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095A -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095A
KR20200123095A KR1020207021371A KR20207021371A KR20200123095A KR 20200123095 A KR20200123095 A KR 20200123095A KR 1020207021371 A KR1020207021371 A KR 1020207021371A KR 20207021371 A KR20207021371 A KR 20207021371A KR 20200123095 A KR20200123095 A KR 2020012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lazo
amino
corneal
naphthalene
py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나코 이케다
아키라 가키즈카
시게루 기노시타
다카히로 나카무라
마호 나가타
노리코 고이즈미
나오키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학교법인 도시샤
교토후고리츠다이가쿠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학교법인 도시샤, 교토후고리츠다이가쿠호진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0012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8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carbocyclic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prohepta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6Nitrogen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07D213/77Hydraz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자들은 어느 종의 VCP 저해제가 각막 내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세포의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처치 및/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로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또다른 양태로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본 특허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51839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참조함으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 중에 편입되는 것으로 한다.
본원은,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막은 눈을 구성하는 조직의 하나이다. 각막의 가장 내측에 있는 각막 내피 세포는 펌프 기능을 갖고, 각막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각막 내피에는 분열능이 없어, 한번 장애를 받으면 재생되지 않는다. 장애를 받은 부분은 주위의 내피 세포가 면적을 확대하여 보충하지만, 세포수가 너무 적어지면 각막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시력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
각막 내피는 백내장이나 녹내장 등의 수술 침습, 급격한 안압 상승, 염증, 외상,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등의 질환에 의해 장애될 수 있다. 병상이 진행되면, 각막 이식(전층 각막 이식이나 각막 내피 이식 등)에 의해 감소한 각막 내피 세포를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막 내피 세포를 재생시키거나, 각막 내피 세포의 감소를 억제하거나 하는 유효한 치료법은 없다.
각막 상피 세포는 각막윤부(각막과 결막의 경계 부분)에 그의 줄기 세포가 존재하고, 매일 턴오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외상이나 결막염증 질환 등에 의해 줄기 세포가 피폐하면, 각막 상피 세포의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막 상피 결손이 천연한다. 그 결과 각막 투명성의 유지가 곤란해져서, 각막 상피의 결막화를 초래하여 시력이 저하된다. 또한, 각막 상피 장애는 종종 강한 안통을 수반한다. 각막 상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줄기 세포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하여 항염증제 등이 사용되지만, 그 효과는 한정적이다.
눈 수술이나 각막 이식 시에는 각막의 보호가 필요해진다. 현재 눈 수술시에 사용되는 안관류액(眼灌流液)으로서, 각막 내피 세포 및 망막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서 글루타티온이 첨가되어 있는 제품이 있다. 한편, 각막 이식용의 도너 각막의 보존에는 통상 Optisol-GS 등의 각막 보존액을 사용하는데, 최장일지라도 2주일 정도밖에 보존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각막을 보호하고, 각막 질환을 처치 또는 예방하는 것에 대하여 다면적인 요망이 있다.
VCP(valosin-containing protein; 발로신 함유 단백질) ATPase 저해 활성을 갖는 어느 종의 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유도체(특허문헌 1)는 녹내장, 망막 색소 변성증, 노인성 황반 변성, 허혈성 안질환 등의 안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에 유효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내지 4, 비특허문헌 1 및 2). 이들 질환에서는 후안부에 존재하는 망막 조직이나 시신경이 손상을 받는다. 각막에 대한 이들 약제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043891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4/129495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5/129809호 팸플릿
이케다 하나코 등 저, Sci Rep 4, 5970, 2014 나카노 노리코 등 저, Heliyon 2, e00096, 2016
본원의 목적은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VCP 저해제가 각막 내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세포의 보호 효과를 가짐을 알아냈다.
따라서, 어떤 양태에서 본원은 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의해 각막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 혹은 각막 보호 효과가 개선된 안관류용의 조성물 또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안티마이신 또는 올리고마이신 존재 하에서 배양한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상이며, KUS121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무글루코오스 하에서 배양한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상이며, KUS121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안티마이신 또는 올리고마이신 존재 하 또는 무글루코오스 하에서 배양한 토끼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내 ATP 농도의 측정 결과이며,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세포 내 ATP 농도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탑시가르긴 존재 하에서 배양한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 형태 및 아포토시스를 나타내는 위상차 현미경상이며, KUS121의 세포 장애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탑시가르긴 존재 하에서 배양한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의, 절단 카스파아제 3 및 PARP의 웨스턴 블롯의 결과이며,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아포토시스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Optisol-GS 중에서 1 내지 4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조직 절편의 HE 염색상이며, KUS121 또는 KUS187의 존재 하에서는, 각막 조직 형태의 변화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Optisol-GS 중에서 1 내지 4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중앙부의 각막 두께를 계측한 결과이며, KUS121 또는 KUS187의 존재 하에서는, 각막의 팽화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Optisol-GS 중에서 1 내지 4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조직 절편의 TUNEL 염색상이며, KUS121 또는 KUS187의 존재 하에서는 아포토시스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각 절편에 대해서, 3 시야의 화상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과 동 시야의 요오드화 프로피디움(PI) 염색상을 나타낸다.
도 10은 Optisol-GS 중에서 1 내지 4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조직 절편에 있어서의 TUNEL 염색 양성 세포율을 나타낸다. KUS121 또는 KUS187의 존재 하에서는, 전 기간을 통해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TUNEL 염색 양성 세포율이 낮다.
도 11은 Optisol-GS 중에서 1 내지 4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조직 절편의 Na+/K+ATPase 염색상이며, KUS121 또는 187의 존재 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1주부터 각막 내피 세포의 변화가 적은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과 동 시야의 PI 염색상을 나타낸다.
