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95A -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95A
KR20200121695A KR1020190044590A KR20190044590A KR20200121695A KR 20200121695 A KR20200121695 A KR 20200121695A KR 1020190044590 A KR1020190044590 A KR 1020190044590A KR 20190044590 A KR20190044590 A KR 20190044590A KR 20200121695 A KR20200121695 A KR 2020012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unit
bonding materi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528B1 (ko
Inventor
강병환
손세호
김윤준
윤경수
Original Assignee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4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5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적재부와, 상기 렌즈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렌즈를 픽업하고, 상기 렌즈를 선형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선형 이동시키는 렌즈 이송 및 결합부와, 상기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본딩재 도포부와, 복수의 홀더가 수용되는 홀더 적재부와, 상기 홀더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홀더를 픽업하고, 상기 홀더를 선형 이동시키는 홀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Assembling Device for Lens and Holder and Assemb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영상 촬영 및, 영상통화 등의 부가서비스를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기본적으로 렌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가 카메라 경통에 장착되어 카메라 경통의 회전을 통해 일정 거리 범위 내에서 렌즈의 이동을 수행하면서 카메라의 줌인 기능을 구현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중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어라운드 뷰, 사이드 미러, 전방 및 후방 카메라로 구현되고,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킬 경우, 수동으로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함에 따라 본딩재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에 도포되는 본딩재의 도포량을 일정하게 형성시킴에 따라 홀더와 카메라 렌즈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를 홀더에 일정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적재부와, 상기 렌즈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렌즈를 픽업하고, 상기 렌즈를 선형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선형 이동시키는 렌즈 이송 및 결합부와, 상기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본딩재 도포부와, 복수의 홀더가 수용되는 홀더 적재부와, 상기 홀더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홀더를 픽업하고, 상기 홀더를 선형 이동시키는 홀더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를 픽업하는 렌즈 고정툴과, 상기 렌즈 고정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석션부와, 상기 렌즈 고정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렌즈 고정툴을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선형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렌즈 고정툴에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렌즈 확인비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석션부 및 상기 렌즈 선형구동부가 장착되는 렌즈 이송유닛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이송유닛바디는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상기 홀더 적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가 장착되는 바디에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선형구동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이 승강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제1 축방향과, 상기 렌즈 이송유닛바디이상기 렌즈 확인비젼 및 상기 본딩재 도포부를 향한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2개의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렌즈 고정툴의 회동시 토크값을 검출하기 위한 토크측정 센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딩재 도포부는 상기 본딩재가 수용되는 본딩재 저장부와, 상기 본딩재를 렌즈에 도포하기 위한 본딩재 주입노즐과, 상기 본딩재 저장부에 수용된 본딩재를 상기 본딩재 주입노즐로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본딩재 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송부는 상기 홀더를 픽업하는 홀더 지그와, 상기 홀더 지그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홀더 선형구동부와, 상기 홀더 지그와 상기 홀더 선형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상기 홀더 적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가 장착되는 바디에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홀더 이송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송부는 상기 홀더 지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지그에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홀더 확인비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에 의해 이송된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홀더를 안착 및 고정시키는 렌즈 홀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렌즈 홀더 결합부는 상기 홀더에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 지지부와, 상기 홀더 지지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홀더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갭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갭센서부는 상기 홀더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갭센서와, 상기 렌즈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갭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갭센서를 통해 측정된 렌즈와의 거리와 상기 제1 갭센서를 통해 측정된 홀더와의 거리의 차를 통해 렌즈와 홀더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적재부는 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수용부가 복수개 어레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수용부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 적재부는 홀더가 안착되는 홀더수용부가 복수개 어레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은 카메라 렌즈와 홀더를 각각 픽업하는 카메라 렌즈 및 홀더 이송단계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본딩재 도포단계와, 상기 홀더를 고정하고 카메라 렌즈를 홀더에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딩재 도포단계는 카메라 렌즈를 회동시키고 본딩재를 카메라 렌즈의 외주부에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는 카메라 렌즈와 홀더의 간격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딩재를 렌즈에 일정하게 도포함에 따라, 본딩재의 과다도포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본딩재의 도포량 결핍에 따른 결합력 저하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홀더와 렌즈의 결합력을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킴에 따라,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결합 및 상품 신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의 기본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렌즈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본딩재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딩재 도포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홀더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홀더 적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렌즈 및 홀더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렌즈 및 홀더 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의 기본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100)는 자동으로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고,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 본딩재 도포부(120), 홀더 이송부(130), 검출유닛(14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는 렌즈를 이동시키고,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는 렌즈를 픽업하여 이동시키고, 렌즈를 홀더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 및 직선이동시켜 홀더에 렌즈를 결합시킨다.
