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27A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27A
KR20200122227A KR1020200022208A KR20200022208A KR20200122227A KR 20200122227 A KR20200122227 A KR 20200122227A KR 1020200022208 A KR1020200022208 A KR 1020200022208A KR 20200022208 A KR20200022208 A KR 20200022208A KR 20200122227 A KR20200122227 A KR 2020012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ng
main line
horizontal direction
fluctuation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312B1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05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variable reactance for tuning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제 1 대향부 및 제 2 대향부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특성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안테나 (10) 의 대향부 (16) 에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1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와,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2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는, 제 1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1 변동부 (501) 와, 제 1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대해 제 1 변동부 (501) 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2 변동부 (503) 를 갖고 있다.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는, 제 2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3 변동부 (521) 와, 제 2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대해 제 3 변동부 (521) 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4 변동부 (523)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은,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는 안테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안테나 (90) 는, 인터디지털 슬롯에 의해 서로 사이가 떨어진 2 개의 평판면 (제 1 대향부 및 제 2 대향부) (92, 94) 으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면 (92, 94) 의 각각은, 인터디지털형 핑거 (921, 941) 를 갖고 있다. 인터디지털형 핑거 (921, 941) 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핑거 (즐치 (櫛齒)) 를 갖고 있다. 복수의 핑거의 각각은, 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74585호
특허문헌 1 의 안테나 (90) 에 있어서, 2 개의 평판면 (92, 94) 은, 외력을 받았을 때에, 수평면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2 개의 평판면 (92, 94) 이 수평면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평판면 (92, 94) 이 구성하는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어, 안테나 (90) 의 특성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안테나 (90) 에는, 평판면 (제 1 대향부 및 제 2 대향부) (92, 94) 이 상대적으로 이동했을 때, 그 이동량에 따라 특성이 변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제 1 대향부와 제 2 대향부를 갖는 안테나로서, 제 1 대향부 및 제 2 대향부의 상대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특성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안테나로서, 주부 (主部) 와, 대향부와, 제 1 급전 단자와, 제 2 급전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이고,
상기 주부는, 절단부가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 1 단부에 형성된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단부에 형성된 제 2 대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는, 제 1 수평 방향과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는 정전 용량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급전 단자 및 상기 제 2 급전 단자는, 상기 주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부에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대향부에 대한 상기 제 2 대향부의 제 1 이동에 의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相補) 조정부와,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대향부에 대한 상기 제 2 대향부의 제 2 이동에 의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는, 상기 제 1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1 변동부와, 상기 제 1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대해 상기 제 1 변동부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2 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는, 상기 제 2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3 변동부와, 상기 제 2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대해 상기 제 3 변동부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4 변동부를 갖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2 안테나로서, 제 1 안테나이고,
상기 안테나는,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급전 단자 및 상기 제 2 급전 단자는,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인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3 안테나로서, 제 1 또는 제 2 안테나이고,
상기 제 1 수평 방향은, 서로 역방향을 향해진 제 1 방위와 제 2 방위를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수평 방향은, 서로 역방향을 향해진 제 3 방위와 제 4 방위를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대향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방위를 향한 제 1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2 방위를 향한 제 2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3 방위를 향한 제 3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4 방위를 향한 제 4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대향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방위를 향한 제 1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1 방위를 향한 제 2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4 방위를 향한 제 3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3 방위를 향한 제 4 대향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1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위와 상기 제 2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2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3 부위와 상기 제 3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3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4 부위와 상기 제 4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4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4 안테나로서, 제 1 또는 제 2 안테나이고,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어느 일방은, 상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선 (主線) 과, 상기 제 1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주선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나머지 일방은,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주선과, 상기 제 3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주선과, 상기 제 4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주선을 갖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의 단부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4 주선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은,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선과 상기 제 5 주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에는, 상기 제 3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부선 (副線) 및 상기 제 5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부선의 적어도 일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주선 및 상기 제 5 주선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대향 부선으로서,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선과 대향하는 대향 부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선은, 상기 제 4 주선과 상기 대향 부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5 안테나로서, 제 1 또는 제 2 안테나이고,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각각은, 복수의 즐치와 복수의 갈래부 (叉部) 를 갖는 즐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즐치의 각각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과, 선단부를 가짐과 함께, 역 (逆)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변동부는, 상기 즐치의 선단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갈래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4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의 각각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 또는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6 안테나로서, 제 1 또는 제 2 안테나이고,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각각은, 복수의 즐치와 복수의 갈래부를 갖는 즐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즐치의 각각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과, 선단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사이에 폭광부 (幅廣部) 와 폭협부 (幅狹部) 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변동부는, 상기 즐치의 선단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갈래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4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폭광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폭광부로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의 제 1 변동부와 제 2 변동부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에 대한 제 2 대향부의 제 1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해, 서로 반대의 영향을 미친다. 한편,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의 제 3 변동부와 제 4 변동부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에 대한 제 2 대향부의 제 2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해, 서로 반대의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 제 1 대향부에 대한 제 2 대향부의 상대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가 억제되어, 안테나의 특성 변화가 억제된다.
