 외과적 방법은 용이하지 아니한 측면이 있어 약물적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상기 약물적 방법으로서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억제제(타크린, 아리셉트,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린 또는 갈란타민 등)가 상업화되어 있으나, 이는 기억능력의 저하 내지 감퇴를 치료하기 보다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일시적 증상 호전을 나타낼 뿐이다. 더군다나 간독성, 위장관장애, 심장 서맥 유발, 체중감소 및 불면증 등의 부작용과 장기복용에 따른 독성 내지 의존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들을 개발하고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조기(Perilla frutescens)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기침, 가래, 인후염, 소화불량, 부스럼, 마비증상 당뇨병, 요통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며, 항균효과 또는 항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출원 제 2004-219382 호는 안면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차조기 잎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섭취하는 경우 수면시간이 연장되는 등 안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미생물로 발효시킨 차조기 추출물 내지 이를 조성물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개선하는 효과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증진시키면서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의 감소 내지 관련 질환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화학적 약물들을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내지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 추출물은 차조기의 잎, 줄기, 꽃,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다음 발효균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균주는 고초균 또는 유산균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스테아로서모필리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롱검(Bacillus longum),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서큘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바실러스(Bacillus)속 균이고; 및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균;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5℃ 내지 80℃ 에서 30분 내지 10일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로 염색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침구류, 의류, 커튼류, 카펫류, 실내화류, 타올류, 벽지류, 섬유재질의 실내 커버용품류, 인형류 및 안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은 향수류, 향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차조기 추출물에 비하여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유의적으로 증강시키므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내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구속에 의하여 인지능력이 저하(Restraint stress)된 쥐에 차조기 추출물(차W) 또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차B, 차L)을 투여한 후 Y-미로 테스트(Y-maze test)를 통하여 마우스의 변경행동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차W에 비하여 차B 또는 차L을 각각 투여한 경우 변경행동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투여에 의하여 인지능력이 저하(scopolamine)된 쥐에 차조기 추출물(차W) 또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차B, 차L)을 투여한 후 Y-미로 테스트(Y-maze test)를 통하여 마우스의 변경행동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차W에 비하여 차B 또는 차L을 각각 투여한 경우 변경행동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저하 내지 감퇴에 대하여 사용되는 약물들은 인체 내부 장기 장애, 독성 내지 의존성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상기 약물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식물 유래 천연물을 이용하여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은 차조기 유래 추출물을 고초균 등의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으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유의적으로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로서, 더 나아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차조기 추출물을 먼저 제조한 다음 발효균주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인지능력(인지력)"은 사물을 분별하여 인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공간인지능력, 사고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판단능력 또는 집중력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인지능력이 저하 내지 감퇴되는 경우 인지기능 장애(congnitive dysfunction)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뇌질환, 뇌상해, 중독 등으로 인한 정신적, 행동적 장애 및 내분비이상, 대사영양적 이상, 약물 등으로 인한 기억력 저하(memory decline) 및 기억력 장애(memory impairment)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억능력(기억력)"은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해두는 능력으로서, 인지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억능력이 저하 내지 감퇴되는 경우 건망증 등 기억능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해당 질환의 증상으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이 저하 내지 감퇴가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개선"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이 질적 또는 양적으로 증강되거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과 관련된 질환들이 질적 또는 양적으로 완화되는 모든 효과를 의미한다.
차조기 추출물을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발효시켜 제조(실시예 1)한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구속 또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투여로 인지능력 내지 기억능력을 저하시킨 마우스에 투여한 후 Y-미로 테스트(Y-maze test)를 수행(실시예 2 및 실시예 3)한 결과, 마우스의 변경행동력(spontaneous alteration)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이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스코폴라민(scopolamine)은 히오스신(hyoscine)이라고도 불리며, 멀미 또는 수술 후 메스꺼움 내지 구토 치료 용도로 사용된다. 신경계 내에서 아세틸콜린의 효과 중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항우울제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아세틸콜린과 인지 내지 기억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또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투여로 인해 인지능력 내지 기억능력을 저하시킨 마우스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의 감퇴에서 더 나아가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이 발생한 마우스로 볼 수 있다.
상기 Y-미로 테스트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의 회복을 확인하는 테스트로서, 순차적으로 행동하는 능력, 공간기억능력 내지 공간인지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섬유 내지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차조기(Perilla frutescens)는 차즈기로도 불리며 항균 내지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캘리포니아롤 또는 스시 등 밥으로 하는 요리에 사용되기도 하며 음식의 색을 내거나 직물 등을 염색하는데에 염료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차조기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는 차조기의 잎, 줄기, 꽃 또는 열매 등의 지상부 내지 전초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차조기의 잎, 줄기, 꽃 또는 열매 등의 지상부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실시예 1).
