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341A -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341A
KR20200122341A KR1020207026580A KR20207026580A KR20200122341A KR 20200122341 A KR20200122341 A KR 20200122341A KR 1020207026580 A KR1020207026580 A KR 1020207026580A KR 20207026580 A KR20207026580 A KR 20207026580A KR 20200122341 A KR20200122341 A KR 2020012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mmol
pyrrolidin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919B1 (ko
Inventor
스코트 나단 믈리나르스키
타일러 그립
사미르 카와트카르
모리스 레이몬드 버쇼일 핀레이
이안 심슨
지냔 왕
스티브 쿡
데동 우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1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5Boronic and borinic acid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암 또는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고 아르기나제를 저해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화학식 Ia]
Figure pct00100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Description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아르기나제는 우레아 및 L-오르니틴으로의 L-아르기닌의 전환을 촉매하는 망간 금속효소이다. 이소형으로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각각, 아르기나제 1은 간세포에서 우세하게 발견되는 세포액 효소이며 여기서 우레아 합성을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아르기나제 2는, 세포 증식 및 콜라겐 생산에 중요한 폴리아민 및 프롤린의 전구체인, 오르니틴의 생산에 관여되는 신장에서 고도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이다.
L-아르기닌은 건강한 성인에서 단백질 턴오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필수 아미노산은 아니지만, 아르기나제의 발현 및 분비의 증가는 다양한 생리적 및 병리적 질환(예를 들어 임신, 자가-면역 질병, 암)에서 L-아르기닌 수준 감소를 초래한다. 특히, 면역 세포는 L-아르기닌 수준 감소에 민감하다. T-세포는, 낮은 L-아르기닌 미소환경에 직면할 때, 이의 증식 속도를 감소시키고 CD3ζ 사슬, IFNγ, 및 용해 효소의 발현을 낮추어 T-세포 반응성 손상을 초래한다. 수지상 세포는 항원을 제시하는 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낮은 L-아르기닌 조건에 반응하고, 자연 살해 세포는 용해 효소의 증식 및 발현 둘 모두를 감소시킨다.
종양은 면역계를 피하기 위해 다수의 면역 억제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들 중 하나는 순환 아르기나제의 수준 증가, 종양 세포에 의한 아르기나제의 발현 및 분비 증가, 및 골수 유래 억제 세포를 발현 및 분비하는 아르기나제의 모집을 통한 L-아르기닌의 감소이다. 더불어, 이들은 종양 미소환경에서의 L-아르기닌 감소, 및 면역-억제 표현형을 초래한다.
아르기나제 활성의 약리학적 저해는 동물 모델에서 낮은 L-아르기닌 유도 면역 억제를 역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일 제제로서, 또는 추가의 면역-억제 메커니즘을 역전시키는 치료법과 병용하여, 환자에서 면역 억제를 역전시키고 항암 면역을 재활성화시키는 강력하고 선택적인 아르기나제 저해제에 대한 수요가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2이고;
R1b는 -CH3 또는 -CH(CH3)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2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b]
Figure pct00003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4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2이고;
R2b는 -CH3 또는 -CH(CH3)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a]
Figure pct00005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b]
Figure pct00006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7
[여기서 R3은 -CH3 또는 -CH(CH3)2임].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a]
Figure pct00008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b]
Figure pct00009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10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Vb]
Figure pct00011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
Figure pct00012
.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b]
Figure pct00013
.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
Figure pct00014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b]
Figure pct00015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일부 구현예에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술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은 만성 폐쇄성 폐 질병(COPD) 또는 천식이다.
도 1은 화합물 B의 화합물 A로의 전환을 도시하는 NMR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여기서 화합물 B는 100% d6-DMSO(A로 표지), d6-DMSO 중 75% D2O(B로 표지), d6-DMSO 중 50% D2O(C로 표지), d6-DMSO 중 25% D2O(E로 표지) 및 100% D2O(F로 표지)에서 제조된다.
도 2는 산성화가 어떻게 화합물 A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을 산출하는지를 도시하는 화합물 B의 NMR 스펙트럼(D2O 중 0.1 M DCl에서)을 보여준다.
도 3은 d6-DMSO 중 비정질 물질(B로 표지)의 NMR 스펙트럼을 d6-DMSO 중 결정질 화합물 B(A로 표지)와 비교하여 두 물질 모두가 결정질 화합물 B와 동일한 고리형 구조를 가짐을 보여준다.
화합물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6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2이고;
R1b는 -CH3 또는 -CH(CH3)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의 일부 구현예에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이다.
화학식 I의 일부 구현예에서, R1은 -NHR1a이고, R1a는 -C(O)CH(R1b)NH2이고 R1b는 -CH3이다.
화학식 I의 일부 구현예에서, R1은 -NHR1a이고, R1a는 -C(O)CH(R1b)NH2이고 R1b는 -CH(CH3)2이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17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화학식 Ia1 또는 Ia2로 표현된다:
[화학식 Ia1]
Figure pct00018
또는
[화학식 Ia2]
Figure pct00019
[여기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함].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H2OR1d이고; R1c는 -H이고 R1d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H2OR1d이고; R1c는 -H이고 R1d는 -CH3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1-C4) 알킬이고 R1c는 -H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tert-부티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메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에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이소프로필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sec-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이소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tert-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b]
Figure pct00020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화학식 Ib1 또는 Ib2로 표현된다:
[화학식 Ib1]
Figure pct00021
또는
[화학식 Ib2]
Figure pct00022
[여기서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함].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H2OR1d이고; R1c는 -H이고 R1d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H2OR1d이고; R1c는 -H이고 R1d는 -CH3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C1-C4) 알킬이고 R1c는 -H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tert-부티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메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에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이소프로필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sec-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이소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tert-부틸이고; R1c는 -H이다.
화학식 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1a는 -C(O)CH(R1b)NHR1c이고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23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2이고;
R2b는 -CH3 또는 -CH(CH3)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OH이다.
화학식 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H이다.
화학식 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2이고 R2b는 -CH3이다.
화학식 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2이고 R2b는 -CH(CH3)2이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a]
Figure pct00024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a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a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a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OH이다.
화학식 IIa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H2OR2d이고; R2c는 H이고 R2d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H2OR2d이고; R2c는 H이고 R2d는 -CH3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1-C4) 알킬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tert-부틸,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메틸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에틸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이소프로필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sec-부틸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이소부틸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tert-부틸이고; R2c는 -H이다.
화학식 IIa의 일부 구현예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b]
Figure pct00025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b의 일 구현예에서, R2는 -O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이고 R2c는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H2OR2d이고; R2c는 H이고 R2d는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H2OR2d이고; R2c는 H이고 R2d는 -CH3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C1-C4) 알킬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tert-부틸,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메틸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에틸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이소프로필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sec-부틸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이소부틸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tert-부틸이고; R2c는 -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Ib에서, R2는 -NHR2a이고; R2a는 -C(O)CH(R2b)NHR2c이고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26
[여기서 R3은 -CH3 또는 -CH(CH3)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3은 -CH3이다.
화학식 III의 일부 구현예에서, R3은 -CH(CH3)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a]
Figure pct00027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a의 일 구현예에서, R3은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CH2OR3a이고 R3a는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CH2OR3a이고 R3a는 -CH3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C1-C4) 알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메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에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이소프로필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sec-부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은 이소부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a에서, R3tert-부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IIb]
Figure pct00028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CH2OR3a이고 R3a는 -H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CH2OR3a이고 R3a는 -CH3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C1-C4) 알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C1-C4) 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sec-부틸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메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에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이소프로필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sec-부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은 이소부틸이다.
일 구현예 화학식 IIIb에서, R3tert-부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29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V에서, R4는 -O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V에서, R4는 -NH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IVb]
Figure pct00030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V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V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Vb에서, R4는 -OH이다.
일부 구현예 화학식 IVb에서, R4는 -NH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
Figure pct00031
.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b]
Figure pct00032
.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
Figure pct00033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의 일부 구현예에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로 치환된 -(C1-C3) 알킬이다.
화학식 VI의 일부 구현예에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H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화학식 VIa1 또는 VIa2로 표현된다:
[화학식 VIa1]
Figure pct00034
또는
[화학식 VIa2]
Figure pct00035
[여기서 R6a 및 R6b는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함].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a1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Ia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a2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Ia2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의 일 구현예에서, R6b는 -CH3 또는 -CH2CH2NH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b]
Figure pct00036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VIb의 화합물이 개시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VI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VIb의 일 구현예에서, R6b는 -CH3 또는 -CH2CH2NH2이다.
화학식 V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로 치환된 -(C1-C3) 알킬이다.
화학식 VIb의 일부 구현예에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H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VIb의 화합물은 화학식 VIb1 또는 VIb2로 표현된다:
[화학식 VIb1]
Figure pct00037
또는
[화학식 VIb2]
Figure pct00038
[여기서 R6a 및 R6b는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함].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I, IIa, III, IIIa, IV, V, 및 VI(이의 종을 포함함)의 화합물은 분자 내 고리화를 통하여 화학식 Ib, IIb, IIIb, IVb, Vb, 및 VIb(이의 종을 포함함)의 화합물로 전환되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즉, 이는 상호전환 과정이다. 화학식 I, Ia, II, IIa, III, IIIa, IV, V, 및 VI(이의 종을 포함함)의 화합물 및 화학식 Ib, IIb, IIIb, IVb, Vb, 및 VIb(이의 종을 포함함)의 화합물은, 온도, 압력, 습도, pH, 및/또는 매질(예를 들어, 용매)의 조성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다른 것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각각 전환된다. 이는 하기 반응식에 예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39
[여기서 R1은 상기 화학식 Ia 및 Ib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일부 구현예에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염이 개시된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용어 "C1-C4 알킬"은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고리형 알킬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C1-C4 알킬 모이어티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이 포함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 및 특성을 보유하는 산 부가 또는 염기 부가 염을 포함하고, 이는 전형적으로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니거나 그 외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많은 경우에,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은 염기성 및/또는 카르복실 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의 존재에 의해 산 및/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바이카르보네이트/카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클로라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테오필로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디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힙푸레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토에이트, 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타데카노에이트, 올레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팔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서브살리실레이트, 설페이트/하이드로겐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 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이 포함된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설포살리실산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무기 및 유기 염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 염기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및 암모늄 및 주기율표의 I 내지 XII 열의 금속의 염이 포함된다. 일정 구현예에서, 염은 소듐, 포타슘,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은, 아연, 및 구리로부터 유래되고; 특히 적합한 염으로는 암모늄, 포타슘, 소듐,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이 포함된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 염기로는, 예를 들어 1 차, 2 차, 및 3 차 아민, 자연 발생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이 포함된다. 일정 유기 아민으로는 이소프로필아민, 벤자틴, 콜리네이트,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리신, 메글루민, 피페라진 및 트로메타민이 포함된다.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염기성 또는 산성 모이어티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이들 화합물의 유리 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예컨대 Na+, Ca2+, Mg2+, 또는 K+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보네이트, 바이카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키거나, 이들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물 또는 유기 용매에서, 또는 둘의 혼합물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실시 가능한 경우,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수성 매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적합한 염 목록은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Berge et al., "J. Pharm. Sci., 1977, 66, 1-19 및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Wiley-VCH, Weinheim, Germany, 2002)]에서 찾을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화학식은 또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에 대한 비표지된 형태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표지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자 한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동일한 원소이지만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원자가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원에 제공된 화학식으로 도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포함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로는, 2H, 3H, 11C, 13C, 14C, 15N, 35S, 36Cl 및 125I와 같은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불소, 염소 및 요오드의 동위 원소가 포함된다.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법에 의해, 또는 이전에 사용된 비-표지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 표지 시약을 사용하여 첨부된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은 상이한 이성질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용어 "광학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 또는 "디아스테레오이소머"는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주어진 화합물에 대해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 배치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치환기는 탄소 원자의 키랄 중심에 부착될 수 있고, 따라서 개시된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거울상 이성질체"는 겹쳐질 수 없는 서로의 거울상인 입체 이성질체 쌍을 포함한다. 한 쌍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1:1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이다. 본 용어는 적절한 경우 라세미 혼합물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디아스테레오이소머"는, 적어도 2 개의 비대칭 원자를 갖지만 서로의 거울상이 아닌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절대 입체 화학은 칸-인골드-프렐로그(Cahn-Ingold-Prelog) R-S 시스템에 따라 명기된다. 화합물이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인 경우, 각각의 키랄 중심에서의 입체 화학은 R 또는 S로 명기될 수 있다. 절대 배치가 불명인 분해 화합물은 소듐 D 라인의 파장에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방향(우회전성 또는 좌회전성)에 따라 (+) 또는 (-)로 표기될 수 있다.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 또는 축을 함유하며, 따라서 절대 입체 화학의 측면에서 (R)- 또는 (S)-로 정의될 수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기타 입체 이성질체 형태가 생기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라세미 혼합물,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 및 중간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이러한 가능한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R)- 및 (S)-이성질체는 키랄 신톤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키랄 HPLC와 같이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분해될 수 있다.
실시예의 중간체 1 내지 48, 및 이의 염 또한 본원에 개시된다.
약학적 조성물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확인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약 형태를 포함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경구 용도(예를 들어, 정제, 로젠지,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유화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제,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로서), 국소 용도(예를 들어, 크림, 연고, 겔, 또는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흡입 투여(예를 들어, 미분된 분말 또는 액체 에어로졸로서), 통기법 투여(예를 들어, 미분된 분말로서) 또는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근육내 또는 근육내 투약을 위한 멸균 수성 또는 유성 용액으로서 또는 직장 투약을 위한 좌제로서)를 위해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단일 투약 형태를 생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및 구체적인 투여 경로에 따라 필연적으로 달라질 것이다. 투여 경로 및 투약 요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위해 독자는 문헌[Chapter 25.3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한다.
치료적 유용성
본 화합물은 치료법에서 아르기나제 저해제로서 유용하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암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용어 "암"은, 예를 들어 신장 세포 암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폐암(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SCLC), 비-소세포 폐암(NSCLC), 중피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유방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전립선암, 위암, 방광암, 흑색종, 신장암 및 난소암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전이되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아르기나제 1 및/또는 아르기나제 2 조절과 관련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혈장 아르기나제 1 수준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혈장 아르기닌 수준 감소와 관련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혈장 아르기나제 1 수준 증가 및 혈장 아르기닌 수준 감소 둘 모두와 관련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혈장 아르기나제 1 수준 증가 및/또는 혈장 아르기닌 수준 감소와 관련이 있는 암으로는 신장 세포 암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폐암(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SCLC), 비-소세포 폐암(NSCLC), 중피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및 유방암이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예를 들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전립선암은 아르기나제 2를 분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 예를 들어 폐암(소세포 폐암(SCLC), 비-소세포 폐암(NSCLC), 위암, 방광암, 결장직장암, 흑색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췌장암 및 신장암은 아르기나제 1 양성 종양 침윤 면역 세포와 관련이 있다.
용어 "호흡기 염증성 질병"은 기실, 폐 혈관계, 폐 간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그것들은 폐에 고립되거나 다수의 기관에 관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은 염증성 폐 질병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염증성 폐 질병은 비감염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은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병(COPD), 화학적으로-유발된 폐 섬유증, 특발성 폐 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호흡기 염증성 질병은 만성 폐쇄성 폐 질병(COPD) 또는 천식이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아르기나제를 저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아르기나제를 저해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아르기나제를 저해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용도가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아르기나제를 저해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용어 "아르기나제"는 L-아르기닌을 L-오르니틴 및 우레아로 전환시키는 우레아 회로의 제5 및 최종 단계를 촉매하는 우레오하이드롤라제 패밀리에 속하는 망간-함유 효소를 포함한다. 용어 "아르기나제"는 효소의 두 개의 이소자임, 예를 들어, 우레아 회로에서 기능하고 주로 간 세포질에 위치하는 아르기나제 1, 및 체내 여러 조직의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고 세포내 아르기닌/오르니틴 농도의 조절에 관계되는 아르기나제 2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르기나제 1에 대해 선택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르기나제 2에 대해 선택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르기나제 1 및 아르기나제 2 둘 모두를 저해한다.
용어 "유효량"은 대상체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예를 들어 아르기나제 또는 암과 관련된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감소 또는 저해, 암 증상의 개선 또는 암 진행의 지연 또는 지체를 이끌어낼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어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대상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을 완화, 저해, 및/또는 개선하거나 아르기나제를 저해하고/하거나, 종양의 성장 또는 암성 세포의 증식을 감소 또는 저해하는 데 효과적인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또는 표 1의 화합물의 양을 포함한다.
용어 "대상체"는 온혈 포유동물, 예를 들어 영장류,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및 마우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암을 앓고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치료를 필요로 한다(예를 들어, 대상체는 치료로부터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으로 이익을 얻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환자는 암을 앓고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증가된 혈장 아르기나제 1 수준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감소된 아르기닌 수준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환자는 증가된 혈장 아르기나제 1 수준 및 감소된 아르기닌 수준 둘 모두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아르기나제 2를 분비하는 암(예를 들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 또는 전립선암)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아르기나제 1 양성 종양 침윤 면역 세포를 갖는다.
