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474A -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474A
KR20200119474A KR1020190041716A KR20190041716A KR20200119474A KR 20200119474 A KR20200119474 A KR 20200119474A KR 1020190041716 A KR1020190041716 A KR 1020190041716A KR 20190041716 A KR20190041716 A KR 20190041716A KR 20200119474 A KR20200119474 A KR 2020011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evel
column
bit lin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474A/ko
Priority to US16/582,861 priority patent/US10825515B1/en
Priority to CN201910987661.0A priority patent/CN111816237B/zh
Publication of KR2020011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474A/ko
Priority to US17/087,080 priority patent/US1109437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7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metal oxide memory material, e.g. perovski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8Word-line or ro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Cell acc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10N70/8413Electrodes adapted for resistive he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1Three dimensional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2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di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H10B63/24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of the Ovonic threshold switching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50/85Magnetic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Abstract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타일 및 그 밖의 회로 영역들이 예정된 기판, 상기 타일 각각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가 구비된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타일의 로우들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타일의 컬럼들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컬럼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타일 중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및 상기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 및 상기 선택된 컬럼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다른 타일의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Resistance variable Memory Device Including Stacked memory cells}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된 복수의 데크(deck)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의 고용량화 및 저전력화의 요구에 따라 비 휘발성이면서, 주기적인 리프레시(refresh)가 필요 없는 차세대 메모리 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고집적성, 플래쉬 메모리의 비휘발성 및 SRAM(Static RAM)의 고속성 등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차세대 메모리 장치로서,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인 PCRAM(Phase changeable RAM),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M), MRAM(Magnetic RAM), FeRAM(Ferroelectric RAM) 및 ReRAM(Resistive RAM) 소자 등이 있다.
차세대 메모리 장치 중 PCRAM은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 사이의 오버랩 부분에 스위칭 소자(switching element) 및 메모리 소자(storage element)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RAM의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를 크로스 포인트 어레이 구조라 불리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세대 메모리 장치 역시, 높은 집적 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을 교대로 복수 회 적층하는 적층 메모리 셀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면적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들이 배열될 타일들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되어 있는 기판; 상기 타일 영역으로 구획된 공간내에 각각 배열되는 디코딩 회로부; 상기 디코딩 회로부가 구비된 상기 타일 상부에, 상기 타일의 로우들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타일의 컬럼들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타일의 상기 컬럼들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및 상기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디코딩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 및 상기 선택된 컬럼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다른 타일의 디코딩 회로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로우 및 복수의 컬럼으로 구분된 타일들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되어 있는 기판; 상기 타일내에 각각 구비되는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 상기 제어 블록이 구비된 각 타일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 제 1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1 레벨 비트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1 데크층; 상기 제 1 데크층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2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2 데크층; 상기 제 2 데크층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상부에, 제 3 레벨 메모리 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3 데크층; 및 상기 제 3 데크층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4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4 데크층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타일 중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로우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라인, 및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제 1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로우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제 2 타일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타일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타일에 대응되는 공간에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 상기 제어 블록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 제 1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1 레벨 비트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1 데크층; 상기 제 1 데크층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2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2 데크층; 상기 제 2 데크층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상부에, 제 3 레벨 메모리 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3 데크층; 및 상기 제 3 데크층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4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4 데크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과 각각 교차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각각 2개의 타일 단위로 단절없이 연장되되, 선택된 타일 상에서만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과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이 겹쳐지도록 스테거(staggered)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그것의 중심부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그것의 중심부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로우 스위치 및 컬럼 스위치를 타일 내부에 배치시킴에 따라, 타일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컬럼 스위치와 제 1 레벨 워드 라인 사이에 보조 비트 라인 패드를 형성하므로써, 컬럼 스위치와 비트 라인의 콘택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데크를 구성하는 다층 레벨 워드 라인 및 다층 레벨 비트 라인들을 해당 타일의 제어 블록 및 인접 타일들의 제어 블록에 의해 나누어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매트에 로우 어드레스 및 컬럼 어드레스 입력 시, 각 타일 별로 하나의 메모리 셀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어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타일을 구비하는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 라인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시스템(100)은 프로세서(110), 콘트롤러(120) 및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버스(105)에 의해 콘트롤러(12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억세스 리퀘스트(리드 리퀘스트, 라이트 리퀘스트 등)를 콘트롤러(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콘트롤러(120)로부터 리드 데이터(read data)를 제공받을 수 있다.
