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601A - 이쑤시개 - Google Patents

이쑤시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601A
KR20200117601A KR1020190039943A KR20190039943A KR20200117601A KR 20200117601 A KR20200117601 A KR 20200117601A KR 1020190039943 A KR1020190039943 A KR 1020190039943A KR 20190039943 A KR20190039943 A KR 20190039943A KR 20200117601 A KR20200117601 A KR 2020011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body portion
tapered
tapered portion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19003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601A/ko
Priority to PCT/KR2020/004628 priority patent/WO2020204676A2/ko
Publication of KR2020011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이쑤시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몸체부가 이물질을 치아 내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것이 아닌, 공간 내로 흡착하기 때문에, 무리된 압력으로 치간에 삽입하여 치간을 넓히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쑤시개{Toothpick}
본 발명은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이쑤시개에 이물질을 흡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양치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칫솔, 치실, 이쑤시개 등이 있으며, 철사 및 모로 형성되어 있는 치간 칫솔은 쉽게 철사가 구부러지고, 부식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 수명이 짧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치실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손을 넣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사용 방법이 불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 문화에서는 외부에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쑤시개를 많이 선호하고, 대부분의 요식업장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쑤시개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단조로운 뾰족함으로 인하여, 이물질을 치아 내부의 더욱 깊숙한 곳으로 밀어내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사이에서 사용자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사각지대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3,661호 (2003. 01. 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쑤시개 내부에 이물질을 흡착하는 공간을 통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흡착되는 이쑤시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닿지 않는 치아의 부위까지 세척할 수 있는 이쑤시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기둥의 형상이며, 원기둥의 양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테이퍼인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한 걸림홈을 포함한다.
제1 테이퍼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부로 수렴하는 역테이퍼를 포함한다.
몸체부의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어느 한 측면을 향할수록 테이퍼진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제1 테이퍼부 또는 제2 테이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걸림홈은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90도 절곡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중심축을 향할수록 완만해진다.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의 주름이 형성되고, 주름은 제1 테이퍼부와 몸체부의 중단 사이에 제1 주름, 몸체부의 중단에 제2 주름, 몸체부와 제2 테이퍼부의 중단 사이에 제3 주름을 포함한다.
돌기는 반구의 형상으로, 제1 테이퍼부와 제1 주름의 사이, 제2 테이퍼부와 제3 주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주름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몸체부의 어느 한 단은 중단에서부터 완만하게 꺾이는 구조이다.
원기둥의 형상인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절개된 테이퍼 형상의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몸체부의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어느 한 측면 또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테이퍼진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절개부는 "Z'형상인 지그재그형이다.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나선형상의 주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쑤시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몸체부가 이물질을 치아 내측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것이 아닌, 공간 내로 흡착하기 때문에, 무리된 압력으로 치간에 삽입하여 치간을 넓히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절곡되어, 사용자가 쉽게 제거할 수 없는 위치의 이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쑤시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쑤시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쑤시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쑤시개는 원기둥의 형상의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양단을 연결하는 통공(110)을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잇몸이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외주면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잘 휘지않는 재질인 고강성 재질이어도 무방하며, 잇몸이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0)은 몸체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구멍으로,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00)에 대한 통공의 크기는 제한을 받지 않으며, 몸체부(100)가 치간에 삽입되거나 긁으면서 통공으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몸체부(100)의 중심축을 향할수록 뾰족하도록 테이퍼진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제1 테이퍼부는 몸체부가 각 치아 사이의 간격에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1 테이퍼부가 끝나는 가장 뾰족한 지점에는 통공(110)이 위치하여야 하는 바, 제1 테이퍼부의 지름이 가장 좁은 지점은 통공(110)의 지름과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테이퍼부는 몸체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부로 수렴하는 역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역테이퍼는 제1 테이퍼부와 통공(110)의 지름이 동일한 지점에서, 통공(110)을 향할수록 다시 지름이 넓어지도록 절곡되어, 제1 테이퍼부의 끝단인, 뾰족한 면의 날이 날카롭도록 하는 것으로, 치아의 표면을 강한 압력으로 긁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뾰족한 이쑤시개와 달리, 테두리를 따라 뾰족한 점으로 인해, 넓은 부위를 동시에 긁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테이퍼부는 제1 테이퍼부의 지름이 점차 넓어지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연장되는 절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이물질의 크기 문제로 인하여, 통공(110)에 이물질이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경우, 절개부에 이물질이 삽입 및 고정되어,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테이퍼부는 제1 테이퍼부의 지름이 점차 넓어지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연장되나, Z자인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역시, 위에서 전술한 도 3의 절개부와 마찬가지로, 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이물질의 크기 문제로 인하여, 통공(110)에 이물질이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경우, 절개부에 이물질이 삽입 및 고정되어,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별도로, 절개부(111)는 외부로부터 눌리는 힘에 의해, 절개부의 간격이 좁아지며, 제1 테이퍼부가 더욱 테이퍼질 수 있다. 