도 13은 Optisol-GS 중에서 1주일에 걸쳐 보존한 토끼 각막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대조에서는, 각막 상피 세포의 공포화 및 미융모(microvilli)의 소실, 그리고 각막 실질 및 각막 내피 세포의 팽윤화가 보이지만,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치가 「약」의 용어를 수반하는 경우, 그 값의 ±10%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약 20」은 「18 내지 2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수치의 범위는 양쪽 단부점 사이의 모든 수치 및 양쪽 단부점의 수치를 포함한다. 범위에 관한 「약」은 그 범위의 양쪽 단부점에 적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약 20 내지 30」은 「18 내지 3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특별히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유기 화학, 의학, 약학, 분자 생물학, 미생물학 등의 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그대로의 의미를 갖는다. 이하에 몇 가지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정의를 기재하는데, 이들 정의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반적인 이해에 우선한다.
「알킬」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가 포화 지방족 히드로카르빌기를 의미한다. 알킬은 예를 들어 직쇄 및 분지쇄 히드로카르빌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및 네오펜틸을 의미하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의 접두어 「치환」은 당해 기의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동일 또는 다른 지정하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렌」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포화 지방족 히드로카르빌기를 의미한다. 알킬렌기는 분지쇄 및 직쇄 히드로카르빌기를 포함한다.
「알콕시」는 -O-알킬(여기서, 알킬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부톡시, sec-부톡시 및 n-펜톡시를 의미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릴」은 1개의 환(예를 들어 페닐) 또는 복수의 축합환(예를 들어 나프틸 또는 안트릴)을 갖는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의 1가 방향족성 탄소환식기를 의미한다. 아릴기는 전형적으로는, 페닐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아릴옥시」는 -O-아릴(여기서, 아릴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페녹시및 나프톡시를 포함한다.
「시아노」는 -CN의 기를 의미한다.
「카르복실」 또는 「카르복시」는 -COOH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카르복시에스테르」는 -C(O)O-알킬(여기서, 알킬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한다.
「할로」는 할로겐, 특히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드를 의미한다.
「히드록시」는 -OH의 기를 의미한다.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치환기의 명명법은 관능기의 말단 부분을 명명하고, 이어서 결합점을 향하여 인접하는 관능기를 명명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치환기 「아릴알킬옥시카르보닐」은 (아릴)-(알킬)-O-C(O)-을 의미한다.
식 (I)의 화합물에는, 치환 패턴에 따라서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은 라세미체여도 되고, 기지의 방법으로 입체 이성적으로 순수한 성분으로 분리한 것이어도 된다. 어느 종의 화합물은 호변 이성체일 수 있다.
「에스테르」는 인 비보로 가수분해될 수 있는 에스테르를 의미하고, 인체에서 용이하게 분해되어서 친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에스테르기는,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특히 알칸산, 알켄산, 시클로알칸산 및 알칸이산에서 유래하는 것(여기서, 각 알킬 또는 알케닐기는, 예를 들어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에스테르의 예에는, 포름산에스테르,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틸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에틸숙신산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옥시드」는 헤테로아릴기의 질소환 원자가 산화되어, N-옥시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드러그」는 합리적인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성, 알레르기성 응답 등 없이 인간 또는 동물의 조직과 접촉시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합리적인 이익/위험비에 상응하는, 의도한 사용에 유효한 화합물의 프로드러그를 의미한다. 프로드러그는 인 비보에서 빠르게, 예를 들어 혈중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변환되어서, 상기 식의 친화합물을 초래하는 화합물이다. 일반적인 설명은, 문헌 [T. Higuchi and V. Stella,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및 [Edward B. Roche, ed.,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기재되어 있다(모두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인용한다).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은 식 (I)의 화합물의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염은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또는 황산과의 염, 또는 유기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벤조산 또는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또는 나프탈렌디술폰산과의 염이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은 상투의 염기와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예를 들어,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히드로아비에틸아민, 메틸피페리딘, L-아르기닌, 크레아틴, 콜린, L-라이신, 에틸렌디아민, 벤자틴, 에탄올아민, 메글루민 또는 트로메타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암모늄염, 특히 나트륨염일 수 있다.
「용매화물」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에서 용매 분자와의 배위에 의해 착체를 형성하고 있는 식 (I)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용매화물은 수화물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에 언급하는 경우, 문맥 중에서 부적절하지 않는 한,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식 (I)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식 (I)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식 (I) 중 Ra는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며, 다른 쪽이 알킬이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식 (I)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식 (I) 중 Ra는 3개 존재하고, 하나가 히드록시이며, 하나가 알킬이며, 하나가 알콕시이다.