본 발명은 안테나 형성 후의 대향부끼리의 상대 이동에 의한 특성 변화의 억제를 출발점으로 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안테나 형성시의 제조 편차에 의한 안테나 특성의 변동에도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인쇄 성형된 안테나의 제조 편차에서 기인되는 특성 변동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 (底面)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대향부를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대향부를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대향부를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도 16 은, 특허문헌 1 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는,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10) 는, 공진 안테나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10) 는, 주부 (12) 와, 대향부 (16) 와, 제 1 급전 단자 (70) 와, 복수의 제 2 급전 단자 (72) 와, 복수의 피고정부 (74) 와, 복수의 부가적 단자 (76) 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급전 단자 (72) 는 적어도 1 개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피고정부 (74) 도 적어도 1 개 있으면 된다. 또, 부가적 단자 (76) 는 필수는 아니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10) 는, 회로 기판 등의 대상물 (도시 생략) 에 탑재되는 별개의 부품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10) 는, 단일의 금속판에 대해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되는 일체물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부 (12) 는, 절단부 (14) 가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환상」은, 원환 형상뿐만 아니라, 타원환 형상이나 다각환 형상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부 (12) 는, 네 변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주부 (12) 는, 절단부 (14) 를 형성하는 제 1 단부 (141) 와 제 2 단부 (143) 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주부 (12) 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변부 (121) 와, 제 1 변부 (121) 의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변부 (123) 및 제 3 변부 (125) 와, 제 2 변부 (123) 의 전단부와 제 3 변부 (125) 의 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변부 (127)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은 X 방향이다. 또, 전후 방향은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이다. -Y 방향이 전방, +Y 방향이 후방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제 4 변부 (127) 의 중앙에는 절단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4 변부 (127) 는, 절단부 (14) 에 의해 제 4 변 좌부 (左部) (127L) 와 제 4 변 우부 (右部) (127R) 로 분할되어 있다. 주부 (12) 의 제 1 단부 (141) 는, 제 4 변 좌부 (127L) 의 일방의 단부이고, 제 2 단부 (143) 는, 제 4 변 우부 (127R) 의 일방의 단부이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급전 단자 (70) 및 제 2 급전 단자 (72) 는, 주부 (12)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급전 단자 (70) 는, 제 4 변 우부 (127R) 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급전 단자 (72) 는, 제 1 변부 (121), 제 2 변부 (123) 및 제 3 변부 (125) 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 (74) 는, 제 2 급전 단자 (72) 에 각각 대응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가적 단자 (76) 의 하나는, 제 4 변 좌부 (127L) 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머지 부가적 단자 (76) 는, 대향부 (16) 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급전 단자 (70), 피고정부 (74) 및 부가적 단자 (76) 의 하단은, 안테나 (10) 의 하단을 구성한다. 제 1 급전 단자 (70), 피고정부 (74) 및 부가적 단자 (76) 는, 안테나 (10) 가 대상물 (도시 생략) 에 탑재되었을 때, 대상물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 제 1 급전 단자 (70) 및 피고정부 (74) 는, 대상물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 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부 (16) 는, 대체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부 (12) 의 제 1 변부 (121) 와 제 4 변부 (12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대향부 (16) 의 일부는, 주부 (12) 의 제 1 단부 (141) 와 제 2 단부 (14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대향부 (16) 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주부 (12) 의 제 2 변부 (123) 와 제 3 변부 (12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대향부 (16) 는, 주부 (12) 의 특정한 한 변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향부 (16) 는, 주부 (12) 의 제 4 변부 (127)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정한 한 변은, 제 4 변부 (127) 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향부 (16) 는, 제 2 변부 (123) 및 제 3 변부 (125) 의 일방까지의 거리가 타방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제 4 변부 (127) 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주부 (12) 의 절단부 (14) 의 위치도 제 2 변부 (123) 및 제 3 변부 (125) 의 일방에 보다 가까운 위치가 된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향부 (16) 는, 상측 대향부 (20) 와 하측 대향부 (6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대향부 (20) 는,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대향부 (41) 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측 대향부 (20) 는, 제 1 수평 방향과 그것과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대향부 (41) 는, 제 1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수평 방향은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Y 방향이고, 제 2 수평 방향은 가로 방향과 일치하는 X 방향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은, Y 방향 및 X 방향에 대해 각각 기울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평」은, 중력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대향부 (60) 는, 제 3 대향부 (62) 와 제 4 대향부 (64) 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대향부 (60) 는, 제 1 수평 방향과 제 2 수평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3 대향부 (62) 와 제 4 대향부 (64) 는, 제 2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수평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수평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하측 대향부 (60)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대향부 (2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Z 방향이다. +Z 방향이 상방, -Z 방향이 하방이다.
도 1 및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는, 주부 (12) 의 제 1 단부 (141) 및 제 2 단부 (143)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측 대향부 (20) 는, 제 1 단부 (141) 에 형성된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단부 (143) 에 형성된 제 2 대향부 (41) 를 갖고 있다.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는, 주부 (12) 의 제 1 변부 (121), 제 2 변부 (123) 및 제 3 변부 (125) 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3 대향부 (62) 및 제 4 대향부 (64) 는, 연결부 (601, 603) 를 개재하여 주부 (12) 의 제 1 단부 (141) 및 제 2 단부 (143)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측 대향부 (60)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칭축 (도시 생략) 에 관해서, 상측 대향부 (20) 와 회전 대칭으로 구성되며 또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에 관한 설명은, 필요한 수정을 가함으로써, 제 3 대향부 (62) 및 제 4 대향부 (64) 에도 적용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대향부 (41) 는, 제 1 수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대향부 (41) 는, 커패시터를 구성하고, 정전 용량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상측 대향부 (20) 는, 대향부 (16) 의 정전 용량의 일부인 정전 용량을 갖는다. 그 한편으로, 주부 (12) 는, 인덕터를 구성하고, 대향부 (16) 와 함께 LC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의 일방은, 제 1 단부 (141) 로부터 적어도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선 (311) 과, 제 1 주선 (311) 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주선 (313) 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주선 (311) 은, +X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의 나머지 일방은, 제 2 단부 (14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주선 (411) 과, 제 3 주선 (411) 의 후단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주선 (413) 과, 제 4 주선 (413) 의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5 주선 (415) 과, 제 2 단부 (143) 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 부선 (417)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대향부 (31) 및 제 2 대향부 (41) 의 일방은 제 1 대향부 (31) 이고, 나머지 일방은 제 2 대향부 (41) 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대향부 (31) 와 제 2 대향부 (41) 는, 서로 바뀌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 는, 제 1 부위 (371), 제 2 부위 (373), 제 3 부위 (375) 및 제 4 부위 (377) 를 갖고 있다. 제 1 부위 (371) 는 제 1 주선 (311) 의 일 측면이다. 제 2 부위 (373) 는 제 2 주선 (313) 의 선단면이다. 제 3 부위 (375) 는 제 2 주선 (313) 의 일 측면이다. 제 4 부위 (377) 는 제 2 주선 (313) 의 다른 측면이다. 제 1 부위 (371) 는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 는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부위 (375) 는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 는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방위와 제 2 방위는 서로 반대의 방향을 향해져 있고, 제 1 수평 방향에 의해 부여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방위와 제 2 방위는, 제 1 수평 방향에 평행이고, 서로 역방향을 향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방위는 -Y 방향을 향해져 있고, 제 2 방위는 +Y 방향을 향해져 있다. 또, 제 3 방위와 제 4 방위는 서로 반대의 방향을 향해져 있고, 제 2 수평 방향에 의해 부여된다. 바꿔 말하면, 제 3 방위와 제 4 방위는, 제 2 수평 방향에 평행이고, 서로 역방향을 향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방위는 +X 방향을 향해져 있고, 제 4 방위는 -X 방향을 향해져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 1 부위 (371) 는,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 는,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과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제 3 부위 (375) 는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 는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부 (41) 는, 제 1 대향 부위 (471), 제 2 대향 부위 (473), 제 3 대향 부위 (475) 및 제 4 대향 부위 (477) 를 갖고 있다. 