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793A -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793A
KR20200121793A KR1020207021227A KR20207021227A KR20200121793A KR 20200121793 A KR20200121793 A KR 20200121793A KR 1020207021227 A KR1020207021227 A KR 1020207021227A KR 20207021227 A KR20207021227 A KR 20207021227A KR 20200121793 A KR20200121793 A KR 20200121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thermally conductive
zns
polymer composi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975B1 (ko
Inventor
마르쿠스 로헤
요르그 호켄
마크 하워드
Original Assignee
베나토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나토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나토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8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4Compound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08K2003/3036Sulfide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및 고분자 조성물 내에 열전도성 필러로서 황화아연 (ZnS) 입자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본 발명은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고분자 조성물 내에 열전도성 필러로서 황화아연 (ZnS) 입자 혼합물의 용도 및 여전도성 필러 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거나 고분자 조성물로 코팅된 물품(articles)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발광다이오드(LED), 파워 일렉트로닉스(power electronics), 디스플레이 및 광전 소자(photovoltaics)와 같은 마이크로 전자공학(microelectronics) 분야에서, 방열(heat dissipation)은 점점 도전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성능은 작동 온도에 의해 바로 영향을 받는다. 디바이스 및 전자 컴포넌트의 작동 온도를 낮추면, 이들 디바이스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흔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열전도성 소재는, 전자 컴포넌트의 설계를 제한하는 낮은 성형성(formability) 및 생산성과 같은 결점으로 인하여 적용될 수 없고, 금속의 전도율은 가장 바람직하지 않다.
LED와 같은 전자 제품(electronic article)에 대해서, 수천 시간의 수명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는 LED의 온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많은 경우에 LED 디바이스를 조립할 때 알루미늄 레이어(layer)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최근, 예를 들어 자동차 구조물이나 배터리, 스마트폰, 랩톱(laptops) 또는 LED 램프에서 대부분의 전자 디바이스는 열전도성이지만 동시에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plastics)으로 제조된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열 전도율은 통상적으로 열전도성, 전기-절연성 필러/첨가제(fillers/additives)를 고분자 내에 혼입함으로써(incorporating) 상기 플라스틱이 전기적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 내부에 전기적 절연성인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생산 단계가 감소하고, 다운사이징(downsizing), 경량 및 전자 장치의 열 전도율 및 열 전달이 요구되는 경우에 효율성 증대라는 이점을 갖는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열 전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러/첨가제는 질화붕소(boron nitride, BN), ZnS, Al2O3,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알루미노규산(aluminosilicates)이다. 질화붕소는 296 K에서 100-160 W/m·k의 열 전도율을 가지며, 그 육면체 결정 구조와 소판-유사(platelet-like) 형상으로 인하여, 이방성 거동(anisotropic behavior)을 보여서, 즉, 일 방향에서 질화붕소의 열 전도율은 다른 방향에서의 열전도율보다 높아서, BN을 함유하는 고분자는 물품 상부에 코팅되는 경우에 응용을 위해서는 단점이 된다. 296 K에서 ZnS의 열 전도율은 27 W/m·k이지만, ZnS는 이방성 열 전도율을 가지며 모스 경도(Mohs hardness)는 대략 3 정도로 낮아서, ZnS는 가장 연질의 백색 안료이며, 또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응용 제품에 대하여 바람직하다. ZnS는 산화알루미늄 (30 W/m·k)과 유사한 열 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나, 산화알루미늄만큼 연마되지 않는다. 중간 마모율(abrasivity) 및 14 W/m·k의 열 전도율을 가지는 알루미노규산이 또한 열전도성 첨가제로서 종종 사용된다.
종래기술에서,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여러 개의 열가소성 물질이 공지되어 있다.
WO2007/053571 A2는 매트릭스 물질과, 제 1 열전도성 입자 물질(particulate material)과 제 2 열전도성 입자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계면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교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열전도성 입자 물질은 은, 알루미늄, 구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은 코팅 구리, 은 코팅 알루미늄, 구리 코팅 알루미늄 및 다이아몬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WO2007/149783 A1은 열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화합물은 열전도성 고분자 매트릭스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황화아연 및 열전도성 카본 블랙(thermal carbon black) 입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강화 필러(reinforcing filler)나 제 2 고분자 또는 양자 모두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백색 황화아연 및 흑색 열전도성 블랙 입자에 의해 제공되는 그레이스케일(grayscale) 특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착색제(colorant)가 존재한다. 상기 화합물은 방열 제품 내에 압출되거나(extruded) 성형(molded)될 수 있다.