용어 "저해하다", "저해" 또는 "저해하는"은 생물학적 활성 또는 과정의 기저선 활성의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화학식 I, Ia, Ib, II, IIa, IIb, III, IIIa, IIIb, IV, IVb, V, Vb, VI, VIb(이의 임의의 아속 또는 종을 포함함), 및 표 1의 화합물은 아르기나제를 저해한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아르기나제와 관련된 또는 대상체에서의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감소 또는 저해, 대상체에서 암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또는 암의 진행 지연 또는 지체를 포함한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또한 대상체에서 종양의 성장 또는 암성 세포의 증식의 감소 또는 저해를 포함한다.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본 개시내용의 일정 화합물 및 중간체의 제조 및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는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재료 및 방법 둘 모두에 대해 많은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i) 모든 합성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주위 온도, 즉 17 내지 25℃의 범위에서, 그리고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고;
(ii) 회전 증발에 의해 또는 진공에서 제네바크(Genevac) 장비 또는 바이오타지(Biotage) v10 증발기를 활용하여 증발을 수행하고 여과에 의해 잔류 고체를 제거한 후 워크-업 절차를 수행하였고;
(iii)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는 사전포장된 레디셉 Rf 골드(RediSep Rf Gold)™ 실리카 컬럼(20 내지 40 μm, 구형 입자), 그레이스레졸브(GraceResolv)™ 카트리지(Davisil® 실리카) 또는 실리사이클(Silicycle) 카트리지(40 내지 63 μm)를 사용하여, 자동화된 텔레다인 이스코(Teledyne Isco) 콤비플래시(CombiFlash)® Rf 또는 텔레다인 이스코 콤비플래시® 콤파니언(Companion)® 상에서 수행하였다.
(iv)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는 UV 수집을 이용하는 길슨 프랩(Gilson prep) HPLC 기기 상에서 수행하였고; 대안적으로,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는 MS- 및 UV- 작동되는 수집을 이용하는 워터스(Waters) 자동정제 HPLC-MS 기기 상에서 수행하였고;
(v) 키랄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는 UV 수집을 이용하는 길슨(Gilson) 기기(233 주입기/분획 수집기, 333 및 334 펌프, 155 UV 검출기) 또는 길슨 305 주입을 이용하여 펌프 작동하는 바리안 프렙 스타(Varian Prep Star) 기기(2 x SD1 펌프, 325 UV 검출기, 701 분획 수집기) 상에서 수행하였고; 대안적으로, 키랄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는 MS- 및 UV- 작동되는 수집을 이용하는 워터스 프렙 100 SFC-MS 기기 또는 UV 수집을 이용하는 타르 멀티그램 III(Thar MultiGram III) SFC 기기 상에서 수행하였다.
(vi) 수율은,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도달 가능한 최대인 것은 아니고;
(vii)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최종-생성물의 구조는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에 의해 확인하였고; NMR 화학 이동 값은 델타 스케일에서 측정하였고[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은 브루커 아반스(Bruker Avance) III 600(600 MHz), 브루커 아반스 400(400 MHz), 브루커 아반스 300(300 MHz) 또는 브루커 DRX 500(500 MHz)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주위 온도에서 측정을 하였고; 다음 약어를 사용하였다: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m, 다중선; dd, 이중선의 이중선(doublet of doublets); ddd, 이중선의 이중선의 이중선(doublet of doublet of doublet); dt, 삼중선의 이중선(doublet of triplets); bs, 광폭 신호.
(viii)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최종-생성물은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뒤이어 질량 분광법(LCMS 또는 UPLC)에 의해 특징확인되었고; UPLC는 1.50 분에 걸쳐(시작 조건으로 되돌아가는 평형화를 포함하는 총 실행 시간, 1.70 분) 97% A + 3% B 내지 3% A + 97% B의 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1 mL/분의 유속에서 워터스 SQ 질량 분광분석기가 장착된 워터스 UPLC(컬럼 온도 40℃, UV = 220 내지 300 nm 또는 190 내지 400 nm, 질량 분광분석 = 양/음 스위칭을 포함하는 ESI)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A는 물 중 0.1% 포름산 또는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산성 작업의 경우) 또는 물 중 0.1%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염기성 작업의 경우)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이다. 산성 분석의 경우 사용된 컬럼은 워터스 어퀴티(Waters Acquity) HSS T3(1.8 μm, 2.1 x 50 mm)였고, 염기성 분석의 경우 사용된 컬럼은 워터스 어퀴티 BEH C18(1.7 μm 2.1 x 50 mm)이었다. 대안적으로, UPLC는 1.5 분에 걸쳐(시작 조건으로 되돌아가는 평형화를 포함하는 총 실행 시간 2 분) 2 내지 98% B의 용매 구배를 사용하여 1 mL/분의 유속에서 워터스 SQ 질량 분광분석기가 장착된 워터스 UPLC(컬럼 온도 30℃, UV = 210 내지 400 nm, 질량 분광분석 = 양/음 스위칭을 포함하는 ESI)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A는 물 중 0.1% 포름산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산성 작업의 경우)이거나, A는 물 중 0.1%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염기성 작업의 경우)이다. 산성 분석의 경우 사용된 컬럼은 워터스 어퀴티 HSS T3(1.8 μm, 2.1 x 30 mm)이었고, 염기성 분석의 경우 사용된 컬럼은 워터스 어퀴티 BEH C18(1.7 μm 2.1 x 30 mm)이었으며, LCMS는 0.5 분 홀드하며 4 분에 걸쳐 95% A 내지 95% B 1.1 mL/분의 유속에서 워터스 ZQ ESCi 질량 분광분석기 및 페노메넥스 제미니-NX(Phenomenex Gemini-NX) C18이 장착된 워터스 알리안스(Alliance) HT(2795)(5 μm, 110 A, 2.1 x 50 mm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A는 0.1% 포름산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산성 작업의 경우)이거나, A는 물 중 0.1%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염기성 작업의 경우)이다. 추가로, LCMS는 시마즈(Shimadzu) LCMS-2020 질량 분광분석기 및 워터스 HSS C18(1.8 μm, 2.1 x 50 mm) 또는 심-패크(Shim-pack) XR-ODS(2.2 μm, 3.0 x 50 mm) 또는 페노메넥스 제미니-NX C18(3 μm, 3.0 x 50 mm) 컬럼이 장착된 시마즈 UFLC를 사용하여, 0.7 mL/분(워터스 HSS C18 컬럼의 경우), 1.0 mL/분(심-패크 XR-ODS 컬럼의 경우) 또는 1.2 mL/분(페노메넥스 제미니-NX C18의 경우), 0.6 분 홀드하며 2.2 분에 걸쳐 95% A 내지 95% B의 유속에서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A는 물 중 0.1% 포름산 또는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산성 작업의 경우) 또는 물 중 0.1%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6.5 mM 암모늄 카르보네이트(염기성 작업의 경우)이고 B는 아세토니트릴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보고된 분자 이온은 [M+H]+에 해당하고; 다수의 동위원소 패턴을 갖는 분자의 경우(Br, Cl 등)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보고된 값은 가장 낮은 동위원소 질량에 대해 얻어진 것이다.
(ix) 이온 교환 정제는 일반적으로 SCX-2(바이오타지)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x) 중간체 순도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법, LCMS, UPLC/MS,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NMR 분석으로 평가하였고;
(xi) 다음 약어를 사용하였다:-
EtOH: 에탄올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LDA: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MeOH: 메탄올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MeCN: 아세토니트릴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분석
rt 또는 RT: 실온
aq: 수성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KHMDS: 포타슘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HATU: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C: tert-부톡시카르보닐
DTNB: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TNB: 2-니트로-5-티오벤조산
HEPES: (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설폰산)
실시예 1: ( R )-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46
중간체 1: (3S,7aR)-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
2,2,2-트리클로로에탄-1,1-디올(2.155 g, 13.03 mmol)을 질소 하에서 CHCl3(100 mL) 중 D-프롤린(1.00 g, 8.6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에 역 딘-스타크(Dean-Stark) 트랩을 장착하고, 반응 혼합물을 48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DCM(100 mL)으로 희석하고, 물(2 x 200 mL) 및 포화 염수(2 x 2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EtOH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1, 1.13 g, 53.2%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66 - 2.41 (4H, m), 3.05 - 3.20 (1H, m), 3.40 - 3.50 (1H, m), 4.10 - 4.20 (1H, m), 5.18 (1H, s).
중간체 2: (3S,7aS)-7a-((E)-4-브로모부트-2-에닐)-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
LDA의 용액(THF/헵탄/에틸벤젠 중 2.0 M, 2.05 mL, 4.09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 -78℃에서 THF(500 mL) 중 (3S,7aR)-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중간체 1, 1.00 g, 4.09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78℃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E)-1,4-디브로모부트-2-엔(875 mg, 4.09 mmol)을 THF(2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추가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EtOAc(20 mL)에 희석하고 물(2 x 20 mL) 및 포화 염수(2 x 2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 760 mg, 49%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55 - 1.75 (1H, m), 1.85 - 2.25 (3H, m), 2.52 - 2.73 (2H, m), 3.14 - 3.32 (2H, m), 3.89 - 4.10 (2H, m), 5.01 (1H, s), 5.79 - 5.99 (2H, m); m/z (ES+) [M+H]+ =378.
중간체 3: (3S,7aS)-7a-((E)-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트-2-에닐)-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
Pd2(dba)3(85.0 mg, 0.0928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THF(30 mL) 중 (3S,7aS)-7a-((E)-4-브로모부트-2-에닐)-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중간체 2, 700 mg, 1.85 mmol) 및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942 mg, 3.7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까지 가열하고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EtOAc(50 mL)로 희석하고 물 및 포화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3, 510 mg, 65%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8 (12H, s), 1.58 - 1.80 (2H, m), 1.83 - 2.12 (3H, m) 2.42 - 2.65 (1H, m), 3.20 (1H, dd), 3.47 (1H, q), 3.71 (1H, t), 3.90 (1H, t), 4.98 (1H, s), 5.38 - 5.53 (1H, m), 5.64 - 5.83 (1H, m); m/z (ES+) [M+H]+ = 424.
중간체 4: (3S,7aR)-7a-(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
Pd/C(10 중량%, 125 mg, 0.12 mmol)를 MeOH(5 mL) 중 (3S,7aS)-7a-((E)-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트-2-에닐)-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중간체 3, 500 mg, 1.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3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미정제 생성물(중간체 4, 390 mg, 78% 수율)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 [M + H]+ = 426.
실시예 1: (R)-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진한 수성 HCl(1.00 mL, 12.0 mmol)을 1,4-디옥산(20 mL) 중 (3S,7aR)-7a-(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3-(트리클로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옥사졸-1(3H)-온(중간체 4, 300 mg, 0.703 mmol) 및 페닐보론산(172 mg, 1.4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 시간 동안 8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제조용 LCMS(XBridge Prep C18 OBD 컬럼, 5 μ 실리카, 19 x 150 mm, H2O(w/0.05% TFA/MeCN)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고 농축 건조시켜 (R)-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 85 mg, 37%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0.63 - 0.74 (2H, m), 1.09 - 1.27 (2H, m), 1.27 - 1.37 (2H, m), 1.65 - 1.75 (1H, m), 1.77 - 2.08 (4H, m), 2.25 - 2.37 (1H, m), 3.21 - 3.37 (2H, m); m/z (ES+) [M+H]+ = 216.
실시예 2: (2 R ,4 S )-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47
중간체 5: (2S,4S)-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S)-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5.00 g, 21.6 mmol)을 DMF(73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까지 냉각시켰다. 소듐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1.81 g, 45.3 mmol)를 일부씩 첨가하고 현탁액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12.9 mL, 10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RT까지 가온하면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 mL)로 희석하고 시트르산(10% aq)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생성물(중간체 5, 5.5 g, 62%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8 -1.40 (9H, s x2) 회전 이성질체, 2.20 (1H, dd), 2.36 - 2.45 (1H, m), 3.37 (1H, dd), 3.51 - 3.58 (1H, m), 4.14 (1H, br s), 4.33 - 4.50 (3H, m), 4.94 - 5.17 (2H, m), 7.25 - 7.32 (10H, m); m/z (ES+) [M+H]+ = 412.
중간체 6: (4S)-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S)-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 2.75 g, 6.68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1.03 mL, 10.0 mmol)를 THF(4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20.1 mL, 10.0 mmol)을 적가하여 용액을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회전 이성질체와 E/Z 올레핀의 혼합물로서 생성물(중간체 6, 2.54 g, 82%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0 - 1.41 (9H, s x2) 회전 이성질체, 1.54 - 1.62 (3H, m), 2.10 - 2.59 (3H, m), 2.67 - 2.97 (1H, m), 3.10 - 3.43 (1H, m), 3.50 - 3.78 (1H, m), 3.98 - 4.15 (1H, m), 4.34 - 4.49 (2H, m), 4.94 - 5.13 (2H, m), 5.18 - 5.30 (1H, m), 5.38 - 5.63 (1H, m), 7.25 - 7.36 (10H, m); m/z (ES+) [M+H]+ = 466.
중간체 8: (2R,4S)-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0.366 g, 0.550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0.419 g, 1.09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31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1.74 mL, 12.0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S)-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 2.54 g, 5.46 mmol)를 DCM(21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4S)-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 2.0 g, 61% 수율)를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Whelk-O1 column), 21.2 x 250 mm, 5 μm, 온도 = 23℃, 이동상 = 0 내지 15%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3 mg/inj, 농도 = MeOH 중 220 ng/mL, 유속 = 75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주 이성질체에 대한 입체 화학을 안티-첨가(anti-addition) 생성물로 지정하였고 부 이성질체는 신-첨가(syn-addition) 생성물로 지정하였다. 부 이성질체(368 mg, 0.620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6.2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32 mg, 0.124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2R,4S)-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8, 228 mg, 98%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57 - 0.74 (2H, m), 1.17 (12 H, s), 1.24 - 1.47 (13H, m), 1.59 - 1.78 (1H, m), 1.78 - 1.96 (1H, m), 2.01 - 2.20 (2H, m), 2.84 - 3.09 (1H, m), 3.58 - 3.73 (1H, m), 4.14 - 4.31 (1H, m), 4.98 - 5.09 (1H, m), 12.20 - 12.60 (1H, m); m/z (ES+) [M+H]+ = 414.
실시예 2: (2R,4S)-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5 mL, 8.4 mmol)을 DCM(4 mL) 중 (2R,4S)-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8, 175 mg, 0.42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3 mL) 및 1 M aq HCl(3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3 mg, 0.847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내지 10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S)-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 33 mg, 33%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D2O) δ 0.67 - 0.78 (2H, m), 1.08 - 1.41 (4H, m), 1.81 - 2.12 (3H, m), 2.51 (1H, dd), 3.22 - 3.37 (2H, m), 4.46 - 4.56 (1H, m); m/z (ES+) [M+H]+ = 232.
실시예 3: (2 R ,4 R )-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48
중간체 9: (2S,4R)-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5.00 g, 21.6 mmol)을 DMF(73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까지 냉각시켰다. 소듐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중량%, 1.81 g, 45.4 mmol)를 일부씩 첨가하고 현탁액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12.86 mL, 108.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RT까지 가온하면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 mL)로 희석하고 시트르산(10% aq) 및 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9, 5.9 g, 66%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7 - 1.39 (9H, s x2) 회전 이성질체, 1.95 - 2.08 (1H, m), 2.34 - 2.47 (1H, m), 3.41 - 3.53 (2H, m), 4.17 (1H, br s), 4.28 (1H, q), 4.43 - 4.55 (2H, m), 5.06 - 5.22 (2H, m), 7.25 - 7.41 (10H, m); m/z (ES+) [M+H]+ = 412.
중간체 10: (4R)-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R)-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9, 2.75 g, 6.68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1.03 mL, 10.0 mmol)를 THF(4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20.1 mL, 10.0 mmol)을 적가하여 용액을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10, 1.23 g, 40%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와 E/Z 올레핀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5 - 1.34 (9H, s x2) 회전 이성질체, 1.45 - 1.63 (3H, m), 2.12 - 2.64 (2H, m), 2.64 - 3.04 (1H, m), 3.06 - 3.19 (1H, m), 3.31 - 3.45 (1H, m), 3.46 - 3.81 (1H, m), 4.03 - 4.21 (1H, m), 4.30 - 4.55 (2H, m), 4.90 - 5.16 (2H, m), 5.16 - 5.34 (1H, m), 5.38 - 5.68 (1H, m), 7.25 - 7.41 (10H, m). m/z (ES+) [M+H]+ = 466.