어떤 실시 양태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표 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표 1-1]
Figure pct00002
[표 1-2]
Figure pct00003
[표 1-3]
Figure pct00004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하기 식
Figure pct00005
로 표시되는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 특히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하기 식
Figure pct00006
로 표시되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 특히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식 (I)의 화합물, 특히 상기 화합물의 특성 및 합성 방법은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 국제 공개 제2012/043891호, 국제 공개 제2014/129495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5/129809호 팸플릿(특허문헌 1 내지 4)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들 문헌 전체를 출전 명시에 의해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식 (I)의 화합물은 각막 내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사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따라서 각막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각막을 보호한다」 또는 「각막 보호」는 대상인 눈 내에 있거나 또는 이식용으로 절제된 각막에 있어서, 각막 내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세포의 세포사를 억제하는 것, 각막의 이상(예를 들어, 부종, 팽윤, 혼탁)을 억제하는 것, 및/또는 각막의 이상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대상은 각막 질환으로 이환되어 있어도 되고, 이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어떤 양태에서는,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의 보호를 필요로 하고 있는 대상에 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막의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을 식 (I)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각막의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보호용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식 (I)의 화합물은 그의 각막 보호 효과에 의해, 예를 들어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 안관류용의 조성물, 및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 등의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1)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
「각막 질환」은 각막에 있어서의 병변, 장애 또는 손상을 수반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각막 질환은 각막 내피 질환 또는 각막 상피 질환일 수 있다. 각막 내피 질환에는 각막 내피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질환, 예를 들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혹은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등의 각막 내피 변성,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혹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 낙설 증후군 또는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등, 혹은 외적 요인에 수반하는 염증 또는 물리적 손상, 예를 들어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각막 내피염,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내안 수술(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 초자체 수술, 녹내장 수술 등)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또는 수포성 각막증 등의 질환이 포함된다. 각막 상피 질환에는 점상 표층 각막염, 각막 미란, 각막 궤양, 드라이아이, 건성 각결막염, 주변부 각막 궤양, 각막 외상 등의 질환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처치한다」 또는 「처치」는 각막 질환으로 이환되고 있는 대상에 있어서, 각막 질환의 원인을 경감 또는 제거하는 것, 그의 진행을 지연 또는 정지시키는 것, 및/또는 그 증상을 경감, 완화, 개선 또는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예방한다」 또는 「예방」은 대상에 있어서, 특히 각막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이환되고 있지 않은 대상에 있어서, 각막 질환으로의 이환을 방지하는 것, 또는 각막 질환에 걸릴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막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또는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등의 각막 질환의 유전적 소인을 갖는 대상, 각막 질환의 원인을 갖는 대상이 포함된다. 각막 질환의 원인으로서는, 내안 수술(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 초자체 수술, 녹내장 수술 등), 각막 이식, 레이저 치료, 급격한 안압 상승, 염증, 외상, 결막염증 등을 들 수 있다.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의 대상으로서는 동물, 전형적으로는 포유 동물(예를 들어, 인간,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 특히 인간을 들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투여, 비경장 투여, 주사, 수액, 점안, 전안방 내, 초자체 내 투여 등의 일반적인 투여 경로를 거칠 수 있고, 조성물은 각 투여 경로에 적합한 제형일 수 있다.
경구 투여의 제형으로서는, 과립제, 세립제, 분제, 피복 정제, 정제, 좌제, 산제, 캡슐제, 마이크로 캡슐제, 츄어블제, 액제, 현탁제, 유탁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사에 의한 투여의 제형으로서는, 정맥 주사용, 점적 투여용, 안내 주사용, 활성 물질의 방출을 연장하는 제제 등의 의약 제제 일반의 제형을 채용할 수 있다. 점안용의 제형으로서는, 액제, 현탁제, 유탁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제제 상의 필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각종 제제용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제제용 물질은 제제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완충화제, 계면 활성제, 안정화제, 방부제, 부형제, 희석제, 첨가제, 붕괴제, 결합제, 피복제, 윤활제, 활택제, 풍미제, 감미제, 가용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어떤 실시 양태에서는 의약 조성물은 점안제이다. 점안제는 전형적으로는 염화나트륨, 농글리세린 등의 등장화제;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완충화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스테아르산폴리옥실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 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등의 방부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지만, 점안제의 성분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pH는 안과 제제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pH4 내지 8의 범위 내이다.
의약 조성물은 안관류액이어도 되고,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의 형태여도 된다. 의약 조성물은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이어도 되고,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의 형태여도 된다. 이들 제형의 상세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이 대상으로 투여되도록, 투여 대상의 동물종, 투여 대상의 건강 상태, 연령, 체중, 투여 경로, 투여 형태 등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의 유효량은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통상의 임상의 기술 및 판단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전신 투여에는 약 0.001 내지 약 1000mg/kg체중/일, 약 0.01 내지 약 300mg/kg체중/일, 약 0.1 내지 약 100mg/kg체중/일, 혹은 약 1.0 내지 약 30mg/kg체중/일의 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소 투여에 의해 약 0.01 내지 약 100μg/kg체중/일, 약 0.1 내지 약 10μg/kg체중/일, 혹은 약 0.3 내지 약 3μg/kg체중/일의 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은 1일 1회 이상, 예를 들어 하루 2회, 3회 또는 4회 투여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한층 더한 유효 성분, 특히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한 유효 성분과 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약 조성물은 식 (I)의 화합물에 추가로, 1종 또는 그 이상의 한층 더한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성분을 「병용한다」는 것은, 전성분을 함유하는 투여 제형의 사용 및 각 성분을 별개로 함유하는 투여 제형의 조합 사용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각막 질환의 예방 및/또는 처치에 사용되는 한, 각 성분을 동시에, 또는 어느 성분을 지연시켜서 투여하는 것도 의미한다. 2종 또는 그 이상의 한층 더한 유효 성분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병용에 적합한 유효 성분에는 예를 들어 항염증제, 항균제, 항진균제, 면역 제어제, 항바이러스제가 포함된다.