WO2012/088207 A2는 열가소성 고분자와 필러를 포함하는 성형 열가소성 물품으로서, 1개 이상의 열전도성 필러가 사용되며, 열가소성 필러는 독립적으로 불화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베마이트(boehmite), 그라파이트 플레이크(graphite flake) 및 탄소섬유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형 열가소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열전도성 필러는, 상기 고분자의 압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약 5 내지 약 10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 미크론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그라파이트 플레이크이다.
고분자의 열 도전율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다른 접근은 WO2015/036941 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서는 1개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고분자와 1개 이상의 열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는 블렌딩 된(blended) 열가소성 고분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WO 공보는 (a) 제 1 폴리카보네이트 20 wt% 내지 80 wt%, (b) 제 2 폴리카보네이트 1 내지 30 wt%로서, 상기 제 2 폴리카보네이트 고분자 성분은 분지쇄(branched chain) 폴리카보네이트 고분자임, (c)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성분 1 내지 30 wt%, (d) 열전도성 필러 성분 최대 약 50 wt%을 포함하는 블렌딩 된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상기 블렌딩 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성형된 샘플은 0.4 W/m·k 이상의 두께 방향 열 전도율(through-plane thermal conductivity)을 가지며, 상기 블렌딩 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성형된 샘플은 ASTM E1461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약 1.0 W/m·k 이상의 면 방향 열 전도율(in-plane thermal conductivity)을 가지는 블렌딩 된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AlN, Al4C3, Al2O3, AlON, MgSiN2, SiC, Si3N4, 그라파이트, 팽창(expanded) 그라파이트, 그래핀(grapheme), 탄소섬유, ZnS, CaO, MgO, H2Mg3(SiO3)4, CaCO3, Mg(OH)2, 운모(mica), BaO, 감마(gamma)-AlO(OH), 알파(alfa)-AlO(OH), Al(OH)3, BaSO4, CaSiO3, ZrO2, SiO2, 유리 비드(glass bead), 유리섬유, MgOAl2O3, CaMg(CO3)2, 점토(clay)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열전도성 필러의 임의의 특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다.
Appl. Nanoscience 2015, 697에서, ZnS/PMMA (PMMA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복합재(composite)로서, 상기 ZnS 필러 물질은 나노-크기 입자인 복합재가 기술되어 있다. 30-120℃의 온도 범위에서 ZnS/PMMA 나노 복합재의 유효 열 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트랜션트 플레인 소스(Transient plane source, TPS) 기법이 사용되었다. 측정 결과는, 유효 열 전도율은 유리전이온도까지 증가하는 거동을 보이지만, 유리전이온도를 초과하면 각각 사슬의 변형교정(straightening)과 포논(phonons)의 빈 자리 산란(vacant site scattering)으로 인하여 일정하게 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WO2016/120760 A1은 고 열전도성 그라파이트를 함유하는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파이트 소판(graphite platelets)) 이외에 1개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약 10 내지 약 30 W/m·K 범위의 열 전도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도성 필러를 약 10 wt% 내지 약 60 wt%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AlN, Al4C3, Al2O3, BN, AlON, MgSiN2, SiC, Si3N4, 그라파이트, 팽창 그라파이트, ZnS, CaO, MgO, ZnO, TiO2, CaCO3, 운모, BaO, BaSO4, CaSiO3, CaSO4, ZrO2, SiO2, 유리 비드, MgOxAl2O3, CaMg(CO3)2, 세라믹-코팅된 그라파이트, 점토, 활석(tal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WO2017/111945는 소결성(sinterable) 열전도성 필러 입자, 분산제 및 실리콘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열전도성 계면 물질(polymer thermal interface material, PTIM)로서, 상기 열전도성 필러 입자는 은, 금, 구리, 이들의 혼합물, 은 코팅 구리, 금 코팅 구리, 은 코팅 알루미늄, 금 코팅 알루미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고분자 열전도성 계면 물질을 교시하고 있다. 해당 출원에서 전술한 필러를 소결하면, 보다 큰 평균 필러 입자 크기에 의해 제공되는 낮은 열 저항의 결과로서, 상기 고분자 열전도성 계면 물질의 열 전도율이 증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열전도성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전체적인 특성은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며, 향상된 열 전도율을 가지며 기계적 및 겉보기(appearance) 특성을 충족하는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비율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ZnS 입자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이 향상된 열 전도율과 기계적 특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비용-효율적인 열 처리와 관련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인 고분자의 열 전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황화아연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filler) 혼합물로서, 상기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은 조대 입자(coarse particles)에 대한 d50은 1.