중간체 12: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177 mg, 0.264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203 mg, 0.527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15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0.84 mL, 5.8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R)-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0, 1.23 g, 2.64 mmol)를 DCM(10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4R)-2-벤질 1-tert-부틸 4-(벤질옥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1, 950 mg, 60% 수율)를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21.2 x 250 mm, 5 μm, 온도 = 23℃, 이동상 = 0 내지 15%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3 mg/inj, 농도 = MeOH 중 220 ng/mL, 유속 = 75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주 이성질체에 대한 입체 화학을 안티-첨가 생성물로 지정하였고 부 이성질체는 신-첨가 생성물로 지정하였다. 주 이성질체(385 mg, 0.649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6.4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38 mg, 0.130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중간체 12, 249 mg, 93%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0.61 - 0.73 (2H, m), 0.97 - 1.11 (1H, m), 1.12 - 1.23 (12H, m), 1.25 - 1.44 (12H, m), 1.51 - 1.71 (1H, m), 1.84 - 2.04 (2H, m), 2.05 - 2.19 (2H, m), 3.12 - 3.29 (1H, m), 3.37 - 3.59 (1H, m), 4.09 - 4.23 (1H, m); m/z (ES+) [M+H]+ = 414.
실시예 3: (2R,4R)-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5 mL, 8.5 mmol)을 DCM(3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하이드록시-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12, 197 mg, 0.17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3 mL) 및 1 M aq HCl(3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2 mg, 0.837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2-(4-보로노부틸)-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3, 25 mg, 25%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2O) δ 0.68 - 0.78 (2H, m), 1.13 - 1.43 (4H, m), 1.64 - 1.79 (1H, m), 1.94 - 2.14 (2H, m), 2.47 (1H, d), 3.39 (2H, m), 4.46 - 4.53 (1H, m). m/z (ES+) [M+H]+ = 232.
실시예 4: (2 S ,4 S )-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49
중간체 13: (2S,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71 mL, 9.2 mmol)를 DCM(9.6 mL) 중 2-벤질 1-(tert-부틸)(2S,4R)-4-하이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2.45 g, 7.26 mmol) 및 트리에틸아민(1.27 mL, 9.15 mmol)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2-벤질 1-(tert-부틸) (2S,4R)-4-((메틸설포닐)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2.9 g, 95% 수율)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M+H]+ = 400. 소듐 아지드(1.65 g, 25.4 mmol)를 DMF(7.2 mL) 중 2-벤질 1-(tert-부틸)(2S,4R)-4-((메틸설포닐)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2.90 g, 7.2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13, 2.00 g, 80%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7 and 1.40 (9H, s x2) 회전 이성질체, 1.96 - 2.02 (1H, m), 2.53 - 2.63 (1H, m), 3.24 - 3.29 (1H, m), 3.58 - 3.66 (1H, m), 4.32 - 4.41 (2H, m), 5.06 - 5.22 (2H, m), 7.33-7.39 (5H, m); m/z (ES+) [M+H]+ = 347.
중간체 14: (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3, 1.00 g, 2.89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0.44 mL, 4.3 mmol)를 THF(2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8.66 mL, 4.33 mmol)을 적가하여 용액을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14, 750 mg, 65%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와 E/Z 올레핀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5 - 1.34 (9H, s x2) 로토머, 1.55 - 1.64 (3H, m), 1.99 - 2.15 (1H, m), 2.33 - 2.62 (2H, m), 2.73 - 3.10 (1H, m), 3.26 - 3.39 (1H, m), 3.52 - 3.84 (1H, m), 4.24 - 4.33 (1H, m), 5.03 - 5.21 (2H, m), 5.28 - 5.35 (1H, m), 5.49 - 5.65 (1H, m), 7.31 - 7.36 (5H, m); m/z (ES+) [M+H]+ = 401.
중간체 16: (2S,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중간체 17: (2R,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126 mg, 0.188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144 mg, 0.375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10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0.60 mL, 4.1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4, 750 mg, 1.87 mmol)를 DCM(8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5, 678 mg, 68% 수율)를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21.2 x 250 mm, 5 μm, 온도 = 23℃, 이동상 = 0 내지 15%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3 mg/inj, 농도 = MeOH 중 220 ng/mL, 유속 = 75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주 이성질체에 대한 입체 화학을 안티-첨가 생성물 중간체 16으로 지정하였고 부 이성질체는 신-첨가 생성물 중간체 17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16 (이성질체 1, 608 mg): (2S,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6) δ 0.64 - 0.72 (2H, m), 1.04 - 1.12 (1H, m), 1.13 - 1.20 (12H, m), 1.22 - 1.39 (12H, m), 1.69 - 1.80 (1H, m), 2.01 - 2.23 (2H, m), 2.36 - 2.48 (1H, m), 3.35 - 3.42 (1H, m), 3.58 - 3.69 (1H, m), 4.33 (1H, quin), 5.05 - 5.17 (2H, m), 7.31 - 7.40 (5H, m); m/z (ES+) [M+H]+ = 529.
중간체 17 (이성질체 2, 220 mg): (2R,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8: (2S,4S)-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6, 255 mg, 0.483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5 mL) 및 메탄올(5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28 mg, 0.120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중간체 18, 190 mg, 95%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6 (2H, t), 0.88-1.03 (1H, m), 1.16 (12H, s), 1.24-1.38 (13H, m), 1.40 - 1.56 (1H, m), 1.80 - 1.91 (1H, m), 2.00-2.15 (2H, m), 3.17-3.28 (1H, m), 3.58 - 3.61 (1H, m), 3.80 (1H, dd), 9.01 (2H, br s); m/z (ES+) [M+H]+ = 413.
실시예 4: (2S,4S)-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1 mL, 9.2 mmol)을 DCM(4 mL) 중 (2S,4S)-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18, 190 mg, 0.46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3 mL) 및 1 M aq HCl(3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12 mg, 0.919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S,4S)-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4, 40 mg, 37%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2O) δ 0.73 (2H, t), 1.10 - 1.42 (4H, m), 1.69 (1H, ddd), 1.86 - 1.99 (1H, m), 2.10 - 2.30 (2H, m), 3.05 (1H, dd), 3.44 (1H, dd), 3.69 (1H, quin); m/z (ES+) [M+H]+ = 231.
실시예 5: (2 R ,4 S )-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0
중간체 19: (2R,4S)-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S)-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7, 220 mg, 0.416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5 mL) 및 메탄올(5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11 mg, 0.104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중간체 19, 150 mg, 87%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4-0.71 (2H, m), 1.17 (12H, s), 1.31-1.40 (15H, m), 1.49 - 1.93 (3H, m), 2.02 - 2.26 (3H, m), 3.38-3.47 (1H, m), 3.72 - 3.81 (1H, m); m/z (ES+) [M+H]+ = 413.
실시예 5: (2R,4S)-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6 mL, 7.3 mmol)을 DCM(3 mL) 중 (2R,4S)-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19, 150 mg, 0.36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2 mL) 및 1 M aq HCl(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99 mg, 0.81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0 내지 10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S)-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5, 33 mg, 3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D2O) δ 0.72 (1H, m), 1.11 - 1.39 (3H, m), 1.46 - 1.55 (1H, m), 1.63 - 1.79 (2H, m), 1.95 - 2.05 (1H, m), 2.58 - 2.65 (1H, m), 2.87 - 2.95 (1H, m), 3.48 - 3.58 (3H, m); m/z (ES+) [M+H]+ = 231.
실시예 6: (2 S ,4 R )-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1
중간체 20: (2S,4R)-1-tert-부틸 2-메틸 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2.86 mL, 36.7 mmol)를 DCM(38 mL) 중 (2S,4S)-1-tert-부틸 2-메틸 4-하이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7.50 g, 30.6 mmol) 및 트리에틸아민(5.11 mL, 36.7 mmol)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1-(tert-부틸) 2-메틸 (2S,4S)-4-((메틸설포닐)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9.9 g, 100% 수율)를 제공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M+NH4]+ = 341.
소듐 아지드(5.96 g, 91.7 mmol)를 DMF(30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S)-4-((메틸설포닐)옥시)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9.89 g, 30.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0, 5.95 g, 72%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3 및 1.40 (9H, s x2) 회전 이성질체, 2.08 - 2.22 (1H, m), 2.26- 2.41 (1H, m), 3.41 (1H, dt), 3.48 - 3.61 (1H, m), 3.65 및 3.68 (3H, s x2) 회전 이성질체, 4.22 (1H, dd), 4.30 - 4.43 (1H, m); m/z (ES+) [M+H]+ = 271.
중간체 21: (2S,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물(22 mL) 중 소듐 하이드록사이드(5.28 g, 132 mmol)의 용액을 THF(44 mL) 및 MeOH(22 mL) 중 (2S,4R)-1-tert-부틸 2-메틸 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0, 5.95 g, 22.0 mmol)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수성 층을 5 M HCl로 약 pH 3으로 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2S,4R)-4-아지도-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5.64 g, 100%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5 및 1.40 (9H, s x2) 회전 이성질체, 2.07 - 2.18 (1H, m), 2.26- 2.38 (1H, m), 3.34 - 3.44 (1H, m), 3.48 - 3.63 (1H, m), 4.09-4.17 (1H, m), 4.30 - 4.37 (1H, m); m/z (ES-) [M+HCOO]- = 301.
벤질 브로마이드(2.83 mL, 23.8 mmol)를 DMF(60 mL) 중 (2S,4R)-4-아지도-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5.19 g, 19.9 mmol) 및 트리에틸아민(3.46 mL, 24.8 mmol)의 용액에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EtOAc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1, 5.09 g, 74%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6 및 1.39 (9H, s x2) 회전 이성질체, 2.11- 2.23 (1H, m), 2.31-2.43 (1H, m), 3.43 (1H, ddd), 3.50 -3.59 (1H, m), 4.25-4.40 (2H, m), 5.07-5.22 (2H, m), 7.31 -7.40 (5H, m); m/z (ES+) [M+H]+ = 347.
중간체 22: (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S,4R)-2-벤질 1-tert-부틸 4- 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1, 5.09 g, 14.7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2.27 mL, 22.0 mmol)를 THF(1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44.1 mL, 22.0 mmol)을 적가하여 용액을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2, 4.6 g, 78%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와 E/Z 올레핀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6 - 1.43 (9H, m), 1.59 - 1.66 (3H, m), 2.07 - 2.17 (1H, m), 2.32 - 2.48 (2H, m), 2.57 - 3.12 (2H, m), 3.35 - 3.82 (1H, m), 4.20 - 4.38 (1H, m), 5.02 - 5.22 (2H, m), 5.24 - 5.41 (1H, m), 5.46 - 5.68 (1H, m), 7.28 - 7.42 (5H, m); m/z (ES+) [M+H]+ = 401.
중간체 24: (2S,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중간체 25: (2R,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772 mg, 1.15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883 mg, 2.30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66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3.67 mL, 25.3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부트-2-에닐)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2, 4.60 g, 11.5 mmol)를 DCM(44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3, 2.7 g, 44% 수율)를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키랄팩(Chiralpak) IG 컬럼, 21.2 x 250 mm, 5 μm, 온도 = 23℃, 이동상 = 0 내지 7% MeOH(w/0.2% NH4OH):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16.8 mg/inj, 농도 = MeOH 중 112.5 ng/mL, 유속 = 70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주 부분입체 이성질체 중간체 25에 대한 입체 화학을 안티-첨가 생성물로 지정하였고 부 부분입체 이성질체 중간체 24는 신-첨가 생성물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24(436 mg): (2S,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400MHz, DMSO-d6) δ 0.58 - 0.70 (2H, m), 1.17 (12H, s), 1.25 -1.40 (13 H, m), 1.74-1.83 (1H, s), 2.00 - 2.11 (2H, m), 2.38-2.47 (1H, m), 3.07 - 3.16 (1H, m), 3.81 (1H, m), 4.29 - 4.34 (1H, m), 5.04 - 5.17 (2H, m), 7.34 - 7.39 (m, 5H); m/z (ES+) [M+H]+ = 529.
중간체 25(1.60 g): (2R,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400MHz, DMSO-d6) δ 0.56 - 0.73 (2H, m), 0.98 - 1.13 (1H, m), 1.17 (12H, s), 1.26 - 1.37 (13H, m), 1.66 - 1.79 (1H, m), 2.01 - 2.22 (2H, m), 2.34 - 2.47 (1H, m), 3.60 (1H, br dd), 4.29 - 4.35 (1H, m), 5.04 - 5.18 (2H, m), 7.31 - 7.40 (5H, m); m/z (ES+) [M+H]+ = 529.
중간체 26: (2S,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S,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4, 236 mg, 0.447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4.5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19 mg, 0.112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중간체 26, 275 mg, 100% 수율)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4 - 0.71 (2H, M), 1.17 (12H, s), 1.27 -1.40 (15H, m), 1.57 - 1.82 (4H, m), 1.98-2.08 (3H, m), 3.70 - 3.78 (1H, m); m/z (ES+) [M+H]+ = 413.
실시예 6: (2S,4R)-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9 mL, 8.9 mmol)을 DCM(4 mL) 중 (2S,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6, 184 mg, 0.44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2 mL) 및 1 M aq HCl(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9 mg, 0.894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S,4R)-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6, 38 mg, 37%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D2O) δ 0.72 (2H, td), 1.09 - 1.19 (1H, m), 1.22 - 1.39 (3H, m), 1.65 - 1.76 (2H, m), 1.95 - 2.04 (1H, m), 2.58 - 2.64 (1H, m), 2.87 - 2.94 (1H, m), 3.48 - 3.57 (2H, m); m/z (ES+) [M+H]+ = 231.
실시예 7: (2 R ,4 R )-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2
중간체 27: (2R,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5, 688 mg, 1.30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13 mL) 및 메탄올(4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346 mg, 0.325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중간체 27, 500 mg, 93% 수율)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7 (2H, t), 0.94-1.00 (1H, m), 1.17 (12H, s), 1.22 -1.38 (11H, m), 1.43 - 1.53 (1H, m), 1.85 (1H, d), 2.00 - 2.15 (2H, m), 3.23 (2H, dd), 3.58 - 3.61 (1H, m), 3.80 - 3.88 (1H, m), 8.96 (2H, m); m/z (ES+) [M+H]+ = 413.
실시예 7: (2R,4R)-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2 mL, 13.3 mmol)을 DCM(4 mL) 중 (2R,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7, 275 mg, 0.66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2 mL) 및 1 M aq HCl(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63 mg, 1.34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내지 10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7, 53 mg, 34%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D2O) δ 0.76 (2H, dt), 1.10 - 1.46 (4H, m), 1.62 - 1.71 (1H, m), 1.84 - 1.96 (1H, m), 2.10 - 2.21 (1H, m), 2.22 - 2.32 (1H, m), 3.07 (1H, dd), 3.46 (1H, dd), 3.71 (1H, quin); m/z (ES+) [M+H]+ = 231.
실시예 8: (2 R ,4 R )-4-(( S )-2-아미노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3
중간체 28: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에틸아민(0.18 mL, 1.3 mmol) 및 HATU(213 mg, 0.560 mmol)를 DMF(2.4mL) 중 Boc-Ala-OH(106 mg, 0.560 mmol)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R,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7, 210 mg, 0.509 mmol)을 DMF(2.4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직접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8, 236 mg, 79%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5-0.72 (2H, m), 1.11 - 1.18 (18H, m), 1.26-1.37 (20H, m), 1.63 - 1.73 (1H, m), 2.02 - 2.25 (2H, m), 3.09 - 3.20 (1H, m), 3.59 - 3.72 (1H, m), 3.83 - 3.94 (1H, m), 4.18 - 4.29 (1H, m), 6.80 (1H, br s), 7.96 (1H, s), 13.78 (1H, br s); m/z (ES+) [M+H]+ = 584.
실시예 8: (2R,4R)-4-((S)-2-아미노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2 mL, 8.1 mmol)을 DCM(4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8, 236 mg, 0.40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2 mL) 및 1 M aq HCl(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99 mg, 0.81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8, 18 mg, 15%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69 (2H, dt), 1.05 - 1.14 (1H, m), 1.21 (3H, d), 1.23-1.35 (3H, m), 1.65 (1H, dt), 1.91-1.96 (1H, m), 2.17 (1H, dd), 2.35 (1H, dd), 3.26 (1H, dd), 3.46 - 3.57 (2H, m), 4.29 - 4.34 (1H, m); m/z (ES+) [M+H]+ = 302.
실시예 9: (2 R ,4 R )-4-((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4
중간체 29: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에틸아민(0.21 mL, 1.5 mmol) 및 HATU(254 mg, 0.668 mmol)를 DMF(2.9 mL) 중 Boc-Val-OH(145 mg, 0.668 mmol)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R,4R)-4-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7, 250 mg, 0.606 mmol)을 DMF(2.9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직접 정제하여 생성물(중간체 29, 250 mg, 67% 수율)을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MSO-d6) δ 0.64 - 0.73 (2H, m), 0.73 - 0.85 (6H, m), 1.13 - 1.14 (1H, m), 1.17 (12H, s), 1.22 - 1.42 (22H, m), 1.56 - 1.75 (1H, m), 1.79 - 1.97 (1H, m), 2.00 - 2.26 (2H, m), 3.08 - 3.24 (1H, m), 3.54 - 3.77 (2H, m), 4.12 - 4.36 (1H, m), 6.58 (1H, t), 7.96 - 8.03 (2H, m); m/z (ES+) [M+H]+ = 584.
