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267A -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keg)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keg)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267A
KR20200119267A KR1020207024493A KR20207024493A KR20200119267A KR 20200119267 A KR20200119267 A KR 20200119267A KR 1020207024493 A KR1020207024493 A KR 1020207024493A KR 20207024493 A KR20207024493 A KR 20207024493A KR 20200119267 A KR20200119267 A KR 2020011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apping
collapsible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스 크리스티안센
Original Assignee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1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25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게 된다.

Description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keg)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본 개시는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일회용(single use) 음료 용기(container)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고(dispensing), 음료 용기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다양한 특성들 또는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 내의 음료의 잔류량의 측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전술한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은 대량의 음료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설비 내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생맥주 및 사이다와 같은 탄산 알콜 음료를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무알콜(non-alcoholic) 맥주와 같은 무알콜 음료, 청량 음료, 및 와인과 과일 주스와 같은 무-탄산 음료 역시 음료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배될 수 있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주로 바(bar), 레스토랑 및 호텔과 같은 시설들과 같은 전문업소들을 위한 것이지만, 가정과 같은 개인 사용자들을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음료 분배 시스템은 큰 음료 통(keg) 내에 마련된 음료를 분배한다. 이러한 음료 통은, 음료 통을 교환할 필요가 있기 전에, 예를 들어, 50 내지 100회의 음료 분배 작동들을 가능하게 하는 전문적인 음료 분배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20 내지 50L의 음료를 보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 통들은 강철과 같은 고체 재료로 제조되어 다수회 충진된다. 각각의 충진 사이에, 음료 통들은 조심스럽게 세척된다. 불충분한 세척은 음료 통을 비위생적으로 만들어 음료 소비자의 건강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PET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일회용 음료 통들이 있지만, 이러한 음료 용기들은 작동 중에 접혀질 수 없다. 오늘날, 음료 통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술한 위생 문제로 인해, 접힐 수 있는 일회용만 사용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통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압력 챔버 내에 음료 통을 설치 또는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분배하는 동안, 통에 연결된 CO2-카트리지를 사용하여 기존의 강철 통들을 CO2로 가압할 필요가 있지만, 출원인의 DraughtMasterTM와 같은 일회용 음료 시스템은 예컨대, 공기 압축기와 같은 압력원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여 맥주를 배출시키고 통을 접기 때문에, 맥주가 맥주 액조장으로부터 예를 들어, 맥주 잔과 같은 음료 수용부로 들어갈 때까지 그 어떤 것도 맥주에 닿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는 에일(ale) 및 스타우트(stout)와 같은 영국식 맥주를 분배할 때 미리-탄산화되거나 질소를 이용하여 미리-혼합된다. 음료를 분배할 때 예컨대, 압축 공기와 같은 압력 유체가 압력 챔버 속으로 유입되어, 음료를 분배하는 동안 음료 통이 접히게 할 수 있다. 음료 통의 체적은 분배되는 음료의 양에 따라 감소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통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과 같이 플렉스블하고 일회용 재료로 제조된다.
분배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인가된 압력은 음료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탭핑 라인(tapping line)으로 유동되게 한다. 탭핑 라인은 탭핑 핸들과 같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가진 탭핑 헤드, 및 음료 수용부 속으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로 이어진다. 또한, 탭핑 헤드는 일반적으로 조작자가 탭핑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음료의 분배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탭핑 핸들을 포함한다. 바텐더 또는 여성 바텐더와 같은 조작자는 탭핑 핸들을 사용하여 음료의 분배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탭핑 헤드는 바 카운터(bar counter)에 장착된 폰트(font)의 일부이다.
많은 경우에, 음료 용기 내의 음료의 잔류량뿐만 아니라 분배 장치를 통과하는 음료의 유동을 결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일회용이거나 정기적인 청소가 요구되는 디바이스들과 같이, 음료와 접촉하는 측정 디바이스의 사용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내에 남아 있는 음료의 부피를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면 바람직할 것이다.
음료 용기가 원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입수되지 않도록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의 근원에 대한 확실성을 얻을 수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21세기 동안,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것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컴퓨팅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쇼핑, 운전 및 일부 가전제품의 운영과 같은 일상 업무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발은 생맥주 시스템에서 지금까지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드래프트(draught) 음료 시스템에서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계류 중인 유럽 특허 출원 17198816.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을 단순화하고, 인적 오류를 방지하고, 품질 제어를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탭핑 라인을 청소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개발은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들에서는 출현되지 않았다.
US 8,677,721 B1은, PET 용기들을 마킹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 상에 마킹의 존재를 확인하는 검사 장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WO 2012/097403 A1은, 포뮬라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병(bottle)의 재질에 따라 병을 감지하기 위해 광학 센서가 사용된다. US 2011/0259776 A1은, RFID 기능을 가진 포장 백(packing bag)에 관한 것이다. WO 2010/075918 A1은, 진품 보안 링(original security ring)의 온전성을 위해 광전자 센서 시스템에 의해 병(bottle)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06/066787 A1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US 4827426 A는, 혼합-후(post-mix) 음료 분배기용 데이터 획득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 4800492 A는, 패스트 푸드 식당 내의 혼합-후 음료 분배 시스템용 데이터 로거(logger)에 관한 것이다. US 2017/0096322 A1 및 WO 2016/168220 A1은, 모두 와인 통(keg wine)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합 온도 제어; 압력 모니터링; 자동 퍼지(purging); 및 분배되는 각각의 와인 통에 대한 재고 품목 통계를 결정하기 위한 판매 데이터 획득의 통합 포인트를 구비한다. US 2014/0368318 A1은, 만료된 소독제(disinfectant)의 분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컨테이너들을 사용하고 시스템의 판독기(reader)는 컨테이너들과 연관된 식별자를 읽을 수 있다. RFID가 언급된다. US 2017/099981 A1은, 클라우드에 연중 휴무로 연결된 스마트 커피 분배 머신들의 제품군을 포함하는 머신에 관한 것이다. US 2016/194192는, 디스펜서와 다수의 용기들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사이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이 문헌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언급한다. WO 2009/064844 A2는, 음료 소비 레벨들에 대한 피드백을 고객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 음료 분배를 위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 2012/102759 A1(CN103429500A)은, 컨테이너의 밀봉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컨테이너 또는 개방 메커니즘에 장착된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WO 2015/066594 A1은, 종래의 강철 통 내의 유체 레벨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급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통의 가짜(false) 바닥 내부에 결합되고, 통의 중량을 측정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량 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통 내부의 액체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가진 RFID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근접하는 다수의 용기들에는 각각 RFID 디바이스와 센서가 장착될 수 있고, 그들의 개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WO 2012/010659는, 통 내의 생맥주의 내용물의 부피 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식 센서 또는 압력 스위치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이것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 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측정한다. 베이스부 또는 뚜껑은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유닛 형태의 전자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문헌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서 예컨대, RFID-태그와 같은 디지털 식별자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의 제공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US 2017/291808은, 음료가 와인이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캐니스터(canister)를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캐니스터 내의 음료(와인)의 양을 식별하기 위해, 예컨대, RFID-태그와 같은 식별자가 캐니스터 내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기 위한 스캐닝 또는 판독 수단이 분배 시스템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 문헌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디지털 식별자(예, RFID-태그)의 제공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용기 내에 남아있는 음료의 양뿐만 아니라 분배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음료의 유동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배 디바이스 내의 음료에서 소정의 특성 또는 변수의 임의의 오정렬을 그러한 특성 또는 변수의 원하는 수준과 관련하여 신속하게 식별하고 정정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의 근원을 신속하게 식별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음료 충진 공간, 가스-충진 헤드 공간 및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음료 충진 공간과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구획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출구에 연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
-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
-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까지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 및
-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밀봉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접고,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탭핑 라인 및 상기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하는 압력 소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대응하여, 베이스부 및/또는 뚜껑은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정 디바이스는 예컨대, 무선 전자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RFID/NFC-태그와 같은 디지털 센서/식별 태그의 형태이다. 또한, 측정 디바이스는 바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가시(visible) 식별자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의 음료의 함량을 포함하는,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특성들 또는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는, 측정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그러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는 베이스부 및/또는 뚜껑 내에 포함된 전자 센서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판독 및 선택적으로 처리된다.