본딩재 도포부(120)는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딩재 도포부(120)는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결합부에 본딩재를 도포한다. 이 때,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은 렌즈를 정속도로 회동시키고, 본딩재 도포부(120)은 렌즈의 외주부에 본딩재를 도포할 수 있다.
홀더 이송부(130)는 홀더를 렌즈와 결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검출유닛(140)은 홀더와 렌즈의 결합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거리확인 센서(141), 렌즈확인 비젼(Vision)(142) 및 홀더확인 비젼(143)을 포함한다. 거리확인 센서(141)는 홀더에 렌즈를 결합시킬 경우, 홀더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렌즈확인 비젼(Vision)(142)은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에 의해 렌즈가 픽업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렌즈확인 비젼(142)은 렌즈에 결합된 오링을 확인하여 렌즈의 픽업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만약, 렌즈확인 비젼(Vision)(142)에 의해 렌즈가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에 의해 정확히 픽업되지 않은 경우,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는 렌즈가 수용된 렌즈 적재 트레이로 이동하여 렌즈 픽업 및 이송공정을 다시 수행한다.
홀더확인 비젼(143)은 홀더 이송부(130)에 홀더가 픽업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홀더확인 비젼(143)에 의해 홀더가 홀더 이송부(130)에 의해 정확히 픽업되지 않은 경우, 홀더 이송부(130)는 홀더가 수용된 홀더 적재 트레이로 이동하여 홀더 픽업 및 이송공정을 다시 수행한다.
토크측정 센서(144)는 렌즈가 홀더에 결합될 경우 토크값을 측정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결합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70)는 검출유닛(140)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 본딩재 도포부(120), 홀더 이송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1000)는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 본딩재 도포부(1200), 홀더 이송부(1300),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1400), 홀더 적재 트레이(1500), 디스플레이유닛(1600) 및 렌즈 홀더 결합부(17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렌즈 수용부로 구현되는 렌즈 적재 트레이(1400)에는 복수의 카메라 렌즈가 수용된다.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는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1400)에 수용된 렌즈를 픽업하고, 렌즈를 이동시켜 홀더와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딩재 도포부(1200)는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결합부에 본딩재를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홀더 수용부로 구현되는 홀더 적재 트레이(1500)에는 복수의 홀더가 수용된다. 홀더 이송부(1300)는 홀더 적재 트레이(1500)에 수용된 홀더를 이동시키고, 렌즈 홀더 결합부(1700)에 홀더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유닛(1600)은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 본딩재 도포부(1200) 및 홀더 이송부(1300)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출력된다.
렌즈 홀더 결합부(1700)는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에의해 이송된 렌즈가 홀더를 결합시키기 위해, 홀더 이송부(1300)에의해 이송된 홀더를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각 유닛의 세부기술구성, 유기적 결합 및 동작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렌즈 이송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은 렌즈 고정툴(1110), 회전구동부(1120), 석션부(1130), 렌즈 확인비젼(1140), 렌즈 선형구동부(1150), 렌즈 이송유닛바디(116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고정툴(1110)은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1400)에 수용된 렌즈(10)를 픽업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가 렌즈(10)와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렌즈 고정툴(1110)은 석션부(1130)와 연결되고, 석션부(1130)으로부터 흡입력을 공급받기 위한 연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석션부(1130)는 렌즈 고정툴(1110)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석션부(1130)의 흡입력에 따라 렌즈 고정툴(1110)을 이용하여 렌즈를 픽업하거나, 렌즈를 렌즈 고정툴(1110)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구동부(1120)는 본딩재의 도포와, 렌즈의 결합을 위해 렌즈 고정툴(1110)을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구동부(1120)는 렌즈 고정툴(1110)에 연결된다. 또한, 회전구동부(1120)는 렌즈 고정툴(1110)의 회동시 토크값을 검출하기 위한 토크측정 센서(도 1에 144로 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가 홀더에 결합될 경우 토크값을 측정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결합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토크값은 디스플레이유닛(1600)에 전송되고, 외부에서 작업자는 토크값을 확인 할 수 있다.
렌즈 확인비젼(1140)은 렌즈가 렌즈 고정툴(1110)에 결합되어 있는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고정툴(111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렌즈확인 비젼(1140)은 렌즈에 결합된 오링을 확인하여 렌즈의 픽업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렌즈확인 비젼(1140)은 오링의 꼬임여부를 추가로 확인 할 수 있다.