상기 차조기 추출물을 발효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발효균주는 고초균 또는 유산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Bacillus)속,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인 것이 차조기 추출물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증강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에 바람직하다.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스테아로서모필리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롱검(Bacillus longum),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서큘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바실러스(Bacillus)속 균; 일 수 있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균; 일 수 있다.
발효 조건은 5℃ 내지 80℃ 에서 30분 내지 10일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3일 내지 8일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에서 4일 내지 6일 동안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실시예 1).
상기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투여경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가능하며, 비경구의 경우 피부외용, 주사, 경피 또는 비강 등의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량은 1kg 당 0.001 mg 내지 10000mg 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kg 당 0.01mg 내지 1000mg 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염료 조성물, 의약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품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최소한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증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섬유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거나, 염료로서 사용하여 염색되거나, 분사 등으로 섬유 표면에 차조기 발효 추출물이 부착된 것 등 차조기 발효 추출물로 인하여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섬유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염료로서 사용하여 염색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는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침구류, 의류, 커튼류, 카펫류, 실내화류, 타올류, 벽지류, 섬유재질의 실내 커버용품류, 인형류 및 안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침구류는 잠을 자는데 필요한 이부자리(이불, 요), 베게 또는 쿠션 등을 의미하고, 의류는 잠을 잘 때 입을 수 있는 잠옷, 속옷 또는 양말 등을 의미하며, 섬유 재질의 실내 커버용품류는 의자 또는 책상 등 가구나 장식품, 기구 등을 오염 기타 이유로 덮어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섬유 재질의 커버류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향료는 아로마(aroma)등 향기를 내는데 쓰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차조기 발효 추출물로 인하여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 향기를 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향수류, 향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비누, 세안제 또는 입욕제 등 목욕하는데에 필요한 제품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품들에 포함되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양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조절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상기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그 기재로 대신한다.
상기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해당 질환의 증상으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이 저하 또는 감퇴가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바람직하게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치매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뇌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뇌경색, 뇌졸중, 알츠하이머, 전두측두엽변성증(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픽병(Pick's disease), 피질기조퇴행(Corticobasal degeneration, CBD), 퇴행성 핵상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파킨슨병 또는 헌팅턴병 등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저하 내지 감퇴를 증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에이즈(AIDS) 유발성 치매, 뇌신경염증성 치매, 루이소체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발성 경색치매(Multi-Infarct Dementia, MID), 척수손상 또는 두부손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치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당뇨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하는 주사제; 경피 투여제; 또는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추출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으로는, 비경구 투여 시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 시는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당뇨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상기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그 기재로 대신한다.
상기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대상으로 하는 질환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그 기재로 대신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차조기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 제조
차조기를 80℃에서 열수추출한 후 121℃에서 20분간 멸균하여 차조기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차W). 상기 멸균된 차조기 열수추출물을 고초균 또는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초균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각각 차조기 추출물에 접종한 후 온도 25 ℃, 습도 80%의 환경에서 140rpm으로 진탕배양하면서 5일간 발효하여 최종적으로 차조기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발효물(차B) 및 차조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물(차L)의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마우스의 인지능 저하 유도
<2-1> 구속에 의한 인지능 저하 유도
ICR 마우스((주)오리엔트 바이오)에 0.9% 생리식염수(CTL, Veh),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차조기 추출물(차W) 또는 이의 발효 추출물(차B, 차L) 100 mg/kg 을 5일 동안 매일 단회 경구투여하며, 투여 30분 후 3시간씩 원형 구속 틀에 넣어 인지능 저하를 유발하였다. 인지능 저하 유발 종료 후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Y-미로 테스트(Y-maze test)를 실시하여 각각 마우스들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2-2> 스코폴라민에 의한 인지능력 저하 유도