음료의 형태는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예컨데, 음료가 맥주, 특정 맥주 형태, 탄산 음료 또는 기타 음료인지 여부, 음료 이름 및 생산 날짜 및/또는 원산지, 해당되는 경우 알콜 비율과 같은 사용자 또는 고객과 관련된 기타 정보와 같이, 음료에 관한 다른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일 수 있다. 그 후, 정보는 예를 들어, 탭핑 헤드에서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용기 정보는 용기의 체적과 관련될 수 있다. 이것은 유량 측정에 의해 잔여 부피를 추론하기 위해 음료 분배 시스템이 용기의 초기 부피를 외부에 알리게 할 수 있다. 특히, RFID/NFC 태그 또는 바코드는 이러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편리한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이다.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 또는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과 같은 용어들은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적합하게, 이러한 용기 또는 통은 블로우 성형될 수 있고, 음료에 의해 구획되는 음료 충진 공간 및 전형적으로 이산화탄소인 가스-충진 헤드 공간으로 구성되는 5 내지 50 리터 사이의 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운반 및 취급 중에 폐쇄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한다. 접힐 수 있는 통은, PET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대신에, 다층 포일(foil)을 사용할 수 있다.
스틸(steel) 통에 대한 투자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스틸 통의 경우 RFID-태그의 사용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알려져 있다. 스틸 통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틸 통은 적절하게 세척, 운송 및 재사용될 필요가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그들의 소재를 파악할 필요성을 유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을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들은, 사용 후 즉, 음료가 분배된 후에 통의 폐기에도 불구하고, RFID-태그와 같은 측정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것은 일견하여 불필요한 비용과 운영 부담이 추가되지만, 무엇보다도 커넥터(음료 용기 커넥터)와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이 서로 잘 맞게 한다. 이것은 안전상의 이유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건들 즉, 이러한 통들이 요구되는 품질을 가지고 있고, 신뢰할 수 없는 근원으로부터 나오지 않았음을 보장한다. RFID-태그는 커넥터와 통이 서로 맞음을 인식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음료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음료를 분배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지 않음로써 셧다운(shut down)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식별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특정 형식이어야 하고 및/또는 미리-정의된 보안 코드를 포함해야만 하고, 및/또는 맥주의 생산 데이터가 예를 들어, 1개월, 2개월, 3개월 또는 6개월 미만과 같이 너무 오래될 수 없고, 그렇지 않으면, 밸브를 차단하거나 필요한 압력 등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음료의 일관된 고품질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특정의 통 및/또는 전체 시스템으로부터의 탭핑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원인의 DraughtMasterTM와 같은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설치될 때, 음료 용기는 전형적으로 "뒤집힌(upside down)" 위치와 같이 미리결정된 위치로 방향을 잡는다. 즉, 음료 출구는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여 헤드 공간이 위쪽 방향으로 향한다. 베이스부는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음료 용기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음료 용기 커넥터는 음료 출구와 탭핑 라인 사이에서 유밀(fluid-tight) 연결을 형성한다.
탭핑 헤드는 푸싱 버튼 또는 바람직하게, 탭핑 핸들과 같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핑 밸브를 포함한다. 음료를 분배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핸들을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나오는 음료가 탭핑 라인을 통해 탭핑 헤드로 유동 또는 흐르게 하기 위해 밸브를 작동 및 개방시킬 수 있다.
뚜껑은 음료 용기를 캡슐화하기에 적합한 부피를 가진 밀폐된 내부 공간을 밀봉 형성할 수 있도록 유밀 방식으로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지지하기 위해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강성 재료는 불룩해지지 않으면서 음료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탭핑 핸들이 원래의 수직(폐쇄)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탭핑 밸브가 개방될 때,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탭핑 라인을 통해 탭핑 헤드로 음료를 강제하기 위한 분배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로 압력이 가해진다. 압력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구김(crumpling) 압력과 양조(brewage)의 가스 압력 즉, 음료 용기를 접는데 필요한 압력을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예를 들어, 바(bar) 아래에 위치된 지하 저장고(cellar)로부터 음료를 상승시키기 위한 분배 라인 내의 압력 손실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유속을 허용하기 위해 탭핑 헤드의 특정 압력이 필요하지만, 너무 많은 유량 또는 너무 작은 압력은 원하지 않는 기포 발생(foaming)을 유발할 수 있다.
"하나의 측정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들를 의미한다.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아날로그 센서, 디지털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이다. 밀봉된 내부 공간 내의 압력의 정보를 검색하는 센서와 같은 아날로그 센서는, 검색된 정보를 디지털 신호와 같은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디바이스는 디지털 센서일 수 있다. 이들의 조합 즉, 다수의 측정 디바이스들 또한 가능하다. 아래의 실시예들과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바와 같이,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뚜껑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측정 디바이스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3 측정 디바이스는 탭핑 라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측정 디바이스는 디지털 센서의 형태이고, 디지털 센서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RFID-식별자(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또는 NFC-식별자이고, 또는 측정 디바이스는 바코드와 같은 가시 식별자의 형태이고, 또는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시 식별자"는 식별자가 예컨대, 스캐너에 의해 광학적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RFID-태그들과 NFC-태그들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부에 함유된 맥주 또는 브랜드의 형태와 같은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는데 적합하다. "정보를 적어도 검색"이라는 용어는 정보 검색뿐만 아니라 정보 저장 및 선택적으로 정보 처리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검색"은 수신(receiving)을 의미한다. 특히, RFID-칩으로 알려진 NFC-태그와 RFID-태그는 정보를 검색(즉, 수신), 저장 및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같이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다.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RFID는 전파를 사용하여 항목들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NFC/RFID 시스템은 판독기(reader)와 태그를 포함한다. 판독기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태그로 보내고, 태그는 그 고유한 정보로 응답한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는 RFID-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는 RFID-판독기이다.