렌즈 선형구동부(1150)는 렌즈 고정툴(1110)을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렌즈 고정툴(1110)을 승강시키고, 렌즈 이송유닛바디(1160)를 렌즈 확인비젼(1140)과 렌즈 홀더 결합부(1700)를 향하도록 좌우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렌즈 선형구동부(1150)는 상기 렌즈 고정툴의 승강에 대응되는 제1 축방향과, 상기 렌즈 이송유닛바디의 상기 렌즈 홀더 결합부, 상기 렌즈 확인비젼 및 상기 본딩재 도포부를 향한 이동에 대응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2개의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이송유닛바디(1160)에는 렌즈 고정툴(1110), 회전구동부(1120), 석션부(1130) 및 렌즈 선형구동부(1150)가 장착되고, 렌즈 이송유닛바디(1160)는 본딩재 도포부, 렌즈 적재 트레이, 홀더 적재 트레이 및 홀더 이송부가 장착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의 바디에 형성된 가이드 지지 플레이트(도 2에 F로 도시함)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1400)는 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수용부(1410)가 복수개 어레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수용부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렌즈수용부(1410)에는 각각 렌즈(10)가 수용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본딩재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딩재 도포부(1200)은 본딩재 저장부(1210), 본딩재 공급펌프(1220) 및 본딩재 주입노즐(12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딩재 저장부(1210)에는 렌즈에 도포하기 위한 본딩재가 수용된다. 본딩재 공급펌프(1220)는 본딩재 저장부(1210)에 수용된 본딩재를 본딩재 주입노즐(1230)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제공한다.
본딩재 주입노즐(1230)은 렌즈의 일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본딩재 공급펌프(1220)는 본딩재 주입노즐(1230)에 본딩재를 일정량으로 공급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딩재 도포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의 회전구동부(1120)는 렌즈 고정툴(1110)을 정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렌즈 고정툴(1110)에 픽업된 렌즈(10)는 렌즈 고정툴(1110)과 같이 회전된다.
이 때, 본딩재 주입노즐(1230)의 단부는 렌즈(10)의 외주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본딩재 공급펌프(1220)는 본딩재 저장부(1210)에 수용된 본딩재를 본딩재 주입노즐(1230)로 유동시키고, 본딩재 주입노즐(1230)은 본딩재를 일정하게 배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현됨에 따라, 렌즈의 외주부로 본딩재가 균일하게 도포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홀더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이송부(1300)는 홀더 지그(1310), 홀더 확인비젼(1320), 홀더 선형구동부(1330) 및 홀더 이송부 바디(13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 지그(1310)는 홀더 적재 트레이(1500)에 수용된 홀더(20)를 픽업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가 홀더(20)와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홀더 이송부(1300)는 홀더를 그립하기 위해 홀더 지그(1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홀더 확인비젼(1320)은 홀더 지그(1310)에 홀더가 결합되어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 지그(131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홀더 선형구동부(1330)는 홀더 지그(1310)를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홀더 지그(1310)를 승강시키고, 홀더 이송부 바디(1340)를 홀더 확인비젼(1320)과 렌즈 홀더 결합부(1700)를 향하도록 좌우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홀더 선형구동부(1330)는 2개의 축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이송부 바디(1340)에는 홀더 지그(1310), 홀더 선형구동부(1330)가 장착되고, 홀더 이송부 바디(1340)는 가이드 지지 플레이트(도 2에 F로 도시함)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홀더 적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적재부인 홀더 적재 트레이(1500)에는 홀더수용부(1510)가 복수개 어레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수용부(1510)는 상기 홀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더(20)가 수용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에 있어서, 렌즈 및 홀더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 결합부(1700)는 홀더 지지부(1710), 갭센서부(17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 지지부(1710)는 홀더가 안착 및 지지된다. 이를 위해 홀더 지지부(1710)는 홀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갭센서부(1720)는 홀더에 렌즈를 결합할 경우, 홀더에 결합된 렌즈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갭센서부(1720)는 상기 홀더 지지부(1710)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홀더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갭센서(1721)와 제2 갭센서(1722)를 포함한다.