즉,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에 맞닿는 압력이 강해질수록, 절개부(111)의 간격이 좁아져서, 제1 테이퍼부가 더욱 날카로워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몸체부(100)는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반원형의 돌기(13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몸체부(10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사각형인 걸림홈(140)을 포함한다.
돌기(130)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각 치아 사이의 간격인 치간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 이쑤시개가 치간의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0)은 일정하지 못한 치간에서 몸체부(100)가 치간으로 삽입되며,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을 밀거나, 긁으며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치아 불균형 및 치아 손상 등으로 인하여 넓어진 치간의 이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걸림홈(140)은 제1 테이퍼부에서 몸체부(100)의 중간 지점인 중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짧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통공(110) 내부로 삽입된 이물질이, 다시 제1 테이퍼부 방향의 통공(110)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양단을 향하여 역방향으로 이물질이 걸리는 걸림턱(140)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걸림홈(140)은 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90ㅀ 절곡되어 있으며, 몸체부(100)의 중심축인 통공의 양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향할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제2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몸체부(100)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에서, 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향하여 수렴하는 것이 아닌,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지점에 해당하는 축을 향하여 수렴하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 테이퍼부가 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으로 수렴하며 테이퍼지기 때문에, 통공(110)과 제1 테이퍼부의 지름이 동일하여 완벽한 테이퍼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좁은 치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2 테이퍼부는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지점을 향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매우 협소한 간격의 치간에서도 몸체부(100)가 삽입되어,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테이퍼부의 내부에 위치한 통공의 지름은 제1 테이퍼부에 위치한 통공의 지름과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2 테이퍼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치아 혹은 치간의 이물질을 긁으며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테이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테이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121)를 포함한다. 이는, 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이물질의 크기 문제로 인하여, 통공(110)에 이물질이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경우, 절개부(121)에 이물질이 삽입 및 고정되어,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테이퍼는 Z자인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역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공(110) 내부로 삽입되는 이물질의 크기 문제로 인하여, 통공(110)에 이물질이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경우, 절개부(121)에 이물질이 삽입 및 고정되어,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별도로, 절개부(121)는 외부로부터 눌리는 힘에 의해, 절개부(121)의 간격이 좁아지며, 제1 테이퍼부가 더욱 테이퍼질 수 있다. 즉, 치간 사이에 삽입하여, 치간에 맞닿는 압력이 강해질수록, 절개부(121)의 간격이 좁아져서, 제2 테이퍼가 더욱 날카로워지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의 주름(150)이 형성된다. 주름(150)은 제1 테이퍼부와 몸체부(100)의 중단 사이에 형성된 제1 주름, 몸체부(100)의 중단에 형성된 제2 주름, 몸체부(100)와 제2 테이퍼부의 중단 사이에 형성된 제3 주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별로 주름이 형성되는 이유는, 치아 사이인 치간에 삽입된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이, 치간 전체를 긁으며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강한 세정 효과를 볼 수 있다.
위에서 전술한 돌기(130)는, 제1 테이퍼부와 제1 주름의 사이, 제2 테이퍼부와 제3 주름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테이퍼부 혹은 제2 테이퍼부가 치간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150)이 치간 전체를 긁으며 지나간 후, 일반적인 넓이보다 넓은 치간을 돌기(150)가 긁으며 지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주름은 몸체부의 통공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15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55)는 몸체부가 치간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개구(155)로 침투한 사용자의 타액을 배출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자의 타액에 의해 통공이 막혀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쑤시개의 사시도이다.
도 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몸체부(100)에서 양단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테이퍼인 제1 테이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잘 휘지않는 재질의 고강성 재질이어도 무방하며, 잇몸이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테이퍼부는 뾰족한 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골라내거나 밀어내는 것이 아닌, 집어내기 위한 것으로, 절개부에 이물질이 삽입 및 고정되어,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절개부가 일자형일 수 있으며, Z자인 지그재그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타단에는 이와 동일한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테이퍼부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통공
111 : 절개부 120 : 제2 테이퍼부
121 : 절개부 130 : 돌기
140 : 걸림홈 150 : 주름
155 : 개구