ICR 마우스((주)오리엔트 바이오)에 0.9% 생리식염수(CTL, Veh),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차조기 추출물(차W) 또는 이의 발효 추출물(차B, 차L) 100 mg/kg 을 단회 경구투여 30분 후 인지능 저하를 유도하기 위해 항콜린성 약물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1 mg/kg로 복강투여하여 인지능력 저하를 유발하였다. 스코폴라민 투여 30분 후 Y-미로 테스트(Y-maze test)를 실시하여 각각 마우스들의 공간인지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차조기 발효 추출물의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인지능력 저하가 유발된 마우스들에 대해 차조기 발효 추출물이 효과적인지 여부를 Y-미로 테스트(Y-maze test)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Y-미로 테스트의 실험 장치는 아크릴 판(가로 3 cm, 세로 36 cm, 높이 15 cm)으로 제작한 Y자 모양의 사방이 막힌 미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미로는 서로 120°의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Y 모양의 미로를 A, B, C 영역으로 구분한 후 하나의 영역에 실험동물을 조심스럽게 놓고 7분간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다음, 실험동물이 들어간 영역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그 후, 각 미로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변경행동력(spontaneous alteration)을 평가하였다. 세 곳의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들어간 경우(변경행동, alteration) 1점으로 인정하며, 연속되게 들어가지 않은 경우는 점수로 인정하지 않았다. 변경행동력(%)은 하기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수식]
변경행동력(%) = (총 변경행동 수)/(총 입장 횟수 - 2) × 100
그 결과, [도 1] 내지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마우스의 인지능력은 구속 내지 스코폴라민(scopolamine)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차조기 추출물(차W)을 투여하는 경우 마우스의 인지능력이 개선되었으며, 차조기 발효 추출물(차B 또는 차L)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더욱 유의적으로 인지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예 ]
1. 건강 기능성 제제(캡슐) 제조
유당 25.0 중량%
전분 25.0 중량%
탈크 8.0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0 중량%
차조기 발효 추출물 40.0 중량%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 건강 기능성 음료 제조
비타민 0.5 중량%
식이섬유 4.0 중량%
액상과당 93.0 중량%
유화제 1.0 중량%
향료 0.5 중량%
차조기 발효 추출물 1.0 중량%
상기 조성물에 총 용량이 50 ㎖이 되도록 정제수를 혼합한다. 혼합액을 2 ~ 3 ㎛ 필터에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한 최종혼합액을 90 ~ 93 ℃에서 15 ~ 20초간 살균하여 50㎖ 병에 충진하고 80 ~ 85℃에서 15 ~ 20분간 후 살균하여 건강 기능성 음료제품을 완성하였다.
3. 스킨(화장수) 제조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수용액) 12.0 중량%
잔탄검(2% 수용액) 2.0 중량%
1,3-부틸렌글리콜 6.0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 중량%
이온교환수 68.0 중량%
차조기 발효 추출물 3.0 중량%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통상의 화장수 제조방법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4. 방향제 제조
95% 에탄올 65.0 ~ 75.0 중량%
차조기 발효 추출물 25.0 ~ 35.0 중량%
상기 에탄올과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12 ~ 20 분간 교반하여 방향제를 제조하였다.
5. 입욕제 제조
탄산수소나트륨 70.0 중량%
무수황산나트륨 29.0 중량%
차조기 발효 추출물 1.0 중량%
상기 탄산수소나트륨과 무수황산나트륨을 V형 믹서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상기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가하여 다시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 입욕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1.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차조기의 잎, 줄기, 꽃, 열매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다음 발효균주로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균주는 고초균 또는 유산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스테아로서모필리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롱검(Bacillus longum),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서큘란스(Bacillus circulans) 및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바실러스(Bacillus)속 균이고; 및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5℃ 내지 80℃ 에서 30분 내지 10일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차조기 발효 추출물로 염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침구류, 의류, 커튼류, 카펫류, 실내화류, 타올류, 벽지류, 섬유재질의 실내 커버용품류, 인형류 및 안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9. 차조기(Perilla frutescens)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향수류, 향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향료 조성물.
KR1020200138088A 2020-10-23 2020-10-23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23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88A KR20200123768A (ko) 2020-10-23 2020-10-23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88A KR20200123768A (ko) 2020-10-23 2020-10-23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982A Division KR102171589B1 (ko) 2019-03-22 2019-03-22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768A true KR20200123768A (ko) 2020-10-30

Family

ID=7304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88A KR20200123768A (ko) 2020-10-23 2020-10-23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37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37B1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37779B2 (ja) 微生物製剤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微生物製剤
JP5770425B2 (ja) 副交感神経活動亢進作用を有する医薬組成物又は飲食物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US10080375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alleviating cold hands and feet, containing fermented tea extract
KR102156917B1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14774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2666A (ko) 수면의 질 개선제
KR20200110262A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71589B1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39924A (ko) 차즈기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인한 인지장애, 학습력저하 또는 기억력저하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59273B1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인한 인지장애 또는 학습기억력 저하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23768A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섬유 또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200902033A (en) Neuroblast proliferate accelerant and nerve protuberance extend accelerant
KR102456080B1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8515A (ko)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3078A (ko) 차즈기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59092A (ko) 증숙 후 발효시킨 더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8927B1 (ko) 병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주름,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0843B1 (ko) 창이자를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9114B2 (ja) Ecmサイクル正常化剤
KR102156438B1 (ko)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4190547A (zh) 一种具有美容养颜功能的微生态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28938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주름,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