실시예 9: (2R,4R)-4-((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3 mL, 8.2 mmol)을 DCM(4 mL) 중 용액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29, 250 mg, 0.409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2 mL) 및 1 M aq HCl(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99 mg, 0.81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2 M 암모니아/메탄올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1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9, 28 mg, 20%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MHz, D2O) δ 0.66 - 0.76 (2H, m), 0.85 (6H, dd), 1.07 - 1.43 (4H, m), 1.55 - 1.68 (1H, m), 1.77 - 1.97 (2H, m), 2.13 - 2.33 (2H, m), 3.07 (1H, d), 3.08 - 3.16 (1H, m), 3.37 - 3.48 (1H, m), 4.27 - 4.40 (1H, m); m/z (ES+) [M+H]+ = 330.
실시예 10: (2 R ,4 R )-4-(( R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5
중간체 30: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린들라(Lindlar) 촉매(5 중량%, 0.275 g, 2.58 mmol)를 THF(25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지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5, 1.56 g, 2.9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8.5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풍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 x3으로 다시-충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1 내지 1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1.01 g, 68% 수율)를 검(gum)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74 (2H, q), 1.20 - 1.22 (14H, m), 1.23 - 1.29 (2H, m), 1.32 (6H, s), 1.37 - 1.42 (5H, m), 1.74 - 1.83 (1H, m), 1.83 - 1.93 (1H, m), 2.11 - 2.19 (0.6H, m), 2.21 - 2.32 (1.4H, m), 3.19 (0.4H, dd), 3.28 (0.6H, dd), 3.44 - 3.51 (1H, m), 3.63 (1H, dd), 5.07 - 5.20 (2H, m), 7.28 - 7.34 (1H, m), 7.34 - 7.41 (4H, m); m/z (ES+) [M+H]+ = 503.
중간체 31: (2R,4R)-2-벤질 1-tert-부틸 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35 mL, 1.34 mmol)을 DMF(2 mL) 중 HATU(245 mg, 0.64 mmol) 및 Boc-D-Val-OH(117 mg, 0.5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2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2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70 mg, 0.5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5 시간 동안 교반하고, DCM(30 mL)으로 희석하고 물(3 x 25 mL)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5 내지 6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1, 239 mg, 63% 수율)를 무색 발포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74 - 0.81 (2H, m), 0.84 (3H, d), 0.87 - 0.94 (3H, m), 1.24 (12H, s), 1.26 - 1.34 (2H, m), 1.37 (5H, s), 1.40 - 1.43 (2H, m), 1.45 (4H, s), 1.46 (9H, s), 1.78 - 1.89 (1H, m), 1.95 - 2.07 (2H, m), 2.21 - 2.29 (0.6H, m), 2.31 - 2.46 (1.4H, m), 3.51 - 3.60 (1.5H, m), 3.65 (0.5H, br d), 3.72 (1H, br dd), 4.49 - 4.58 (1H, m), 5.01 (1H, br d), 5.19 - 5.29 (2H, m), 6.93 - 7.09 (1H, m), 7.36 - 7.40 (1H, m), 7.43 (4H, app d); m/z (ES+) [M+H]+ = 702.
중간체 32: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5 mg, 0.23 mmol)를 EtOAc(4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1, 239 mg, 0.3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풍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 x3으로 다시-충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2 내지 1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2, 196 mg, 94%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0.63 - 0.71 (2H, m), 0.75 - 0.82 (6H, m), 1.15 (12H, s), 1.21 - 1.30 (2H, m), 1.32 (6H, s), 1.36 (13H, br s), 1.61 - 1.72 (1H, m), 1.81 - 1.90 (1H, m), 1.92 - 2.05 (2H, m), 2.05 - 2.13 (0.6H, m), 2.13 - 2.28 (1.4H, m), 3.03 - 3.14 (1H, m), 3.62 (0.6H, t), 3.66 (1.4H, t), 4.18 - 4.29 (1H, m), 6.59 (1H, d), 7.99 (1H, br s), 12.48 (0.4H, br s), 12.65 (0.6H, br s); m/z (ES+) [M+H]+ = 612.
실시예 10: (2R,4R)-4-((R)-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37 mL, 4.8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R)-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2, 195 mg, 0.32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1 M HCl aq(2 mL) 및 Et2O(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17 mg, 0.96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8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R)-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0, 46 mg, 44%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3 - 0.80 (2H, m), 0.90 (6H, app t), 1.13 - 1.25 (1H, m), 1.26 - 1.35 (1H, m), 1.40 (2H, quin), 1.68 - 1.80 (1H, m), 1.85 - 1.96 (1H, m), 2.00 (1H, td), 2.29 (1H, dd), 2.37 - 2.45 (1H, m), 3.18 (1H, d), 3.28 (1H, dd), 3.59 (1H, dd), 4.36 - 4.49 (1H, m); m/z (ES+) [M+H]+ = 330.
실시예 11: (2 R ,4 R )-4-(( S )-2-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6
중간체 33: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65 mL, 0.95 mmol)을 DMF(1.5 mL) 중 HATU(158 mg, 0.42 mmol) 및 Boc-Tle-OH(92 mg, 0.4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15 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1.5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190 mg, 0.3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30 mL)로 희석하고 물(3 x 25 mL), 포화 수성 NaHCO3(30 mL)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5 내지 6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3, 261 mg, 96% 수율)를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0.69 (2H, q), 0.87 (9H, s), 1.17 (12H, s), 1.26 (5H, s), 1.29 - 1.32 (1H, m), 1.34 (5H, s), 1.38 (9H, s), 1.72 - 1.85 (1H, m), 1.90 - 2.08 (2H, m), 2.06 - 2.18 (1H, m), 2.22 - 2.35 (2H, m), 3.11 - 3.22 (1H, m), 3.68 - 3.81 (2H, m), 4.23 - 4.37 (1H, m), 5.06 - 5.19 (2H, m), 6.40 (1H, t), 7.31 - 7.40 (5H, m), 8.11 (1H, d); m/z (ES+) [M+Na]+ = 738.
중간체 34: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5 mg, 0.23 mmol)를 EtOAc(4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3, 260 mg, 0.3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풍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 x3으로 다시-충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2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4, 207 mg, 91%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0.63 - 0.72 (2H, m), 0.86 (9H, s), 1.09 - 1.20 (14H, m), 1.21 - 1.30 (2H, m), 1.33 (5H, s), 1.35 - 1.38 (13H, m), 1.61 - 1.73 (1H, m), 1.89 - 2.11 (2H, m), 2.14 - 2.27 (1H, m), 3.06 - 3.14 (1H, m), 3.59 - 3.72 (1H, m), 3.72 - 3.80 (1H, m), 4.20 - 4.30 (1H, m), 6.35 (1H, d), 8.08 (1H, br s), 12.47 (0.4H, br s), 12.63 (0.6H, br s); m/z (ES+) [M+H]+ = 626.
실시예 11: (2R,4R)-4-((S)-2-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38 mL, 4.9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4, 206 mg, 0.3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1 M HCl aq(4 mL) 및 Et2O(4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20 mg, 0.99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2 내지 5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3,3-디메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1, 40 mg, 35%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2 (2H, td), 0.89 (9H, s), 1.10 - 1.21 (1H, m), 1.22 - 1.30 (1H, m), 1.35 (2H, quin), 1.64 - 1.75 (1H, m), 1.90 - 2.02 (1H, m), 2.22 - 2.34 (2H, m), 3.04 (1H, s), 3.22 (1H, dd), 3.56 (1H, dd), 4.41 (1H, quin); m/z (ES+) [M+H]+ = 344.
실시예 12: (2 R ,4 R )-2-(4-보로노부틸)-4-(( S )-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7
중간체 35: (2R,4R)-2-벤질 1-tert-부틸 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82 mL, 1.04 mmol)을 DMF(1.5mL) 중 HATU(175 mg, 0.46 mmol) 및 Boc-Pro-OH(94 mg, 0.4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2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1.5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10 mg, 0.4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30 mL)로 희석하고 물(3 x 25 mL), 포화 수성 NaHCO3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5 내지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5, 249 mg, 85% 수율)를 무색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68 - 0.79 (2H, m), 1.20 (12H, s), 1.31 (5H, s), 1.36 - 1.48 (16H, m), 1.74 - 1.87 (3H, m), 1.89 - 2.10 (3H, m), 2.13 - 2.46 (2H, m), 3.27 - 3.40 (1H, m), 3.44 (2H, br s), 3.50 - 3.64 (2H, m), 3.78 - 4.05 (1H, m), 4.49 (1H, br s), 5.10 - 5.27 (2H, m), 7.10 (1H, br s), 7.30 - 7.42 (5H, m); m/z (ES+) [M+H]+ = 700.
중간체 36: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5 mg, 0.23 mmol)를 EtOAc(4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5, 249 mg, 0.3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풍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 x3으로 다시-충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6, 207 mg, 87% 수율)을 무색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66 - 0.83 (2H, m), 1.21 (12H, s), 1.34 - 1.51 (21H, m), 1.63 - 1.97 (4H, m), 2.06 (1H, m), 2.11 - 2.29 (2H, m), 2.33 - 2.67 (1H, m), 3.24 - 3.52 (3H, m), 3.53 - 3.67 (1H, m), 4.15 - 4.34 (1H, m), 4.47 - 4.74 (1H, m), 6.76 - 7.23 (1H, m), 7.17 - 7.69 (1H, m), 9.74 (1H, br s); m/z (ES+) [M+H]+ = 610.
실시예 12: (2R,4R)-2-(4-보로노부틸)-4-((S)-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18 mL, 6.73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6, 205 mg, 0.3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1 M HCl aq(4 mL) 및 Et2O(4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23 mg, 1.01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5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2-(4-보로노부틸)-4-((S)-피롤리딘-2-카르복사미도)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2, 89 mg, 81%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0 - 0.79 (2H, m), 1.11 - 1.23 (1H, m), 1.24 - 1.33 (1H, m), 1.34 - 1.42 (2H, m), 1.60 - 1.71 (1H, m), 1.81 - 1.91 (3H, m), 1.91 - 1.99 (1H, m), 2.18 (1H, dd), 2.22 - 2.29 (1H, m), 2.40 (1H, dd), 3.08 - 3.16 (1H, m), 3.16 - 3.22 (1H, m), 3.25 (1H, dd), 3.48 (1H, dd), 3.99 (1H, dd), 4.29 - 4.38 (1H, m); m/z (ES+) [M+H]+ = 328.
실시예 13: (2 R ,4 R )-4-(2-아미노아세트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8
중간체 37: (2R,4R)-2-벤질 1-tert-부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82 mL, 1.04 mmol)을 DMF(1.5mL) 중 HATU(175 mg, 0.46 mmol) 및 Boc-Gly-OH(77 mg, 0.4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2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DMF(1.5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10 mg, 0.4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30 mL)로 희석하고 물(3 x 25 mL), 포화 수성 NaHCO3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10 내지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7, 235 mg, 85% 수율)를 무색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70 - 0.78 (2H, m), 1.12 - 1.18 (1H, m), 1.20 (12H, s), 1.25 - 1.30 (1H, m), 1.33 (5H, s), 1.43 (15H, s), 1.74 - 1.86 (1H, m), 1.95 (0.5H, br d), 2.03 (0.5H, br d), 2.15 - 2.26 (1H, m), 2.26 - 2.37 (1H, m), 2.40 (1H, dd), 3.43 - 3.57 (3H, m), 3.57 - 3.64 (1H, m), 4.50 (1H, br s), 5.03 (0.5H, br s), 5.10 (0.5H, br s), 5.13 - 5.25 (1H, m), 7.01 (1H, dd), 7.32 - 7.37 (1H, m), 7.36 - 7.41 (4H, m); m/z (ES+) [M+H]+ = 660.
중간체 38: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5 mg, 0.23 mmol)를 EtOAc(4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7, 233 mg, 0.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풍선, 플라스크를 비우고 수소 x3으로 다시-충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8, 176 mg, 87% 수율)을 무색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65 - 0.80 (2H, m), 1.11 - 1.18 (1H, m), 1.18 - 1.23 (12H, m), 1.25 - 1.32 (1H, m), 1.36 - 1.45 (13H, m), 1.47 (7H, s), 1.70 - 1.83 (0.4H, m), 1.84 - 1.95 (0.6H, m), 2.06 - 2.27 (2H, m), 2.33 - 2.47 (0.4H, m), 2.63 (0.6H, br d), 3.44 - 3.62 (2H, m), 3.63 - 3.82 (2H, m), 4.28 (0.6H, br s), 4.36 - 4.60 (0.4H, m), 5.26 (0.6H, br s), 5.58 - 5.90 (0.3H, m), 6.83 (0.6H, br s), 6.97 - 7.44 (0.4H, m); m/z (ES+) [M+H]+ = 570.
실시예 13: (2R,4R)-4-(2-아미노아세트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476 mL, 6.18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38, 176 mg, 0.31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1 M HCl aq(4 mL) 및 Et2O(4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13 mg, 0.93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2-아미노아세트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3, 62 mg, 70%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6 (2H, td), 1.15 - 1.25 (1H, m), 1.26 - 1.34 (1H, m), 1.36 - 1.46 (2H, m), 1.69 - 1.79 (1H, m), 2.00 (1H, ddd), 2.27 (1H, dd), 2.44 (1H, dd), 3.33 (1H, dd), 3.42 (2H, s), 3.59 (1H, dd), 4.36 - 4.45 (1H, m); m/z (ES+) [M+H]+ = 288.
실시예 14: (2 R ,4 R )-4-(( S )-2-아미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59
중간체 39: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HATU(804 mg, 2.11 mmol)를 DMF(4 mL) 중 Boc-Abu-OH(430 mg, 2.1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885 mg, 1.76 mmol)를 DMF(3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5 mL, 4.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물(15 mL) 및 Et2O(1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2O(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5% 수성 리튬 클로라이드(1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9, 766 mg, 63% 수율)를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0 - 0.84 (5H, m), 1.09 - 1.19 (1H, m), 1.21 (12H, s), 1.36 - 1.46 (18H, m), 1.46 - 1.97 (7H, m), 2.12 - 2.45 (2H, m), 3.45 - 3.60 (1H, m), 3.68 (1H, br d), 3.78 - 3.94 (1H, m), 4.42 - 4.64 (1H, m), 4.73 - 5.03 (1H, m), 5.07 - 5.33 (2H, m), 7.09 (1H, br d), 7.28 - 7.40 (5H, m). m/z (ES+) [M+H]+ = 688.
중간체 40: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9, 766 mg, 1.11 mmol)를 EtOAc(11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19 mg, 0.11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EtOAc 및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0, 470 mg, 70% 수율)을 흰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67 - 0.82 (2H, m), 0.89 (3H, br t), 1.11 - 1.28 (14H, m), 1.37 - 1.51 (20H, m), 1.53 - 1.65 (1H, m), 1.65 - 1.94 (2H, m), 2.02 - 2.12 (1H, m), 2.13 - 2.31 (1H, m), 2.70 (1H, br d), 3.40 - 3.62 (2H, m), 3.88 - 4.04 (1H, m), 4.26 (1H, br s), 5.01 (1H, br s), 6.73 (1H, br d); m/z (ES+) [M+H]+ = 598.
실시예 14: (2R,4R)-4-((S)-2-아미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페닐보론산(192 mg, 1.57 mmol)을 2 M HCl aq(5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0, 470 mg, 0.79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10 mL) 및 Et2O(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3 x 5 mL)로 세척한 다음 동결 건조시켜 발포체로 만들었다. 유기 층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디옥산 중 4 M HCl(4 mL, 16 mmol)에 희석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10 mL) 및 Et2O(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3 x 5 mL)로 세척한 다음 동결 건조시켜 발포체로 만들었다. 이들 두 작업으로부터의 발포체를 합하고 생성된 미정제 아미노산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Silicycle SiliaSep SPE-R51230B-20X 5g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25%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부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4, 96 mg, 3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55 - 0.82 (2H, m), 0.88 (3H, t), 1.12 - 1.48 (4H, m), 1.56 - 1.81 (3H, m), 1.86 - 2.10 (1H, m), 2.12 - 2.53 (2H, m), 3.15 - 3.37 (1H, m), 3.41 - 3.53 (1H, m), 3.62 (1H, dd), 4.35 - 4.52 (1H, m); m/z (ES+) [M-H2O+H]+ = 298.