제 1 대향 부위 (471) 는 대향 부선 (417) 의 일 측면이다. 제 2 대향 부위 (473) 는 제 4 주선 (413) 의 일 측면이다. 제 3 대향 부위 (475) 는 제 3 주선 (411) 의 일 측면이다. 제 4 대향 부위 (477) 는 제 5 주선 (415) 의 일 측면이다. 제 1 대향 부위 (471) 는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대향 부위 (473) 는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대향 부위 (475) 는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대향 부위 (477) 는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대향 부위 (471) 는,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대향 부위 (473) 는,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과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제 3 대향 부위 (475) 는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대향 부위 (477) 는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위 (371) 와 제 1 대향 부위 (471) 는 서로 대향하여 제 1 변동부 (501) 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 와 제 2 대향 부위 (473) 는 서로 대향하여 제 2 변동부 (503) 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부위 (375) 와 제 3 대향 부위 (475) 는 서로 대향하여 제 3 변동부 (521) 를 구성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 와 제 4 대향 부위 (477) 는 서로 대향하여 제 4 변동부 (523) 를 구성하고 있다.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 및 제 2 변동부 (503) 는, 주로,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이동 (제 1 이동) 에 의해 상측 대향부 (20) 의 정전 용량에 제 1 및 제 2 영향을 미친다. 제 1 변동부 (501) 가 제 1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미치는 제 1 영향과, 제 2 변동부 (503) 가 제 1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미치는 제 2 영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바꿔 말하면, 제 1 변동부 (501) 와 제 2 변동부 (503) 는, 제 1 이동에 따라 상보적으로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1 부위 (371) 가 제 1 대향 부위 (471) 에 가까워질 때, 제 2 부위 (373) 는 제 2 대향 부위 (473) 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 제 1 변동부 (501) 는 정전 용량을 증가시키고, 제 2 변동부 (503) 는 정전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 와 제 2 변동부 (503)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1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로서 기능한다. 바꿔 말하면, 상측 대향부 (20) 에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1 이동에 의한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는, 제 1 이동에 의해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에 제 1 영향을 미치는 제 1 변동부 (501) 와, 제 1 이동에 의해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에 대해 제 1 변동부 (501) 와는 반대의 제 2 영향을 미치는 제 2 변동부 (503) 를 갖고 있다.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3 변동부 (521) 및 제 4 변동부 (523)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이동 (제 2 이동) 에 의해 상측 대향부 (20) 의 정전 용량에 제 3 및 제 4 영향을 미친다. 제 3 변동부 (521) 가 제 2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미치는 제 3 영향과, 제 4 변동부 (523) 가 제 2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미치는 제 4 영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바꿔 말하면, 제 3 변동부 (521) 와 제 4 변동부 (523) 는, 제 2 이동에 따라 상보적으로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3 부위 (375) 가 제 3 대향 부위 (475) 에 가까워질 때, 제 4 부위 (377) 는 제 4 대향 부위 (477) 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 제 3 변동부 (521) 는 정전 용량을 증가시키고, 제 4 변동부 (523) 는 정전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제 3 변동부 (521) 와 제 4 변동부 (523)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2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로서 기능한다. 바꿔 말하면, 상측 대향부 (20) 에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2 이동에 의한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는, 제 2 이동에 의해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에 제 3 영향을 미치는 제 3 변동부 (521) 와, 제 2 이동에 의해 정전 용량에 대해 제 3 변동부 (521) 와는 반대의 제 4 영향을 미치는 제 4 변동부 (523) 를 갖고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대향부 (31) 는, 추가로 제 5 부위 (379) 를 갖고 있다. 제 5 부위 (379) 는, 제 1 주선 (311) 의 다른 측면이다. 또, 제 2 대향부 (41) 는, 제 5 대향 부위 (479) 를 추가로 갖고 있다. 제 5 대향 부위 (479) 는, 제 5 주선 (415) 의 선단면이다. 제 5 부위 (379) 는,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5 대향 부위 (479) 는,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5 부위 (379) 와 제 5 대향 부위 (479) 는 서로 대향하여, 제 5 변동부 (54) 를 구성한다. 제 5 변동부 (54) 는, 제 1 이동에 대해 제 2 변동부 (503)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에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 및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비록 제 1 대향부 (31)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 의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상측 대향부 (20)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대향부 (60) 에 있어서, 제 3 대향부 (62) 에 대한 제 4 대향부 (64) 의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하측 대향부 (60)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그 결과, 안테나 (10) 의 특성 변동은 억제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테나 (10A)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의 대향부 (16) 와는 상이한 구성의 대향부 (16A) 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10A) 의 대향부 (16A) 는, 제 1 대향부 (31A) 와 제 2 대향부 (41A) 를 갖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A) 는,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선 (311A) 과, 제 1 주선 (311A) 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주선 (313A) 과, 제 2 주선 (313A) 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선 (315A) 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주선 (311A) 은, 제 1 단부 (141A) 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주선 (313A) 은, 제 1 주선 (311A) 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선 (315A) 은, 제 2 주선 (313A) 의 일단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선 (315A) 의 길이는, 제 1 주선 (311A) 의 길이보다 길지만, 부선 (315A) 의 길이는, 제 1 주선 (311A) 의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부 (41A) 는,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주선 (411A) 과, 제 3 주선 (411A) 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주선 (413A) 과, 제 4 주선 (413A) 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주선 (415A) 과, 제 2 단부 (143A) 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 부선 (417A) 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3 주선 (411A) 은, 제 2 단부 (143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4 주선 (413A) 은, 제 3 주선 (411A) 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5 주선 (415A) 은, 제 4 주선 (413A) 의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향 부선 (417A) 은, 제 2 단부 (143A) 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주선 (313A) 은,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3 주선 (411A) 과 제 5 주선 (415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2 주선 (313A) 의 단부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4 주선 (413A) 과 대향하고 있다. 부선 (315A) 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4 주선 (413A) 과 대향 부선 (417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부선 (315A) 은, 제 3 주선 (411A) 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부선 (315A) 의 단부는, 제 3 주선 (411A) 과 대향하고 있다. 대향 부선 (417A) 은, 제 2 주선 (313A) 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대향 부선 (417A) 의 단부는, 제 2 주선 (313A) 과 대향하고 있다. 또, 대향 부선 (417A) 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부선 (315A) 과 대향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A) 는, 제 1 부위 (371A), 제 2 부위 (373A), 제 3 부위 (375A) 및 제 4 부위 (377A) 를 갖고 있다. 제 1 부위 (371A) 는 부선 (315A) 의 일 측면이고,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A) 는 부선 (315A) 의 다른 측면이고,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부위 (375A) 는 부선 (315A) 의 선단면이고,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A) 는 제 1 주선 (311A) 의 일 측면이고,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부 (41A) 는, 제 1 대향 부위 (471A), 제 2 대향 부위 (473A), 제 3 대향 부위 (475A) 및 제 4 대향 부위 (477A) 를 갖고 있다. 제 1 대향 부위 (471A) 는 대향 부선 (417A) 의 일 측면이고,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대향 부위 (473A) 는 제 4 주선 (413A) 의 일 측면이고,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대향 부위 (475A) 는 제 3 주선 (411A) 의 일 측면이고,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대향 부위 (477A) 는 제 5 주선 (415A) 의 일 측면이고,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도 6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위 (371A) 와 제 1 대향 부위 (471A) 는 서로 대향하여 제 1 변동부 (501A) 를 구성한다. 제 2 부위 (373A) 와 제 2 대향 부위 (473A) 는 서로 대향하여 제 2 변동부 (503A) 를 구성한다. 제 3 부위 (375A) 와 제 3 대향 부위 (475A) 는 서로 대향하여 제 3 변동부 (521A) 를 구성한다. 제 4 부위 (377A) 와 제 4 대향 부위 (477A) 는 서로 대향하여 제 4 변동부 (523A) 를 구성한다.