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 중간 입자(medium particles)에 대한 d50은 0.7 내지 0.5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5 ㎛, 소형 입자(small particles)에 대한 d50은 0.46 내지 0.15 ㎛,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2 ㎛이며,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fraction)은, 입자의 모든 분율의 중량에 대하여, 입자 혼합물 내에서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4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의 백분율 내에 존재하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3개의 상이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지는 ZnS 입자를 포함하는 ZnS 입자 혼합물의 경우, 상기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은, 상기 입자의 모든 분율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입자 혼합물 내에서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4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60 wt%의 중량 백분율 내에 존재한다.
2개의 상이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지는 ZnS 입자를 포함하는 ZnS 입자 혼합물의 경우, 상기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은, 상기 입자의 모든 분율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입자 혼합물 내에서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wt% 내지 80 wt%의 중량 백분율 내에 존재한다.
상기 입자의 모든 분획의 중량에 대하여, 조대 ZnS 입자의 중량 백분율은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wt% 내지 80 wt%이고, 소형 입자의 중량 백분율은 80 wt%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2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wt% 내지 25 wt%인 2개의 상이한 ZnS 입자 크기 범위, 즉, 조대 입자 및 소형 입자를 가지는 ZnS 입자를 포함하는 ZnS 입자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조대(coarse)", "중간(medium)", "소형(small)" 입자는 "조대" 입자(d50은 1.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 > "중간" 입자(d50은 0.7 내지 0.45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5 ㎛) > "소형" 입자 (d50은 0.45 내지 0.15 ㎛,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2 ㎛)의 순서로 입자 크기가 정의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d50 값이 정의된 범위 안에 있다면, 본 발명의 ZnS 입자 혼합물에서 이들 입자 크기 범위의 입자 크기 분포는 비교적 중요하지 않지만, 입자 크기 범위가 중첩되지 않거나 적은 범위에서만 중첩된다면 유익할 수 있다. 이는 조대 ZnS 입자와 소형 ZnS 입자의 혼합물에 대하여 주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필러 혼합물과 관련해서, ZnS 입자 크기 범위의 입자 크기 분포가 덜 광범위하다면 유익할 수 있는데, 즉, 입자의 80%를 포함하는 입자 크기의 d90/10 값이 상기 d50 값의 2배 미만의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값 d50은 입자의 50%가 상기 d50 값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입자의 50%는 d50 값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경우의 숫자 평균 값(number average value)이다. 상기 d50 값은, 50 ㎖ PDO/Cal. 내 0.1 g 샘플을 10 분 동안 초음파/교반(stirring) 처리한 뒤에 CPS Disk centrifuge Model DC 2400을 통해 측정된다.
값 (d90/10)은 입자의 10 내지 90%가 발견될 수 있는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d90/10의 값이 작을수록, 입자 크기 분산은 더욱 협소해지고, 최소(smallest) 입자 또는 최대(coarsest) 입자의 백분율은 적어진다.
바람직하게,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은 1.0 내지 1.5 ㎛ 범위의 조대 입자를 포함한다.
균일한 물질(uniform material)을 가질 수 있도록,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은 ZnS로 구성된다. 종래, 중간 입자 크기 d50이 0.2-0.4 ㎛인 중간 입자가 열전도성 입자로 사용된다.
질화붕소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와 비교해서, ZnS는 임의의 이방성 효과(anisotropic effect) 없디 양호한 전기적 절연 특성과 적당한(moderate) 열 전도율을 보여준다. 아울러, ZnS는 매우 연질이어서(soft), 다른 종류의 고분자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심지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열전도성 첨가제 중에서도, ZnS는 백색 안료로서, 엔드 유저 시스템에서 착색과 관련한 컬러 및 유연성(flexibility)에서도 모든 이익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ZnS 입자 필러 혼합물은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공정에 특히 적합하고, 취성(brittling) 없이 BN보다 많은 양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자 크기 및 표면 처리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의 ZnS 입자 혼합물을 구비한 고분자의 로딩(loading)은 충전된 고분자의 최대 80 wt% 이상일 수 있는데,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충전된 고분자의 70 wt%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BN은 양호한 열 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나, BN은 이방성 효과를 보인다는 점, 즉, BN의 열 전도율은 고분자 내에서 BN 입자의 방향에 의존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BN 입자가 압출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압출 방향에 수직한 열 전도율은 압출 방향에서의 열 전도율과 비교하여 손상되는 사출 성형 공정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아울러, 고분자 로드가 충전된 고분자의 50 wt%를 초과하면, 고분자가 구부러지기 때문에, BN이 구비된 고분자의 로딩은 제한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입자 혼합물은 상기 조대 입자/중간 입자/소형 입자 중에서 2개의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지는 입자를 포함하여, 매우 만족스러운 열 전도율 값과 기계적 특성이 야기된다.