제1 측면의 특정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는 압력 챔버 또는 음료 분배 시스템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있는 NFC/RFID 센서 의해 판독가능한 NFC/RFID 태그와 같은 디지털 식별자를 포함한다. 압력 챔버는 뚜껑과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적절하게, 측정 디바이스는, 압력 챔버 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작은 변화(perturbation) 후 공명 주파수를 측정하여, 압력 챔버의 상태 및 통 그 자체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음료 분배 시스템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압력 챔버는 뚜껑을 포함한다. 적합하게, 측정 디바이스는 압력 쉘(shell) 내의 가스의 유동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클로져(closure)를 포함하고, 예컨대, NFC 또는 RFID-태그와 같은 식별 태그는 상기 클로져의 테두리(rim), 상기 클로져의 씰링(sealing), 또는 상기 클로져 내부에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NFC/RFID-판독기는 상기 클로져에 인접한 베이스부 상에 장착된다. "클로저 내부(internally in said closure)"는 상기 클로저의 내면을 의미하므로, 식별 태그는 거의 볼 수 없는 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현재 개시된 음료 분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바람직하게 일회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클로져 및 NFC/RFID 태그 및/또는 바코드와 같은 식별 태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클로져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 및/또는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ID 태그는 상기 클로져의 테두리, 상기 클로져의 씰링, 또는 상기 클로져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시 바코드들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테두리, 클로져 및/또는 본체 상에 인쇄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현재 개시된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사용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접힐 수 있는 본체 및 음료 분배 시스템의 음료 용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음료 출구를 가진 클로져를 포함하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상기 클로져의 테두리, 상기 클로져의 씰링 또는 상기 클로져의 내부 및/또는 상기 용기의 본체,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대응하는 판독기에 의해 판독가능한 식별 태그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태그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 태그는 RFID/NFC와 같은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바코드와 같은 가시/광 태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식별 태그는 상기 용기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태그는, 음료의 형태, 음료의 생산자, 음료의 원산지, 음료의 제조 일자, 음료의 제조 장소 및 음료의 선적 일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 태그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한 승인을 위한 하나 이상의 미리정의된 코드들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개시된 음료 분배 시스템 부분과 현재 개시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부분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용기의 ID 태그와 음료 분배 시스템의 ID 판독기 사이의 미리정의된 매칭이 달성되는 경우에만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의 음료의 탭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식별 태그의 제공은 통의 식별 및 개선된 재고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을 충진하기 전에 ID 태그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충진 후에 태그는 중심적으로 기록되고, 태그에 생산 라벨이 기록되고/또는 태그로부터의 ID는 보든 정보를 가진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로깅 시스템과 상관된다. 각각의 접힐 수 있는 통은 고유한 ID 즉, 통의 생산 시기, 장소, 생산 대상 뿐만 아니라, 배송 시기, 배송 대상, 비움 시기 또는 개방 시기 등과 같은 식별을 가지므로 재고 관리가 개선된다. 또한, 시스템 상의 서비스 제공 이벤트는 특정 태그에 기록될 수 있고, 알 수 없는 태그들이 식별되어 필요한 경우 거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상기 클로저에 인접한 베이스부에 장착된 NFC(근거리 통신) 판독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RFID-판독기와 같은 RFID 판독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한"이라는 용어는 예컨대, NFC 판독기와 같은 RFID 판독기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클로져의 비-접촉 거리(non-touching distance)에서 베이스부의 외측 상에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압력이 가해지고 압력이 2bar 이상인 경우, 태그 판독기가 작동되고 클로져의 테두리 또는 씰링 상에 장착된 ID-태그의 판독 과정이 개시된다. ID 및 이것이 발생할 시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타임스탬프(timestamp)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고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로깅 시스템에 전달된다. 압력이 해제되면, 예컨대, 압력이 2bar 아래로 감소되면, ID-판독기가 재작동되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위한 새로운 타임스탬프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는 모듈식 시스템 즉, 공통의 탭핑 라인을 공유하는 다수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사용할 때 특히 적합하다.
현재 개시된 접근법은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음료의 주어진 특성 또는 파라미터의 임의의 오정렬을 신속하게 식별 및 정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음식점(bar) 내의 음료 분배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고장이 발생하면, 음식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기술자는 즉시 문제를 인식할 수 있고 고장을 해결하기 위해 몇 분 내에 도착할 수 있으므로, 가동 중지(downtime)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맥주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기술자는 이를 즉시 인식하고 음식점에 신속하게 도달하여, 음료 분배 시스템의 냉각 디바이스를 검사하여 수리함으로써 맥주 온도가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점과 같은 내부의 음료 설비뿐만 아니라 외부의 음료 설비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디바이스는 상기 음료 커넥터의 하류 및 상기 탭핑 라인을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상류에 구성되고, 상기 냉각 디바이스는 상기 탭핑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냉각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냉각 라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냉각 디바이스에서 온도가 측정되도록 냉각 튜브 유동 온도를 얻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에 부착된다. 이것은 탭핑 라인에 인접한 별도의 냉각 라인에 의해 탭핑 라인의 냉각이 발생하는 경우(소위, "습식 파이썬(wet python)") 적절한 서빙 온도를 가능하게 한다. 맥주의 경우, 음료의 서빙 온도는 3-6℃가 적당하다. 이러한 서빙 온도(Tserv)는 냉각 디바이스를 떠나는 지점의 냉각 라인의 온도(T1℃)와 복귀될 때 냉각 디바이스로 들어가는 지점의 온도(T2℃)의 평균 즉, Tserv =(T1 + T2)/2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온도 T1은 적절하게 3 또는 4℃이고, 일반적으로 T2가 T1보다 더 높기 때문에, T1이 6℃보다 높으면, 이는 즉시 오류 메시지로 감지될 수 있으므로, 특히 냉각 디바이스와 탭핑 라인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이 경우, 냉각 디바이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탭핑 라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들)는 냉각 디바이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적합하게, 측정 디바이스는 탭핑 라인 내부의 특정 음료 라인에 적합하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 디바이스는 상기 음료 커넥터의 하류 및 상기 탭핑 라인을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상류에 구성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탭핑 디바이스에 아주 가까운 탭핑 라인 내에 장착된다. '아주 가까운(close proximity)'은, 냉각 디바이스로부터 탭핑 디바이스의 탭핑 헤드까지 예컨대, 탭핑 핸들과 같은 음료 분배 제어 수단까지 측정된 탭핑 라인 길이의 마지막 30%, 바람직하게 마지막 20%, 더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10% 이내에 측정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음료 라인에 인접한 냉각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음료 라인의 냉각이 발생하는 경우(소위, "건식 파이썬(dry Python)") 적절한 서빙 온도를 가능하게 한다. 폰트가 제공되는 경우, 센서는 폰트 내부 즉, 폰트의 수직 부분 내부, 또는 탭핑 라인이 바 카운터(bar counter) 아래의 폰트에 들어가기 직전의 폰트의 상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탭핑 라인은 다수의 음료 라인들, 바람직하게 2개 내지 5개의 음료 라인들, 보다 바람직하게 3개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음료 라인은 특정 음료 형태에 대응하고 탭핑 디바이스의 탭핑 헤드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탭핑 헤드는 상기 음료 형태에 상응하고, 상기 음료 라인은 유량 센서, 온도 센서, 또는 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가 바람직하다. 적합하게, 이러한 센서는 초음파 측정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고, 음료와 접촉되지 않으면서 음료 라인 즉, 맥주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클램프 온(clamp on)" 블랙 박스와 같은 블랙 박스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는 맥주 튜브들과 같은 음료 라인뿐만 아니라 냉각 라인들 즉, 냉각 튜브들에도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된 온도 및 유량 센서는 맥주가 탭핑 헤드로부터 분배될 때 음료 유량을 연속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음료가 분배될 때마다 즉, 부을 때마다, 쏟아지는 양은 대략 10ml의 정확도로 측정된다. 