실시예 15: (2 R ,4 R )-4-((2 S ,3 S )-2-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0
중간체 41: (2R,4R)-2-벤질 1-tert-부틸 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HATU(804 mg, 2.11 mmol)를 DMF(4 mL) 중 Boc-Ile-OH(489 mg, 2.1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885 mg, 1.76 mmol)를 DMF(3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5 mL, 4.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물(15 mL) 및 Et2O(1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2O(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5% 수성 리튬 클로라이드(1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1, 707 mg, 56% 수율)를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9 (2H, br t), 0.83 - 1.05 (8H, m), 1.12 - 1.21 (1H, m), 1.24 (12H, s), 1.32 - 1.61 (20H, m), 1.62 - 2.02 (4H, m), 2.18 - 2.55 (2H, m), 3.49 - 3.65 (1H, m), 3.65 - 3.78 (1H, m), 3.90 (1H, br s), 4.53 - 4.72 (1H, m), 4.95 (1H, br s), 5.07 - 5.43 (2H, m), 7.16 (1H, br d), 7.30 - 7.44 (5H, m). m/z (ES+) [M+H]+ = 716.
중간체 42: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1, 707 mg, 0.99 mmol)를 EtOAc(10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05 mg, 0.10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EtOAc 및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2, 603 mg, 98% 수율)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68 - 0.80 (2H, m), 0.83 - 0.93 (6H, m), 1.05 - 1.14 (1H, m), 1.21 (12H, s), 1.28 - 1.36 (1H, m), 1.37 - 1.55 (22H, m), 1.71 - 1.96 (2H, m), 2.18 - 2.31 (1H, m), 2.72 (1H, br d), 3.42 - 3.51 (2H, m), 3.52 - 3.63 (1H, m), 3.86 - 4.04 (1H, m), 4.16 - 4.34 (1H, m), 4.98 (1H, br d), 6.69 (1H, br s); m/z (ES+) [M+H]+ = 626.
실시예 15: (2R,4R)-4-((2S,3S)-2-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10 mL, 14.3 mmol)을 DCM(6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2S,3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2, 603 mg, 0.9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10 mL)에 용해시키고 진공 하에 재농축시켰다. 이 재용해 및 재농축 절차를 2 회 더 반복하였다. 그 후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6 mL) 및 1 M HCl aq(6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235 mg, 1.93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Silicycle SiliaSep SPE-R51230B-20X 5g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Aq, 물 중 0 내지 25%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2S,3S)-2-아미노-3-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5, 136 mg, 41%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55 - 0.81 (2H, m), 0.89 (6H, dd), 1.07 - 1.52 (6H, m), 1.63 - 1.83 (2H, m), 1.86 - 2.09 (1H, m), 2.13 - 2.51 (2H, m), 3.11 - 3.40 (2H, m), 3.45 - 3.67 (1H, m), 4.39 - 4.54 (1H, m); m/z (ES+) [M+H]+ = 344.
실시예 16: (2 R ,4 R )-4-(( S )-2-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1
중간체 43: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HATU(247 mg, 0.65 mmol)를 DCM (2 mL) 중 Boc-Leu-OH(125 mg, 0.54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72 mg, 0.54 mmol)를 DCM(2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9 mL, 1.1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DCM(20 mL)으로 희석하고 물(25 mL)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3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3, 210 mg, 54% 수율)를 무색 발포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7 (2H, t), 0.91 (6H, d), 1.06 - 1.19 (1H, m), 1.19 - 1.24 (12H, m), 1.31 - 1.51 (20H, m), 1.50 - 1.63 (2H, m), 1.73 - 2.02 (2H, m), 2.17 - 2.55 (2H, m), 3.35 - 3.75 (2H, m), 3.84 - 4.06 (1H, m), 4.35 - 4.75 (2H, m), 5.00 - 5.46 (2H, m), 7.08 - 7.22 (1H, m), 7.28 - 7.42 (5H, m); m/z (ES+) [M+H]+ = 716.
중간체 44: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3, 201 mg, 0.28 mmol)를 EtOAc(4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100 mg, 0.094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EtOAc 및 메탄올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4, 170 mg, 97%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8 (2H, t), 0.93 (6H, d), 1.15 - 1.25 (12H, m), 1.25 - 1.31 (2H, m), 1.39 - 1.51 (19H, m), 1.55 - 1.72 (2H, m), 1.73 - 1.89 (1H, m), 2.01 - 2.11 (1H, m), 2.18 - 2.36 (1H, m), 2.47 - 2.83 (1H, m), 3.37 - 3.74 (2H, m), 3.96 - 4.10 (1H, m), 4.17 - 4.32 (1H, m), 4.82 - 5.31 (1H, m), 6.62 - 7.12 (1H, m); m/z (ES+) [M+H]+ = 626.
실시예 16: (2R,4R)-4-((S)-2-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 mL, 13.0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4, 170 mg, 0.2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그 후 미정제 아미노산을 Et2O(5 mL) 및 물(4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66 mg, 0.54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 mL) 및 Et2O(2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g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4-메틸펜탄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6, 88 mg, 94%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46 - 0.68 (2H, m), 0.73 - 0.82 (6H, m), 1.03 - 1.13 (1H, m), 1.13 - 1.23 (1H, m), 1.23 - 1.42 (4H, m), 1.42 - 1.52 (1H, m), 1.54 - 1.66 (1H, m), 1.76 - 1.93 (1H, m), 2.07 - 2.19 (1H, m), 2.29 (1H, dd), 3.13 (1H, q), 3.34 (1H, t), 3.48 (1H, q), 4.23 - 4.40 (1H, m); m/z (ES+) [M+H]+ = 344.
실시예 17: (2 R ,4 R )-4-(( S )-2-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2
중간체 45: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08 mL, 0.62 mmol)을 DMF(5 mL) 중 COMU(292 mg, 0.68 mmol),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311 mg, 0.62 mmol) 및 Boc-Ser-OH(133 mg, 0.6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80 mL) 및 EtOAc(15 mL)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포화 수성 NaHCO3로 추가 희석한 다음,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포화 수성 NaCl(2 x 1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5, 358 mg, 84% 수율)를 무색 건조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6 (2H, t), 1.16 (1H, m), 1.21 (12H, s), 1.31 (6H, s), 1.35 - 1.42 (5H, m), 1.43 (11H, s), 1.73 - 1.87 (1H, m), 1.87 - 2.02 (2H, m), 2.14 - 2.24 (1H, m), 2.29 - 2.41 (1H, m), 3.43 - 3.52 (0.4H, m), 3.52 - 3.61 (2H, m), 3.66 (0.6H, d), 3.79 - 3.92 (1H, m), 3.92 - 4.04 (1H, m), 4.51 (1H, br s), 5.06 - 5.26 (2H, m), 5.36 (1H, br s), 7.30 - 7.40 (5H, m); m/z (ES+) [M+H]+ = 690.
중간체 46: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5, 358 mg, 0.52 mmol)를 EtOAc(4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50 mg, 0.047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3.5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6, 303 mg, 97%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67 - 0.91 (2H, m), 1.25 (14H, s), 1.41 - 1.47 (3H, m), 1.48 (9H, s), 1.53 (10H, s), 1.82 - 1.90 (2H, m), 2.06 - 2.14 (1H, m), 2.24 - 2.33 (1H, m), 2.76 - 2.91 (1H, m), 3.48 - 3.54 (1H, m), 3.59 (1H, dd), 3.70 (1H, dd), 3.93 (1H, d), 4.03 - 4.17 (1H, m), 4.29 (1H, d), 6.79 - 6.98 (1H, m); m/z (ES+) [M+H]+ = 600.
실시예 17: (2R,4R)-4-((S)-2-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771 mL, 10.01 mmol)을 DCM(4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6, 300 mg, 0.5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5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4 mL, 4.00 mmol) 및 Et2O(4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83 mg, 1.50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를 거치게 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3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여 (2R,4R)-4-((S)-2-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7, 94 mg, 5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7 (2H, td), 1.16 - 1.26 (1H, m), 1.26 - 1.35 (1H, m), 1.35 - 1.45 (2H, m), 1.76 (1H, ddd), 2.02 (1H, ddd), 2.29 (1H, dd), 2.46 (1H, dd), 3.35 (1H, dd), 3.48 (1H, t), 3.62 (1H, dd), 3.66 - 3.77 (2H, m), 4.40 - 4.50 (1H, m); m/z (ES+) [M+H]+ = 318.
실시예 18: (2 R ,4 R )-4-(( S )-2-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3
중간체 47: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82 mL, 0.47 mmol)을 DMF(3 mL) 중 COMU(220 mg, 0.51 mmol),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35 mg, 0.47 mmol) 및 N-Boc-O-메틸-L-세린(108 mg, 0.4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60 mL) 및 DCM(15 mL)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포화 수성 NaHCO3(30 mL), 포화 수성 NaCl(2 x 1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7, 145 mg, 44% 수율)를 무색 건조 필름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CDCl3) δ 0.78 (2H, t), 1.18 (1H, br dd), 1.22 - 1.26 (13H, m), 1.33 (6H, s), 1.44 (5H, br s), 1.46 (9H, s), 1.57 - 1.74 (1H, m), 1.74 - 1.85 (1H, m), 1.94 (0.4H, d), 2.01 (0.6H, d), 2.18 - 2.27 (0.6H, m), 2.32 - 2.47 (1.4H, m), 3.32 (3H, s), 3.39 - 3.46 (1H, m), 3.49 - 3.55 (0.4H, m), 3.60 (1H, dd), 3.65 - 3.76 (1.6H, m), 4.15 (1H, br d), 4.51 - 4.64 (1H, m), 5.06 - 5.22 (2H, m), 5.23 - 5.34 (1H, m), 7.32 - 7.39 (5H, m); m/z (ES+) [M+H]+ = 704.
중간체 48: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2R,4R)-2-벤질 1-tert-부틸 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47, 145 mg, 0.21 mmol)를 EtOAc(2 mL)에 용해시키고 Pd/C(10 중량%, 22 mg, 0.021 mmol)로 처리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8, 126 mg, 100% 수율)을 흰색 고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CD2Cl2) δ 0.65 - 0.80 (2H, m), 1.14 - 1.29 (14H, m), 1.35 - 1.43 (5H, m), 1.44 (7H, s), 1.46 - 1.60 (8H, m), 1.77 - 1.95 (1H, m), 2.03 - 2.14 (1H, m), 2.14 - 2.26 (1H, m), 2.68 (1H, br d), 3.33 (3H, s), 3.38 - 3.47 (1H, m), 3.47 - 3.60 (2H, m), 3.65 - 3.76 (1H, m), 4.02 - 4.15 (1H, m), 4.24 (1H, br s), 5.38 (1H, br s), 7.06 (1H, br s); m/z (ES+) [M+H]+ = 614.
실시예 18: (2R,4R)-4-((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5 mL, 3.26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48, 100 mg, 0.1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주위 온도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2 mL, 2.00 mmol) 및 Et2O(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60 mg, 0.49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20 mL) 및 물(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MeOH(3 mL)에 용해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 cc 컬럼)를 거치게 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켰다. 수득된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2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동결 건조시키고 생성된 물질을 다시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2% 아세토니트릴)를 거치게 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동결 건조시키고 생성된 물질을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RediSep Rf Gold®; C18, 물 중 0 내지 5% 아세토니트릴)로 다시 재정제하여 (2R,4R)-4-((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아미도)-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18, 18 mg, 35%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2O) δ 0.77 (2H, td), 1.14 - 1.27 (1H, m), 1.27 - 1.35 (1H, m), 1.35 - 1.45 (2H, m), 1.72 - 1.81 (1H, m), 2.02 (1H, ddd), 2.30 (1H, dd), 2.41 (1H, dd), 3.31 - 3.38 (4H, m), 3.55 - 3.60 (3H, m), 3.63 (1H, dd), 4.42 - 4.51 (1H, m); m/z (ES+) [M+H]+ = 332.
실시예 19: (S)-2-아미노-N-((3R,5R)-8-하이드록시-6-옥소-7-옥사-1-아자-8-보라스피로[4.7]도데칸-3-일)-3-메틸부탄아미드 - 화합물 B
Figure pct00064
상호 전환 공정을 통해 실시예 9(화합물 A)의 분자내 고리화에 의해 화합물 B(실시예 19)를 수득하였다. 또한, 화합물 A(실시예 9)와 화합물 B 사이의 상호 전환을 다양한 조건 하에서 관찰하였다. 예를 들어, 물의 존재 하에 화합물 B를 화합물 A로 전환시켰으며 이러한 전환은 용매 중 물의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것은 100% d6-DMSO(A로 표지), d6-DMSO 중 75% D2O(B로 표지), d6-DMSO 중 50% D2O(C로 표지), d6-DMSO 중 25% D2O(E로 표지) 및 100% D2O(F로 표지)에서 제조된 화합물 B의 NMR 스펙트럼이 나타난 도 1에서 입증된다. d6-DMSO에서는, 화합물 B가 우세한 반면, D2O 농도 증가에 따라 화합물 A의 비례적 증가가 존재한다. 100% D2O에서의 화합물 B 대비 화합물 A의 비율은 대략 90%에 달한다. 또한, 산성 조건 하에서 화합물 B를 화합물 A로 전환시켰다. 도 2에서, 0.1 M DCl(D2O 중)에서의 화합물 B의 NMR 스펙트럼은 산성화가 화합물 A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을 산출함을 입증한다. 추가로, 결정질 화합물 B 및 비정질 화합물 B는 동일한 구조 형태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3에서, NMR 스펙트럼(d6-DMSO에서 수득됨)은 결정질 화합물 B 및 비정질 화합물 B 둘 모두 동일한 고리형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20: (2 R ,4 R )-4-[[(2 S )-2-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5
중간체 52: 2-벤질 1-(tert-부틸) (2R,4R)-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3 mL, 0.76 mmol)을 DMF(2.6 mL) 중 (S)-N-알파-t-부틸옥시카르보닐-3,3-디메틸-세린(106 mg, 0.454 mmol) 및 HATU(0.173 g, 0.45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1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190 mg, 0.3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40 mL)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H4Cl(2 x 20 mL), 포화 수성 NaHCO3(2 x 20 mL) 및 염수(2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2R,4R)-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2, 223 mg, 82% 수율)를 흰색 발포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MeOH-d 4) δ 0.70 - 0.83 (m, 2 H) 1.14 - 1.27 (m, 19 H) 1.31 (s, 6 H) 1.36 - 1.42 (m, 5 H) 1.44 (s, 10 H) 1.81 - 1.93 (m, 1 H) 2.02 - 2.14 (m, 1 H) 2.14 - 2.30 (m, 1 H) 2.36 - 2.49 (m, 1 H) 3.39 - 3.48 (m, 1 H) 3.73 - 3.83 (m, 1 H) 3.87 - 3.97 (m, 1 H) 4.43 - 4.53 (m, 1 H) 5.09 - 5.25 (m, 2 H) 7.28 - 7.45 (m, 5 H); m/z (ES+) [M+H]+ = 718.
실시예 20: (2R,4R)-4-[[(2S)-2-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100 mg, 0.09 mmol)를 EtOAc(3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탄아미도)-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2, 220 mg, 0.3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흰색 고체를 DCM(1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0 mL, 6.5 mmol)에 용해시키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Et2O(2 mL) 및 1 M HCl aq(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0 mg, 0.82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4-[[(2S)-2-아미노-3-하이드록시-3-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0, 92 mg, 87%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0 (2H, t), 1.20 (4H, s), 1.28 (4H, s), 1.31 - 1.40 (2H, m), 1.77 - 1.88 (1H, m), 2.04 - 2.14 (1H, m), 2.40 - 2.47 (1H, m), 2.48 - 2.54 (1H, m), 3.40 (1H, dd), 3.74 (1H, s), 3.75 - 3.80 (1H, m), 4.47 - 4.55 (1H, m); m/z: (ES+) [M+H]+ = 346.
실시예 21: (2 R ,4 R )-4-[[(2 S )-2-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6
중간체 53: 2-벤질 1-tert-부틸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4 mL, 0.82 mmol)을 DMF(3 mL) 중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메틸부탄산(0.113 g, 0.489 mmol) 및 HATU(0.186 g, 0.489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1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05 mg, 0.40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H4Cl(2 x 25 mL), 포화 수성 NaHCO3(2 x 25 mL) 및 염수(2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3, 211 mg, 72% 수율)를 흰색 발포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MeOH-d 4) δ 0.72 - 0.79 (2H, m), 0.80 - 0.93 (6H, m), 1.17 - 1.25 (13H, m), 1.31 (9H, d), 1.36 - 1.47 (16H, m), 1.82 - 1.92 (2H, m), 1.97 - 2.09 (1H, m), 2.15 - 2.30 (1H, m), 2.34 - 2.51 (1H, m), 3.61 - 3.75 (1H, m), 4.42 - 4.56 (1H, m), 5.08 - 5.31 (2H, m), 7.29 - 7.46 (5H, m); m/z: (ES+) [M+H]+ = 716.