이들 특성은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로서, 입자 혼합물은 조대 입자/중간 입자/소형 입자의 3가지 입자 크기 분산 범위를 가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입자의 필러 혼합물에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향상된다.
상기 필러 혼합물은 열가소성 고분자 또는 여러 개의 열가소성 고분자의 혼합물에 대한 첨가제로서 특히 유용하며, 선택적으로 섬유와 같은 강화 소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고분자와 전술한 필러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필러 혼합물의 충전 함량(filling contents)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이다.
상기 열도전성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ABS, 폴리락타이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표면처리제, 표면활성제, 점도 조정제(viscosity-adjusting agent), 흐름 개선제(melt flow improver), 충격 보강제(impact modifying agents) 및 열전도성 고분자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다른 물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agents)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혼합물의 ZnS 입자는 다른 화합물로 유기적으로 표면 개질(organically surface-modified)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표면 개질제는 선택적으로 1개 이상의 작용기,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에폭시기, 비닐기, 메타크릴레이트기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 알킬 티오카르복실레이트기, 디(di-) 및/또는 폴리설파이드기를 갖는다. 상기 표면 개질제는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입자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화학 결합은 공유결합 또는 이온 결합일 수 있다. 물리 결합으로서 쌍극자-쌍극자 또는 반데스발스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표면 개질제는 바람직하게는 공유결합 또는 물리적 쌍극자-쌍극자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의 표면을 추가적으로 개질하고/개질하거나 고분자 내에서 입자의 분산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입자는 반응성 Si-H 모이어티, 에폭시기 또는 Si-OR 모이어티를 가지는 다른 반응성 폴리실록산으로 또한 전-처리(pretreated)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입자 혼합물은 조대 입자(coarse particles)에 대한 d50은 1.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 중간 입자(medium particles)에 대한 d50은 0.7 내지 0.5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5 ㎛, 소형 입자(small particles)에 대한 d50은 0.46 내지 0.15 ㎛,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2 ㎛인 3개의 입자 크기 범위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입자 크기 범위의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대 입자, 상기 중간 입자 및 상기 소형 입자는 ZnS를 포함하는 필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의 필러 혼합물을 고분자에 블렌딩(blending)하고, 선택적으로 필러 혼합물이 블렌딩 된 고분자로 물품(article)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성형체(molded body)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에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ABS, 폴리락타이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방열(heat-dissipating) 물품을 제조하는데 또는 물품을 코팅하는데, 특히 LED 물품 및 기술 분야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질화붕소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ZnS를 사용하는 것의 주요한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최종 열가소성 조성물의 향상된 기계적 특성;
- 등방성(isotropic) 열 전도율;
- 중간 열 전도율, 이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질화붕소와 비교하여 유익하게 긴 경화 시간을 부여함;
- 최대 80%, 바람직하게는 최대 70%의 높은 충전 비율로, 이는 질황붕소와 같은 필러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취성(brittleness)으로 인하여 질화붕소와 같은 필러에 대해서는 불가능함;
- ZnS의 백색에 기인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에 대한 양호한 컬러;