도 6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A) 및 제 2 변동부 (503A)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A)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A) 의 이동 (제 1 이동) 에 의해 대향부 (16A) 의 정전 용량에 대해, 상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제 1 변동부 (501A) 와 제 2 변동부 (503A)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A)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A) 의 제 1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A) 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 3 변동부 (521A) 및 제 4 변동부 (523A) 는, 도 6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A)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A) 의 이동 (제 2 이동) 에 의해 대향부 (16A) 의 정전 용량에 대해, 상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제 3 변동부 (521A) 와 제 4 변동부 (523A)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A)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A) 의 제 2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A) 로서 기능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 5 주선 (415A) 의 선단면과 제 1 단부 (141A) 의 일 측면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제 5 변동부 (54A) 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5 변동부 (54A) 는, 제 1 단부 (141A) 의 일 측면인 제 5 부위 (379A) 와, 제 5 주선 (415A) 의 선단면인 제 5 대향 부위 (479A) 로 구성되어 있다. 제 5 변동부 (54A) 는, 제 1 이동에 대해 제 2 변동부 (503A)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A)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A) 에 있어서도,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A) 및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제 1 대향부 (31A)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A) 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대향부 (16A)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그 결과, 안테나 (10A) 의 특성 변동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A) 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저가이다.
(제 3 실시형태)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B)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10A) 의 대향부 (16, 16A) 와는 상이한 구성의 대향부 (16B) 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대향부 (16B) 는, 상측 대향부 (20B) 와 하측 대향부 (60B) 를 갖고 있다. 또, 상측 대향부 (20B) 는, 제 1 대향부 (31B) 와 제 2 대향부 (41B) 를 갖고, 하측 대향부 (60B) 는, 제 3 대향부 (62B) 와 제 4 대향부 (64B) 를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대향부 (20B) 와 하측 대향부 (60B) 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서로 일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대향부 (31B) 와 제 3 대향부 (62B) (도 8 참조) 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대향부 (41B) 와 제 4 대향부 (64B) (도 2 참조) 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 대향부 (20B) 와 하측 대향부 (60B) 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 대칭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제 1 대향부 (31B) 는,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선 (311B) 과, 제 1 주선 (311B) 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주선 (313B) 과, 제 2 주선 (313B) 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선 (315B) 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주선 (311B) 은, 제 1 단부 (141B) 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주선 (313B) 은, 제 1 주선 (311B) 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선 (315B) 은, 제 2 주선 (313B) 의 일단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대향부 (31B) 는, 부선 (315B) 대신에 또는 부선 (315B) 에 더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부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부 (41B) 는,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주선 (411B) 과, 제 3 주선 (411B) 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주선 (413B) 과, 제 4 주선 (413B) 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주선 (415B) 과, 제 5 주선 (415B) 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 부선 (417B) 과, 제 2 단부 (143B) 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가적 대향 부선 (419) 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3 주선 (411B) 은, 제 2 단부 (143B)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4 주선 (413B) 은, 제 3 주선 (411B) 의 일단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5 주선 (415B) 은, 제 4 주선 (413B) 의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향 부선 (417B) 은, 제 5 주선 (415B) 의 일단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가적 대향 부선 (419) 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대향부 (41B) 는, 제 1 대향부 (31B) 의 형상에 따라, 대향 부선 (417B) 대신에 또는 대향 부선 (417B) 에 더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대향 부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주선 (313B) 은,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3 주선 (411B) 과 제 5 주선 (415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2 주선 (313B) 의 단부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4 주선 (413B) 과 대향하고 있다. 부선 (315B) 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4 주선 (413B) 과 대향 부선 (417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부선 (315B) 은, 제 5 주선 (415B) 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부선 (315B) 의 단부는, 제 5 주선 (415B) 과 대향하고 있다. 대향 부선 (417B) 은, 제 2 주선 (313B) 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대향 부선 (417B) 의 단부는, 제 2 주선 (313B) 과 대향하고 있다. 또, 대향 부선 (417B) 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부선 (315B) 과 대향하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B) 는, 제 1 부위 (371B), 제 2 부위 (373B), 제 3 부위 (375B) 및 제 4 부위 (377B) 를 갖고 있다. 제 1 부위 (371B) 는 제 1 주선 (311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B) 는 제 2 주선 (313B) 의 선단면 및 부선 (315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부위 (375B) 는 제 2 주선 (313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B) 는, 부선 (315B) 의 선단면과 제 2 주선 (313B) 의 다른 측면의 2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B) 의 2 개의 부분 사이에는, 부가적 제 1 부위 (391) 가 형성되어 있다. 부가적 제 1 부위 (391) 는, 부선 (315B) 의 다른 측면이고,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한편, 제 2 대향부 (41B)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 부위 (471B), 제 2 대향 부위 (473B), 제 3 대향 부위 (475B) 및 제 4 대향 부위 (477B) 를 갖고 있다. 제 1 대향 부위 (471B) 는 부가적 대향 부선 (419) 의 일 측면이다. 제 1 대향 부위 (471B) 는,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2 대향 부위 (473B) 는 제 4 주선 (413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3 대향 부위 (475B) 는 제 3 주선 (411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대향 부위 (477B) 는, 제 5 주선 (415B) 의 일 측면과 대향 부선 (417B) 의 선단면의 2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다. 제 4 대향 부위 (477B) 의 2 개의 부분 사이에는, 부가적 제 1 대향 부위 (491) 가 형성되어 있다. 부가적 제 1 대향 부위 (491) 는 대향 부선 (417B) 의 일 측면이고,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다.
도 9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위 (371B) 와 제 1 대향 부위 (471B) 는 서로 대향하여 제 1 변동부 (501B) 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부위 (373B) 와 제 2 대향 부위 (473B) 는 서로 대향하여 제 2 변동부 (503B) 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부위 (375B) 와 제 3 대향 부위 (475B) 는 서로 대향하여 제 3 변동부 (521B) 를 구성하고 있다. 제 4 부위 (377B) 와 제 4 대향 부위 (477B) 는 서로 대향하여 제 4 변동부 (523B) 를 구성하고 있다. 부가적 제 1 부위 (391) 와 부가적 제 1 대향 부위 (491) 는 서로 대향하여 부가적 제 1 변동부 (58) 를 구성하고 있다.