콘트롤러(12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메모리 동작을 위한 커맨드(CMD, 예컨대, 리드 커맨드 및 라이트 커맨드 등), 어드레스(ADD), 데이터(DATA) 및 제어 신호(CTRL)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00)는 예를 들어,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 소자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가변 저항 특성이 가변되어, 메모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가변 저항 소자는 RRAM, PRAM, MRAM, FRAM 등에 이용되는 물질, 예컨대,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계 화합물, 전이금속 화합물, 강유전체, 강자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가변 저항 소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예컨대, 니켈(Ni) 산화물, 티타늄(Ti) 산화물, 하프늄(Hf) 산화물, 지르코늄(Zq) 산화물, 텅스텐(W) 산화물, 코발트(Co) 산화물 등과 같은 전이 금속의 산화물, STO(SrTiO), PCMO(PrCaMnO) 등과 같은 페로브스카이트계 물질 등일 수 있다.
또한, 가변 저항 소자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물질은 예컨데, GST(Ge-Sb-Te) 등과 같은 칼코게나이드계 물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저항 소자는 열에 의해 결정 상태와 비정질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안정됨으로써 서로 다른 저항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가변 저항 소자는 두 개의 자성층 사이에 터널 베리어 층이 개재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층은 NiFeCo, CoF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터널 베리어층은, Al203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저항 소자는 자성층의 자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가변 저항 소자는 두 개의 자성층의 자화 방향이 평행한 경우 저저항 상태일 수 있고, 두 개의 자성층의 자화 방향이 반평행한 경우 고저항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메모리 장치(200)는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200)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 및 제어 블록(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200)의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복수의 매트들(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매트들(M)은 복수의 타일(T1~T4)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매트(M)는 각각 4개의 타일(T1~T4)로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타일들(T1~T4)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일(T1~T4)의 상세 구조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 블록(250)은 타일(T1~T4)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블록(250)은 타일들(T1~T4)과 반도체 기판(300)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각각의 타일들(T1~T4)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은 복수의 타일 중 제 1 타일(T1)을 일 예로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300) 상부에 타일(T1)이 한정된다. 상기 타일(T1)은 적층된 복수의 데크(D1~D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D1~D4) 각각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2차원적 배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일(T1)은 예를 들어, 4개의 데크(D1~D4)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데크(D1~D4)는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워드 라인(WL0~WL3), 상기 복수의 워드 라인(WL0~WL3)과 교차 배열되는 복수의 비트 라인(BL0~BL3), 및 워드 라인들(WL0~WL3)과 비트 라인들(BL0~BL3)의 교차부에 각각 형성되는 메모리 셀(M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사시도이다.
메모리 셀들(M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 라인(WL)와 비트 라인(BL)의 교차부 사이에 위치되는 셀렉터(32), 중간 전극(35) 및 저장부(38)을 포함할 수 있다. 셀렉터(32), 중간 전극(35) 및 저장부(38)은 워드 라인(WL)과 비트 라인(BL)의 교차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셀렉터(32) 및 저장부(38) 중 적어도 하나는 상변화 재료인 칼코게나이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렉터(32) 및 저장부(38) 모두 칼코게나이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저장부(38)는 실온에서 비휘발성인 상변화가 진행되는 칼코게나이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셀렉터(32)는 저장부(38)의 상변화와 다른 상변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셀렉터(32) 및 저장부(38)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셀렉터(32)는 OTS 소자를 구성하는 OTS 물질일 수 있다. 상기 OTS 물질은 상기 저장부(38)로 이용되는 칼코게나이드 합금 물질들 중 임의의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렉터(33)는 비소(As)와 같은, 결정화를 억제하기 위한 원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될 때, As와 같은 원소는 합금의 임의의 비-일시적 핵형성 및/또는 성장을 금지함으로써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셀렉터(32)는 임계 전압을 초과한 전위가 인가될 때, 도전성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상태 동안 충분한 유지 전류가 셀렉터(3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렉터(32)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Te-As-Ge-Si, Ge-Te-Pb, Ge-Se-Te, Al-As-Te, Se-As-Ge-Si, Se-As-Ge-C, Se-Te-Ge-Si, Ge-Sb-Te-Se, Ge-Bi-Te-Se, Ge-As-Sb-Se, Ge-As-Bi-Te, 및 Ge-As-Bi-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드 라인(WL)은 셀렉터(32)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38), 즉, 상변화 메모리 저항층은 다른 칼코게나이드 합금 시스템들 중에서, 인듐(In)-안티모니(Sb)-텔루륨 (Te)(IST) 합금 시스템 내에서의 원소들, 예로서 In2Sb2Te5, In1Sb2Te4, In1Sb4Te7 등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 합금, 게르마늄(Ge)-안티모니(Sb)-텔루륨(Te) (GST) 합금 시스템 내에서의 원소들, 예로서 Ge8Sb5Te8, Ge2Sb2Te5, Ge1Sb2Te4, Ge1Sb4Te7, Ge4Sb4Te7 등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한 합금과 같은 칼코게나이드 조성들을 