식 (I)의 화합물에 의한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에 추가로, 약물 요법 이외의 안질환의 치료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적합한 치료법에는, 예를 들어 외과 수술, 광선 역학 요법, 유전자 치료, 재생 의료, 각막 이식, 레이저 치료가 포함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고 있는 대상에 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2) 안관류용의 조성물
백내장 수술, 초자체 수술, 녹내장 수술 등의 눈 수술 시에는, 안관류 및 세정을 목적으로 하여, 통상 안관류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수술 시에는, 각막 부종이나 각막 혼탁 등의 각막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식 (I)의 화합물을 안관류액에 첨가함으로써, 각막을 보호하여 각막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안관류용의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의 제형일 수 있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안관류액으로서 제공되어도 되고, 다른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안관류액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 밖의 성분은 기존의 안관류액과 동등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수에 가까운 성분이며, 옥시글루타티온 등의 글루타티온류, 항생 물질 등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기존의 안관류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생리 식염액, 락트산 링거액, BSS PLUS(상품명), 오페가드(상품명), 옥시글루타티온 안관류액(상품명)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경우, 조성물은 안관류액의 기능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어떠한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안관류용의 조성물은, 안관류액으로서 사용할 때에 식 (I)의 화합물을 유효한 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사용 시의 유효 농도는, 예를 들어 0.1μM 내지 10mM, 1μM 내지 1mM, 2μM 내지 200μM, 5μM 내지 100μM 또는 10μM 내지 100μM일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는 눈 수술을 받고 있는 대상의 안관류를 행하는 방법이며,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액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눈 수술을 받고 있는 대상에 있어서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액을 사용하여 안관류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각막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를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용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안관류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3)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
각막 이식 시에는, 각막 제공자(도너)로부터 제공된 각막(이식 각막)을 환자로의 이식 수술 시까지 보존할 필요가 있다. 식 (I)의 화합물을 각막 보존액에 첨가함으로써, 각막을 보호하여 보다 양호한 상태에서 보존할 수 있다.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의 제형일 수 있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각막 보존액으로서 제공되어도 되고, 다른 각막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각막 보존액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 밖의 성분은 기존의 각막 보존액과 동등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본 매체, 완충제, 콘드로이틴 황산, 덱스트란, 비타민류, ATP 전구체, 항생 물질 등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기존의 각막 보존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M199 배지, MEMα 배지, MK 배지, CSM 배지, CSMD 배지, DMEM/F-12 배지, Optisol-GS(상품명), K-Sol(상품명), EP2(상품명)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각막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경우, 조성물은 각막 보존액의 기능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어떠한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은 각막 보존액으로서 사용할 때에 식 (I)의 화합물을 유효한 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사용 시의 유효 농도는, 예를 들어 0.1μM 내지 10mM, 1μM 내지 1mM, 2μM 내지 200μM, 5μM 내지 100μM 또는 10μM 내지 100μM일 수 있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의 보존 방법이며,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존액 중에서 이식 각막을 보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유효량의 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존액 중에서 이식 각막을 보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식 각막의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을 보존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의 보존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 보존을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 보존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떤 양태에서는, 이식 각막 보존 시에 각막을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 (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실시 양태가 제공된다.
[1] 식 (I):
Figure pct00007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2]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
[3]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성물.
[4] Ra가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며, 다른 쪽이 알킬인,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성물.
[6] Ra가 3개 존재하고, 하나가 히드록시이며, 하나가 알킬이며, 하나가 알콕시인,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조성물.
[7] 식 (I)의 화합물이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
[8]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1항, 제2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조성물.
[9]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0]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1]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것 기재된 조성물.
[12]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3]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4] 각막 질환이 각막 내피 질환인, 제13항에 기재된 조성물.
[15] 각막 내피 질환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낙설 증후군,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각막 내피염,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내안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또는 수포성 각막증인, 제14항에 기재된 조성물.
[16] 각막 내피 질환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또는 수포성 각막증인, 제14항 또는 제15항에 기재된 조성물.
[17] 각막 질환이 각막 상피 질환인, 제13항에 기재된 조성물.
[18] 각막 상피 질환이 점상 표층 각막염, 각막 미란, 각막 궤양, 드라이아이, 건성 각결막염, 주변부 각막 궤양 또는 각막 외상인, 제17항에 기재된 조성물.
[19] 각막 질환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낙설 증후군,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각막 내피염,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내안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수포성 각막증, 점상 표층 각막염, 각막 미란, 드라이아이, 건성 각결막염 또는 주변부 각막 궤양인, 제13항에 기재된 조성물.
[20] 각막 질환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수포성 각막증, 각막 미란, 드라이아이 또는 각막 외상인, 제13항 또는 제19항에 기재된 조성물.
[21] 점안제인,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22] 안관류액 또는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23]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 또는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24]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8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
[25]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24항에 기재된 조성물.
[26]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24항 또는 제25항에 기재된 조성물.
[27] Ra가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며, 다른 쪽이 알킬인,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28]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24항 또는 제25항에 기재된 조성물.
[29] Ra가 3개 존재하고, 하나가 히드록시이며, 하나가 알킬이며, 하나가 알콕시인, 제24항, 제25항 또는 제28항에 기재된 조성물.
[30] 식 (I)의 화합물이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24항에 기재된 조성물.
[31]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24항, 제25항 또는 제30항에 기재된 조성물.
[32]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24항 내지 제27항,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33]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24항 내지 제27항 및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34]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24항, 제25항 및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35]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24항, 제25항, 제28항 내지 제31항 및 제34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36] 각막 질환이 각막 내피 질환인, 제24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37] 각막 내피 질환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낙설 증후군,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백내장 수술 후 각막 손상,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망막 수술 후 각막 손상, 초자체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또는 수포성 각막증인, 제36항에 기재된 조성물.
[38] 각막 내피 질환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또는 수포성 각막증인, 제36항 또는 제37항에 기재된 조성물.
[39] 각막 질환이 각막 상피 질환인, 제24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0] 각막 상피 질환이 각막 미란, 드라이아이 또는 각막 외상인, 제39항에 기재된 조성물.
[41] 각막 질환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낙설 증후군,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백내장 수술 후 각막 손상,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망막 수술 후 각막 손상, 초자체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수포성 각막증, 각막 미란 또는 드라이아이인, 제24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2] 각막 질환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수포성 각막증, 각막 미란, 드라이아이 또는 각막 외상인, 제24항 내지 제35항 및 제4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3] 점안제인, 제24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4] 안관류액 또는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24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5]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 또는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24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46]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9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용의 조성물.