도 9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B) 및 제 2 변동부 (503B)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이동 (제 1 이동) 에 의해 상측 대향부 (20B) 의 정전 용량에 대해, 상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제 1 변동부 (501B) 와 제 2 변동부 (503B)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제 1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B) 로서 기능한다. 부가적 제 1 변동부 (58) 는, 제 1 변동부 (501B)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B)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 3 변동부 (521B) 및 제 4 변동부 (523B) 는, 도 9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이동 (제 2 이동) 에 의해 상측 대향부 (20B) 의 정전 용량에 대해, 상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제 3 변동부 (521B) 와 제 4 변동부 (523B)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제 2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B) 로서 기능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주선 (415B) 의 선단면과 제 1 주선 (311B) 의 다른 측면은,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제 5 변동부 (54B) 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5 변동부 (54B) 는, 제 1 주선 (311B) 의 다른 측면인 제 5 부위 (379B) 와, 제 5 주선 (415B) 의 선단면인 제 5 대향 부위 (479B) 로 구성되어 있다. 제 5 변동부 (54B) 는, 제 1 이동에 대해 제 2 변동부 (503B)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B)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B) 에 있어서도,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B) 및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B)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상측 대향부 (20B)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B) 는, 부선 (315B) 과 대향 부선 (417B) 을 구비함으로써,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제 1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와, 제 1 대향부 (31B)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B) 의 제 2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측 대향부 (20B) 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하측 대향부 (60B) 에 있어서도, 상측 대향부 (20B) 와 마찬가지로, 제 3 대향부 (62B) 에 대한 제 4 대향부 (64B) 의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하측 대향부 (60)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C) 는,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 10A, 10B) 의 대향부 (16, 16A, 16B) 와는 상이한 구성의 대향부 (16C) 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대향부 (16C) 는, 상측 대향부 (20C) 와 하측 대향부 (60C) 를 갖고 있다. 또, 상측 대향부 (20C) 는, 제 1 대향부 (31C) 와 제 2 대향부 (41C) 를 갖고, 하측 대향부 (60C) 는, 제 3 대향부 (62C) 와 제 4 대향부 (64C) 를 갖고 있다.
도 1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 대향부 (20C) 와 하측 대향부 (60C) (도 11 참조) 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서로 일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대향부 (31C) 와 제 3 대향부 (62C) (도 11 참조) 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대향부 (41C) 및 제 4 대향부 (64C) (도 11 참조) 와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 대향부 (20C) 와 하측 대향부 (60C) 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 대칭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C) 및 제 2 대향부 (41C) 의 각각은, 즐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대향부 (31C) 는, 복수의 즐치 (33) 와 복수의 갈래부 (35) 를 갖고 있고, 제 2 대향부 (41C) 도, 복수의 즐치 (43) 와 복수의 갈래부 (45)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즐치 (33), 갈래부 (35), 즐치 (43) 및 갈래부 (45) 의 수는, 각각 2 개이다. 제 2 대향부 (41C) 는, 추가로 부가적 대향 부선 (419C) 을 갖고 있다. 제 1 대향부 (31C) 에 있어서, 즐치 (33) 와 갈래부 (35)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대향부 (41C) 에 있어서, 즐치 (43) 와 갈래부 (45)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대향부 (31C) 의 즐치 (33) 와 제 2 대향부 (41C) 의 즐치 (43) 는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 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1 측면 (331) 과,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2 측면 (333) 과,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는 선단면 (335) 을 갖고 있다. 즐치 (33) 의 각각의 형상은,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역테이퍼 형상이다. 즉, 즐치 (33) 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선단면 (335) 을 향할수록 커지고 있다. 이 형상에 의해, 제 1 측면 (331) 은, 제 1 방위를 향할 뿐만 아니라 제 4 방위로도 향하고 있다. 또, 제 2 측면 (333) 은, 제 2 방위를 향할 뿐만 아니라 제 4 방위로도 향하고 있다.
도 1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은, 제 1 부위 (371C) 와 제 4 부위 (377C) 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제 2 측면 (333) 은, 제 2 부위 (373C) 와 제 4 부위 (377C) 의 나머지 일부를 겸하고 있다. 선단면 (335) 은, 제 3 부위 (375C) 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43) 의 각각도, 역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즐치 (43) 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1 측면 (431) 과,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2 측면 (433) 과,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는 선단면 (435) 을 갖고 있다. 제 1 측면 (431) 은, 제 1 방위를 향할 뿐만 아니라 제 3 방위로도 향하고 있다. 제 2 측면 (433) 은, 제 2 방위를 향할 뿐만 아니라 제 3 방위로도 향하고 있다.
도 1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즐치 (43) 의 제 1 측면 (431) 은, 제 2 대향 부위 (473C) 와 제 4 대향 부위 (477C) 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제 2 측면 (433) 은, 제 1 대향 부위 (471C) 와 제 4 대향 부위 (477C) 의 나머지 일부를 겸하고 있다. 선단면 (435) 은, 부가적 제 3 대향 부위 (493)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대향 부위 (475C) 는 갈래부 (45) 이다.
도 12 를 참조하여, 제 1 대향부 (31C) 의 즐치 (33) 중,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나머지 하나의 즐치 (33) 에 대해서도 대략 적용된다. 단, 제 1 대향부 (31C) 의 즐치 (33) 의 나머지 하나는, 부가적 대향 부선 (419C) 의 일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은, 그 즐치 (33) 의 전방에 위치하는 즐치 (43) 의 제 2 측면 (433) 과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과 즐치 (43) 의 제 2 측면 (433) 은, 제 1 변동부 (501C) 를 구성함과 함께, 제 4 변동부 (523C) 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과 즐치 (43) 의 제 2 측면 (433) 은,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의 쌍방에 있어서, 제 1 대향부 (31C) 와 제 2 대향부 (41C) 의 상대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은, 즐치 (33) 및 즐치 (43) 의 각각이 역테이퍼 형상을 갖고,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및 즐치 (43) 의 제 2 측면 (433) 이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의 각각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 의 제 2 측면 (333) 은, 즐치 (33) 의 후방에 위치하는 즐치 (43) 의 제 1 측면 (431) 과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 의 제 2 측면 (333) 과 즐치 (43) 의 제 1 측면 (431) 은, 제 2 변동부 (503C) 를 구성함과 함께, 제 4 변동부 (523C) 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 의 제 2 측면 (333) 과 즐치 (43) 의 제 1 측면 (431) 은, 제 1 수평 방향과 제 2 수평 방향의 쌍방에 있어서, 제 1 대향부 (31C) 와 제 2 대향부 (41C) 의 상대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은, 즐치 (33) 및 즐치 (43) 의 각각이 역테이퍼 형상을 갖고, 즐치 (33) 의 제 1 측면 (331) 및 즐치 (43) 의 제 2 측면 (433) 이 제 1 수평 방향 및 제 2 수평 방향의 각각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 의 선단면 (335) 은, 2 개의 즐치 (43) 사이에 위치하는 갈래부 (45) 와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 의 선단면 (335) 과 갈래부 (45) 는, 제 3 변동부 (521C) 를 구성한다.