포함하는 상변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이픈으로 연결된 화학적 조성 표기법은 특정한 혼합물 또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들을 표시하며, 표시된 원소들을 수반한 모든 화학양론들을 표현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8)로 이용되는 칼코게나이드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Ge-Te, In-Se, Sb-Te, Ga-Sb, In-Sb, As-Te, Al-Te, In-Ge-Te, Ge-Sb-Te, Te-Ge-As, In-Sb-Te, Te-Sn-Se, Ge-Se-Ga, Bi-Se-Sb, Ga-Se-Te, Sn-Sb-Te, In-Sb-Ge, Te-Ge-Sb-S, Te-Ge-Sn-O, Te-Ge-Sn-Au, Pd-Te-Ge-Sn, In-Se-Ti-Co, Ge-Sb-Te-Pd, Ge-Sb-Te-Co, Sb-Te-Bi-Se, Ag-In-Sb-Te, Ge-Sb-Se-Te, Ge-Sn-Sb-Te, Ge-Te-Sn-Ni, Ge-Te-Sn-Pd, 및 Ge-Te-Sn-Pt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극(35)은 셀렉터(32)와 저장부(3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노드일 수 있다. 중간 전극(35)은 저장부(38)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라인(WL), 셀렉터(32) 및 중간 전극(35)은 예를 들어, 메모리 셀(MC)의 억세스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중간 전극(35), 저장부(38) 및 비트 라인(BL)은 메모리 셀(MC)의 가변 저항(R)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인접하게 적층되는 데크(D1~D4)들은 워드 라인(WL) 또는 비트 라인(BL)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데크(D1)와 제 2 데크(D2)는 비트 라인을 공유할 수 있고, 제 2 데크(D2)와 제 3 데크(D3)는 워드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제 3 데크(D3)와 제 4 데크(D4)는 비트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어 블록(250)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블록(250)은 반도체 기판(300)과 타일(T1)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타일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블록(250)은 복수의 제어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어 블록(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직(252), 전압 생성부(254), 리드/라이트 회로부(256) 및 디코딩 회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로직(252)은 메모리 콘트롤러(120)로부터 수신한 커맨드(CMD), 어드레스(ADD) 및 제어 신호(CTRL)를 기초하여, 상부에 적층될 데크들(D1~D4)에 데이터(DATA)를 라이트하거나, 데이터(DATA)를 리드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제어 신호들은 전압 생성부(254), 리드/라이트 회로부(256) 및 디코딩 회로부(26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로직(252)은 리드/라이트 회로(256)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이하, 동작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제어 신호들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리드 인에이블 신호, 센싱 인에이블 신호 및 디스차지 인에이블 신호, 프리차지 인에이블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252)은 전압 생성부(254)에 전압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압 생성부(254)는 상기 전압 제어 신호를 기초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210)에 라이트, 리드 및 이레이즈(erase)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생성부(254)는 복수의 워드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워드 라인 구동 전압(VWL) 및 복수의 비트 라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비트 라인 구동 전압(VBL)을 생성할 수 있다. 워드 라인 구동 전압(VWL) 및/또는 비트 라인 전압(VBL)은 리셋 라이트 전압, 셋 라이트 전압, 금지 전압(inhibit voltage), 리드 전압 또는 검증 전압(verify voltage)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회로부(260)는 로우 스위치부(260a,260b) 및 컬럼 스위치(270a,270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우 스위치부(260a,260b)는 로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타일(T)의 선택된 로우의 워드 라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컬럼 스위치부(270a,270b)는 컬럼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타일(T)의 선택된 컬럼의 비트 라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로우 스위치부(260a,260b)는 위치에 따라, 제 1 로우 스위치부(260a) 및 제 2 로우 스위치부(260b)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워드 라인들은 제 1 및 제 2 로우 스위치부(260a,260b)에 의해 구분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로우 스위치부(260a) 및 제 2 로우 스위치부(260b)는 타일(T)의 센터 지점(c)을 기준으로 대각선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타일(T)을 제 1 내지 제 4 사분면으로 구분하는 경우, 제 1 로우 스위치부(260a)는 제 1 사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로우 스위치부(260b)는 제 4 사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컬럼 스위치부(270a,270b) 역시 위치에 따라, 제 1 컬럼 스위치부(270a) 및 제 2 컬럼 스위치부(270b)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비트 라인들은 제 1 및 제 2 컬럼 스위치부(270a,270b)에 의해 구분되어 제어될 수 있다. 제 1 컬럼 스위치부(270a) 및 제 2 컬럼 스위치부(270b)는 타일(T)의 센터 지점(c)을 기준으로 대각선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컬럼 스위치부(270a)는 타일(T)의 제 2 사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컬럼 스위치부(260b)는 제 3 사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타일이 n개의 로우와 m개의 컬럼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때, 제 1 로우 내지 제 n/2 로우에 각각 위치되는 워드 라인들은 제 1 로우 스위치부(26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로우 스위치부(260a)는 제 1 로우 내지 제 n/2 로우의 일측 가장자리, 예컨대, 제 1 사분면의 가장자리마다 배치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이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 1 로우 내지 제 n/2 로우에 각각 위치되는 워드 라인들 중 일부는 해당 로우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다른 타일의 해당 로우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다.