- ZnS는 예를 들어 질화붕소와 같은 다른 필러보다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임.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 조성물의 열 전도율이 필러 조성 그 자체는 물론이고, 필러 입자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충전 입자들 사이의 양호한 접촉이 확보되어야 한다. 양호한 열 전도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 입자 사이의 이러한 양호한 접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방열 물품의 제조 또는 물품의 코팅을 위한 상기 열전도성고분자 조성물의 용도 및 이렇게 수득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및/또는 작은 크기의 입자로 충전된 조대 입자, 바람직하게는 조대 입자 및 작은 크기 입자의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이 제공된다. 조대 입자 및 소형 입자의 조합은 단일 크기 입자 단독과 비교하여 향상된 열 전도율에 공헌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중간 입자 크기 0.2 - 0.4 ㎛의 ZnS 입자가 구비된 중간 입자 크기 1.2 - 1.4 ㎛를 가지는 ZnS 조대 입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ZnS 조대 입자만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보다 양호한 열 전도율을 보여준다.
선택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은 상이한 중간 입자 크기 d50을 가지는 중간 및 작은 크기의 ZnS 입자가 구비된 조대 입자의 ZnS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더욱 예시된다. 상기 도면은 다음을 나타낸다.
도 1은 각각 BN, 종래의 비교 ZnS 입자 및 상이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본 발명의 ZnS 혼합물로 충전된 상이한 고분자 테스트 샘플의 간접 열 전도율 측정을 나타낸다.
도 2는 25, 50 및 75℃에서 상이한 폴리아미드 테스트 샘플 조성물의 열 전도율을 나타낸다.
간접 열 전도율 측정과 관련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고분자 테스트 샘플의 온도 증가는 섭씨(℃)로 측정된다. 직접 열 전도율 측정과 관련해서, 열 전도율은 W/m·K로 직접 측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ZnS 입자 또는 조대 ZnS 입자는, 중간 입자 크기 d50이 0.2 - 0.4 ㎛ 범위인 소형 ZnS 입자를 650℃ 내지 750℃의 온도에서 최대 4시간의 시간 동안 하소 처리(calcimining)하여 얻어질 수 있다. 소형 입자와 이보다 큰 대형 입자를 혼합하여, 향상된 열 전도율을 가지는 본 발명의 ZnS 필러 혼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
표 1은 PA6에서 비교예와 본 발명의 ZnS 입자 샘플의 용융부피지수(melt volume rate, MVR)을 보여준다. 조대 입자와 블렌딩 된 PA6의 경우 최대 MVR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상이한 입자의 ZnS 이자의 혼합물로 블렌딩 된 PA6는 다소 낮은 MVF을 보여준다. 매우 대조적으로, 단지 종래 입자로만 블렌딩 된 PA6 샘플은 매우 낮은 용융부피지수를 갖는다. 보다 높은 MVR은 통상의 산업적 압출 및 사출 성형 공정에서 고분자-ZnS 입자 혼합물에 대한 양호한 가공성(processibility)을 제공한다.
상이한 샘플의 ZnS를 갖는 고분자 조성물의 용융부피지수
ZnS와 블렌딩 된 PA6 Ultramid
B3S 고분자 조성물
MVR (275℃/2.16 ㎏)
[㎤/10 min]
ZnS 입자 (d50 = 1.2-1.4 ㎛)충전 비율 50% 11.4
본 발명 ZnS 입자 혼합물충전 비율 50% 9.1
종래 비교예 ZnS 입자 샘플(d50 = 0.2-0.4 ㎛)
충전 비율 50%
3.3
표 2는 중간 입자 크기 d50이 1.2-1.3 ㎛인 입자 70 중량%와 중간 입자 크기 0.2-0.4 ㎛인 입자 30 중량%의 ZnS 혼합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ZnS 필러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색도(colorimetric)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대 입자 및 소형 입자의 조합으로 인하여 연질(plasticized) PVC-p 내이 응용에서 양호한 컬러 성능이 보여질 수 있는데, 이는 높은 명도(brightness, L*)와 높은 상대 증백능(relative brightening power)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 ZnS 혼합물 입자로 블렌딩 된 폴리염화비닐(PVC-p)의 색 값
PVC-p 백색 블렌드 색 값 PVC-p 회색 블렌드 색 값
Ry L* a* b* 황변 상대
증백능
색지수 L* a* b*
88.9 95.5 -1.1 3.5 5.7 39.8 0.983 56.3 0.4 0.4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질화붕소 50 wt%로 충전된 테스트 시료와 비-충전 PA6 Ultramid B3S Natur 고분자로부터 얻어진 시료와 비교하여, 상이한 중간 입자 크기 (W조대: W소형의 중량비 = 7:3)의 본 발명의 ZnS 입자 혼합물 50 wt%로 충전된 시료는 높은 인장 강도(75.1 MPa)와 인장 응력(74.9 MPa)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ZnS 혼합물 50 wt%로 충전된 테스트 시료의 인장 강도는 비-충전 PA6 Ultramid B3S Natur의 인장 강도(87.8 MPa)와 질화붕소 50 wt%로 충전된 테스트 시료 사이에 있다. 테스트 시료의 파단(break)에서 인장 응력은 비-충전 PA6 Ultramid B3S Natur (59.9 MPa) 및 50% 질화붕소로 충전된 시료(56.1 MPa)보다 명백히 향상된다. 단일-크기 ZnS 입자로만 충전된 테스트 시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상이한 입자 크기의 ZnS 입자 혼합물이 70% 충전율로 포함된 테스트 시료는 약간 양호한 성능을 보여준다.
질화붕소, ZnS 및 본 발명 물질로 충전된 상이한 폴리아미드 테스트 시료의 기계적 특성(ISO 527에 따름)
고분자 샘플 인장 강도 표준편차 파단 시점
인장 응력
표준 편차
[MPa] [MPa]
비-충전 PA6 Ultramid
B3S Natur
87.8 0.2 59.5 9.0
본 발명 ZnS 입자필러 혼합물(70% 충전) 52.3 2.8 52.3 2.8
종래 ZnS 입자d50= 0.2-0.4 ㎛
(70% 충전)
49.4 2.3 49.4 2/3
종래 ZnS 입자d50= 0.2-0.4 ㎛
(50% 충전)
77.9 2.8 77.7 1.1
질화붕소(50% 충전) 56.1 1.1 56.1 1.1
본 발명 ZnS 입자필러 혼합물 (50% 충전) 75.1 0.7 74.9 0.8
본 발명의 ZnS 충전 물질의 혼합물은, 각각의 ZnS 성분의 입자
크기는 물론이고, 이들 입자 사이의 비율에 의해서도 최적화될 수 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샘플(R1, R은 recipe를 의미하고, R1은 제 1 recipe를 의미함)은 조대 및 소형 ZnS 입자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ZnS 입자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제 2 샘플(R2)에서, 상기 ZnS 혼합물은 조대 및 중간 입자로 구성된다. 제3 샘플(R3)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3개의 입자 크기로 이루어진다. 모든 샘플은 70% 충전율을 사용하여 이들의 간접 열 전도율을 위해 테스트되었다. 다른 가능성은 조대 입자와 소형 입자가 7:3 비율로 이루어진 ZnS 입자의 혼합물이다.
상이한 조대, 중간 및 소형 입자 비율을 가지는 본 발명 ZnS 입자 혼합물
각 입자 분획의 중량부 합계
중량
조대 분율의 중량 백분율
0.2-
0.4 ㎛
0.4-
0.6 ㎛
1.2-
1.4 ㎛
본 발명 ZnS 입자
충전 혼합물
(70% 충전) - R1