도 12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C) 및 제 2 변동부 (503C)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1 이동에 의한 상측 대향부 (20C) 의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C) 로서 기능한다. 제 3 변동부 (521C) 및 제 4 변동부 (523C)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2 이동에 의한 상측 대향부 (20C) 의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C) 로서 기능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43) 의 선단면 (435) 과 제 1 대향부 (31C) 의 갈래부 (35)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부가적 제 3 변동부 (59) 를 구성하고 있다. 부가적 제 3 변동부 (59)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2 이동에 대해 제 3 변동부 (521C)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C)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C) 에 있어서도,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C) 및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C)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상측 대향부 (20C)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C) 는, 제 1 대향부 (31C) 및 제 2 대향부 (41C) 의 각각에 즐치상의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1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와,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2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3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와, 제 1 대향부 (31C)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C) 의 제 4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의 차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대향부 (31C) 와 제 2 대향부 (41C) 의 상대 이동에 의한 안테나 (10C) 의 특성 변동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D) 는, 도 10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C) 에 유사하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10D) 의 대향부 (16D) 는, 상측 대향부 (20D) 와 하측 대향부 (60D) 를 갖고 있다. 상측 대향부 (20D) 는, 제 1 대향부 (31D) 와 제 2 대향부 (41D) 를 갖고, 하측 대향부 (60D) 는, 제 3 대향부 (62D) 와 제 4 대향부 (64D) 를 갖고 있다. 상하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측 대향부 (20D) 와 하측 대향부 (60D) 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안테나 (10D) 의 즐치 (33D) 및 즐치 (43D) 의 형상은, 안테나 (10C) 의 즐치 (33C) 및 즐치 (43C) 의 형상과 각각 상이하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부 (31D) 의 즐치 (33D) 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1 측면 (331D) 과,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2 측면 (333D) 과, 적어도 제 3 방위를 향하고 있는 선단면 (335D) 을 갖고 있다. 또, 즐치 (33D) 의 각각은, 제 1 측면 (331D) 과 제 2 측면 (333D) 사이에, 폭광부 (337) 및 폭협부 (339) 를 갖고 있다. 폭광부 (337)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비교적 큰 부분이고, 폭협부 (339)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광부 (337) 와 폭협부 (339) 는, 폭협부 (339) 가 즐치 (33D) 의 근원측에 위치하고, 폭광부 (337) 가 즐치 (33D) 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연속되어 있다.
도 1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즐치 (33D) 의 제 1 측면 (331D) 은 제 1 부위 (371D) 이고, 제 2 측면 (333D) 은 제 2 부위 (373D) 이다. 또, 선단면 (335D) 은 제 3 부위 (375D) 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측면 (331D) 및 제 2 측면 (333D) 중, 폭광부 (337)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4 부위 (377D) 를 겸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대향부 (41D) 의 즐치 (43D) 의 각각도, 즐치 (33D)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즐치 (43D) 의 각각은, 적어도 제 1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1 측면 (431D) 과, 적어도 제 2 방위를 향하고 있는 제 2 측면 (433D) 과, 적어도 제 4 방위를 향하고 있는 선단면 (435D) 을 갖고 있다. 또, 즐치 (43D) 의 각각은, 제 1 측면 (431D) 과 제 2 측면 (433D) 사이에, 폭광부 (437) 및 폭협부 (439) 를 갖고 있다. 폭광부 (437)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비교적 큰 부분이고, 폭협부 (439)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광부 (437) 와 폭협부 (439) 는, 폭협부 (439) 가 즐치 (43D) 의 근원측에 위치하고, 폭광부 (437) 가 즐치 (43D) 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연속되어 있다.
도 1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즐치 (43D) 의 제 1 측면 (431D) 은 제 2 대향 부위 (473D) 이고, 제 2 측면 (433D) 은 제 1 대향 부위 (471D) 이다. 선단면 (435D) 은 부가적 제 3 대향 부위 (493D)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대향 부위 (475D) 는 갈래부 (45D) 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측면 (431D) 및 제 2 측면 (433D) 중, 폭광부 (437)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4 대향 부위 (477D) 를 겸한다.
도 15 를 참조하여, 제 1 대향부 (31D) 의 즐치 (33D) 중,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나머지 하나의 즐치 (33D) 에 대해서도 대략 적용된다. 단, 제 1 대향부 (31D) 의 즐치 (33D) 의 나머지 하나는, 제 2 단부 (143D) 의 일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D) 의 제 1 측면 (331D) 은, 그 즐치 (33D) 의 전방에 위치하는 즐치 (43D) 의 제 2 측면 (433D) 과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D) 의 제 1 측면 (331D) 과 즐치 (43D) 의 제 2 측면 (433D) 은, 제 1 변동부 (501D) 를 구성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D) 의 제 2 측면 (333D) 은, 즐치 (33D) 의 후방에 위치하는 즐치 (43D) 의 제 1 측면 (431D) 과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D) 의 제 2 측면 (333D) 과 즐치 (43D) 의 제 1 측면 (431D) 은, 제 2 변동부 (503D) 를 구성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33D) 의 선단면 (335D) 은, 2 개의 즐치 (43D) 사이에 위치하는 갈래부 (45D) 와 대향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D) 의 선단면 (335D) 과 갈래부 (45D) 는, 제 3 변동부 (521D) 를 구성한다.
도 1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즐치 (33D) 의 폭광부 (337D) 는, 즐치 (33D) 의 전방 및 후방의 각각에 위치하는 즐치 (43D) 의 폭광부 (437D) 와,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이 즐치 (33D) 의 폭광부 (337D) 와 즐치 (43D) 의 폭광부 (437D) 의 중첩 부분의 사이즈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해 제 2 대향부 (41D) 가 이동하면 변화된다. 바꿔 말하면, 즐치 (33D) 의 폭광부 (337D) 와, 그것에 대향하는 즐치 (43D) 의 폭광부 (437D) 는,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이동에 의해, 상측 대향부 (20D) 의 정전 용량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이 정전 용량에 대한 영향은, 제 3 변동부 (521D) 의 정전 용량에 대한 영향과는 반대이다. 이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즐치 (33D) 의 폭광부 (337D) 와 즐치 (43D) 의 폭광부 (437D) 는, 제 4 변동부 (523D) 를 구성한다.