[47]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46항에 기재된 조성물.
[48]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46항 또는 제47항에 기재된 조성물.
[49] Ra가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며, 다른 쪽이 알킬인,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0]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46항 또는 제47항에 기재된 조성물.
[51] Ra가 3개 존재하고, 하나가 히드록시이며, 하나가 알킬이며, 하나가 알콕시인, 제46항, 제47항 또는 제50항에 기재된 조성물.
[52] 식 (I)의 화합물이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46항에 기재된 조성물.
[53]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46항, 제47항 또는 제52항에 기재된 조성물.
[54]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46항 내지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5]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46항 내지 제49항, 제52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6]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46항, 제47항 및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7]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46항, 제47항, 제50항 내지 제53항 및 제56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8] 안관류액인, 제4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9]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4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60]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10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
[61]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60항에 기재된 조성물.
[62]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60항 또는 제61항에 기재된 조성물.
[63] Ra가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며, 다른 쪽이 알킬인,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64]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60항 또는 제61항에 기재된 조성물.
[65] Ra가 3개 존재하고, 하나가 히드록시이며, 하나가 알킬이며, 하나가 알콕시인, 제60항, 제61항 또는 제64항에 기재된 조성물.
[66] 식 (I)의 화합물이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60항에 기재된 조성물.
[67]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60항, 제61항 또는 제66항에 기재된 조성물.
[68]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60항 내지 제63항, 제66항 및 제67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69]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60항 내지 제63항 및 제6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70]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60항, 제61항 및 제64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71]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제60항, 제61항, 제64항 내지 제67항 및 제70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72]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인, 제60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73]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제60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모든 문헌은, 출전 명시에 의해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명은 모두 비한정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정의되고, 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KUS121: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
KUS187: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
KUS121 및 KUS187은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시험 1: 토끼 배양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의 효과
일본 백색 집토끼의 전안구(후나코시)로부터 전도에 의해 윤부에서 절개하여 적출한 각막으로부터, 크레센트 나이프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내피 세포를 소파, 채취하고, 10% 소태아혈청 및 bFGF 2ng/ml 함유 DMEM 중에서 초대 배양을 행하였다. 서브 콘플루언트가 된 시점에서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채취하고, 등량(4×104개/웰)을 12웰 플레이트에 계대하고, 상기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1) 대조(상기 배지+DMSO), (2) 상기 배지+KUS121(50μM), (3) 상기 배지+안티마이신(20μM), (4) 상기 배지+안티마이신(20μM)+KUS121(50μM), (5) 상기 배지+올리고마이신(10μM), (6) 상기 배지+올리고마이신(10μM)+KUS121(50μM), (7) bFGF 2ng/ml 함유 DMEM(무글루코오스), (8) bFGF 2ng/ml 함유 DMEM(무글루코오스)+KUS121(50μM)의 8 조건의 배지로 교환하고, 배양을 계속하였다.
(1) 세포 형태의 관찰
약제 첨가 후, 위상차 현미경으로 경시적으로 배양 각막 내피 세포의 사진 촬영을 행하였다.
도 1은 약제 첨가의 28시간 후의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상이다. 안티마이신 또는 올리고마이신으로 처리하면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사가 야기되었지만, KUS121(50μM)의 존재 하에서는 세포사가 억제되었다. 도 2는 무글루코오스 하에서 배양한, 약제 첨가의 96시간 후의 세포의 위상차 현미경상이다. 무글루코오스 하에서 배양하면, 각막 내피 세포의 세포사가 야기되었지만, KUS121(50μM)의 존재 하에서는 세포사가 억제되었다.
(2) 세포 내 ATP 농도의 측정
약제 첨가 후의 배양 각막 내피 세포(P=1)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정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상기 배지(10% 소태아혈청 및 bFGF 2ng/ml 함유 DMEM)로 현탁하고, 세포수를 계측하였다. 일정수(2.5×104개)의 세포를 원심하고, PBS(-)로 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에 5×103개씩 5웰에 나누어서 제공하였다. 루시페라아제 발광법(「세포의」 ATP 측정 시약, 도요 비네트)에 의해 반응시키고, 루미노미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세포 내 ATP 농도의 상대값으로 하였다.
도 3은 세포 내 ATP 농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안티마이신 또는 올리고마이신으로 27시간 처리한 세포 및 무글루코오스 하에서 96시간 배양한 세포에서는 세포 내 ATP 농도가 저하되었지만,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세포 내 ATP 농도의 저하가 억제되었다.
시험 2: 인간 정상 도너 각막 유래 각막 내피 세포에 있어서의 효과
시애틀 아이 뱅크로부터 수입한 연구용 각막으로부터 각막 내피 세포를 기저막인 데스메막과 함께 박리하고, 각막 보존액인 Optisol-GS(바슈롬사)에 침지하였다. 그 후, 콜라게나아제 처리를 행하여 효소적으로 각막 내피 세포를 회수하여 배양하였다. 사용한 배지는 OptiMEM(Gibco, 31985070)에 10% 소태아혈청(FBS)을 첨가하고, 3T3 세포로 24시간 순화한 후에, 10μM의 SB203580(Funakoshi, 13067) 및 1μM의 SB431542(Wako, 192-16541)를 첨가한 것이다.