제1 갭센서(1721)는 홀더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2 갭센서(1722)는 렌즈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2 갭센서(1722)를 통해 측정된 렌즈와의 거리와 제1 갭센서(1721)를 통해 측정된 홀더와의 거리의 차를 통해 렌즈와 홀더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거리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어 외부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면서 홀더와 렌즈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렌즈 및 홀더 결합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이송부(1300)을 통해 홀더(20)를 홀더 지지부(17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의 렌즈(1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키고, 렌즈 이송 및 결합부(1100)의 회전구동부(도3에 1120으로 도시함)는 렌즈 고정툴(1110)을 회동시키고, 렌즈 선형구동부(도 3에 1150으로 도시함)는 렌즈 고정툴(1110)을 하강시키면서 렌즈(10)를 홀더(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 갭센서(1721)와 제2 갭센서(1722)는 각각 홀더의 하단부(B)와 렌즈의 하단부(A)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갭센서(1721)와 제2 갭센서(1722)를 통해 검출된 정보는 디스플레이유닛(16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선형구동부(1150)는 렌즈의 회전시 토크값을 검출하여 일정 토크에서 회동을 정지시켜 렌즈를 홀더에 정확하게 결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S1000)은 카메라 렌즈 및 홀더 이송단계(S1100), 본딩재 도포단계(S1200), 및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S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렌즈 및 홀더 이송단계(S1100)는 카메라 렌즈와 홀더를 각각 픽업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 렌즈 및 홀더 이송단계(S1100)는 카메라 렌즈와 홀더를 각각 픽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카메라 렌즈와 홀더의 유무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딩재 도포단계(S1200)는 카메라 렌즈의 외주부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즉, 본딩재 도포단계(S1200)는 카메라 렌즈를 회동시키고 본딩재를 카메라 렌즈의 외주부로 일정하게 도포한다.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S1300)는 홀더에 카메라 렌즈를 결합하기 위해 홀더에 렌즈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렌즈를 회동시켜 홀더에 렌즈를 결합시킨다. 또한,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S1300)는 카메라 렌즈와 홀더의 간격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홀더에 카메라 렌즈를 결합시킬 때 실시간으로 렌즈 단부와 홀더 단부 사이의 간격을 확인하여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일정 높이에서 렌즈의 결합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렌즈 20: 홀더
100: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110: 렌즈 이송 및 결합부
120: 본딩재 도포부 130: 홀더 이송부
140: 검출유닛 141: 거리확인 센서
143: 홀더확인 비젼 170: 제어부
1000: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1100: 렌즈 이송 및 결합부
1110: 렌즈 고정툴 1120: 회전구동부
1130: 석션부 1140: 렌즈 확인비젼
1150: 렌즈 선형구동부 1160: 렌즈 이송유닛바디
1200: 본딩재 도포부 1210: 본딩재 저장부
1220: 본딩재 공급펌프 1230: 본딩재 주입노즐
1300: 홀더 이송부 1310: 홀더 지그
1320: 홀더 확인비젼 1330: 홀더 선형구동부
1340: 홀더 이송부 바디 1400: 카메라 렌즈 적재 트레이
1410: 렌즈수용부 1500: 홀더 적재 트레이
1510: 홀더수용부 1600: 디스플레이유닛
1700: 렌즈 홀더 결합부 1710: 홀더 지지부
1720: 갭센서부 1721: 제1 갭센서

Claims (18)

  1.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적재부;
    상기 렌즈 적재부에 수용된 상기 렌즈를 픽업하고, 상기 렌즈를 선형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선형 이동시키는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본딩재 도포부;
    복수의 홀더가 수용되는 홀더 적재부; 및
    상기 홀더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홀더를 픽업하고, 상기 홀더를 선형 이동시키는 홀더 이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를 픽업하는 렌즈 고정툴과,
    상기 렌즈 고정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석션부와,
    상기 렌즈 고정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렌즈 고정툴을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렌즈 고정툴에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렌즈 확인비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석션부 및 상기 렌즈 선형구동부가 장착되는 렌즈 이송유닛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이송유닛바디는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상기 홀더 적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가 장착되는 바디에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선형구동부는
    상기 렌즈 고정툴이 승강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제1 축방향과, 상기 렌즈 이송유닛바디이 상기 렌즈 확인비젼 및 상기 본딩재 도포부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2개의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렌즈 고정툴의 회동시 토크값을 검출하기 위한 토크측정 센서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재 도포부는
    상기 본딩재가 수용되는 본딩재 저장부와, 상기 본딩재를 렌즈에 도포하기 위한 본딩재 주입노즐과, 상기 본딩재 저장부에 수용된 본딩재를 상기 본딩재 주입노즐로 이동시키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본딩재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송부는
    상기 홀더를 픽업하는 홀더 지그와,
    상기 홀더 지그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홀더 선형구동부와,
    상기 홀더 지그와 상기 홀더 선형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렌즈 적재부,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상기 홀더 적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가 장착되는 바디에 선형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홀더 이송부 바디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송부는
    상기 홀더 지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지그에 결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홀더 확인비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에 의해 이송된 렌즈를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홀더를 안착 및 고정시키는 렌즈 홀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렌즈 홀더 결합부는
    상기 홀더에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 지지부와, 상기 홀더 지지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렌즈와 상기 홀더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갭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센서부는
    상기 홀더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갭센서와, 상기 렌즈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갭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갭센서를 통해 측정된 렌즈와의 거리와 상기 제1 갭센서를 통해 측정된 홀더와의 거리의 차를 통해 렌즈와 홀더의 거리를 측정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송 및 결합부, 상기 본딩재 도포부 및 상기 홀더 이송부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적재부는 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수용부가 복수개 어레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수용부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적재부는 홀더가 안착되는 홀더수용부가 복수개 어레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수용부는 상기 홀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카메라 렌즈결합장치.