도 1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변동부 (501D) 및 제 2 변동부 (503D) 는,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1 이동에 의한 상측 대향부 (20D) 의 정전 용량의 제 1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D) 로서 기능한다. 제 3 변동부 (521D) 및 제 4 변동부 (523D)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2 이동에 의한 상측 대향부 (20D) 의 정전 용량의 제 2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D) 로서 기능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즐치 (43D) 의 선단면 (435D) 과 제 1 대향부 (31D) 의 갈래부 (35D)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부가적 제 3 변동부 (59D) 를 구성하고 있다. 부가적 제 3 변동부 (59D) 는,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2 이동에 대해 제 3 변동부 (521D) 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D) 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10D) 에 있어서도,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D) 및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D)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상대 이동이 발생해도, 상측 대향부 (20D) 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억제된다. 또한, 제 1 대향부 (31D) 및 제 2 대향부 (41D) 의 각각에 즐치상의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1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와,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2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3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와, 제 1 대향부 (31D) 에 대한 제 2 대향부 (41D) 의 제 4 방위로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의 크기의 차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대향부 (31D) 와 제 2 대향부 (41D) 의 상대 이동에 의한 안테나 (10D) 의 특성 변동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제 3 내지 제 5 실시형태의 안테나 (10, 10B, 10C 및 10D) 의 각각은, 하측 대향부 (60, 60B, 60C 또는 60D) 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안테나 (10A) 는, 대향부 (16A) 와 동일하게 구성된 하측 대향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대향부 (16, 16A, 16B, 16C, 16D) 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수평 방향의 사이즈와 제 2 수평 방향의 사이즈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안테나 (10 - 10D) 는 별개의 부품이었지만,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인쇄 성형된 안테나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경우, 인쇄 어긋남 등에 의한 제조 편차에서 기인되는 안테나의 특성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10, 10A, 10B, 10C, 10D : 안테나
12, 12A, 12B, 12C, 12D : 주부
121 : 제 1 변부
123 : 제 2 변부
125 : 제 3 변부
127 : 제 4 변부
127L : 제 4 변 좌부
127R : 제 4 변 우부
14 : 절단부
141, 141A, 141B, 141C, 141D : 제 1 단부
143, 143A, 143B, 143C, 143D : 제 2 단부
16, 16A, 16B, 16C, 16D : 대향부
20, 20B, 20C, 20D : 상측 대향부
31, 31A, 31B, 31C, 31D : 제 1 대향부
311, 311A, 311B : 제 1 주선
313, 313A, 313B : 제 2 주선
315A, 315B : 부선
33, 33D : 즐치
331, 331D : 제 1 측면
333, 333D : 제 2 측면
335, 335D : 선단면
337 : 폭광부
339 : 폭협부
35, 35D : 갈래부
371, 371A, 371B, 371C, 371D : 제 1 부위
373, 373A, 373B, 373C, 373D : 제 2 부위
375, 375A, 375B, 375C, 375D : 제 3 부위
377, 377A, 377B, 377C, 377D : 제 4 부위
379, 379A, 379B : 제 5 부위
391 : 부가적 제 1 부위
41, 41A, 41B, 41C, 41D : 제 2 대향부
411, 411A, 411B : 제 3 주선
413, 413A, 413B : 제 4 주선
415, 415A, 415B : 제 5 주선
417, 417A, 417B : 대향 부선
419, 419C, 419D : 부가적 대향 부선
43, 43D : 즐치
431, 431D : 제 1 측면
433, 433D : 제 2 측면
435, 435D : 선단면
437 : 폭광부
439 : 폭협부
45, 45D : 갈래부
471, 471A, 471B, 471C, 471D : 제 1 대향 부위
473, 473A, 473B, 473C, 473D : 제 2 대향 부위
475, 475A, 475B, 475C, 475D : 제 3 대향 부위
477, 477A, 477B, 477C, 477D : 제 4 대향 부위
479, 479A, 479B : 제 5 대향 부위
491 : 부가적 제 1 대향 부위
493, 493D : 부가적 제 3 대향 부위
50, 50A, 50B, 50C, 50D :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
501, 501A, 501B, 501C, 501D : 제 1 변동부
503, 503A, 503B, 503C, 503D : 제 2 변동부
52, 52A, 52B, 52C, 52D :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
521, 521A, 521B, 521C, 521D : 제 3 변동부
523, 523A, 523B, 523C, 523D : 제 4 변동부
54, 54A, 54B : 제 5 변동부
58 : 부가적 제 1 변동부
59, 59D : 부가적 제 3 변동부
60, 60B, 60C, 60D : 하측 대향부
601, 603 : 연결부
62, 62B, 62C, 62D : 제 3 대향부
64, 64B, 64C, 64D : 제 4 대향부
70 : 제 1 급전 단자
72 : 제 2 급전 단자
74 : 피고정부
76 : 부가적 단자

Claims (6)

  1. 주부와, 대향부와, 제 1 급전 단자와, 제 2 급전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로서,
    상기 주부는, 절단부가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 1 단부에 형성된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단부에 형성된 제 2 대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는, 제 1 수평 방향과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와 상기 제 2 대향부는 정전 용량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급전 단자 및 상기 제 2 급전 단자는, 상기 주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부에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대향부에 대한 상기 제 2 대향부의 제 1 이동에 의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와,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대향부에 대한 상기 제 2 대향부의 제 2 이동에 의한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량 상보 조정부는, 상기 제 1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1 변동부와, 상기 제 1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대해 상기 제 1 변동부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2 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용량 상보 조정부는, 상기 제 2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제 3 변동부와, 상기 제 2 이동에 의해 상기 정전 용량에 대해 상기 제 3 변동부와는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제 4 변동부를 갖고 있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급전 단자 및 상기 제 2 급전 단자는,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인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방향은, 서로 역방향을 향해진 제 1 방위와 제 2 방위를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수평 방향은, 서로 역방향을 향해진 제 3 방위와 제 4 방위를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대향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방위를 향한 제 1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2 방위를 향한 제 2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3 방위를 향한 제 3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4 방위를 향한 제 4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대향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방위를 향한 제 1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1 방위를 향한 제 2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4 방위를 향한 제 3 대향 부위와, 적어도 상기 제 3 방위를 향한 제 4 대향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1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위와 상기 제 2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2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3 부위와 상기 제 3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3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4 부위와 상기 제 4 대향 부위는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제 4 변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어느 일방은, 상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선과, 상기 제 1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주선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나머지 일방은,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주선과, 상기 제 3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주선과, 상기 제 4 주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주선을 갖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의 단부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4 주선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은,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3 주선과 상기 제 5 주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2 주선에는, 상기 제 3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부선 및 상기 제 5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부선의 적어도 일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주선 및 상기 제 5 주선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선을 향해 연장되는 대향 부선으로서,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선과 대향하는 대향 부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선은, 상기 제 4 주선과 상기 대향 부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각각은, 복수의 즐치와 복수의 갈래부를 갖는 즐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즐치의 