동시에, 대략 0.5℃의 정확도로 음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분배되기 직전의 음료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양의 음료가 분배된 시기와 같은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스탬프 역시 가능하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는 분배하는 동안 음료 용기를 연속적으로 계량하고 음료 용기의 중량 및 중량을 통해 유추되는 탭핑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음료의 유동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계량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디지털 계량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분배하는 동안 음료 용기를 연속적으로 계량함으로써, 중량 손실은 음료의 유동에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음료의 원래 부피가 알려져 있거나, 대안적으로 음료가 없는 용기의 중량이 알려져 있는 경우, 음료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음료의 양은 표준 산수(standard arithmetic)를 사용하여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접힐 수 있는 용기 내의 음료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고가의 수단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음료의 유동을 측정하는 간편하고 간단한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 처리가 훨씬 쉬우므로 디지털 기술들이 선호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접힐 수 있는 통)의 내용물의 동적 뷰(dynamic view)를 통한 동적 소비 피드백이 가능하여, 음료 시설의 직원 및 관리자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접힐 수 있는 통들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통은, 특정의 맥주 A의 형태를 가진 제1 통의 관리자뿐만 아니라 직원 또는 바텐더에게 음료가 얼마만큼 충진되었는지 예컨대, 맥주의 경우, 말하자면 맥주 A가 60%로 충진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또한 다른 형태의 맥주 B가 80%로 충진된 제2 통, 및 10%로 충진된 또 다른 형태의 맥주 C를 가진 제3 통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맥주 A, 60%; 맥주 B, 80%; 및 맥주 C, 10%와 같이 적절히 표시된 정보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연결과 같은 무선 연결을 통해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통 내부의 맥주의 양이 정해진 낮은 양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공급 업체에 맥주를 재주문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분배 시스템은, 분배하는 동안 내부 공간 내의 제1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 분배하는 동안 탭핑 디바이스에서 제2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 및 제1 압력과 제2 압력을 통해 도출된 탭핑 디바이스를 통과하여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의 음료의 유동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디지털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3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압력 센서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출구에서 탭핑 라인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과 내부 공간 내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는 추적될 수 있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의 높이 때문에, 분배될 음료가 그 안에 여전히 존재하는 동안 바닥의 압력은 더 높아질 것이다.
내부 공간과 탭핑 디바이스 사이의 압력 차이 또는 음료 용기 내부와 탭핑 디바이스 사이의 압력 차이는 음료 용기로부터 탭핑 디바이스로 음료를 강제하는 구동 압력에 대응한다. 음료 용기의 구김 압력을 고려하여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베르누이(Bernoulli) 원칙을 사용하여, 음료의 유동은 추론될 수 있다. 위의 2가지 원칙들 즉, 압력 센서들과 계량 디바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면, 훨씬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압력 센서의 임의의 하나는 압전(piezo-electric) 센서를 포함한다. 압전 센서들은 컴팩트하고 정확한 압력 센서들을 형성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제1 측면의 음료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탭핑 헤드는 음료 분배 제어 수단 및 음료를 음료 수용부로 분배하기위한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탭핑 헤드는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는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바 카운터는 오퍼레이터 사이드와 오퍼레이터 사이드의 반대편의 고객 사이드를 구획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음료 폰트 내에 통합되고 상기 음료 수용부의 온도와 같은 파라미터 또는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되고 있는 물체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여 그 물체와 접촉하지 않는 측정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거리는 5~200cm, 예를 들어, 5~100cm 또는 10~30cm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는 적외선 센서(IR) 형태의 디지털 센서이다. 폰트 내에 통합된 IR-센서는 측정되고 있는 물체에 신호 또는 빔을 전송하고, 특히 이러한 물체는 음료 수용부 예컨대, 음료 유리잔으로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음료 수용부의 스폿-표면 온도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맥주 유리잔을 사용할 때 허용 가능한 3-6℃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판독 값을 시각화하기 위해 폰트 상의 시각적 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분배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로깅 시스템을 포함한다. 음료의 유동 및/또는 잔여 부피뿐만 아니라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다른 정보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는, 분배 압력들, 음료 온도들과 관련하여 음료 분배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해 데이터 로깅 시스템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는 음료 소비에 관한 통계를 수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뚜껑은 플렉스블하고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뚜껑은 플렉스블하고 플라스틱과 같은 비-탄성 플렉스블 재료로 제조된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플렉스블'은 재료에 힘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재료가 파손되지 않고 가해진 힘을 생성하고 그에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부분의 비-강성(non-rigid) 재료들은 플렉스블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뚜껑은 유밀(fluid-tight)해야 하지만, 압력을 어느 정도까지 견딜 수 없어서 인가된 압력에 따라 변형되어야 한다.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들 및 플라스틱과 같은 비-탄성 플렉스블 재료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뚜껑은 분배하는 동안 음료 용기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예컨대,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기 위한 상기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접을 수 있고,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상기 탭핑 라인과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밖으로 강제 배출하는 공기 압축기와 같은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력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음료 분배 시스템은 다수의 베이스부들 및 베이스부들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뚜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음료 분배 시스템은 다수의 베이스부들 및 다수의 뚜껑들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확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들의 각각의 음료 용기 커넥터는 공통의 탭핑 라인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일련의 연결된 조립체 즉, 모듈 시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의 음료는 미리 탄산화되거나 질소와 미리 혼합된 맥주이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음료 충진 공간, 가스-충진 헤드 공간 및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음료 충진 공간과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구획하고,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까지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구비하는 탭핑 라인;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밀봉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탭핑 헤드는 음료 분배 제어 수단 및 음료를 음료 수용부로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탭핑 헤드는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는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 카운터는 오퍼레이터 사이드 및 오퍼레이터 사이드와 반대되는 고객 사이드를 구획하고,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음료 폰트 내에 통합되고 상기 음료 수용부의 온도와 같은 파라미터 또는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는, 측정되는 물체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여 물체와 접촉하지 않는 측정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거리는 5~200cm, 예를 들어, 5~100cm 또는 10~30cm이다.