제 n+1/2 로우 내지 제 n 로우에 위치되는 워드 라인들은 제 2 로우 스위치부(26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로우 스위치부(260b)는 제 n+1/2 로우 내지 제 n 로우의 타측 가장자리, 예컨대, 제 4 사분면의 가장자리마다 배치된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 n+1/2 로우 내지 제 n 로우에 각각 위치되는 워드 라인들 중 일부가 해당 로우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다른 타일의 해당 로우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컬럼 내지 제 m/2 컬럼에 각각 위치되는 비트 라인들은 제 1 컬럼 스위치부(27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컬럼 스위치부(270a)는 제 1 컬럼 내지 제 m/2 컬럼의 일측 가장자리, 예컨대, 제 2 사분면의 가장자리마다 배치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이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 1 컬럼 내지 제 m/2 컬럼에 각각 위치되는 비트 라인들 중 일부가 해당 컬럼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다른 타일의 해당 컬럼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다.
제 m+1/2 컬럼 내지 제 m 컬럼에 위치되는 비트 라인들은 제 2 컬럼 스위치부(27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컬럼 스위치부(270b)는 제 m+1/2 컬럼 내지 제 m 컬럼의 타측 가장자리, 예컨대, 제 3 사분면의 가장자리마다 배치된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 m+1/2 컬럼 내지 제 m 컬럼에 각각 위치되는 비트 라인들 중 일부가 해당 컬럼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다른 타일의 해당 컬럼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메모리 셀과의 관계에 대하여 US 2018/0358085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의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는 타일(T)과 타일(T)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데 반해, 본 실시예의 로우 스위치부(260a,260b) 및 컬럼 스위치부(270a,270b)는 타일(T) 내부에 데크들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타일들(T)간의 간격 설정시,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의 면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감소된 타일(T)간의 간격만큼, 타일(T)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블록(250)을 구성하는 모든 회로가 타일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제어 블록(250) 중, 제어 로직(252), 전압 생성부(254)) 및 리드/라이트 회로부(256)는 타일(T1~T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나머지 타일에 해당 신호/전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타일을 구비하는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300)이 준비된다. 반도체 기판(300)는 적어도 하나의 매트(MAT)가 형성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MAT)는 메모리 셀들이 형성될 영역인 타일이 복수 개 한정되도록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매트(MAT)를 4개의 타일(T1~T4)로 구분한 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일들은 로우 디코더 또는 컬럼 디코더의 면적을 고려하여, 타일들의 간격을 설정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타일(T1~T4) 간의 공간부에서 실제적으로 콘택만이 구비되기 때문에,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미니멈 피처 사이즈(minimum feature size)보다 10% 내지 20%의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일(T1~T4)이 한정된 반도체 기판(300) 상부의 소정 부분에 제 1 및 제 2 로우 스위치부(260a, 260b) 및 제 1 및 제 2 컬럼 스위치부(270a,270b)를 구성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R) 및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C)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는 타일(T1~T4)상에 각 로우 별로 하나씩 배열될 수 있다.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는 로우의 위치에 따라, 타일의 일측 또는 타일의 타측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는 타일(T1~T4) 상에 각 컬럼 별로 하나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는 컬럼의 위치에 따라, 타일의 상측 또는 타일의 하측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R)이 배열되는 방향과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C)이 배열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 및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는 불순물 확산 영역 형태의 접합 영역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접합 영역의 일부가 타일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 확산될 수 있다.