이하의 수순에 의해 각막 내피 세포를 불사화하였다. SV40 라지 T 항원 및 hTERT 유전자를 PCR에 의해 증폭하고, 렌티바이러스 벡터(pLenti6.3_V5-TOPO; Life Technologies Inc.)에 도입하였다. 그 후,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3종류의 헬퍼 플라스미드(pLP1, pLP2, pLP/VSVG; Life Technologies Inc.)와 함께 트랜스펙션 시약(Fugene HD; Promega Corp., Madison, WI)을 사용하여 293T 세포(RCB2202; Riken Bioresource Center, Ibaraki, Japan)에 감염시켰다. 48시간의 감염 후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배양 상청을 회수하고, 5μg/ml의 폴리브렌을 사용하여, 상기 배양한 각막 내피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고, SV40 라지 T 항원 및 hTERT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이리하여 얻어진 정상 각막 내피 세포의 불사화 세포주(iHCEC)의 위상차 현미경상을 확인한 바, 정상 각막 내피 세포와 마찬가지로, 1층의 다각형 형태를 가졌다. iHCEC는 둘베코 개변 이글 배지(DMEM)+10% 소태아혈청(FBS)에 의해 유지 배양을 행하였다.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를 배양 중인 배양 접시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사전에 37℃로 데워둔 1×PBS(-)를 첨가하고, 세정을 행하였다. 이 작업을 2회 반복하였다. 다시 1×PBS(-)를 첨가하고, 37℃(5% CO2)에서 3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PBS(-) 제거 후, 0.05% Trypsin-EDTA(나카라이테스크, 322778-34)를 첨가하고, 37℃(5% CO2)에서 5분간 인큐베이트 하였다. 그 후 배지에서 현탁하고, 1500rpm으로 3분간 원심함으로써 세포를 회수하였다.
배지: DMEM(나카라이테스크, 08456-36)+10% FBS(Biowest, S1820-500)+1% P/S(나카라이테스크, 26252-94)
12웰 플레이트에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로트: iHCEC1-1)를 1웰당 7×104개의 비율로 파종하고, 37℃(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 DMEM+10% FBS+1% P/S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KUS121(10μM, 25μM, 50μM, 10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 DMEM+2% FBS+1% P/S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μM의 탑시가르긴(와코, 209-17281) 및 KUS121(10μM, 25μM, 50μM, 100μM)을 포함하는 배지를 첨가하고, 8시간 배양을 행하였다.
배지: DMEM+2% FBS+1% P/S
탑시가르긴 첨가의 8시간 후에, 위상차 현미경 하에서 세포 형태 및 아포토시스를 관찰하였다. 도 4에 결과를 도시한다. KUS121 비존재 하에서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를 탑시가르긴에 의해 자극하면(TG), 세포 장애를 나타내는 세포의 변형이 관찰되었다. KUS121 첨가군에 있어서, 변형은 억제되었다. KUS121은 탑시가르긴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장애를 억제하는 것이 시사된다.
상기 관찰 후, 이하의 수순으로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행하였다.
얼음 상에서 배지를 회수하고, 세포를 1×PBS(-)로 2회 세정하고, 세정 용액을 회수하였다. 부유 세포 및 사세포를 회수하기 위해서, 회수한 배지 및 세정 용액을 4℃, 800g, 12분간 원심하고, 상청을 버리고, 침전물을 얻었다. 세정한 세포에, 얼음 상에서 단백질 추출용 완충액(RIPA; 50mM Tris-HCl(pH7.4), 150mM NaCl, 1mM EDTA, 0.1% SDS, 0.5% DOC, 1% NP-40)을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부유 세포 및 사세포의 침전물도 첨가하고, 함께 현탁하였다. 회수한 액을 초음파 장치(BIORUPTOR, TOSHO DENKI제)로 냉수 중에서 30초간, 3회 분쇄한 후에, 4℃, 15000rpm, 10분간 원심하고, 단백질의 상청을 회수하였다.
상기 추출한 단백질 7μg을 SDS-PAGE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막에 전사하였다. 1차 항체는 토끼 항카스파아제 3 항체(Cell Signaling, 9662), 토끼 항PARP 항체(Cell Signaling, 9542), 마우스 항GAPDH 항체(MBL사, M171-3)를 사용하였다. 2차 항체는 퍼옥시다아제로 표지한 항토끼 항체, 항마우스 항체(GE Healthcare Biosciences, NA931V, NA934V)를 사용하였다. 1차 항체는 토끼 항카스파아제 3 항체: 1000배 희석, 토끼 항PARP 항체: 1000배 희석, 마우스 항GAPDH 항체: 3000배 희석하고, 2차 항체는 5000배 희석하였다. 검출에는 Chemi Lumi ONE Ultra(나카라이테스크, 11644-40)를 사용하였다. 검출한 밴드의 강도는, 루미노·이미지 애널라이저 LAS-4000mini(후지 필름사) 및 ImageQuantTM software(GE Healthcare사)에 의해 해석하였다.
도 5에 결과를 나타낸다. 불사화 인간 각막 내피 세포에 KUS121 비존재 하에서, 탑시가르긴에 의해 자극한 경우, 활성형인 약 17kDa의 절단 카스파아제 3(약 17kDa)이 확인되었다. 다른 한편, KUS121 첨가군에 있어서는 활성형의 절단 카스파아제 3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웨스턴 블롯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KUS121은 탑시가르긴에 의해 유도되는 카스파아제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KUS121은 탑시가르긴에 의해 유도되는 ER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장애를 억제하는 것이 시사된다.
시험 3: 토끼 각막에 있어서의 효과
일본 백색 집토끼를 안락사시켜 전안구를 적출하고, 전도를 사용하여 강각막편을 제작하였다. 보존액으로서 (1) Optisol-GS(대조), (2) Optisol-GS+KUS121(50μM) 또는 (3) Optisol-GS+KUS187(20μM)을 사용하여, 각 조건에 대하여 강각막편 4 눈을, 4℃에서 4주일 보존하였다. 경시적으로 조직을 포매, 박절(薄切)하였다.