제2 측면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는 적외선 센서(IR) 형태의 디지털 센서이다. 폰트 내에 통합된 IR-센서는 측정되고 있는 물체에 신호 또는 빔을 전송하고, 이러한 물체는 예컨대, 음료 유리잔과 같은 음료 수용부이다. 이것은 음료 수용부의 스폿-표면 온도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맥주 유리잔을 사용할 때 허용 가능한 3-6℃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판독 값을 시각화하기 위해 폰트 상의 시각적 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분배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로깅 시스템을 포함한다. 음료의 온도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는, 예컨대, 맥주 내부에 너무 많은 거품이 있어서 유리잔 내부의 맥주의 온도가 더 낮게 평가되는지 여부에 대한 것과 같이, 분배 온도와 관련하여 음료 분배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해 데이터 로깅 시스템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제1 측면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목적들 및 그 이상은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음료 충진 공간, 가스-충진 헤드 공간 및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음료 충진 공간과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구획하고, 상기 음료 분배 방법은: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음료 용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를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 및 캡슐화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뚜껑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접고,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탭핑 라인과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로 강제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하는 압력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분배 방법은: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적어도 판독하도록 구성된 전자 센서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를 상기 베이스부 및/또는 상기 뚜껑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음료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디지털 센서의 형태이고, 상기 디지털 센서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NFC-태그 또는 RFID-태그이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바코드와 같은 가시 식별자 또는 그 조합의 형태이다.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은 제1 측면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충진 용기들과 RFID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듈식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바닥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음료 충진 통 및 중량 및 압력 센서들을 포함하는 플렉스블 압력 챔버를 가진 음료 분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탭핑 라인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냉각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온도 센서 유닛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탭핑 디바이스 가깝게 장착된 온도 센서 유닛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충진되고 접힐 수 있는 일회용 음료 용기(18)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 또는 내부 용적(16)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밀봉되는 뚜껑(12)과 강성 베이스부(14)를 포함하는 압력 챔버를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통(keg)으로도 알려진 음료 용기(18)는 접힐 수 있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 접힐 수 있는 형태이므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라는 용어가 성립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는 전형적으로 맥주와 같은 탄산 음료로 되어 있는 음료(20)를 함유하는 음료 충진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음료 용기(18)는 도 3에서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18) 내부의 음료의 레벨 위의 상부에서 가스-충진 헤드 공간(22)을 구획한다.
뚜껑(12)과 강성 베이스부(14)는 분리 가능하지만, 작동 중에 음료 용기(18)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6)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밀봉된다. 뚜껑(12)은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의 음료 출구(미도시)를 탭핑 라인(28)에 연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 커넥터(26)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클로져(24)를 포함한다. 탭핑 라인은 적절한 서빙 온도(맥주의 경우 3-6℃)를 음료에 제공하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 또는 유닛(30)을 통과한다. 냉각 디바이스(30)의 하류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32)을 포함하는 탭핑(28)은 탭핑 디바이스(34)에 도달한다. 탭핑 디바이스(34)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36)을 포함하고, 각각의 탭핑 헤드(36)는 맥주를 음료 수용부(유리잔)(40) 속으로 분배하기 위한 탭핑 핸들(38)을 포함한다. 탭핑 디바이스에 가깝게 장착된 탭핑 라인 상의 온도 센서 유닛들(미도시)은, 맥주가 폰트(42)의 바닥 또는 폰트(42)의 내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유리잔(40) 내부로 쏟아질 때 맥주의 서빙 온도에 근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폰트(42)는 바 카운터(44) 상에 장착되고 폰트는 유리잔(40)의 스폿-표면 온도를 판독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46)에 통합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의 클로져(24)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연령, 품질, 종류, 음료의 잔량 등과 같은 음료(20)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의 상이한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RFID-태그(50) 형태의 디지털 센서를 포함한다. RFID-판독기(48) 형태의 디지털 센서는 압력 챔버의 바닥 외측 즉, 베이스부 내에 장착된다. 압력이 인가되어 2bar 보다 높을 때, RFID-판독기(48)가 작동되어 RFID-태그(50)의 판독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와 타임스탬프의 ID가 기록되고 데이터 로깅 시스템(미도시)에 전달된다. 압력이 2bar 미만으로 떨어지면, 판독기가 다시 작동되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대해 새로운 타임스탬프가 생성된다.
도 2는 RFID-태그(50)가 내장된 클로져(24)를 포함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18)의 부닥부의 확대 정면도를 도시한다. RFID-태그(50)는 클로저(24)의 테두리 상에 장착된다. 또한, RFID-태그는 클로저(24)의 씰링 내에 장착(설치)될 수 있다. 또한, RFID-태그(50)는 클로저(24)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뚜껑(12)과 베이스부(14)의 씰링에 의해 생성된 내부 공간(16) 내에 포함된 단일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도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탭핑 라인(28) 및 탭핑 디바이스(34)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또한, 베이스부(14)는 공기 압축기(58)와 같은 압력원에 연결된다. 압축기(58)는 음료 용기(18)와 뚜껑(12) 및 베이스부(14)를 포함하는 압력 챔버 사이에서 밀봉된 내부 체적(16)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탭핑 디바이스(28)가 음료를 유동시킬 때, 음료는 음료 용기(18) 밖으로 탭핑 디바이스(28)를 향해 강제되기 때문에 음료 용기(18)에 인가되는 압력은, 음료 용기를 점진적으로 접히게 할 것이다.
음료 분배 시스템(10')은 중량 센서(52) 및 선택적으로 압력 센서(54)를 포함한다. 중량 센서(52)는 음료 용기(18) 내에 남아 있는 음료의 부피 및 탭핑 디바이스(28)를 통과하는 음료의 유동을 계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음료 용기(18)는 압력 챔버 내의 RFID 센서(미도시) 또는 음료 분배 시스템(10) 내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의해 판독가능한 RFID 태그(50)와 같은 디지털 식별자를 포함한다.
중량 센서(52)는 분배하는 동안 음료 용기(18)를 연속적으로 계량함으로써 탭핑 디바이스(28)를 통과하는 음료의 유동 및 음료의 잔량을 추론한다. 음료 용기(18) 및 용기 자체 내의 음료의 초기 중량, 부피 및 밀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 수단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나머지 부피는 단순히 초기 부피에서 용기(18)의 무게 손실을 뺀 후 음료의 밀도로 나눔으로서 도출될 수 있다.
압력 센서(52)는 탭핑 핸들(38)에 의해 탭핑 라인(28)과 탭핑 디바이스 사이의 접합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탭핑 핸들(38)이 폐쇄 위치(수직 위치)에 있을 때, 탭핑 라인(28)과 탭핑 핸들(38) 사이의 접합부의 압력은, 시스템이 정상 상태에 있을 때 즉, 음료가 유동하지 않을 때 압력 챔버 내부의 압력과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분배하는 동안, 압력 챔버 내부 압력에 대한 압력 차이는 압력 센서(54)에 의해 식별될 것이다. 압력 차이는 탭핑 라인(28)을 따른 압력 강하를 구성한다. 이는 음료가 통과하는지 아니면 통과하지 않는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표시를 제공한다. 분배하는 동안 내부 공간(16) 내부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제2 압력 센서(56)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제3 압력 센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들)(미도시)는 음료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50)는 예컨대, 리터 단위의 음료의 양, 음료 용기의 중량 및/또는 음료의 밀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50)는 음료의 종류(예, 맥주), 맥주의 종류(예, 에일, 라거 등) 및 음료의 사양(예, 알콜 성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정보의 자동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정보는 예를 들어, 중앙 데이터 저장 위치(예, 양조장)에서 현지에 저장되거나 데이터 로깅 시스템과 통신될 수 있다. 음료의 유동 및 음료의 잔류량은 시간 및 날짜와 함께 저장되어, 양조장으로부터 음료의 공급을 최적화하기 위한 통계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냉각 디바이스(30)로부터 나오는 탭핑 라인(28)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각각의 음료 라인(32',32",32"') 내에 삽입된 결합된 유동 및 온도 센서(60',60",60"')를 포함한다. 각각의 음료 라인은 주어진 형태의 음료를 운반한다. 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는 초음파 측정 디바이스이므로, 음료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고, 타임스탬프된 데이터 로그인 및 데이터 로깅 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을 제공한다.