Claims (14)

  1. 원기둥의 형상이며, 상기 원기둥의 양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테이퍼인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한 걸림홈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부로 수렴하는 역테이퍼;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어느 한 측면을 향할수록 테이퍼진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5.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 또는 제2 테이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이쑤시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90도 절곡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중심축을 향할수록 완만해지는 경사를 가지는 이쑤시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의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은
    상기 제1 테이퍼부와 몸체부의 중단 사이에 제1 주름;
    상기 몸체부의 중단에 제2 주름;
    상기 몸체부와 제2 테이퍼부의 중단 사이에 제3 주름;
    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반구의 형상으로,
    상기 제1 테이퍼부와 제1 주름의 사이, 제2 테이퍼부와 제3 주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은 상기 몸체부의 개구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어느 한 단은 중단에서부터 완만하게 꺾이는 구조인 이쑤시개.
  11. 원기둥의 형상인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수렴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절개된 테이퍼 형상의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어느 한 측면 또는 중심축을 향할수록 테이퍼진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이쑤시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Z'형상인 지그재그형인 이쑤시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나선형상의 주름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1020190039943A 2019-04-05 2019-04-05 이쑤시개 KR20200117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3A KR20200117601A (ko) 2019-04-05 2019-04-05 이쑤시개
PCT/KR2020/004628 WO2020204676A2 (ko) 2019-04-05 2020-04-06 이쑤시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3A KR20200117601A (ko) 2019-04-05 2019-04-05 이쑤시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01A true KR20200117601A (ko) 2020-10-14

Family

ID=7266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43A KR20200117601A (ko) 2019-04-05 2019-04-05 이쑤시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7601A (ko)
WO (1) WO2020204676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661B1 (ko) 1999-09-22 2001-11-02 윤종용 정착기의 온도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225U (ja) * 1994-02-08 1994-10-18 純一 加藤 つま揚枝
KR200350611Y1 (ko) * 2004-02-27 2004-05-13 강명수 이쑤시개
US7264005B2 (en) * 2005-09-23 2007-09-04 Wong Thomas K Toothpick device
KR200441211Y1 (ko) * 2007-11-21 2008-07-31 손성철 이쑤시개
KR200479129Y1 (ko) * 2013-07-22 2015-12-21 (주)민성정밀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661B1 (ko) 1999-09-22 2001-11-02 윤종용 정착기의 온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676A2 (ko) 2020-10-08
WO2020204676A3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0941A (en) Denture brush
US3660902A (en) Apparatus for cleaning or polishing of teeth
US3672378A (en) Toothpick device
EP3037060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JPS592481B2 (ja) 歯間ブラシの柄
US20050096678A1 (en) Ear cleaning device with an integral bulbous end
US8549693B2 (en) Tooth cleaning device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US5069621A (en) Dental appliance
WO1991016007A1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JPH05506161A (ja) 隣接歯間用ブラシ
US4522595A (en) Dental tool for cleaning teeth interproximally
JPS6392307A (ja) 長尺な歯間歯ブラシ用ハンドル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US20170105517A1 (en) Disposable toothbrush and flossing device
US5927299A (en) Hygienic tooth cleansing device
TW201703685A (zh) 新式裝置
KR20200117601A (ko) 이쑤시개
US5377703A (en) Dental cleansing device
KR101598695B1 (ko) 잇솔질 개량형 칫솔
JP2001054526A (ja) 歯間ブラシ及び歯間ブラシセット
KR101967577B1 (ko) 치아 임플란트 세척장치
US20030228554A1 (en) Dental tool
JPH0847422A (ja) 舌苔掻取り具付歯ブラシ
WO2004023929A1 (en) Toothbrush including tongu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