로우 및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R,SWC)들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300) 상부에, 타일(T1~T4)의 각 컬럼마다 보조 비트 라인 패드들(3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예에서, 보조 비트 라인 패드들(310)은 각 타일(T1~T4)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C)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일예에서, 보조 비트 라인 패드들(310)은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C)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C)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비트 라인(SWC)는 이후 형성될 비트 라인들과의 용이한 콘택을 위해,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의 드레인으로부터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타일간의 공간까지 일부 연장될 수 있다. 일예에서, 로우 및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R,SWC)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300)과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 사이에 절연막이 각각 개재될 수 있다.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 상부에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이 배열된다.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은 도 7의 x 방향을 따라, 각각의 타일(T1~T4)별로 배열될 수 있다. 일예에서,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은 각 타일(T1~T4)별로 각 타일(T1~T4)를 횡단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와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 사이에 절연막(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평탄화를 제공하는 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은 평탄한 표면의 절연막 상부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은 해당 타일의 동일 로우에 위치된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의 드레인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 상부에,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이 배열된다.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은 도 7의 y 방향, 예를 들어,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 타일(T1~T4) 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과 제 1 레벨 비트 라인의 교차부마다 제 1 레벨의 메모리 셀(1_MC)들이 각각 개재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셀(MC)들은 상술한 도 5의 구성을 따를 수 있다. 이로써, 제 1 데크(deck1)가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과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 사이, 즉, 제 1 레벨의 메모리 셀(1_MC)들 사이에,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 상부에,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ㅉL)이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과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사이의 교차부마다 제 2 레벨의 메모리 셀들(2_MC)이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데크(deck 2)가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과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사이, 즉, 제 2 레벨의 메모리 셀들(2_MC) 사이에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과 제 1 레벨 워드 라인(1_WL0~1_WLn-1)은 제 2 레벨의 메모리 셀들(2_MC),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및 제 1 레벨의 메모리 셀들(1_MC)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WL) 상부에,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이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W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WL)과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 사이의 교차부마다, 제 3 레벨의 메모리 셀들(3_MC)이 각각 개재되어, 제 3 데크(deck 3)가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WL)과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 사이, 즉, 제 3 레벨의 메모리 셀들(3_MC) 사이에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과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0~1_BLm-1, 1_BL)은 제 3 레벨의 메모리 셀들(3_MC),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0~2_WLn-1, 2_WL) 및 제 2 레벨의 메모리 셀들(2_MC)를 사이에 두고 겹쳐지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 상부에,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0~3_WLn-1, 3_WL)이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과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0~3_WLn-1, 3_WL) 사이의 교차부마다 제 4 레벨의 메모리 셀들(4_MC)이 개재되어, 제 4 데크(deck4)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2_BL)과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0~3_WLn-1, 3_WL) 사이, 즉, 제 4 레벨의 메모리 셀들(4_MC) 사이에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0~3_WLn-1)과 제 2 레벨 워드 라인(1_WL0~1_WLn-1)은 제 4 레벨의 메모리 셀들(4_MC),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0~2_BLm-1) 및 제 3 레벨의 메모리 셀들(3_MC)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타일 당 4개 데크, 즉 4층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크를 구성하는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은 해당 데크의 상부 또는 하부의 데크의 워드 라인 또는 비트 라인과 공유될 수 있다.
일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는 타일(T1)의 선택되는 로우에 위치하는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은 일측 단부가 콘택부(CT)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선택 로우에 위치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1_WL0~1_WLn-1, 1_WL)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0~3_WLn-1, 3_WL)의 일측 단부는 예를 들어,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단부일 수 있다.
한편, 선택되는 타일(T1)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하는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은 워드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타일(T2)의 해당 로우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되는 타일(T1)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하는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은 그것의 타측 단부와 인접하는 타일(T2)의 선택 로우를 제어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은 그것의 타측 단부는 해당 타일의 로우 트랜지스터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단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타일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3 레벨의 워드 라인(1_WL,3_WL)은 해당 타일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R)에 의해 구동되고,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은 다른 타일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SWR)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선택 타일(T1)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와 제 1 레벨 워드 라인(1_WL), 선택 타일(T1)의 제 1 레벨 워드 라인(1_WL)과 인접 타일(도시되지 않음)의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 상기 인접 타일의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과 상기 선택 타일(T1)의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콘택부(CT)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콘택부들(CT)이 각각의 워드 라인(1_WL, 2_WL, 3_WL)의 단부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워드 라인(1_WL, 2_WL, 3_WL)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레벨 워드 라인(1_WL),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 및 제 3 레벨의 워드 라인(3_WL) 모두 실질적으로는 해당 타일을 횡단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와 효과적인 연결을 위해,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1_WL, 3_WL)과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의 위치 또는 길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타일(T1,T2)을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경우, 제 1 타일(T1)의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은 제 2 타일(T2)의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 및 제 2 타일(T2)의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1_WL, 3_WL)과 되어야 하므로, 제 1 타일(T1)의 제 2 레벨 워드 라인(1_WL)은 제 1 및 제 2 타일(T1,T2) 간격의 중심보다 상기 제 2 타일(T2)쪽으로 더 인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선택되는 타일(T4)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 혹은 최상부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와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의 형성으로, 타일간의 간격부에 위치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의 단부를 타일(T4) 내부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치부, 즉,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간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더하여, 선택되는 타일(T4)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은 선택된 타일(T4)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타일(T2)의 해당 컬럼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타일(T4)와 인접한 타일(T2)는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 타일 중, 상기 선택된 타일(T4)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와 인접한 위치의 타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타일(T1~T4)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은 인접하는 타일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의 제어를 받고,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은 해당 타일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때, 선택 타일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와 인접 타일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 상기 인접 타일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과 선택 타일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콘택부(CT)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벨의 비트 라인(1_BL) 및 제 2 레벨의 비트 라인(2_BL) 모두 실질적으로는 해당 타일을 종단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비트 라인과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간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해, 제 1 레벨의 비트 라인(1_BL)과 제 2 레벨의 비트 라인(2_BL)의 위치 또는 길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 2 및 제 4 타일(T2,T4)을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경우, 제 2 타일(T2)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은 제 4 타일(T4)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 및 제 4 타일(T4)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 2 타일(T2)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은 제 2 및 제 4 타일(T2,T4) 간격의 중심보다 상기 제 4 타일(T4)쪽으로 치우치게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 2 타일(T2)의 제 1 로우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로우 어드레스에 따라, 제 1 로우에 위치한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로우에 위치한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SWR)에 접속되는 제 2 타일(T2)의 제 1 로우에 위치하는 제 1 레벨 워드 라인(1_WL), 제 2 타일(T2)의 제 1 로우에 위치하는 제 3 레벨 워드 라인(3_WL) 및 제 1 타일(T1)의 제 1 로우에 위치하는 제 2 레벨 워드 라인(2_WL)이 동시에 인에이블된다.