실시예 21: (2R,4R)-4-[[(2S)-2-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90 mg, 0.08 mmol)를 EtOAc(4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3, 210 mg, 0.2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흰색 고체를 DCM(1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0 mL, 6.5 mmol)에 용해시키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Et2O(2 mL) 및 1 M HCl aq(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0 mg, 0.82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4-[[(2S)-2-아미노-2,3-디메틸-부타노일]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1, 90 mg, 8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4 - 0.78 (2H, m), 0.79 (3H, d), 0.89 (3H, d), 1.17 - 1.27 (4H, m), 1.28 - 1.35 (1H, m), 1.36 - 1.47 (2H, m), 1.70 - 1.81 (1H, m), 1.93 - 2.07 (2H, m), 2.27 (1H, dd), 2.43 (1H, dd), 3.27 - 3.39 (1H, m), 3.60 (1H, dd), 4.39 - 4.48 (1H, m); m/z: (ES+) [M+H]+ = 344.
실시예 22: (2 R ,4 R )-2-(4-보로노부틸)-4-[[(2 S )-2,3-디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7
중간체 54: 2-벤질 1-tert-부틸 (2R,4R)-4-[[(2S)-2,3-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4 mL, 0.82 mmol)을 DMF(3 mL) 중 Boc-Dap(Boc)-OH·DCHA(0.238 g, 0.489 mmol) 및 HATU(0.186 g, 0.489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1 mL) 중 (2R,4R)-2-벤질 1-tert-부틸 4-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30, 205 mg, 0.40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H4Cl(2 x 25 mL), 포화 수성 NaHCO3(2 x 25 mL) 및 염수(2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R,4R)-4-[[(2S)-2,3-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4, 214 mg, 66% 수율)를 흰색 발포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MeOH-d 4) δ 0.76 (2H, q), 1.19 - 1.26 (14H, m), 1.27 - 1.34 (6H, m), 1.37 - 1.52 (24H, m), 1.76 - 1.93 (1H, m), 2.06 - 2.31 (2H, m), 2.50 (1H, s), 3.19 - 3.27 (2H, m), 3.66 - 3.84 (1H, m), 4.00 - 4.13 (1H, m), 4.35 - 4.50 (1H, m), 5.04 - 5.25 (2H, m), 7.26 - 7.50 (5H, m); m/z: (ES+) [M+H]+ = 789.
실시예 22: (2R,4R)-2-(4-보로노부틸)-4-[[(2S)-2,3-디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57 mg, 0.053 mmol)를 EtOAc(4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2S)-2,3-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4, 210 mg, 0.2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흰색 고체를 DCM(1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0 mL, 6.5 mmol)에 용해시키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Et2O(2 mL) 및 1 M HCl aq(2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0 mg, 0.82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2-(4-보로노부틸)-4-[[(2S)-2,3-디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2, 74 mg, 88%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1 (2H, t), 1.11 - 1.24 (1H, m), 1.26 - 1.41 (3H, m), 1.75 - 1.89 (1H, m), 2.00 - 2.13 (1H, m), 2.31 - 2.48 (1H, m), 2.51 - 2.67 (1H, m), 3.39 - 3.53 (3H, m), 3.68 - 3.80 (1H, m), 4.27 (1H, t), 4.41 - 4.52 (1H, m); m/z: (ES+) [M+H]+ = 317.
실시예 23: (2 R ,4 R )-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8
중간체 55: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4.41 g, 20.2 mmol)를 DCM(57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옥살산 염(4.50 g, 13.5 mmol) 및 트리에틸아민(5.63 mL, 40.4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N2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DCM(200 mL)으로 희석하고 0.5 M HCl(aq), 포화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MeOH)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5, 3.66 g, 79% 수율)를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9 - 1.42 (18H, m), 1.96 - 2.17 (2H, m), 3.12 - 3.17 (1H, m), 3.45 - 3.56 (1H, m), 3.62 - 3.69 (3H, m), 3.96 - 4.06 (1H, m), 4.24 - 4.34 (1H, m), 7.17 - 7.26 (1H, m); m/z: (ES+) [M+H]+ = 345.
중간체 56: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소듐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0.491 g, 12.3 mmol)를 DMF(35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5, 3.66 g, 10.7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물을 1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요오다이드(0.715 ml, 11.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6, 3.13 g, 8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8 - 1.41 (18H, m), 1.87 - 2.02 (1H, m), 2.29 - 2.44 (1H, m), 2.69 (3H, s), 3.13 - 3.25 (1H, m), 3.44 - 3.57 (1H, m), 3.60 - 3.68 (3H, m), 4.23 - 4.32 (1H, m), 4.62 (1H, br s); m/z: (ES+) [M+H]+ = 359.
중간체 57: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물(11 mL) 중 소듐 하이드록사이드(2.10 g, 52.4 mmol)의 용액을 THF(22 mL) 및 MeOH(11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6, 3.13 g, 8.73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성 층을 5 M HCl(aq)을 이용하여 약 pH 3으로 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 농축시켜 미정제 카르복실산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1.24 mL, 10.5 mmol)를 DMF(28 mL) 중 미정제 카르복실산, 소듐 요오다이드(1.737 g, 11.59 mmol) 및 K2CO3(3.01 g, 2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7, 3.05 g, 8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0 - 1.42 (18H, m), 1.91 - 2.07 (1H, m), 2.33 - 2.46 (1H, m), 2.69 (3H, s), 3.12 - 3.26 (1H, m), 3.44 - 3.57 (1H, m), 4.20 - 4.38 (1H, m), 4.66 (1H, br s), 5.07 - 5.20 (2H, m), 7.25 - 7.41 (5H, m); m/z: (ES+) [M+H]+ = 435.
중간체 58: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7, 3.05 g, 7.02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1.08 mL, 10.5 mmol)를 THF(2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21.0 mL, 10.5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정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8, 1.26 g, 37%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E/Z 올레핀 이성질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3 - 1.44 (18H, m), 1.51 - 1.70 (3H, m), 2.00 - 2.26 (2H, m), 2.38 - 2.47 (1H, m), 2.57 - 2.68 (3H, m), 2.71 - 3.00 (1H, m), 3.00 - 3.25 (1H, m), 3.40 - 3.74 (1H, m), 4.54 - 4.80 (1H, m), 5.01 - 5.27 (2H, m), 5.28 - 5.47 (1H, m), 5.49 - 5.72 (1H, m), 7.25 - 7.42 (5H, m); m/z: (ES+) [M+H]+ = 489.
중간체 59: 2-벤질 1-tert-부틸 (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269 mg, 0.400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308 mg, 0.801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11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1.28 mL, 8.82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8, 1.96 g, 4.01 mmol)를 DCM(7.5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MeOH 및 물로 조심스럽게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59, 2.5 g, 100%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30 mm x 250 mm, 5 μm, 온도 = 20℃, 이동상 = 0 내지 30%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1 mg/inj, 농도 = MeOH 중 125 mg/mL, 유속 = 75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입체 화학을 다른 예시된 화합물과 합치되도록 실시예 23 실시예 24의 효소 효능에 기반하여 후향적으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60(이성질체 2, 637 mg): 2-벤질 1-tert-부틸 (2R,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58 - 0.76 (2H, m), 1.15 (12H, d), 1.21 - 1.47 (22H, m), 1.69 - 1.82 (1H, m), 1.94 - 2.23 (3H, m), 2.56 - 2.62 (3H, m), 3.19 - 3.28 (1H, m), 3.45 - 3.57 (1H, m), 4.58 - 4.79 (1H, m), 5.01 - 5.26 (2H, m), 7.26 - 7.41 (5H, m).
중간체 61(이성질체 1, 860 mg):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62 - 0.71 (2H, m), 1.15 (12H, s), 1.20 - 1.42 (22H, m), 1.67 - 1.84 (1H, m), 1.92 - 2.32 (3H, m), 2.69 (3H, s), 3.04 - 3.15 (1H, m), 3.57 - 3.71 (1H, m), 4.52 - 4.73 (1H, m), 4.98 - 5.25 (2H, m), 7.24 - 7.40 (5H, m).
중간체 62: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165 mg, 0.155 mmol)를 EtOAc(7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0, 637 mg, 1.0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62, 350 mg, 64%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63 - 0.73 (2H, m), 1.14 - 1.19 (12H, m), 1.22 - 1.42 (21H, m), 1.63 - 1.77 (1H, m), 1.99 - 2.18 (3H, m), 2.63 - 2.67 (3H, m), 3.21 - 3.27 (2H, m), 3.41 - 3.55 (1H, m), 4.57 - 4.80 (1H, m), 12.32 - 12.75 (1H, m); m/z: (ES+) [M+H]+ = 527.
실시예 23: (2R,4R)-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1 mL, 6.7 mmol)을 DCM(4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62, 350 mg, 0.6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62 mg, 1.33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6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3, 140 mg, 86%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2 - 0.82 (2H, m), 1.09 - 1.43 (4H, m), 1.62 - 1.77 (1H, m), 1.83 - 1.95 (1H, m), 2.23 (2H, d), 2.46 (3H, s), 3.02 - 3.11 (1H, m), 3.37 - 3.49 (1H, m), 3.49 - 3.61 (1H, m); m/z: (ES+) [M+H]+ = 245.
실시예 24: (2 S ,4 R )-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9
중간체 63: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23 mg, 0.209 mmol)를 EtOAc(9.3 mL) 중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1, 860 mg, 1.3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63, 520 mg, 71%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60 - 0.75 (2H, m), 1.16 (12H, s), 1.28 - 1.45 (22H, m), 1.56 - 1.74 (1H, m), 1.84 - 1.95 (1H, m), 2.01 - 2.22 (2H, m), 2.69 (3H, s), 3.01 - 3.17 (1H, m), 3.56 - 3.70 (1H, m), 4.52 - 4.73 (1H, m), 12.35 - 12.77 (1H, m); m/z: (ES+) [M+H]+ = 527.
실시예 24: (2S,4R)-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23 mL, 16.0 mmol)을 DCM(8.5 mL) 중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63, 520 mg, 0.8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96 mg, 1.60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6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S,4R)-2-(4-보로노부틸)-4-(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4, 163 mg, 83%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0 - 0.90 (2H, m), 1.10 - 1.46 (4H, m), 1.65 - 1.77 (2H, m), 1.96 - 2.07 (1H, m), 2.43 (3H, s), 2.68 - 2.77 (1H, m), 2.96 - 3.10 (1H, m), 3.37 - 3.50 (1H, m), 3.50 - 3.60 (1H, m); m/z: (ES+) [M+H]+ = 245.
실시예 25: (2 R ,4 R )-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0
중간체 64: 2-벤질 1-tert-부틸 (2R,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트리페닐포스핀(7.87 g, 30.0 mmol) 및 물(0.54 mL, 30.0 mmol)을 THF(68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아지도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5.20 g, 15.0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까지 가열하고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2 x 100 mL)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1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MeOH)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R,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4, 3.2 g, 67%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0 - 1.49 (9H, m), 1.53 - 1.64 (1H, m), 1.65 - 1.79 (2H, m), 2.26 - 2.40 (1H, m), 2.85 - 3.01 (1H, m), 3.31 - 3.42 (1H, m), 3.45 - 3.56 (1H, m), 4.13 - 4.24 (1H, m), 4.99 - 5.25 (2H, m), 7.36 (5H, s); m/z: (ES+) [M+H]+ = 321.
중간체 65: 2-벤질 1-tert-부틸 (2R,4R)-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6.35 g, 29.9 mmol)를 MeOH(79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4, 3.20 g, 9.99 mmol) 및 포름알데히드(H2O 중 37 중량%, 4.46 mL, 59.9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DCM으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NH4OH와 함께 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R,4R)-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5, 3.00 g, 86%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4 (9H, s), 1.53 - 1.67 (1H, m), 2.10 (6H, s), 2.40 - 2.48 (1H, m), 2.53 - 2.73 (1H, m), 2.83 - 3.06 (1H, m), 3.59 - 3.69 (1H, m), 4.15 - 4.29 (1H, m), 5.02 - 5.21 (2H, m), 7.26 - 7.42 (5H, m); m/z: (ES+) [M+H]+ = 350.
중간체 66: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벤질 1-tert-부틸 (2R,4R)-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5, 3.00 g, 8.61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1.33 mL, 12.9 mmol)를 THF(18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25.8 mL, 12.9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정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6, 1.55 g, 45%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E/Z 올레핀 이성질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1 - 1.44 (9H, m), 1.51 - 1.70 (3H, m), 1.79 - 1.96 (1H, m), 2.05 (6H, s), 2.08 - 2.24 (1H, m), 2.31 - 2.43 (1H, m), 2.54 - 2.74 (1H, m), 2.75 - 3.08 (2H, m), 3.56 - 3.86 (1H, m), 5.00 - 5.23 (2H, m), 5.23 - 5.42 (1H, m), 5.43 - 5.73 (1H, m), 7.23 - 7.41 (5H, m); m/z: (ES+) [M+H]+ = 403.
중간체 67: 2-벤질 1-tert-부틸 (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240 mg, 0.36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275 mg, 0.715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10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1.14 mL, 7.87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6, 1.44 g, 3.58 mmol)를 DCM(6.7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MeOH 및 물로 조심스럽게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7, 1.5 g, 79%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30 mm x 250 mm, 5 μm, 온도 = 20℃, 이동상 = 0 내지 15%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2 mg/inj, 농도 = MeOH 중 80 mg/mL, 유속 = 120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입체 화학을 다른 예시된 화합물과 합치되도록 실시예 25 실시예 26의 효소 효능에 기반하여 후향적으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68(이성질체 2, 190 mg): 2-벤질 1-tert-부틸 (2R,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64 - 0.71 (2H, m), 0.97 - 1.12 (1H, m), 1.13 - 1.17 (12H, m), 1.24 (13H, s), 1.57 - 1.81 (1H, m), 1.81 - 1.99 (1H, m), 2.06 (6H, s), 2.09 - 2.21 (1H, m), 2.55 - 2.74 (1H, m), 3.02 - 3.12 (1H, m), 3.59 - 3.70 (1H, m), 5.00 - 5.20 (2H, m), 7.27 - 7.41 (5H, m).
중간체 69(이성질체 1, 491 mg): 2-벤질 1-tert-부틸 (2S,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52 - 0.72 (2H, m), 0.93 - 1.12 (1H, m), 1.12 - 1.20 (12H, m), 1.20 - 1.39 (13H, m), 1.59 - 1.74 (1H, m), 1.77 - 1.93 (1H, m), 2.06 (6H, s), 2.08 - 2.15 (1H, m), 2.53 - 2.65 (1H, m), 2.78 - 2.96 (1H, m), 3.67 - 3.82 (1H, m), 5.00 - 5.21 (2H, m), 7.27 - 7.42 (5H, m).
중간체 70: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57 mg, 0.054 mmol)를 EtOAc(2.4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8, 189 mg, 0.35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0, 150 mg, 96%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53 - 0.70 (2H, m), 1.11 - 1.20 (12H, m), 1.21 - 1.41 (14H, m), 1.56 - 1.71 (1H, m), 1.92 - 2.06 (2H, m), 2.20 (7H, s), 2.69 - 2.78 (1H, m), 3.37 - 3.51 (1H, m), 3.67 - 4.21 (1H, m); m/z: (ES+) [M+H]+ = 441.
실시예 25: (2R,4R)-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26 mL, 3.4 mmol)을 DCM(2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0, 150 mg, 0.3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83 mg, 0.68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5, 73 mg, 83%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62 - 0.73 (2H, m), 1.14 - 1.36 (4H, m), 1.79 - 1.90 (1H, m), 1.99 - 2.10 (1H, m), 2.57 - 2.73 (2H, m), 2.82 - 2.90 (6H, m), 3.48 - 3.56 (1H, m), 3.89 - 3.98 (1H, m), 4.12 - 4.20 (1H, m); m/z: (ES+) [M+H]+ = 259.
실시예 26: (2 S ,4 R )-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1
중간체 71: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148 mg, 0.139 mmol)를 EtOAc(6.7 mL) 중 2-벤질 1-tert-부틸 (2S,4R)-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9, 490 mg, 0.9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1, 405 mg, 9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52 - 0.71 (2H, m), 0.83 - 1.06 (1H, m), 1.16 (12H, s), 1.32 (12H, s), 1.53 - 1.67 (1H, m), 1.75 - 1.88 (1H, m), 2.01 - 2.13 (7H, m), 2.54 - 2.69 (1H, m), 2.79 - 2.95 (1H, m), 3.66 - 3.83 (1H, m), 7.24 - 7.46 (1H, m), 11.86 - 12.88 (1H, m); m/z: (ES+) [M+H]+ = 441.
실시예 26: (2S,4R)-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 mL, 13 mmol)을 DCM(5.1 mL) 중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1, 405 mg, 0.91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224 mg, 1.84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6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S,4R)-2-(4-보로노부틸)-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6, 206 mg, 87%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1 - 0.89 (2H, m), 1.12 - 1.44 (4H, m), 1.70 - 1.82 (2H, m), 1.97 - 2.11 (1H, m), 2.29 (6H, s), 2.62 - 2.71 (1H, m), 2.95 - 3.10 (2H, m), 3.61 - 3.68 (1H, m); m/z: (ES+) [M+H]+ = 259.