도 5는 냉각 디바이스(30)에서 온도가 측정되도록 냉각 라인(64)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30)에 상에 온도 센서들(62)이 장착(고정)된 음료 분배 시스템의 일부의 특정 실시예의 도시를 도시한다. 이것은 탭핑 라인(28)의 냉각이 이러한 탭핑 라인에 인접하게 뻗어 있는 냉각 라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소위, "습식 파이썬"), 적절한 서빙 온도를 가능하게 한다. 음료의 서빙 온도는 맥주의 경우 3-6℃가 적당하다. 이러한 서빙 온도(Tserv)는 음료가 냉각 디바이스(30)를 떠나는 지점의 냉각 라인의 온도(T1℃)와 음료가 복귀될 때 냉각 디바이스(30)로 들어가는 지점의 온도(T2℃)의 평균 즉, Tserv = (T1 + T2)/2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온도 T1은 적절하게 3 또는 4℃이고, T2는 일반적으로 T1보다 더 높기 때문에, T1이 6℃보다 더 높으면, 즉시 오류 메시지로서 검출될 수 있으므로, 냉각 디바이스의 상태, 특히 냉각 디바이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적절하게, 온도 센서(62) 형태인 측정 디바이스는 탭핑 라인(28)의 임의의 음료 라인들(32) 상의 냉각 디바이스(30) 상에 장착(부착)된다.
도 6은 상기 탭핑 디바이스(34)에 아주 가까운 탭핑 라인 내에 장착된 온도 센서들(62',62",62"')을 도시한다. '아주 가까운"은 냉각 디바이스로부터 탭핑 핸들(38)까지 측정된 탭핑 라인의 길이의 마지막 20%, 바람직하게 마지막 10%를 의미한다. 여기서, 음료 라인들(32',32",32"')의 냉각은 음료 라인에 인접하게 뻗어 있는 냉각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발생한다(소위, "건식 파이썬"). 폰트(42)가 제공되고 온도 센서(62')는 탭핑 라인(28)이 폰트에 들어가기 직전에 위치된다.
10...음료 분배 시스템 12...플렉스블 뚜껑
14...베이스부 16...내부 공간
18...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20...음료
22...헤드 공간 24...클로져
26...커넥터 28...탭핑 라인
30...냉각 디바이스 32...음료 라인
34...탭핑 디바이스 36...탭핑 헤드
38...탭핑 핸들 40...음료 수용부(유리잔)
42...폰트 44...바 카운터
46...IR-센서 48...RFID-판독기
50...RFID-태그 52...중량 센서
54...압력 센서 56...압력 센서
58...압축기 60...통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
62...온도 센서 64...냉각 라인

Claims (20)

  1. 음료 충진 공간, 가스-충진 헤드 공간 및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음료 충진 공간과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구획하는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음료 용기(container)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dispensing) 시스템으로서,
    -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
    -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tapping) 헤드들을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
    -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
    -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밀봉된 내부 공간을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구획하는 뚜껑; 및
    -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접고,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하는 압력원(pressure source)을 구비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 상기 베이스부 및/또는 상기 뚜껑은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전자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고,
    -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NFC-태그 또는 RFID-태그 형태의 디지털 센서 형태이고,
    -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바코드(bar code)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가시(visible) 식별자의 형태인, 음료 분배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일회용(single use)인, 음료 분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전자 센서 디바이스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이고, NFC-판독기 또는 RFID-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음료 분배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클로져(closure); 및
    상기 클로져의 테두리 상에 상기 클로져의 씰링(sealing) 또는 상기 클로져 내부에 장착된 식별 태그를 포함하고,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클로져에 인접한 베이스부 상에 장착된 식별 태그 판독기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커넥터의 하류 및 상기 탭핑 라인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상류에 구성된 냉각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디바이스는, 상기 탭핑 라인에 인접하여 뻗어 있고 상기 냉각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냉각 라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의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커넥터의 하류 및 상기 탭핑 라인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상류에 구성된 냉각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냉각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상기 탭핑 헤드까지 측정된 상기 탭핑 라인의 길이의 마지막 30% 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탭핑 디바이스에 아주 가까운(close proximity) 탭핑 라인 내에 장착된, 음료 분배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탭핑 라인은 다수의 음료 라인들, 바람직하게 2 내지 5개의 음료 라인들, 보다 바람직하게 3개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음료 라인은 특정 음료 형태에 대응하고, 상기 탭핑 디바이스의 탭핑 헤드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탭핑 헤드는 상기 음료 형태에 대응하고, 상기 음료 라인은 유량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조합된 유량 및 온도 센서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분배하는 동안 상기 음료 용기를 연속적으로 계량하고, 상기 음료 용기의 중량 및 상기 중량을 통해 추론되고 상기 탭핑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상기 음료의 유동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계량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디지털 계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 분배하는 동안,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제1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1 압력 센서;
    - 분배하는 동안, 상기 탭핑 디바이스에서 제2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2 압력 센서; 및
    - 상기 제1 압력과 상기 제2 압력을 통해 추론되고,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나오는 음료의 유동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디지털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3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탭핑 헤드는 음료 분배 제어 수단 및 음료를 음료 수용부로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탭핑 헤드는 오퍼레이터 사이드와 상기 오퍼레이터 사이드 반대편의 고객 사이드를 구획하는 바 카운터(bar counter) 내에 장착된 음료 폰트(font)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음료 폰트에 통합되고 상기 음료 수용부의 온도와 같은 파라미터 또는 특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 형태의 측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비-접촉 측정 디바이스는 적외선 센서 형태의 디지털 센서인, 음료 분배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검색 및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로깅(logging) 시스템을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로서,
    접힐 수 있는 본체,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의 음료 용기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음료 출구를 가진 클로져, 및
    상기 클로져의 테두리, 상기 클로저의 씰링(sealing) 또는 상기 클로져의 내부 및/또는 상기 용기의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상응하는 판독기에 의해 판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태그를 구비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식별 태그는 RFID/NFC와 같은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바코드와 같은 가시/광 태그, 또는 이들의 조합인,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서,
    상기 식별 태그는 상기 용기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17.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식별 태그는, 음료의 종류, 음료 생산자, 음료 원산지, 음료 제조 일자, 음료 제조 장소 및 음료 배송 일자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식별 태그는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한 승인을 위한 하나 이상의 미리정의된 코드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 부분과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부분의 키트(kit)로서,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의 음료의 탭핑(tapping)이 ID 태그와 ID 판독기 사이의 미리정의된 매치(match)가 달성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구성된, 음료 분배 시스템 부분과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부분의 키트.