한편, 제 2 타일(T2)의 제 1 컬럼의 비트 라인에 라이트 또는 리드 전압을 인가하고자 경우,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제 1 컬럼에 위치한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컬럼에 위치한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과 연결된 제 2 타일(T2)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 및 제 4 타일(T4)의 제 1 컬럼에 위치하는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에 라이트 또는 리드 전압이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타일 당, 2개의 워드 라인이 동시에 선택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타일 당 하나의 비트 라인만이 인에이블되기 때문에, 각 타일 당 1개의 메모리 셀에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 라인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타일의 단면도이다. 각 레벨 워드 라인 및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순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배제하고, 비트 라인의 형상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a) 및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a) 각각은 단절 없이 인접하는 2개의 타일을 종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만, 2개의 타일을 종단하는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a) 및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a)은 하나의 타일에서만 상호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선택 컬럼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a)은 예를 들어, 제 2 타일(T2) 및 상기 제 2 타일(T2)의 제 1 측부에 위치되는 제 4 타일(T4) 상에 단절없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타일(T4)은 제 2 타일(T2)과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1_BLa)은 제 2 및 제 4 타일(T2,T4)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 예컨대, 제 4 타일(T4)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와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타일(T2) 상에 배치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a)은 상기 제 2 타일(T2) 및 상기 제 2 타일(T2)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일(도시되지 않음, 이하 제 1 측부 타일)상에 단절없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부 타일은 상기 제 2 타일(T2)과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a)은 제 2 타일(T2) 및 상기 제 1 측부 타일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될 수 있는 제 2 타일(T2)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SWC)와 보조 비트 라인 패드(3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4 타일(T4) 상에 배치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b)은 상기 제 4 타일(T4) 및 상기 제 4 타일(T4)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일(도시되지 않음, 이하 제 2 측부 타일)상에 단절없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부 타일은 상기 제 4 타일(T4)와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레벨 비트 라인(2_BLb)은 제 4 타일(T4) 및 상기 제 2 측부 타일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부 타일의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와 보조 비트 라인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타일 상에 배치되는 제 1 레벨 비트 라인과 제 2 레벨 비트 라인이 각각 2개의 타일 단위로 배열된다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컬럼 선택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되므로, 하나의 타일 당 하나의 메모리 셀이 선택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우 스위치 및 컬럼 스위치를 타일 내부에 배치시킴에 따라, 타일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컬럼 스위치와 제 1 레벨 워드 라인 사이에 보조 비트 라인 패드를 형성하므로써, 컬럼 스위치와 비트 라인의 콘택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데크를 구성하는 다층 레벨 워드 라인 및 다층 레벨 비트 라인들을 해당 타일의 제어 블록 및 인접 타일들의 제어 블록에 의해 나누어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매트에 로우 어드레스 및 컬럼 어드레스 입력 시, 각 타일 별로 하나의 메모리 셀이 선택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0 : 프로세서 120 : 콘트롤러
200 : 메모리 장치 250 : 제어 블록
260 : 디코딩 회로부 260a : 제 1 로우 스위치부
260b : 제 2 로우 스위치부 270a : 제 1 컬럼 스위치부
270b : 제 2 컬럼 스위치부

Claims (23)

  1. 메모리 셀들이 배열될 타일들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되어 있는 기판;
    상기 타일 영역으로 구획된 공간내에 각각 배열되는 디코딩 회로부;
    상기 디코딩 회로부가 구비된 상기 타일 상부에, 상기 타일의 로우들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타일의 컬럼들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타일의 상기 컬럼들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타일 중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 및 상기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디코딩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 및 상기 선택된 컬럼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다른 타일의 디코딩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과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의 교차부,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의 교차부,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과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의 교차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의 교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회로부는,
    상기 로우마다 구비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로우 스위치; 및
    상기 컬럼마다 구비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컬럼 스위치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회로부는,
    상기 로우들 중 중심 로우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로우들을 제어하는 제 1 로우 스위치부; 및
    상기 중심 로우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로우들을 제어하는 제 2 로우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상부 로우들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하부 로우들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상부 로우의 상기 일측 단부 각각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우 스위치부는 상기 하부 로우의 상기 타측 단부 각각에 위치되는 로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과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우 스위치부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타일의 상기 선택되는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3 레벨 워드 라인과 함께 상기 다른 하나의 타일의 제 1 또는 제 2 로우 스위치부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타일들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상기 워드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타일들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회로부는,
    상기 컬럼들 중 중심 컬럼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컬럼들을 제어하는 제 1 컬럼 스위치부; 및