1

0

2

3

66%
본 발명 ZnS 입자충전 혼합물
(70% 충전) - R2

0

1

1

2

50%
본 발명 ZnS 입자충전 혼합물
(70% 충전) - R3

1

1

2

4

50%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ZnS 입자 혼합물이 70 wt% 충전된 테스트 시료는, 종래 ZnS 입자 70 wt%로 충전된 테스트 시료에 비하여 매우 양호한 열 전도율을 보여준다.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테스트 시료 내의 실시형태 R3 (70% 충전)는, 폴리아미드 테스트 시료 R1 (70% 충전) 및 R2 (70% 충전)와 비교해서, 최적의 열 전도율 성능을 명백히 보여준다. 해당 결과는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표 5는 25℃, 50℃, 75℃에서 상이한 ZnS 입자로 블렌딩 된 다양한 PA6 테스트 시료에 대한 열 전도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충전 물질이 없거나 BN으로 충전된 테스트 시료의 열 전도율이 비교를 위해 목록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입자 크기의 ZnS 입자 혼합물로 블렌딩 된 테스트 시료는, 동일한 충전율 (각각 50 wt%, 70 wt%)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얻어진 입자성 ZnS로 블렌딩 된 시료보다 양호한 열 전도율 성능을 보여준다.
다양한 PA 테스트 시료에 대한 열 전도율 측정
샘플 플레이트
12.6x12.6x3 ㎣
23℃에서 밀도
g/㎤
복합재
샘플
온도
[℃]
열 전도율
[W/m·k]
복합재
비열 용량(Cp)
[J/g·K]
복합재
온도 전도율
[10-6 ㎡/S]
복합재
Nr. 0 비-충전
고분자
25 0.304 0.158
1.1 50 0.279 1.750 0.145
75 0.259 0.135
Nr. 1 R1 70%
본 발명 ZnS 입자 혼합물
25 1.405 0.502
3.2 50 1.31 0.875 0.468
75 1.237 0.442
Nr. 2 70%
종래 ZnS 입자
25 1.346 0.481
3.20 50 1.248 0.875 0.446
75 1.178 0.421
Nr. 3 50% 질화붕소 입자 25 1.118 0.430
1.6 50 1.043 1.625 0.401
75 0.959 0.369
Nr. 4 50% 종래 ZnS 입자 25 0.807 0.276
2.6 50 0.748 1.125 0.256
75 0.707 0.242
Nr.5 R1 50%
본 발명 ZnS 입자 혼합물
25 0.874 0.299
2.6 50 0.804 1.125 0.275
75 0.748 0.256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크기의 ZnS 입자를 가지는 ZnS 필러 입자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명백히 개선된 열 전도율을 가지는 열가소성 고분자 조성물이 제공된다.
실시예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에 기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1.2-1.4 ㎛의 d 50 을 가지는 조대 ZnS 입자의 제조
중간 입자 크기 d50 = 0.2-0.4 ㎛을 가지는 ZnS 소형 입자 500 g을 2시간 동안 670℃에서 하소 처리하거나, 선택적으로 1시간 동안 710℃에서 하소 처리하였다. 물에서 냉각(quenching)하고 희석 황산으로 ZnO를 제거한 뒤, 현탁액(suspension)을 Ultraturrax로 처리하고, 여과하고, 2시간 동안 120℃에서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얻어진 ZnS 입자를 핀-밀링(pin-milling) 처리하여 큰 크기(oversized) 입자를 분쇄하였다. 핀-밀링 후, 얻어진 물질을 소형 ZnS 입자(d50 = 0.2-0.4 ㎛)와 7(조대 입자): 3 (소형 입자)의 중량 비율(mass ratio)로 혼합하였다.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본 발명의 ZnS 필러 물질의 혼합물은 다양한 비율로 ZnS 조대 입자, 중간 입자 및 소형 입자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예를 들어, 혼합물은 소형 ZnS 입자와 조대 ZnS 입자가 1:2의 중량 비율(R1, 표 4), 중간 ZnS (d50 = 0.4-0.6 ㎛) 입자와 조대 ZnS 입자가 1:1의 중량 비율(R2, 표 4), 소형, 조대 황화아연 및 중간 황화아연(d50 = 0.4-0.6 ㎛)dl 1:2:1의 중량 비율(R3, 표 4)로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PA6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열가소성 고분자의 배합(compounding)은 Coperion W&P ZSK25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캐리어(carrier) 고분자 PA6 Ultramid B3Sfmf 사전에 Fitsch Pulverisette 상에서 연마하였고, 진공 건조 오븐 내에서 4시간 동안 90℃에서 건조하였다. 상술한 성분 및 PA6 분말의 혼합물을 약 30분 동안 포트 롤러(pot roller)에서 사전-혼합하였다. 압출 공정은 240-260℃의 온도, 250 UpM의 회전 속도, 5 ㎏/h의 투여량(dosage)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표면-처리 첨가제 Tego 6875가 첨가된 경우, 첨가제는 밤새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er)에서 텀블링(tumbling)되었다.
비-충전 PA6 분말을 추가적으로 압출하였다.
테스트 시료의 제조는 Arburg Allrounder 220-90-35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진공 하에서 90℃에서 4시간 동안 사전-건조시킨 후, 배합물(compounds)은 3 ㎜-플레이트의 소형- 및 턱진(small- and shouldered) 테스트 시료(Schulterstδben)로 사출 성형되었고, 이때 해당 장비는 니들-밸브-노즐(needle-valve-nozzle)이 구비되어 있으며, 50℃의 온도에서 작동되었다.
PA6 열가소성 조성물의 경우, 마스터(master) 각각 대략 1.2 ㎏이 고분자 PA6에 70 wt%의 충전율로 배합되었고, 3 ㎜ 플레이트 및 소형 바(bar) 내부로 압출되었다.
기계적 특성 테스트
사출 성형 직후 테스트 시료는 PE-bag 내에 패킹되었고, 테스트까지 상온에서 아크릴 글라스 챔버에 보관되었다. 따라서, 수분 함량은 모든 테스트 시료에 대하여 동일하게 낮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후술하는 테스트는 다음을 수행하였다: 샤르피(Charpy) 충격 강도, 3-포인트 굽힘 시험(3-point bending test), 인장 테스트, 색 값 CIELAB, 용융부피지수는 275 (표에서 190)℃/2.16 ㎏에서 건조된 과립(granulate)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입자 크기
입자 크기(d50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CPS Disc Centrifuge, Model DC24000이 사용되었다. 샘플(0.1 g)을 50 mL PDO/Cal에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초음파 욕조(bath)에서 처리하였다. CPS의 속도는 8000 rpm이다.
샤르피 충격 강도 테스트
기계적 충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는 DIN EN ISO 170에 따라 수행되었다. 테스트 시료를 사출 성형하고, 표준화된 기후(23℃, 50% 습도)에서 진자 해머 디바이스(pendulum hammer device)를 사용하여 각각 노치 상태(notched, type A 0.25 ㎜)와 비-노치 상태(nunotched)에서 측정하였다.
3-포인트 굽힘 시험
굽힘 시험은 Zwick Roell 인장 및 굽힘 테스트 디바이스 상에서 표준 기후(23℃, 50% 습도)에서 DIN EN ISO 170에 따라 수행되었다.
인장 테스트
인장 강도 및 인장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는 표준 기후(23℃, 25% 습도)에서 Zwick Roell 인장 및 굽힘 테스트 디바이스 상에서 DIN EN ISO 527에 따라 수행되었다.
색 값 CIELAB
컬러는 반사 모드(reflectance mode)에서 X-Rite Spectrometer CE7000 (UV 및 광택(gloss)을 포함하는 D65 광, 개구(aperture) 25.4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수신된 데이터는 DIN EN ISO 1664-4에 따라 연산하였다.
열 전도율 테스트
열처리(테스트 시료를 가열판에 배치하고 80℃로 열처리, 측정 프로브(probe)를 즉시 삽입하고 표면 온도의 측정 개시, 수분의 기간 동안 매 15초마다 측정된 값을 기록)하는 동안 3-mm 플레이트의 표면 온도의 측정
용융부피지수
용융흐름속도(melt flow rate, 각각 용융부피지수)는 Gφttfelt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DIN EN ISO 1133에 따라 측정하였다. 약 5 g의 소량 샘플을 녹는점을 넘는 온도에서 열처리하고, 비중량(specific weight, 본 실험에서 2.16 ㎏)에 의해 작동된 피스톤을 사용하여 모세관(capillary)을 강제로 흐르게 하였다. 10분 내에 해당 모세관을 통과하여 흐르는 용융물의 중량(또는 각각 부피)가 용융흐름속도(각각 용융부피지수)이다.