  20.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서, 음료 충진 공간, 가스-충진 헤드 공간 및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음료 충진 공간과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구획하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 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음료 용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구비하는 탭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음료 용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탭핑 디바이스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구비하는 탭핑 라인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수용 및 캡슐화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 가능한 뚜껑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을 가압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접고, 상기 음료를 채워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탭핑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료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하는 압력원을 제공하는단계;
    -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검색하기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설치하는 단계; 및
    - 상기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적어도 판독하도록 구성된 전자 센서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디지털 센서 디바이스를 상기 베이스부 및/또는 상기 뚜껑 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음료 및/또는 상기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디지털 센서의 형태이고, 상기 디지털 센서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바람직하게, RFID-태그이고,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바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가시 식별자의 형태인,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저장된 음료의 분배 방법.
KR1020207024493A 2018-02-13 2019-02-13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keg)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KR20200119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6533.4 2018-02-13
EP18156533 2018-02-13
PCT/EP2019/053509 WO2019158562A1 (en) 2018-02-13 2019-02-13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single use collapsible ke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267A true KR20200119267A (ko) 2020-10-19

Family

ID=6122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493A KR20200119267A (ko) 2018-02-13 2019-02-13 접힐 수 있는 일회용 통(keg)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091360B2 (ko)
EP (1) EP3752449A1 (ko)
JP (1) JP7374127B2 (ko)
KR (1) KR20200119267A (ko)
CN (1) CN111727166B (ko)
AU (1) AU2019221517A1 (ko)
BR (1) BR112020016472A2 (ko)
EA (1) EA202091899A1 (ko)
IL (1) IL276461A (ko)
MX (1) MX2020008439A (ko)
PH (1) PH12020551243A1 (ko)
UA (1) UA128132C2 (ko)
WO (1) WO2019158562A1 (ko)
ZA (1) ZA202004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0565B2 (en) 2011-09-02 2020-12-22 Bevolution Systems, Llc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US20130056504A1 (en) * 2011-09-02 2013-03-07 Otto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nd Controlling,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US10703620B1 (en) * 2015-04-06 2020-07-07 Steven P. Keeling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1643319B2 (en) * 2017-03-10 2023-05-09 Carlsberg Breweries A/S Beverage dispensing system,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 method of operat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a pressure housing
ES2907788T3 (es) * 2017-10-27 2022-04-26 Carlsberg Breweries As Unidad de limpieza para suministrar un líquido de limpieza a un sistema de dispensación de bebida
JP2022548763A (ja) * 2019-09-23 2022-11-21 カールスバーグ ブルワリーズ アグシャセルスガーブ 樽用のrfid機能付き圧力チャンバ
US11655134B1 (en) * 2020-01-28 2023-05-23 Tendedbar Llc Modular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s of use
USD958577S1 (en) 2020-05-04 2022-07-26 Jose Antonio Reyes Perez Valenzuela Portable beverage dispenser
US11180358B1 (en) * 2020-05-04 2021-11-23 Jose Antonio Reyes Perez Valenzuela Portable beverage dispenser with multiple fluid chambers
JP7397778B2 (ja) 2020-08-27 2023-12-13 ホシザキ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
EP4226357A1 (en) 2020-10-05 2023-08-16 Carlsberg Breweries A/S A digital beverage font lens
US11524886B2 (en) 2021-02-05 2022-12-13 Cana Technology, Inc. Ingredients cartridge for a beverage mixture dispensing system
WO2023200407A2 (en) * 2022-04-14 2023-10-19 Ecospirits Pte. Ltd. Beverage dispensing system
BR102022010428A2 (pt) * 2022-05-27 2023-12-05 Aviel Dafna Sistema, método e dispositivo para controle total de cervejarias artesanais
WO2024030072A1 (en) * 2022-08-01 2024-02-08 Ecospirits Pte. Ltd. Beverage dispensing system
DE102022122874B3 (de) 2022-09-08 2023-12-21 D. S. I. Getränkearmaturen GmbH Zapfkopf mit Sensor für ein Getränkefass
DE102022122873B3 (de) 2022-09-08 2023-12-21 D. S. I. Getränkearmaturen GmbH Fitting mit Datenträger für ein Getränkefas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844A2 (en) 2007-11-13 2009-05-22 Farhan Fariborz M Self-service, monitored and controlled beverage distribution and dispensing system
WO2012010659A1 (en) 2010-07-21 2012-01-26 Carlsberg Breweries A/S Volumetric measurement of beverage
WO2012102759A1 (en) 2011-01-28 2012-08-02 Say 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essaging in beverage containers
US8677721B2 (en) 2008-06-13 2014-03-25 Kron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plastic containers
US20160194192A1 (en) 2013-09-26 2016-07-07 Blupura S.R.L. Combination of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containers, having a system for the correct placing
US20170099981A1 (en) 2015-10-08 2017-04-13 Michel Abou Haidar Callisto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1224A1 (de) 1985-03-28 1986-10-02 Meir 4005 Meerbusch Mendelssohn Vorrichtung zum erfassen und anzeigen des fluessigkeitsinhaltes bzw. fluessigkeitsverbrauches von bzw. aus getraenkebehaeltern
US4800492A (en) 1987-05-13 1989-01-24 The Coca-Cola Company Data logger for a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4827426A (en) 1987-05-18 1989-05-02 The Coca-Cola Company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post-mix beverage dispensers
WO2004096694A1 (en) * 2003-04-30 2004-11-11 At Group International Limited Pressurised drink dispensing system
US20050087255A1 (en) * 2003-10-23 2005-04-28 Humphrey Richard L. RF device in drinkware to record data/initiate sequence of behavior
JP4179203B2 (ja) * 2004-03-24 2008-11-1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WO2006036863A1 (en) * 2004-09-24 2006-04-06 Colder Products Company Coupler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DE102004061633A1 (de) 2004-12-17 2006-06-29 Lossau, Harald, Dr. Behälter mit Transponder
CA2632596A1 (en) * 2005-12-12 2007-06-21 Carrier Corporation Data input system in postmix dispenser
JP3914559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用容器
JP5698456B2 (ja) * 2006-06-13 2015-04-08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体除去を含む液体分配システム
DE102006047524A1 (de) * 2006-10-07 2008-04-17 Khs Ag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Ausschenken und/oder Lagerung von Produkten, insbesondere Getränken
JP5416117B2 (ja) * 2007-08-28 2014-02-12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分配方法及び装置
RU2496711C2 (ru) 2007-09-06 2013-10-27 Дзе Кока-Кола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я вариантов дозирования в разливочном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DE102008062385C5 (de) 2008-12-17 2016-10-20 Khs Gmbh Verfahren sowie Inspektionsvorrichtung zum Überprüfen von Behältern
NL2003133C2 (en) *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pparatus and compressible bottle therefore, and a preform for forming such container.