실시예 27: (2 R ,4 R )-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2
중간체 72: 1-tert-부틸 2-메틸 (2S,4R)-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아세트산(42 μL, 0.73 mmol)을 MeOH(194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7.48 g, 30.6 mmol) 및 tert-부틸 (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4.64 g, 29.2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9.27 g, 43.7 mmol)를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하면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DCM으로 희석하여 포화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물 및 포화 소듐 클로라이드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EtOAc/MeOH)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2-메틸 (2S,4R)-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2, 4.77 g, 42%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5 - 1.48 (20H, m), 1.84 - 2.07 (3H, m), 2.88 - 2.98 (2H, m), 3.02 - 3.17 (1H, m), 3.17 - 3.27 (1H, m), 3.40 - 3.51 (1H, m), 3.64 (3H, s), 4.14 - 4.24 (1H, m), 6.63 - 6.74 (1H, m); m/z: (ES+) [M+H]+ = 388.
중간체 73: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4.29 mL, 18.5 mmol)를 DCM(53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2, 4.77 g, 12.3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4.30 mL, 24.6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3, 4.25 mg, 71%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1 - 1.27 (1H, m), 1.27 - 1.42 (27H, m), 1.99 - 2.07 (1H, m), 2.33 - 2.46 (1H, m), 2.93 - 3.14 (3H, m), 3.17 - 3.24 (1H, m), 3.48 - 3.61 (1H, m), 3.61 - 3.69 (3H, m), 4.20 - 4.44 (2H, m), 6.79 - 6.94 (1H, m); m/z: (ES+) [M+H]+ = 488.
중간체 74: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물(11 mL) 중 소듐 하이드록사이드(2.09 g, 52.3 mmol)의 용액을 THF(22 mL) 및 MeOH(11 mL) 중 1-tert-부틸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3, 4.25 g, 8.72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성 층을 5 M HCl(aq)을 이용하여 약 pH 3으로 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 농축시켜 미정제 카르복실산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1.24 mL, 10.5 mmol)를 DMF(28 mL) 중 미정제 카르복실산, 소듐 요오다이드(1.96 g, 13.1 mmol) 및 K2CO3(3.62 g, 26.2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4, 3.91 g, 80% 수율)를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0 - 1.47 (27H, m), 2.00 - 2.13 (1H, m), 2.36 - 2.45 (1H, m), 2.93 - 3.01 (2H, m), 3.02 - 3.26 (3H, m), 3.48 - 3.64 (1H, m), 4.26 - 4.43 (2H, m), 5.05 - 5.22 (2H, m), 6.78 - 6.93 (1H, m), 7.25 - 7.41 (5H, m); m/z: (ES+) [M+H]+ = 564.
중간체 75: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4, 3.91 g, 6.94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0.93 mL, 9.0 mmol)를 THF(10.6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34.7 mL, 17.3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정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5, 1.34 g, 31%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E/Z 올레핀 이성질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1 - 1.45 (27H, m), 1.53 - 1.71 (3H, m), 1.91 - 2.32 (2H, m), 2.37 - 2.47 (1H, m), 2.69 - 2.86 (1H, m), 2.86 - 3.11 (4H, m), 3.46 - 3.58 (1H, m), 3.58 - 3.77 (1H, m), 4.29 - 4.57 (1H, m), 5.00 - 5.20 (2H, m), 5.28 - 5.46 (1H, m), 5.46 - 5.71 (1H, m), 6.83 - 7.00 (1H, m), 7.19 - 7.43 (5H, m); m/z: (ES+) [M+H]+ = 618.
중간체 76: 2-벤질 1-tert-부틸 (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222 mg, 0.331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254 mg, 0.661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9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1.05 mL, 7.26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벤질 1-tert-부틸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5, 2.04 g, 3.30 mmol)를 DCM(6.1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MeOH 및 물로 조심스럽게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 1-tert-부틸 (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6, 1.14 g, 46%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30 x 250 mm, 5 μm, 온도 = 20℃, 이동상 = 0.2% NH4OH와 함께 0 내지 20% IPA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18 mg/inj, 농도 = MeOH 중 46 mg/mL, 유속 = 120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입체 화학을 다른 예시된 화합물과 합치되도록 실시예 27 실시예 28의 효소 효능에 기반하여 후향적으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77(이성질체 2, 347 mg): 2-벤질 1-tert-부틸 (2R,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60 - 0.76 (2H, m), 1.15 (12H, s), 1.21 - 1.52 (31H, m), 1.66 - 1.82 (1H, m), 1.96 - 2.19 (2H, m), 2.19 - 2.33 (1H, m), 2.83 - 3.10 (4H, m), 3.48 - 3.66 (1H, m), 4.34 - 4.53 (1H, m), 5.00 - 5.23 (2H, m), 6.83 - 6.93 (1H, m), 7.25 - 7.43 (5H, m).
중간체 78(이성질체 1, 540 mg):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61 - 0.76 (2H, m), 1.15 (12H, s), 1.21 - 1.47 (31H, m), 1.61 - 1.80 (1H, m), 1.93 - 2.24 (2H, m), 2.26 - 2.43 (1H, m), 2.89 - 3.13 (5H, m), 3.60 - 3.81 (1H, m), 4.33 - 4.49 (1H, m), 5.00 - 5.20 (2H, m), 6.86 - 6.94 (1H, m), 7.27 - 7.39 (5H, m).
중간체 79: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99 mg, 0.093 mmol)를 EtOAc(2.3 mL) 중 2-벤질 1-tert-부틸 (2R,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7, 347 mg, 0.46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9, 287 mg, 94%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65 - 0.74 (2H, m), 1.14 - 1.21 (12H, m), 1.31 - 1.43 (31H, m), 1.66 - 1.76 (1H, m), 2.00 - 2.27 (3H, m), 2.96 - 3.12 (5H, m), 3.37 - 3.42 (1H, m), 3.49 - 3.61 (1H, m), 4.34 - 4.49 (1H, m), 6.84 - 6.93 (1H, m); m/z: (ES+) [M+H]+ = 656.
실시예 27: (2R,4R)-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7 mL, 8.8 mmol)을 DCM(3.7 mL) 중 (2R,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79, 287 mg, 0.438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07 mg, 0.878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7, 106 mg, 89%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63 - 0.77 (2H, m), 1.13 - 1.23 (1H, m), 1.37 (3H, br d), 1.63 - 1.76 (1H, m), 1.92 - 2.02 (1H, m), 2.06 - 2.14 (1H, m), 2.24 - 2.33 (1H, m), 2.78 (2H, s), 2.96 (2H, s), 3.08 - 3.19 (1H, m), 3.28 - 3.43 (1H, m), 3.43 - 3.51 (1H, m); m/z: (ES+) [M+H]+ = 274.
실시예 28: (2 S ,4 R )-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3
중간체 80: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137 mg, 0.129 mmol)를 EtOAc(7.2 mL) 중 2-벤질 1-tert-부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78, 480 mg, 0.6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80, 170 mg, 40%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58 - 0.73 (2H, m), 1.15 (12H, s), 1.37 (31H, br d), 1.58 - 1.74 (2H, m), 2.18 - 2.33 (2H, m), 2.92 - 3.16 (6H, m), 3.59 - 3.73 (1H, m), 4.31 - 4.50 (1H, m), 6.84 - 6.95 (1H, m); m/z: (ES+) [M+H]+ = 656.
실시예 28: (2S,4R)-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0 mL, 13.0 mmol)을 DCM(5 mL) 중 (2S,4R)-1-tert-부톡시카르보닐-4-[tert-부톡시카르보닐-[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80, 170 mg, 0.2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63 mg, 0.52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2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2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S,4R)-4-(2-아미노에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8, 67 mg, 95%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65 - 0.77 (2H, m), 1.11 - 1.24 (1H, m), 1.25 - 1.34 (1H, m), 1.34 - 1.42 (2H, m), 1.62 - 1.79 (2H, m), 1.97 - 2.06 (1H, m), 2.61 - 2.70 (1H, m), 2.72 - 2.84 (2H, m), 2.93 (3H, s), 3.30 - 3.41 (1H, m), 3.47 - 3.55 (1H, m); m/z: (ES+) [M+H]+ = 274.
실시예 29: (2 R ,4 R )-4-[[(2 S )-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4
중간체 81: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6.27 g, 28.8 mmol)를 DCM(78 ml) 중 1-벤질 2-메틸 (2S,4R)-4-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5.00 g, 18.0 mmol) 및 트리에틸아민(5.00 mL, 35.9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0.5 M HCl(aq), 포화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및 포화 소듐 클로라이드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DCM/MeOH)에 의해 정제하여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1, 5.4 g, 79% 수율)를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31 - 1.42 (9H, m), 1.99 - 2.23 (2H, m), 3.22 - 3.28 (1H, m), 3.52 - 3.65 (4H, m), 3.96 - 4.10 (1H, m), 4.30 - 4.48 (1H, m), 4.92 - 5.13 (2H, m), 7.18 - 7.41 (5H, m); m/z: (ES+) [M+H]+ = 379.
중간체 82: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소듐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0.423 g, 12.3 mmol)를 DMF(33 mL) 중 용액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81, 3.20 g, 8.46 mmol)에 0℃에서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가온하였다. 메틸 요오다이드(0.63 ml, 10.2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로 켄칭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현탁액을 DCM(200 mL)으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물(4 x 50 mL) 및 포화 수성 소듐 클로라이드(2 x 5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2, 2.33 g, 70%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5 - 1.47 (9H, m), 1.89 - 2.08 (1H, m), 2.31 - 2.46 (1H, m), 2.69 (3H, d), 3.22 - 3.39 (2H, m), 3.65 (4H, s), 4.22 - 4.49 (1H, m), 4.87 - 5.17 (2H, m), 7.18 - 7.46 (5H, m); m/z: (ES+) [M+H]+ = 393.
중간체 83: 디벤질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물(7.5 mL) 중 소듐 하이드록사이드(1.425 g, 35.62 mmol)의 용액을 THF(15 mL) 및 MeOH(7.5 mL) 중 1-벤질 2-메틸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2, 2.33 g, 5.9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수성 층을 5 M HCl(aq)을 이용하여 약 pH 3으로 산성화하고 DCM(4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 농축시켜 미정제 카르복실산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벤질 브로마이드(0.66 mL, 5.6 mmol)를 DMF(28 mL) 중 미정제 카르복실산, 소듐 요오다이드(1.11 g, 7.38 mmol) 및 K2CO3(1.92 g, 13.9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헹구었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디벤질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3, 2.45 g, 94% 수율)를 옅은-노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28 - 1.45 (9H, m), 1.98 (1H, s), 2.30 - 2.46 (1H, m), 2.64 - 2.71 (3H, m), 3.30 (1H, s), 3.51 - 3.76 (1H, m), 4.48 (1H, d), 4.53 - 4.75 (1H, m), 4.88 - 5.21 (4H, m), 7.18 - 7.42 (10H, m); m/z: (ES+) [M+H]+ = 469.
중간체 84: 디벤질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디벤질 (2S,4R)-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3, 2.45 g, 5.23 mmol) 및 크로틸 브로마이드(0.81 mL, 7.8 mmol)를 THF(18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78℃까지 냉각시켰다. KHMDS의 용액(톨루엔 중 0.5 M, 15.7 mL, 7.85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에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정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디벤질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4, 2.10 g, 86%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E/Z 올레핀 이성질체 및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31 - 1.40 (9H, m), 1.46 - 1.68 (3H, m), 1.99 - 2.31 (2H, m), 2.40 - 2.47 (1H, m), 2.55 - 2.68 (3H, m), 2.69 - 3.00 (1H, m), 3.30 (1H, s), 3.51 - 3.77 (1H, m), 4.55 - 4.74 (1H, m), 4.79 - 5.21 (4H, m), 5.26 - 5.41 (1H, m), 5.42 - 5.71 (1H, m), 7.16 - 7.42 (10H, m); m/z: (ES+) [M+H]+ = 523.
중간체 85: 디벤질 (4R)-2-(부트-2-에닐)-4-(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84 mL, 50.2 mmol)을 DCM(32 mL) 중 디벤질 (4R)-2-(부트-2-에닐)-4-[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4, 2.10 g, 4.02 mmol)의 용액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켜 디벤질 (4R)-2-(부트-2-에닐)-4-(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5, 2.55 g, 100% 수율)의 TFA 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45 - 1.74 (3H, m), 2.14 - 2.33 (1H, m), 2.34 - 2.46 (1H, m), 2.57 - 2.65 (3H, m), 2.66 - 3.07 (1H, m), 3.15 - 3.56 (1H, m), 3.66 - 3.77 (1H, m), 3.81 - 4.13 (1H, m), 4.79 - 5.22 (4H, m), 5.26 - 5.73 (2H, m), 7.20 - 7.41 (10H, m), 8.62 - 8.87 (2H, m); m/z: (ES+) [M+H]+ = 423.
중간체 86: di벤질 (4R)-2-(부트-2-에닐)-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0 mL, 4.0 mmol)을 DMF(15 mL) 중 HATU(1.52, 4.02 mmol) 및 Boc-Val-OH(873 mg, 4.02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15 mL) 중 디벤질 (4R)-2-(부트-2-에닐)-4-(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TFA 염(중간체 85, 2.16 g, 4.02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0 mL, 4.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17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직접 정제하여 디벤질 (4R)-2-(부트-2-에닐)-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6, 1.97 g, 79% 수율)를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1H NMR (500MHz, DMSO-d6) 0.61 - 0.92 (6H, m), 1.35 (9H, br s), 1.62 (3H, br d), 1.79 - 1.92 (1H, m), 2.03 - 2.33 (2H, m), 2.57 - 2.76 (2H, m), 2.76 - 3.00 (3H, m), 3.30 (1H, s), 3.49 - 3.77 (1H, m), 4.04 - 4.16 (1H, m), 4.78 - 5.20 (5H, m), 5.26 - 5.72 (2H, m), 6.72 - 7.03 (1H, m), 7.17 - 7.38 (10H, m); m/z: (ES+) [M+H]+ = 622.
중간체 87: 디벤질 (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디이리듐(I) 디클로라이드(213 mg, 0.317 mmol) 및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244 mg, 0.635 mmol)을 오븐-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N2로 퍼지하였다. 고체를 DCM(8.9 mL)에 용해시키고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1.01 mL, 6.97 mmol)을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벤질 (4R)-2-(부트-2-에닐)-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6, 1.97 g, 3.17 mmol)를 DCM(5.9 mL) 중 용액으로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MeOH 및 물로 조심스럽게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디벤질 (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7, 1.5 g, 63% 수율)를 노란색 오일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회전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정제된 물질이 키랄 SFC[(S,S)웰크-O1 컬럼, 30 x 250 mm, 5 μm, 온도 = 20℃, 이동상 = 0 내지 30% MeOH : CO2, 220 nm에서 UV 검출, 로딩 = 31 mg/inj, 농도 = MeOH 중 125 mg/mL, 유속 = 75 mL/분, 출구 압력 = 100 bar]를 거치게 하여, 2 종의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공하였다. 각각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입체 화학을 다른 예시된 화합물과 합치되도록 실시예 29 실시예 30의 효소 효능에 기반하여 후향적으로 지정하였다.
중간체 88(이성질체 2, 280 mg): 디벤질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51 - 0.70 (2H, m), 0.72 - 0.93 (6H, m), 1.14 (12H, s), 1.20 - 1.52 (13H, m), 1.67 - 2.31 (5H, m), 2.54 - 2.90 (3H, m), 3.33 - 3.48 (1H, m), 3.49 - 3.85 (1H, m), 4.01 - 4.18 (1H, m), 4.71 - 5.23 (5H, m), 6.71 - 7.07 (1H, m), 7.19 - 7.33 (10H, m).
중간체 89(이성질체 1, 590 mg): 디벤질 (2S,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 1H NMR (500MHz, DMSO-d 6) δ 0.49 - 0.72 (2H, m), 0.73 - 0.90 (6H, m), 1.15 (12H, s), 1.34 (13H, br s), 1.59 - 2.34 (5H, m), 2.94 (3H, br s), 3.30 (1H, s), 3.63 - 3.76 (1H, m), 3.96 - 4.17 (1H, m), 4.75 - 5.18 (5H, m), 6.71 - 7.05 (1H, m), 7.17 - 7.41 (10H, m).
중간체 90: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99 mg, 0.093 mmol)를 EtOAc(1.8 mL) 중 디벤질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8, 28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90, 180 mg, 92%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59 - 0.69 (2H, m), 0.74 - 0.87 (6H, m), 1.16 (12H, s), 1.22 - 1.30 (3H, m), 1.35 (9H, s), 1.49 - 1.65 (1H, m), 1.65 - 1.82 (1H, m), 1.82 - 1.95 (2H, m), 2.15 - 2.26 (1H, m), 2.63 - 2.91 (3H, m), 2.92 - 3.21 (3H, m), 4.05 - 4.22 (1H, m), 4.80 - 5.16 (1H, m), 6.76 (1H, s), 7.56 - 8.05 (1H, m); m/z: (ES+) [M+H]+ = 526.