Claims (13)

  1. 열전도성 ZnS 입자를 포함하는 필러(filler) 혼합물로서, 열전도성 ZnS 입자의 상기 필러 혼합물은 조대 입자(coarse particles), 중간 입자(medium particles) 및 소형 입자(small particles)로부터 선택되는 3개의 입자 크기 범위 중에서 적어도 2개 입자 범위의 ZnS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는, 조대 입자에 대한 d50은 1.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 중간 입자에 대한 d50은 0.7 내지 0.5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5 ㎛, 소형 입자에 대한 d50은 0.46 내지 0.15 ㎛,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2 ㎛이고,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fraction)은, 입자의 모든 분율의 중량에 대하여, 입자 혼합물 중에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4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의 백분율 내에 존재하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3개의 상이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지는 ZnS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은, 상기 입자의 모든 분율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입자 혼합물 중에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4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60 wt%의 중량 백분율 내에 존재하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2개의 상이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지는 ZnS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d50 범위 내의 상기 입자의 분율은, 상기 입자의 모든 분율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입자 혼합물 중에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wt% 내지 80 wt%의 중량 백분율 내에 존재하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모든 분획의 중량에 대하여, 조대 ZnS 입자의 중량 백분율은 20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8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wt% 내지 80 wt%이고, 소형 입자의 중량 백분율은 80 wt%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50 wt% 내지 2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wt% 내지 25 wt%인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
  5. 고분자 또는 고분자 혼합물 용의 첨가제로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필러 혼합물의 용도.
  6.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및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필러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필러 혼합물의 충전율(filling rate)이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인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ABS, 폴리락타이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인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표면처리제, 표면활성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agent)을 더욱 포함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열전도성 ZnS 입자의 필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단계 (a)의 필러 혼합물을 고분자에 블렌딩(blending)하고, 선택적으로 이후에 성형체(molded body)를 형성하는 단계 또는 물품(article)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ABS, 폴리락타이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인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방열(heat dissipating) 물품을 제조하거나 또는 물품을 코팅하기 위한,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또는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용도.
  12. 압출 성형(extrusion process)에서,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또는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용도.
  13.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거나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물품.
KR1020207021227A 2018-02-16 2019-01-24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KR102655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7271.0 2018-02-16
EP18157271.0A EP3527615A1 (en) 2018-02-16 2018-02-16 Thermoconductive filler particle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PCT/EP2019/051792 WO2019158337A1 (en) 2018-02-16 2019-01-24 Thermoconductive filler particle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93A true KR20200121793A (ko) 2020-10-26
KR102655975B1 KR102655975B1 (ko) 2024-04-11