  16. 카메라 렌즈와 홀더를 각각 픽업하는 카메라 렌즈 및 홀더 이송단계;
    상기 카메라 렌즈에 본딩재를 도포하는 본딩재 도포단계; 및
    상기 홀더를 고정하고 카메라 렌즈를 홀더에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재 도포단계는 카메라 렌즈를 회동시키고 본딩재를 카메라 렌즈의 외주부에 일정하게 도포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및 홀더 결합단계는
    카메라 렌즈와 홀더의 간격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KR1020190044590A 2019-04-16 2019-04-16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KR10227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90A KR102270528B1 (ko) 2019-04-16 2019-04-16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90A KR102270528B1 (ko) 2019-04-16 2019-04-16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95A true KR20200121695A (ko) 2020-10-26
KR102270528B1 KR102270528B1 (ko) 2021-06-29

Family

ID=7300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590A KR102270528B1 (ko) 2019-04-16 2019-04-16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5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110A (ja) * 1991-11-28 1993-06-1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接合装置
KR20060045565A (ko) * 2004-10-25 2006-05-17 (주) 에스에스피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조립장비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20110022954A (ko) * 2009-08-28 2011-03-08 (주)아이콘 카메라폰용 렌즈모듈 조립방법 및 장치
KR20110083988A (ko) * 2010-01-15 2011-07-21 (주)한기술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KR20180000126A (ko) * 2016-06-22 2018-01-02 (주) 루리텍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110A (ja) * 1991-11-28 1993-06-15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接合装置
KR20060045565A (ko) * 2004-10-25 2006-05-17 (주) 에스에스피 카메라 모듈의 렌즈배럴 조립장비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20110022954A (ko) * 2009-08-28 2011-03-08 (주)아이콘 카메라폰용 렌즈모듈 조립방법 및 장치
KR20110083988A (ko) * 2010-01-15 2011-07-21 (주)한기술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KR20180000126A (ko) * 2016-06-22 2018-01-02 (주) 루리텍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528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2012B (zh) 微型光学产品的组装设备和组装方法
KR101545459B1 (ko) 접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0990484B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system
CN105721859B (zh) 一种影像模组的调芯设备及其应用方法
US6770899B2 (en) Work piece feeding machine
CN215557166U (zh) 镜头模组组装的镜片上料装置
KR102047917B1 (ko) 렌즈 조립 자동화 장치
JP2001253536A (ja) 基板移載ロボット装置
KR101714463B1 (ko) 카메라 모듈 액츄에이터용 부품 조립 방법 및 그 장치
CN102687497A (zh) 摄像模组检查及焦距调整装置
KR20140141153A (ko)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566814B1 (ko) 렌즈 조립 장치
KR20200121695A (ko) 카메라 렌즈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메라 렌즈 결합방법
KR1007216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보조 윈도우 조립체를 조립하기위한 조립장치
KR102410618B1 (ko) 광학렌즈용 배럴과 마그네틱 조립장치
TWI407172B (zh) 鏡頭模組組裝裝置及鏡頭模組組裝方法
JP2971180B2 (ja) アウタリードボンディング装置
KR200346837Y1 (ko) 평판표시소자용 본딩시스템
CN112368114B (zh) 水平多关节机器人以及作业执行装置
CN219356736U (zh) 一种自动校准设备
JPH11207533A (ja) 部品組立方法及び装置
CN218772859U (zh) 一种辅料贴附装置及辅料贴附设备
WO2024004552A1 (ja) 眼鏡レンズ加工システム
CN215885808U (zh) 一种lcm双面贴胶机
CN113245825B (zh) 用于摄像头双摄aa的组装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