    상기 중심 컬럼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컬럼들을 제어하는 제 2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컬럼 스위치부는 상기 좌측 컬럼들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컬럼 스위치부는 상기 우측 컬럼들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럼 스위치부는 상기 좌측 컬럼의 상기 일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컬럼 스위치부는 상기 우측 컬럼의 상기 타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과 함께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컬럼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되는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하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과 함께 상기 다른 하나의 타일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컬럼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타일들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상기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타일들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각각 상기 타일 단위로 배열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각각 2개의 타일 단위로 단절없이 연장되되, 상기 선택된 타일 상에서만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과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이 겹쳐지도록 스테거(staggered) 형태로 배열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 컬럼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의 중심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의 중심부는 해당 타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타일에 위치되는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들 마다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들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타일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보조 비트 라인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 및 제 2 레벨 비트 라인 각각은 상기 보조 비트 라인 패드를 거쳐 해당하는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비트 라인 패드는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평면과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이 형성되는 평면 사이에 위치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5. 복수의 로우 및 복수의 컬럼으로 구분된 타일들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되어 있는 기판;
    상기 타일내에 각각 구비되는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
    상기 제어 블록이 구비된 각 타일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 제 1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1 레벨 비트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1 데크층;
    상기 제 1 데크층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2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2 데크층;
    상기 제 2 데크층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상부에, 제 3 레벨 메모리 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3 데크층; 및
    상기 제 3 데크층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4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4 데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타일 중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로우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레벨 워드 라인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라인, 및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제 1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로우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선택된 컬럼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제 2 타일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복수의 로우들 중 중심 로우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로우들의 일측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로우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1 로우 스위치부;
    상기 중심 로우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로우들의 타측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로우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2 로우 스위치부;
    상기 복수의 컬럼들 중 중심 컬럼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컬럼들의 일측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컬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1 컬럼 스위치부; 및
    상기 중심 컬럼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컬럼들의 타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컬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 2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과 상기 제 1 데크층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의 보조 비트 라인 패드를 포함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비트 라인 패드들은 상기 컬럼 스위치와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타일과 타일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타일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보조 비트 라인 패드을 경유하여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에 위치되는 상기 컬럼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일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상기 워드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는 타일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로우를 제어하는 상기 로우 스위치와 인접하는 타일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일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상기 비트 라인 연장 방향으로 인접하는 타일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선택된 컬럼을 제어하는 상기 컬럼 스위치와 인접하는 타일인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은 각각은 상기 타일 단위로 구분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레벨 비트 라인 역시 상기 타일 단위로 구분되도록 배열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22. 복수의 타일 및 그 밖의 회로 영역이 예정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타일에 대응되는 공간에 로우 스위치부 및 컬럼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
    상기 제어 블록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레벨 워드 라인들, 제 1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1 레벨 비트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1 데크층;
    상기 제 1 데크층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2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제 2 레벨 워드 라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2 데크층;
    상기 제 2 데크층의 상기 제 2 레벨 워드 라인들 상부에, 제 3 레벨 메모리 셀,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3 데크층; 및