(1) 조직 소견 및 각막 중앙부의 각막 두께의 평가
조직 절편을 HE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경시적 변화를 비교했다(도 6). 또한, 각막 중앙부를 통과하는 절편을 현미경 하에서 촬영하고, 각막 중앙부의 각막 두께를 계측하여 경시적 변화를 비교했다(도 7). Optisol-GS 중에서 보존한 각막(대조)에서는 1주에 각막 내피 세포가 팽화하고, 3주 이후 각막 실질이 팽화하였는데, KUS121 또는 KUS187 첨가군에서는 세포 팽화가 2주까지 억제되어, 각막 실질 팽화는 4주까지 경도로 머물렀다. KUS121 또는 KUS187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특히 3주 이후에서 각막 상피, 각막 두께의 변화가 적었다. KUS121 및 KUS187에는 각막 상피 세포 및 각막 내피 세포의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2) TUNEL법에 의한 각막 상피 세포 아포토시스의 평가
조직 절편을 TUNEL법으로 형광 염색하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막 중앙부 부근 상피층 3 시야를 촬영했다(도 8). 도 9는 동 시야의 요오드화 프로피디움(PI) 염색상을 나타낸다. PI로 염색된 전각막 상피 세포 및 TUNEL 염색 양성 세포를 계수하고, TUNEL 염색 양성 세포율을 산출하고, 경시적 변화를 비교했다(도 10). 대조에서는 1주 이후 각막 상피 세포에 있어서 TUNEL 양성의 아포토시스 세포가 증가했지만, KUS121 또는 KUS187 첨가군에서는 아포토시스는 억제되었다. KUS121 또는 KUS187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체 기간을 통하여 각막 상피 세포의 TUNEL 염색이 적었다. KUS121 및 KUS187에는 각막 상피 세포의 아포토시스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3) Na+/K+ ATPase 면역 형광 염색에 의한 각막 내피 기능의 평가
조직 절편을, 항Na+/K+ ATPase 항체를 사용하여 간접 형광법으로 면역 형광 염색하고, 중앙부 부근의 각막 내피를 관찰하고, 경시적 변화를 비교했다(도 11). 도 12는 동 시야의 PI 염색상을 나타낸다. KUS121 또는 187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1주부터 각막 내피 세포의 변화가 적었다. KUS121 및 KUS187에는 조기부터 각막 내피 세포의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4)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1주일에 걸쳐 보존한 각막을, 전 고정으로서 2% 글루타르알데히드(0.1M 인산 완충액) 4℃에 침지하였다. 세정으로서, 4℃, 밤새 0.1M 인산 완충액에 침지하였다. 후 고정으로서 4℃, 3시간, 2% 오스뮴 수용액에 침지하였다. 탈수로서 4℃(50%만), 실온, 각 15분간, 순차 고농도 에탄올에 액환(液換)했다(50, 70, 90, 100, 100, 100%). 치환으로서 실온, 45분간, 프로필렌옥사이드에 액환하고, 그 후 실온, 1.5시간 프로필렌옥사이드+에폭시 수지의 혼합액에 액환하였다. 포매 목적으로, 60℃, 48시간, 캡슐 내에 시료와 함께 에폭시 수지를 넣어 경화시켰다. 그 후 울트라마이크로톰으로 80-90㎚ 절편을 제작하고, 200 메쉬에 적재하였다. 2% 아세트산우라닐, 납 염색액으로 절편을 염색하고, 카본 증착(전자선에 대한 절편의 보강)으로 보강하였다. 샘플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 촬영했다(도 13).
대조에서는 각막 상피 세포의 공포화 및 미융모의 소실이 보였지만, KUS121을 첨가하여 보존한 각막에서는 공포화는 보이지 않고, 미융모가 관찰되었다. 또한, 대조에서는 각막 실질 및 각막 내피 세포의 팽윤화가 보였지만, KUS121을 첨가하여 보존한 각막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KUS121은 조기에서부터 각막 상피 세포, 각막 실질 및 각막 내피 세포의 보호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험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KUS121 및 KUS187에는 각막 내피 세포 및 각막 상피 세포의 보호 작용, 세포사 억제 작용이 있고, 세포사 억제된 각막 내피 세포는 정상적인 펌프 기능을 갖고, 각막의 부종을 억제하는 것이 밝혀졌다.
본원의 조성물은 안과 영역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이 기대된다.

Claims (15)

  1. 식 (I):
    Figure pct00011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p-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m-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o-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3-[6-(2-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3-[6-(3-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3-[6-(4-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술폰산;
    4-아미노-3-[6-(2,4-디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이소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이소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페녹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3-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5-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5-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4-[5-(1-아미노-4-술포나프탈렌-2-일아조)피리딘-2-일]페닐}-4-옥소부틸산;
    4-아미노-3-(6-비페닐-3-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시아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시아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술폰산;
    4-아미노-3-[6-(4-벤조일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플루오로-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플루오로-6-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플루오로-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플루오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부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헥실옥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부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히드록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6-히드록시헥실옥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2-[5-(1-아미노-4-술포나프탈렌-2-일아조)피리딘-2-일]페녹시}부틸산;
    4-아미노-3-{6-[2-(3-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이소부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클로로-2-히드록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클로로-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3',5'-트리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클로로-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6-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포르밀-2-이소프로폭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및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각막 질환이 각막 내피 질환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각막 질환이 각막 상피 질환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각막 질환이 적상 각막,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후부 다형성 각막 디스트로피,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선천성 유전성 각막 내피 디스트로피,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각막 내피염, 낙설 증후군, 각막 내피 이식 후 거절 반응, 각막 포도막염, 각막 실질염, 각막 내피염, 각막 이식 후 각막 손상, 내안 수술 후 각막 손상, 녹내장 발작, 콘택트 렌즈 장기 장착에 의한 각막 손상, 각막 외상, 분만시 각막 외상, 수포성 각막증, 점상 표층 각막염, 각막 미란, 각막 궤양, 드라이아이, 건성 각결막염 또는 주변부 각막 궤양인,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각막 질환이 푹스 각막 디스트로피, 수포성 각막증, 각막 미란, 드라이아이 또는 각막 외상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안제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관류액(眼灌流液) 또는 안관류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 또는 이식용 각막의 보존액에 첨가하기 위한 조성물인, 조성물.