실시예 29: (2R,4R)-4-[[(2S)-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3 mL, 6.9 mmol)을 DCM(10 mL) 중 (2R,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90, 180 mg, 0.3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84 mg, 0.69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6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R,4R)-4-[[(2S)-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29, 98 mg, 86%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72 - 0.83 (2H, m), 0.85 - 1.01 (6H, m), 1.10 - 1.45 (4H, m), 1.61 - 1.84 (1H, m), 1.85 - 2.03 (2H, m), 2.19 - 2.34 (1H, m), 2.34 - 2.49 (1H, m), 3.00 (3H, s), 3.16 - 3.51 (2H, m), 3.76 - 3.96 (1H, m), 4.95 - 5.10 (1H, m); m/z: (ES+) [M+H]+ = 344.
실시예 30: (2 S ,4 R )-4-[[(2 S )-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5
중간체 91: (2S,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Pd/C(10 중량%, 209 mg, 0.196 mmol)를 EtOAc(4 mL) 중 디벤질 (2S,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1,2-디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89, 590 mg, 0.7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에 H2 풍선을 장착하고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로 희석하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 건조시켜 (2S,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91, 397 mg, 96%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MHz, DMSO-d 6) δ 0.58 - 0.67 (2H, m), 0.73 - 0.87 (6H, m), 1.16 (12H, s), 1.22 - 1.31 (3H, m), 1.35 (9H, s), 1.51 - 1.67 (1H, m), 1.68 - 1.95 (3H, m), 2.28 - 2.37 (2H, m), 2.95 (4H, s), 4.05 - 4.20 (1H, m), 4.66 - 4.79 (1H, m), 6.65 - 6.90 (1H, m), 7.85 - 8.15 (1H, m); m/z: (ES+) [M+H]+ = 526.
실시예 30: (2S,4R)-4-[[(2S)-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17 mL, 15.2 mmol)을 DCM(10 mL) 중 (2S,4R)-4-[[(2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중간체 91, 397 mg, 0.75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1 M HCl aq(5 mL) 및 Et2O(5 mL)에 용해시켰다. 페닐보론산(186 mg, 1.52 mmol)을 첨가하고 투명한 2 상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2O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동결 건조시키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PoraPak Rxn CX 60cc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 5% 암모니아(60 mL)를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용리시켜 (2S,4R)-4-[[(2S)-2-아미노-3-메틸-부타노일]-메틸-아미노]-2-(4-보로노부틸)피롤리딘-2-카르복실산(실시예 30, 163 mg, 92% 수율)을 흰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2O) δ 0.68 - 0.78 (2H, m), 0.83 - 0.94 (6H, m), 1.10 - 1.41 (4H, m), 1.66 - 2.13 (4H, m), 2.49 - 2.68 (1H, m), 3.02 (3H, s), 3.22 - 3.30 (1H, m), 3.43 - 3.60 (1H, m), 3.70 - 3.88 (1H, m), 4.53 - 4.66 (1H, m); m/z: (ES+) [M+H]+ = 344.
실시예 31: 실시예 1 내지 30의 생물학적 활성
인간 아르기나제 1 및 아르기나제 2 활성의 활성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0의 저해 효과를 이.콜라이(E.coli)로부터 생산된 재조합 아르기나제 1 또는 아르기나제 2를 사용하여 티오아르기닌으로부터의 티올 기의 형성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티올 기는 엘만(Ellman) 시약,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DTNB)로 검출하였다. DTNB는 티올과 반응하여, 혼합된 디설파이드 및 2-니트로-5-티오벤조산(TNB)을 제공하며 이를 412 nm에서 음이온(TNB2-)의 흡광도에 의해 정량화한다.
분석은 투명한 384 웰 플레이트(Greiner cat no: 781101)에서 진행하였다. 300 nL DMSO 중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 내지 30을 에코(Echo) 어쿠스틱 분배기를 사용하여 분석 플레이트에 분배한 직후 플레이트 밀봉 및 원심분리하였다.
분석 플레이트에 첨가하기 직전에 해동된 시약으로부터 2 개의 사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사전 혼합물 1은 분석 완충액, 45 mM HEPES pH 7.5, 브리즈(brij) 35, 0.045%(w/v) 및 100 μM MnCl2 중 5 nM 및 0.5 mM DTNB의 최종 농도로, 인간 아르기나제 1 또는 인간 아르기나제 2를 포함하였다. 사전 혼합물 2는 분석 완충액 중 새로 해동된 0.5 mM 티오아르기닌을 포함하였다. 사전 혼합물 1의 15 마이크로리터를 실시예 1 내지 30을 함유하는 분석 플레이트에 분배하고, 원심분리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사전 혼합물 2의 15 마이크로리터를 첨가하였다.
분석 플레이트를 원심분리한 후 페라스타(Pherastar) 다중-모드 플레이트 판독기로 412 nm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여 시점 0(T0)에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플레이트를 60 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다시 판독하여 시점 1(T1)에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T1(시점 1)에서 측정된 A412 신호로부터 T0(시점 0)에서 측정된 것을 빼서 도출하였다. 데이터는 등식을 사용하여 %효과로 변환하였다:
화합물 %효과 = 100 * [(X-min)/(max-min)], 여기서 X는 최소(Min)(비히클) 및 최대(Max)(기준 화합물) 저해 대조군에 기반하여 화합물에 대해 정규화된 값을 나타낸다.
활성을 50% 저해하는 실시예 1 내지 30의 농도(즉, IC50)는 %효과 대 테스트 화합물 농도를 플롯팅하고 진데이터 스크리너 스마트(Genedata Screener Smart) 피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피팅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이들 분석 결과는 표 2에 있다: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실시예 32: 생체 이용률 연구
실시예 8, 9, 및 13 내지 20은 실시예 7의 전구 약물 형태이다. 실시예 8로부터 실시예 7의 생체 이용률을 입증하기 위해 다음의 약동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IV 투약을 위해 실시예 8을 0.9% w/v 식염수 pH 4(1 M HCl로 조정됨)에 제형화하였다. 제형을 2 마리의 수컷 래트 각각(170 내지 250 g)에게 대퇴부 카테터로 2 mg/kg으로 투약하였다. 투약 후 0.033, 0.083, 0.167, 0.5, 1, 2, 4, 8, 및 24 시간째에 경정맥 카테터 연속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PO 투약을 위해, 실시예 8을 탈염수 pH 4(1 M HCl로 조정됨)에 제형화하고 2 마리의 수컷 래트 각각(170 내지 250 g)에게 경구 위관 영양에 의해 5 mg/kg으로 투약하였다. 투약 후 0.25, 0.5, 1, 1.5, 2, 3, 4, 8, 및 24 시간째에 경정맥 카테터를 이용하여 연속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저속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혈장 샘플을 생성하였다. 블랭크(blank) 혈장에 첨가(spiking)함으로써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을 포함하는 단일 세트의 보정 표준을 제조하였다. 2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한 침전 후에 원심분리함으로써 샘플 및 표준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 둘 모두에 대한 Cl(mL/min/kg), Vdss(L/kg), Cmax(μM), AUC(μM h), tmax(h), 및 %F를 결정하는 데 수득된 결과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8과 같이 투약 시 실시예 7의 PO 투약량 정규화된 AUC 대 실시예 7과 같이 투약 시 실시예 7의 투약량 정규화된 IV AUC를 비교함으로써 절대 생체 이용률을 결정하였다. 적절한 경우, 공칭이 아닌 측정된 투여량을 사용하여 생체 이용률을 계산하였다.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9 및 13 내지 20에 대해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는 표 3 내지 12에 나타나 있다. 이들 결과는 일정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전구 약물로서 혼입함으로써 생체 이용률이 증가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8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payload)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79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0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1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2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3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4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5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6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Figure pct00087
# 전구-약물 투약시 관찰값 * 페이로드로서 투약시 관찰값. NV 보고 가능한 값 없음

Claims (24)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88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2.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
    Figure pct00089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3.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I]
    Figure pct00090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4.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V]
    Figure pct00091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5.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
    Figure pct00092
    .
  6.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I]
    Figure pct00093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7.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로 치환된 -(C1-C3) 알킬이거나; 대안적으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H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인,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b]
    Figure pct00094

    [여기서
    R1은 -NHR1a이고;
    R1a는 -H 또는 -C(O)CH(R1b)NHR1c이고;
    R1b는 -H, -(C1-C4) 알킬 및 CH2OR1d로부터 선택되고 R1c는 -H이거나;
    R1b 및 R1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1d는 H 또는 -CH3임].
  9. 화학식 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b]
    Figure pct00095

    [여기서
    R2는 -OH 또는 -NHR2a이고;
    R2a는 -H 또는 -C(O)CH(R2b)NHR2c이고;
    R2b는 -H, -(C1-C4) 알킬 및 CH2OR2d로부터 선택되고 R2c는 -H이거나;
    R2b 및 R2c는 그들이 부착된 원자와 함께 5-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2d는 -H 또는 -CH3임].
  10. 화학식 II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Ib]
    Figure pct00096

    [여기서
    R3은 -H, -(C1-C4) 알킬 및 -CH2OR3a로부터 선택되고;
    R3a는 -H 또는 -CH3임].
  11. 화학식 I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Vb]
    Figure pct00097

    [여기서 R4는 -OH 또는 -NH2임].
  12. 화학식 V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b]
    Figure pct00098
    .
  13. 화학식 V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VIb]
    Figure pct00099

    [여기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 또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e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R6f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이고;
    R6e 및 R6f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임].
  14.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로 치환된 -(C1-C3) 알킬이거나; 대안적으로,
    R6a는 -H 또는 -CH3이고; R6b는 -C(O)C(R6cR6d)NH2이고; R6c는 0 또는 1 개의 아미노 또는 -OH로 치환된 -(C1-C3) 알킬이고; R6d는 H 또는 -CH3인,
    화학식 V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5.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
  18. 암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9.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0.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22.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3.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4. 호흡기 염증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07026580A 2018-02-17 2019-02-15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57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31659P 2018-02-17 2018-02-17
US62/631,659 2018-02-17
US201862671576P 2018-05-15 2018-05-15
US62/671,576 2018-05-15
US201862721113P 2018-08-22 2018-08-22
US62/721,113 2018-08-22
US201862778002P 2018-12-11 2018-12-11
US62/778,002 2018-12-11
PCT/IB2019/051236 WO2019159120A1 (en) 2018-02-17 2019-02-15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341A true KR20200122341A (ko) 2020-10-27
KR102657919B1 KR102657919B1 (ko) 2024-04-15

Family

ID=6576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580A KR102657919B1 (ko) 2018-02-17 2019-02-15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11420984B2 (ko)
EP (1) EP3752251A1 (ko)
JP (2) JP7317841B2 (ko)
KR (1) KR102657919B1 (ko)
CN (3) CN117180290A (ko)
AU (2) AU2019221896B2 (ko)
BR (1) BR112020015973A2 (ko)
CA (1) CA3091365A1 (ko)
CL (1) CL2020002096A1 (ko)
CR (1) CR20200418A (ko)
DO (1) DOP2020000145A (ko)
EC (1) ECSP20058183A (ko)
IL (1) IL276711B1 (ko)
JO (1) JOP20200197A1 (ko)
MA (1) MA51837A (ko)
MX (1) MX2020008570A (ko)
NI (1) NI202000055A (ko)
PE (1) PE20210176A1 (ko)
SG (1) SG11202007739XA (ko)
TW (1) TWI803574B (ko)
UY (1) UY38096A (ko)
WO (1) WO2019159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80290A (zh) * 2018-02-17 2023-12-08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精氨酸酶抑制剂及其使用方法
CN117903140A (zh) 2018-02-27 2024-04-19 因赛特公司 作为a2a/a2b抑制剂的咪唑并嘧啶和三唑并嘧啶
US10851099B2 (en) 2018-03-29 2020-12-01 Oncoarendi Therapeutics S.A. Dipeptide piperidine derivatives
MA52940A (fr) 2018-05-18 2021-04-28 Incyte Corp Dérivés de pyrimidine fusionnés utilisés en tant qu'inhibiteurs de a2a/a2b
CA3109100A1 (en) 2018-08-22 2020-02-27 Astrazeneca Ab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I829857B (zh) 2019-01-29 2024-01-21 美商英塞特公司 作為a2a / a2b抑制劑之吡唑并吡啶及三唑并吡啶
US20220409642A1 (en) 2019-11-04 2022-12-29 Astrazeneca Ab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ancer
TW202228720A (zh) * 2020-12-22 2022-08-01 波蘭商昂科艾倫迪治療法股份公司 精胺酸酶抑制劑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3653A1 (en) * 2010-04-22 2011-10-27 Mars, Incorporated Inhibitors of arginase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JP2015516397A (ja) * 2012-04-18 2015-06-11 マ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ルギ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環拘束性類似体
WO2016210106A1 (en) * 2015-06-23 2016-12-29 Calithera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rginase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9737B (zh) 2010-10-26 2016-06-08 马尔斯公司 作为精氨酸酶抑制剂的硼酸盐
EP2658580A4 (en) 2010-12-31 2014-07-23 Corridor Pharmaceuticals Inc ARGINE STARTER AND USE METHOD
SG10202003966RA (en) 2015-10-30 2020-06-29 Calithera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rginase activity
PL417066A1 (pl) 2016-05-04 2017-11-06 Oncoarendi Therapeutics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Inhibitory arginazy oraz ich zastosowania terapeutyczne
KR20190104521A (ko) * 2016-11-08 2019-09-10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아르기나제 억제제 병용 요법들
TWI818902B (zh) 2016-12-22 2023-10-21 美商卡利泰拉生物科技公司 用於抑制精胺酸酶活性的組合物及方法
WO2019120296A1 (en) 2017-12-22 2019-06-27 Guangdong Newopp Biopharmaceuticals Co., Ltd. Heterocyclic compounds as arginase inhibitors
CN117180290A (zh) * 2018-02-17 2023-12-08 阿斯利康(瑞典)有限公司 精氨酸酶抑制剂及其使用方法
US20210040127A1 (en) 2018-03-13 2021-02-11 Merck Sharp & Dohme Corp.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CN111770756B (zh) 2018-04-27 2023-03-31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非天然氨基酸类衍生物、包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9218904A1 (zh) 2018-05-18 2019-11-21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非天然氨基酸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用途
EP3810615A4 (en) 2018-06-20 2022-03-30 Merck Sharp & Dohme Corp.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3653A1 (en) * 2010-04-22 2011-10-27 Mars, Incorporated Inhibitors of arginase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JP2015516397A (ja) * 2012-04-18 2015-06-11 マ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ルギ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環拘束性類似体
WO2016210106A1 (en) * 2015-06-23 2016-12-29 Calithera Bi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rginase a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CSP20058183A (es) 2020-10-30
TW201945004A (zh) 2019-12-01
AU2019221896B2 (en) 2022-03-24
TWI803574B (zh) 2023-06-01
US11912727B2 (en) 2024-02-27
DOP2020000145A (es) 2020-09-15
KR102657919B1 (ko) 2024-04-15
US20230122859A1 (en) 2023-04-20
JOP20200197A1 (ar) 2020-08-16
AU2019221896A1 (en) 2020-10-01
NZ767738A (en) 2023-12-22
PE20210176A1 (es) 2021-01-29
BR112020015973A2 (pt) 2020-12-15
CN111712302A (zh) 2020-09-25
JP2023145557A (ja) 2023-10-11
CN117186134A (zh) 2023-12-08
CN117180290A (zh) 2023-12-08
AU2022203938B2 (en) 2024-02-01
CA3091365A1 (en) 2019-08-22
IL276711A (en) 2020-09-30
MX2020008570A (es) 2020-09-21
WO2019159120A1 (en) 2019-08-22
US20210002305A1 (en) 2021-01-07
EP3752251A1 (en) 2020-12-23
SG11202007739XA (en) 2020-09-29
CN111712302B (zh) 2023-09-19
US11420984B2 (en) 2022-08-23
JP7317841B2 (ja) 2023-07-31
JP2021513964A (ja) 2021-06-03
UY38096A (es) 2019-07-31
NI202000055A (es) 2021-06-22
AU2022203938A1 (en) 2022-06-23
CL2020002096A1 (es) 2020-12-18
US20230365599A1 (en) 2023-11-16
MA51837A (fr) 2021-06-16
CR20200418A (es) 2020-10-27
IL276711B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919B1 (ko) 아르기나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CA3109100A1 (en)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0218651B2 (en)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0319132B2 (en) Arg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A042598B1 (ru) Ингибиторы аргиназ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EA044999B1 (ru) Ингибиторы аргиназ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