    상기 제 3 데크층의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 상부에 제 4 레벨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제 4 데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벨 워드 라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벨 비트 라인들과 각각 교차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각각 2개의 타일 단위로 단절없이 연장되되, 선택된 타일 상에서만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과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이 겹쳐지도록 스테거(staggered)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1 레벨 비트 라인은 그것의 중심부와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된 타일의 상기 제 2 레벨 비트 라인은 그것의 중심부와 상기 선택된 타일과 인접하는 타일의 상기 컬럼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스위치부는 상기 타일의 각 컬럼의 일 가장자리 마다 구비되는 스위칭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부 각각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레벨 비트 라인과 콘택되는 보조 비트 라인 패드를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KR1020190041716A 2019-04-10 2019-04-10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KR2020011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16A KR20200119474A (ko) 2019-04-10 2019-04-10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US16/582,861 US10825515B1 (en) 2019-04-10 2019-09-25 Resistance variable memory device including stacked memory cells
CN201910987661.0A CN111816237B (zh) 2019-04-10 2019-10-17 包括层叠存储单元的阻变存储器件
US17/087,080 US11094378B2 (en) 2019-04-10 2020-11-02 Resistance variable memory device including stacked memory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16A KR20200119474A (ko) 2019-04-10 2019-04-10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474A true KR20200119474A (ko) 2020-10-20

Family

ID=7274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16A KR20200119474A (ko) 2019-04-10 2019-04-10 적층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25515B1 (ko)
KR (1) KR20200119474A (ko)
CN (1) CN1118162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7829B2 (en) 2018-03-29 2022-01-18 Intel Corporation Device terminal interconnect structures
KR20210029554A (ko) * 2019-09-06 2021-03-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JP2021048258A (ja) * 2019-09-18 2021-03-2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抵抗変化素子
US11417375B2 (en) * 2019-12-17 2022-08-16 Micron Technology, Inc. Discharge current mitigation in a memory array
US11100986B2 (en) * 2019-12-17 2021-08-24 Micron Technology, Inc. Discharge current mitigation in a memory array
CN115428071A (zh) * 2020-03-03 2022-12-02 美光科技公司 用于多层存储器阵列的改善架构
US11239156B2 (en) * 2020-03-19 2022-02-01 Intel Corporation Planar slab vias for integrated circuit interconnects
US11605779B2 (en) * 2021-01-07 2023-03-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mory cell,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ie
US11715520B2 (en) * 2021-04-05 2023-08-01 Micron Technology, Inc. Socket structure for spike current suppression in a memory arr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2965B (zh) 2011-11-22 2015-05-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阻变化型非易失性存储装置以及电阻变化型非易失性存储装置的访问方法
KR20140026894A (ko) * 2012-08-23 2014-03-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적층형 메모리 장치
US8891280B2 (en) 2012-10-12 2014-11-18 Micron Technology, Inc. Interconnection for memory electrodes
TWI543159B (zh) * 2013-04-23 2016-07-21 Toshiba Kk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0037801B2 (en) * 2013-12-06 2018-07-31 Hefei Reliance Memory Limited 2T-1R architecture for resistive RAM
US9627009B2 (en) 2014-07-25 2017-04-18 Sandisk Technologies Llc Interleaved grouped word lines for three dimensional non-volatile storage
KR20160019781A (ko)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136846B1 (ko) * 2014-09-29 2020-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CN104701454A (zh) * 2015-02-06 2015-06-10 北京大学 一种三维交叉阵列透明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KR102395193B1 (ko) 2015-10-27 2022-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7811A (ko) 2016-02-18 2017-08-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압 생성 회로
CN105895152B (zh) * 2016-04-01 2019-05-21 北京大学 一种基于单相导通存储单元的存储阵列读取方法
KR102601214B1 (ko) 2016-05-16 2023-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180058060A (ko) * 2016-11-23 2018-05-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피크 커런트 분산이 가능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
KR102403733B1 (ko) 2017-12-01 202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0056A1 (en) 2021-02-18
CN111816237A (zh) 2020-10-23
CN111816237B (zh) 2024-04-23
US10825515B1 (en) 2020-11-03
US11094378B2 (en) 2021-08-17
US20200327935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16237B (zh) 包括层叠存储单元的阻变存储器件
KR100504700B1 (ko) 고집적 상변환 램
US9025369B2 (en) Resistance chang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1665907B2 (en) Non-volatile memory
US7821865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s
JP4800017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528402B2 (en) Electrically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element
US20070097737A1 (en) Electrically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18352B2 (en) Resistive memory devices having address-dependent parasitic resistance compensation during programming
US8958229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20180058060A (ko) 피크 커런트 분산이 가능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
US1001446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559577B1 (ko) 저항성 메모리 장치
CA2793917A1 (en) Phase change memory with double write drivers
JP2009224610A (ja) 半導体記憶装置
CN112017710A (zh) 非易失性存储器器件
US20210375359A1 (en) Memor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tacked memory cells
US11011578B2 (en) Resistive memory device
US111075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isitive memory device for sense margin compensation
KR20230001275A (ko)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KR20230061289A (ko) 고압 수소 열처리된 선택 소자층을 구비한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37145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KR20220006442A (ko) 저항성 메모리 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