Family

ID=6159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27A KR102655975B1 (ko) 2018-02-16 2019-01-24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3527615A1 (ko)
JP (1) JP2021519830A (ko)
KR (1) KR102655975B1 (ko)
CN (1) CN111727214A (ko)
ES (1) ES2913675T3 (ko)
TW (1) TW201934719A (ko)
WO (1) WO20191583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66A (ko) 2021-05-26 2022-12-06 주식회사 테라하임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열전도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5273A (zh) * 2021-08-26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金刚石基导热填料及制备方法、复合导热材料和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7651A1 (en) * 2005-11-01 2007-05-03 Techfilm, Llc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multiple size distribution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US20090306263A1 (en) * 2008-06-09 2009-12-10 Taguchi Yusuke White heat-curable silicone resin composition and optoelectronic part case
US20100043871A1 (en) * 2008-04-14 2010-02-25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Thermal Conducting Materials for Solar Panel Components
JP2010254780A (ja) * 2009-04-23 2010-11-11 Dow Kakoh Kk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
JP2013144746A (ja) * 2012-01-13 2013-07-25 Hitachi Chemical Co Ltd 熱放射性塗料及び放熱部材
WO2017111945A1 (en) * 2015-12-22 2017-06-29 Intel Corporation Adhesive polymer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sintered fillers for thermal conductivity in micro-electronic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3709A2 (en) 2006-06-20 2008-05-29 Polyone Corporation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unds containing zinc sulfide
CN101280109A (zh) * 2008-01-18 2008-10-08 东莞金富亮塑胶颜料有限公司 一种抗静电导热塑料
US20120157600A1 (en) 2010-12-20 2012-06-21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lded thermoplastic articles comprising thermally conductive polymers
KR101866299B1 (ko) * 2011-01-26 2018-06-12 다우 실리콘즈 코포레이션 고온 안정성 열 전도성 재료
KR101521614B1 (ko) * 2013-08-30 2015-05-2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US20150069290A1 (en) 2013-09-10 2015-03-1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based ductile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CN104672899B (zh) * 2014-12-22 2017-02-22 合复新材料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具有激光诱导金属化特性的热固性高导热绝缘阻燃复合材料
KR20170099987A (ko) 2015-01-29 2017-09-01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고열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용도
KR20190014537A (ko) * 2016-06-21 2019-02-12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반사율 및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폴리머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7651A1 (en) * 2005-11-01 2007-05-03 Techfilm, Llc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multiple size distribution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US20100043871A1 (en) * 2008-04-14 2010-02-25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Thermal Conducting Materials for Solar Panel Components
US20090306263A1 (en) * 2008-06-09 2009-12-10 Taguchi Yusuke White heat-curable silicone resin composition and optoelectronic part case
JP2010254780A (ja) * 2009-04-23 2010-11-11 Dow Kakoh Kk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
JP2013144746A (ja) * 2012-01-13 2013-07-25 Hitachi Chemical Co Ltd 熱放射性塗料及び放熱部材
WO2017111945A1 (en) * 2015-12-22 2017-06-29 Intel Corporation Adhesive polymer thermal interface material with sintered fillers for thermal conductivity in micro-electronic packa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66A (ko) 2021-05-26 2022-12-06 주식회사 테라하임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열전도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830A (ja) 2021-08-12
ES2913675T3 (es) 2022-06-03
EP3752555B1 (en) 2022-03-09
TW201934719A (zh) 2019-09-01
WO2019158337A1 (en) 2019-08-22
KR102655975B1 (ko) 2024-04-11
EP3752555A1 (en) 2020-12-23
CN111727214A (zh) 2020-09-29
EP3527615A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016B1 (ko) 내습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6789220B2 (ja) 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押出装置および方法
US9434870B2 (en)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KR20160078340A (ko) 수지 조성물, 방열 재료 및 방열 부재
US20120157600A1 (en) Molded thermoplastic articles comprising thermally conductive polymers
JP2006328352A (ja) 絶縁性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655975B1 (ko) 열전도성 필러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KR102534715B1 (ko) 유무기 복합 필러, 이를 포함하는 방열성 조성물 및 유무기 복합 필러 제조방법
JP7065381B2 (ja) 光反射体、ベース体、発光装置及びベース体の製造方法
CN101331191B (zh) 聚亚芳基硫醚树脂组合物
JP2006282783A (ja) 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
JP2009155359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
KR20120030037A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5651396B (zh) 一种聚酰胺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126907A (ko) 고분자 수지용 방열재, 방열 수지 조성물, 플라스틱 방열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33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KR101905366B1 (ko) 열전도성 레이저 직접 구조화 조성물
JP2015101632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系組成物
JP2878921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660157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放熱材料及び放熱部材
JP6507656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系組成物
WO2013161844A1 (ja) 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
KR101688278B1 (ko) 비카본계 필러 함유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압출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405264B1 (ko) 열전도성 및 휨 특성이 우수한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3026998A1 (ja) 液晶ポリエステルペレット組成物及び射出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