US20110000923A1 (en) * 2009-07-03 2011-01-06 Morales Manuel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lling a Container with a Fluid
GB0915826D0 (en) * 2009-09-10 2009-10-07 Imi Cornelius Uk Ltd Foodstuff dispenser
TWI433389B (zh) 2010-04-22 2014-04-01 Taiwan Lamination Ind Inc Packaging bag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pabil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20059513A1 (en) 2010-09-03 2012-03-08 Shannon Perkins Beverage dispensing and monitoring system
WO2012097403A1 (en) 2011-01-19 2012-07-26 NKOTB Pty Ltd Formula dispensing unit
US8989895B2 (en) * 2011-08-26 2015-03-24 Elwha, Llc Subst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systems
PL2809609T3 (pl) * 2012-02-03 2021-08-30 Carlsberg Breweries A/S Sposób dozowania napojów gazowanych, system dozowania napojów i ściśliwy pojemnik
NL2009237C2 (en) *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necting device and tapping assembly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WO2014204857A1 (en) 2013-06-17 2014-12-24 Prime ITS Material tracking system
WO2015066594A1 (en) 2013-11-03 2015-05-07 SteadyServ Technologies, LLC Draft beer supply chain systems and methods
US10101082B2 (en) 2014-06-09 2018-10-16 MetaDesign LLC Cooling system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s
US10125002B2 (en) 2014-07-13 2018-11-13 Sestra Systems, Inc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9932218B2 (en) * 2016-03-04 2018-04-03 BIBO Barmaid LLC Cold beverage dispenser and cutter assembly for cold beverage dispenser
WO2016014729A1 (en) * 2014-07-22 2016-01-28 BIBO Barmaid LLC Cold beverage dispenser
EP3006394A1 (en) 2014-10-07 2016-04-13 Micro Matic A/S Carbonated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pressure control
DK3265421T3 (da) * 2015-03-04 2020-03-30 Sodastream Ind Ltd Doseringssystem
US20200247654A1 (en) * 2015-04-29 2020-08-06 Keith W. McIntyre Systems and methods for beverage preservation
WO2017062361A1 (en) 2015-10-06 2017-04-13 Focus Evolution LLC Systems for dispensing alcoholic beverages
FR3044653B1 (fr) * 2015-12-08 2017-12-01 10-Vins Installation pour la preparation a la degustation de boisson et procede d'ouverture d'un contenant de boisson a l'aide d'une telle installation
US20170291808A1 (en) * 2016-04-07 2017-10-12 Steve Young Win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EP3239093A1 (en) 2016-04-25 2017-11-01 Charles Seadon Automatic beverage, drinks, and snacks dispenser
US11406219B2 (en) * 2018-10-07 2022-08-09 Red River Tea Compan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844A2 (en) 2007-11-13 2009-05-22 Farhan Fariborz M Self-service, monitored and controlled beverage distribution and dispensing system
US8677721B2 (en) 2008-06-13 2014-03-25 Kron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plastic containers
WO2012010659A1 (en) 2010-07-21 2012-01-26 Carlsberg Breweries A/S Volumetric measurement of beverage
WO2012102759A1 (en) 2011-01-28 2012-08-02 Say 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essaging in beverage containers
US20160194192A1 (en) 2013-09-26 2016-07-07 Blupura S.R.L. Combination of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containers, having a system for the correct placing
US20170099981A1 (en) 2015-10-08 2017-04-13 Michel Abou Haidar Callisto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2011/0259776 A1은, RFID 기능을 가진 포장 백(packing bag)에 관한 것이다.
US 2014/0368318 A1은, 만료된 소독제(disinfectant)의 분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컨테이너들을 사용하고 시스템의 판독기(reader)는 컨테이너들과 연관된 식별자를 읽을 수 있다. RFID가 언급된다.
US 2017/0096322 A1 및 WO 2016/168220 A1은, 모두 와인 통(keg wine)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합 온도 제어; 압력 모니터링; 자동 퍼지(purging); 및 분배되는 각각의 와인 통에 대한 재고 품목 통계를 결정하기 위한 판매 데이터 획득의 통합 포인트를 구비한다.
US 2017/291808은, 음료가 와인이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캐니스터(canister)를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캐니스터 내의 음료(와인)의 양을 식별하기 위해, 예컨대, RFID-태그와 같은 식별자가 캐니스터 내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기 위한 스캐닝 또는 판독 수단이 분배 시스템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 문헌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에 디지털 식별자(예, RFID-태그)의 제공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다.
US 4800492 A는, 패스트 푸드 식당 내의 혼합-후 음료 분배 시스템용 데이터 로거(logger)에 관한 것이다.
US 4827426 A는, 혼합-후(post-mix) 음료 분배기용 데이터 획득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 2006/066787 A1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WO 2010/075918 A1은, 진품 보안 링(original security ring)의 온전성을 위해 광전자 센서 시스템에 의해 병(bottle)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12/097403 A1은, 포뮬라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병(bottle)의 재질에 따라 병을 감지하기 위해 광학 센서가 사용된다.
WO 2015/066594 A1은, 종래의 강철 통 내의 유체 레벨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급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통의 가짜(false) 바닥 내부에 결합되고, 통의 중량을 측정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량 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통 내부의 액체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가진 RFID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근접하는 다수의 용기들에는 각각 RFID 디바이스와 센서가 장착될 수 있고, 그들의 개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51243A1 (en) 2021-05-17
JP2021513492A (ja) 2021-05-27
BR112020016472A2 (pt) 2020-12-15
CN111727166B (zh) 2022-08-19
ZA202004866B (en) 2022-10-26
UA128132C2 (uk) 2024-04-17
AU2019221517A1 (en) 2020-09-24
EP3752449A1 (en) 2020-12-23
US11091360B2 (en) 2021-08-17
US20210024341A1 (en) 2021-01-28
WO2019158562A1 (en) 2019-08-22
CN111727166A (zh) 2020-09-29
IL276461A (en) 2020-09-30
JP7374127B2 (ja) 2023-11-06
EA202091899A1 (ru) 2020-11-02
MX2020008439A (es)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360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single use collapsible kegs
CN106458376B (zh) 用于存储、保存、管理和选择性分配饮料的可扩展模块化系统和方法
US8857666B2 (en) Wine dispensing system
US9102508B2 (en) Wine dispensing system
CA2168318C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bottle identification mechanism
AU2006281791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s from a flexible container
PL189001B1 (pl) Zespół urządzenia rozlewającego napój i pojemnikado przechowywania napoju, sposób rozlewania napoju oraz pojemnik tego zespołu i urządzenie rozlewające tego zespołu
AU2006281786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GB2415952A (en) Liquid supply changeover system
US11834321B2 (en) Monitoring of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U2019412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rt in drinking fluid pipe
WO2019158563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point of sales data acquisition
EA045038B1 (ru) Система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содержащая одноразовые сжимаемые бочонки
US11964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verage dispenser
NL2025041B1 (en) In-store beverage container filling arrangement
WO2024030072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CA3120038A1 (en) Micro factory system for on-demand dispensing of beverages
WO2023200407A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