각각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과, 선단부를 가짐과 함께, 역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변동부는, 상기 즐치의 선단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갈래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4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의 각각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 또는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향부 및 상기 제 2 대향부의 각각은, 복수의 즐치와 복수의 갈래부를 갖는 즐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즐치의 각각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과, 선단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 사이에 폭광부와 폭협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와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2 측면과,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즐치의 상기 제 1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변동부는, 상기 즐치의 선단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갈래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4 변동부는, 상기 제 1 대향부의 상기 폭광부와, 그것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대향부의 상기 폭광부로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KR1020200022208A 2019-04-17 2020-02-24 안테나 KR10220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8217 2019-04-17
JP2019078217A JP7196007B2 (ja) 2019-04-17 2019-04-17 ア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27A true KR20200122227A (ko) 2020-10-27
KR102203312B1 KR102203312B1 (ko) 2021-01-14

Family

ID=6974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08A KR102203312B1 (ko) 2019-04-17 2020-02-24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63360B2 (ko)
EP (1) EP3726647B1 (ko)
JP (1) JP7196007B2 (ko)
KR (1) KR102203312B1 (ko)
CN (1) CN111834736B (ko)
TW (1) TWI726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6577B2 (ja) * 2019-03-05 2023-02-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JP1687209S (ko) * 2020-11-06 2021-06-07
JP1687208S (ko) * 2020-11-06 2021-06-07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105A (ja) * 1986-08-29 1988-03-15 Toshiba Corp 多周波数帯用小形アンテナ
JPH0936628A (ja) * 1995-07-20 1997-02-07 Casio Comput Co Ltd 携帯無線機器用アンテナ
KR20090024068A (ko) * 2007-09-03 2009-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루프 안테나 및 루프 안테나의 제조 방법
EP2246935A1 (en) * 2009-04-27 2010-11-03 HTC Corporation Multi-loop antenna structur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203987A1 (en) * 2011-06-23 2014-07-24 Nec Corporation Electrically small vertical split-ring resonator antennas
JP2016518779A (ja) * 2014-03-13 2016-06-23 ▲華▼▲為▼▲終▼端有限公司 アンテナ及び端末
JP2016213812A (ja) * 2015-04-28 2016-12-15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及び無線タ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807B2 (ja) * 1991-07-24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静電容量式加速度センサ
US6376820B1 (en) * 2000-03-24 2002-04-23 The Boeing Company Two axis gimbal having a spherical bearing
JP3781109B2 (ja) * 2002-01-31 2006-05-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Rfid用トランスポンダのアンテナコイルの構造及び該アンテナコイルを用いた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
JP3790249B2 (ja) 2004-01-13 2006-06-28 株式会社東芝 ループアンテナ及びループ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通信機
US7109944B2 (en) * 2004-01-26 2006-09-19 Kyocera Corporation Antenna using variable capacitance ele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7079079B2 (en) 2004-06-30 2006-07-18 Skycross, Inc. Low profile compact multi-band meanderline loaded antenna
KR100799875B1 (ko) * 2006-11-22 2008-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10119998A1 (ko) * 2009-04-14 2010-10-21 (주)에이스안테나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JP2012019281A (ja) * 2010-07-06 2012-01-26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CN104040789B (zh) * 2011-11-04 2016-02-10 多康公司 电容耦合复合环天线
WO2013069333A1 (ja) * 2011-11-08 2013-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容量装置
JP5655959B2 (ja) * 2012-06-28 2015-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給電素子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1919840B1 (ko) * 2012-07-10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광대역 가변 안테나 장치
JP5605455B1 (ja) * 2013-04-22 2014-10-15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10367248B2 (en) 2014-03-31 2019-07-30 Nec Corporation Antenna, array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5191232A (ja) * 2014-03-31 2015-11-0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6038619A2 (en) * 2014-09-10 2016-03-17 Global Marketing Enterprise (Gme) Ltd. Water toy
JP6606871B2 (ja) 2015-06-04 2019-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機
EP3136503B1 (en) * 2015-08-31 2018-11-28 Vodafone GmbH Tuneable antenn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060445B2 (en) * 2015-10-27 2018-08-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oling hole patterned surfaces
EA037445B1 (ru) 2015-11-27 2021-03-29 Агк Гласс Юроп Состоящая из двух двумерных частей многополосная антенна и панель остекления с напечатанной на ней антенной
CN105632764B (zh) * 2016-03-07 2019-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调控电容装置和有源天线及移动通讯终端
JP6659519B2 (ja) * 2016-11-02 2020-03-04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
JP6504324B1 (ja) * 2017-07-21 2019-04-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
CN109244645B (zh) * 2018-09-13 2021-03-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天线组件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105A (ja) * 1986-08-29 1988-03-15 Toshiba Corp 多周波数帯用小形アンテナ
JPH0936628A (ja) * 1995-07-20 1997-02-07 Casio Comput Co Ltd 携帯無線機器用アンテナ
KR20090024068A (ko) * 2007-09-03 2009-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루프 안테나 및 루프 안테나의 제조 방법
EP2246935A1 (en) * 2009-04-27 2010-11-03 HTC Corporation Multi-loop antenna structur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203987A1 (en) * 2011-06-23 2014-07-24 Nec Corporation Electrically small vertical split-ring resonator antennas
JP2018174585A (ja) 2011-06-23 2018-11-0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電気的に小型の垂直スプリットリング共振器アンテナ
JP2016518779A (ja) * 2014-03-13 2016-06-23 ▲華▼▲為▼▲終▼端有限公司 アンテナ及び端末
US20160294048A1 (en) * 2014-03-13 2016-10-06 Huawei Device Co., Ltd Antenna and Terminal
JP2016213812A (ja) * 2015-04-28 2016-12-15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及び無線タ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6007B2 (ja) 2022-12-26
EP3726647B1 (en) 2022-01-12
TW202040875A (zh) 2020-11-01
CN111834736B (zh) 2022-12-27
KR102203312B1 (ko) 2021-01-14
JP2020178197A (ja) 2020-10-29
CN111834736A (zh) 2020-10-27
TWI726607B (zh) 2021-05-01
US20200335868A1 (en) 2020-10-22
US11063360B2 (en) 2021-07-13
EP3726647A1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312B1 (ko) 안테나
JP2020178197A5 (ko)
US8157573B2 (en) Connector
JP4887393B2 (ja) コネクタ
JP4623584B2 (ja) コネクタ
US2020024401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00255731A1 (en) Connector
WO2002017442A3 (en)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inductive compensation
US9548569B2 (en) Connector
KR20200106818A (ko) 안테나
CN105322391B (zh) 连接器
EP0604213A2 (en) Edge connector shield
CN205029112U (zh) 电连接器
US10833454B2 (en) Electrical connector shielding shell having side walls interconnected to prevent rear soldering legs thereof from splaying
US20200153175A1 (en) Rf electrical connector
JP2021093245A (ja) コネクタ
US20100136849A1 (en) Connector
US20100068942A1 (en) Connector unit
JP5756688B2 (ja) コネクタ
JP2021093244A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JP6744835B2 (ja) コネクタ
KR101482875B1 (ko) 커넥터
US11025012B2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11581675B2 (en) Electrical contact
CN113939955A (zh) 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