  13. 식 (I):
    Figure pct00012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용의 의약 조성물.
  14. 식 (I):
    Figure pct00013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안관류용의 조성물.
  15. 식 (I):
    Figure pct00014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이식 각막 보존용의 조성물.
KR1020207021371A 2017-12-27 2018-12-26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KR20200123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839 2017-12-27
JPJP-P-2017-251839 2017-12-27
PCT/JP2018/047749 WO2019131720A1 (ja) 2017-12-27 2018-12-26 角膜保護用の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95A true KR20200123095A (ko) 2020-10-28

Family

ID=6706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71A KR20200123095A (ko) 2017-12-27 2018-12-26 각막 보호용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059995A1 (ko)
EP (1) EP3733177B1 (ko)
JP (1) JP7165358B2 (ko)
KR (1) KR20200123095A (ko)
CN (1) CN111757733A (ko)
DK (1) DK3733177T3 (ko)
ES (1) ES2925638T3 (ko)
PL (1) PL3733177T3 (ko)
PT (1) PT3733177T (ko)
SG (1) SG11202006144XA (ko)
WO (1) WO2019131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1985A1 (it) * 2019-07-17 2021-01-17 Vision Eng Italy Srl Formulazione liquida, in particolare per trattare un tessuto corneale
WO2021079983A1 (ja) 2019-10-24 2021-04-29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軟骨保護用の医薬組成物
JP2022170472A (ja) 2021-04-28 2022-11-10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皮膚組織の異常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994A1 (ja) 2010-07-30 2012-02-02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
WO2012043891A1 (ja) 2010-09-30 2012-04-05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眼疾患処置薬
WO2014129495A1 (ja) 2013-02-20 2014-08-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眼疾患処置薬
WO2015129809A1 (ja) 2014-02-28 2015-09-0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虚血性眼疾患の処置用の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042A1 (ja) * 2016-06-24 2017-12-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眼用医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994A1 (ja) 2010-07-30 2012-02-02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
WO2012043891A1 (ja) 2010-09-30 2012-04-05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眼疾患処置薬
WO2014129495A1 (ja) 2013-02-20 2014-08-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眼疾患処置薬
WO2015129809A1 (ja) 2014-02-28 2015-09-0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虚血性眼疾患の処置用の医薬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나카노 노리코 등 저, Heliyon 2, e00096, 2016
이케다 하나코 등 저, Sci Rep 4, 5970,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7733A (zh) 2020-10-09
WO2019131720A1 (ja) 2019-07-04
DK3733177T3 (da) 2022-10-10
SG11202006144XA (en) 2020-07-29
EP3733177A1 (en) 2020-11-04
EP3733177B1 (en) 2022-07-06
EP3733177A4 (en) 2021-10-27
PT3733177T (pt) 2022-09-02
PL3733177T3 (pl) 2022-11-14
ES2925638T3 (es) 2022-10-19
JPWO2019131720A1 (ja) 2020-12-10
JP7165358B2 (ja) 2022-11-04
US20210059995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4904C2 (ru) 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НЕЙРОНА СЕТЧАТКИ, СОДЕРЖАЩЕЕ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ПРОИЗВОДНОЕ ПРОСТАГЛАНДИНА F2α
JP2021073322A (ja) 角膜内皮細胞接着促進剤
KR102496234B1 (ko) 녹내장 수술 성공을 개선하기 위해 닌테다닙을 사용하는 조성물 및 방법
JP7165358B2 (ja) 角膜保護用の組成物
JP2018521120A (ja) 翼状片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WO2012061045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serving retinal ganglion cells
US20110130388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axial myopia
EP3747471A1 (en) Medici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 associated with enhanced intraocular neovascularization and/or intraocular vascular permeability
KR101816277B1 (ko) 8-옥소-데옥시구아노신(8-oxo-2'-deoxyguanos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 손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009248A1 (ja) 眼組織の線維化抑制用組成物
CA2905594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ing eye disorders using dipyridamole
JPH11505239A (ja) カルシウム細胞内貯蔵不活性化剤及びその処方物の細胞成長抑制剤としての使用方法
JP2006306862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F2α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網膜神経細胞保護剤
US11857544B2 (en) Composition or method including (t)ew-7197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rneal endothelial diseases
JP2021100984A (ja) 濾過胞を維持するための組成物
EP3659626A1 (en) Drug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order caused by tgf- signalling, and application thereof
ES2377342T3 (es) Remedio para enfermedades corneales
WO2019117813A1 (en) Focal adhesion kinase targeted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and fibrosis
KR20170095850A (ko) 각막 상피 장애 치료제
CA3037116A1 (en)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 using inhibitors of csf-1r
EP435322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generative eye diseases
JP7197112B2 (ja) 水泡性角膜症治療用医薬組成物
WO2016199871A1 (ja) 神経麻痺性角膜症の治療薬
EP1346728A1 (en) Ophthalmological preparations
JP2001240543A (ja) 虚血性網膜疾患並びに網膜及び視神経障害の治療及び/または予防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