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148B1 -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148B1
KR102619148B1 KR1020210180244A KR20210180244A KR102619148B1 KR 102619148 B1 KR102619148 B1 KR 102619148B1 KR 1020210180244 A KR1020210180244 A KR 1020210180244A KR 20210180244 A KR20210180244 A KR 20210180244A KR 102619148 B1 KR102619148 B1 KR 102619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easuring
cap
interdental gap
measur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282A (ko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53Portabl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공극을 측정하는 측정부의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화할 수 있는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INTERDENTAL GAP MEASURING DEVICE WITH EASY ANGLE CHANGE}
본 발명은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공극을 측정하는 측정부의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화할 수 있는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이란, 칫솔 끝에 작은 솔을 치아 사이에 넣어 닦는 제품으로, 양치 후에 치아 사이사이에 남아 있는 치석과 세균막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치아 뿌리부분의 사이가 넓거나, 교정장치를 장착한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간칫솔은 다양한 사이즈를 구비하게 되며, 사용자의 치열, 구강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사이즈의 치간칫솔을 사용해야 한다. 적합한 사이즈의 치간칫솔이 선택되지 않는다면, 잇몸 손상이나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합한 치간칫솔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치간공극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치간공극 측정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9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간공극 측정장치는 부피가 다소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치간공극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뿔 형상의 소형의 측정 도구가 개발되었고, 이를 치아 사이에 삽입하여, 원뿔의 단부에서 어디까지 삽입되는지를 확인한 후, 이를 통해 치간공극을 확인하는 원리이다. 특히, 원뿔의 단부에서 층별로 색깔을 달리하여 색깔에 매칭되는 사이즈표를 정량화하는 노력이 있었고, 일 예로 사이즈표는 도 8과 같다.
그러나, 이러한 원뿔 타입의 치간공극 측정장치는, 앞니 등 쉽게 노출이 되어있는 부분에서는 측정이 용이하나, 검사자가 이를 파지하고 치간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일 예로 어금니 사이에 삽입하기는 치열 구조 상 어려울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치간공극 측정장치를 파지하는 도구를 개발함과 동시에, 체결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측정이 어려운 부분까지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9586호
본 발명은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공극을 측정하는 측정부의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화할 수 있는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치간의 공극에 삽입 가능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중심축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중심축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측정부가 결합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서 틸팅하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측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지지부를 덮어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가 회전 시, 상기 측정부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틸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바디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관통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돌기부는 스프링플런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상기 측정부는 원뿔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부를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측정부의 각도 변경을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측정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부 및 복수 개의 돌기홈부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므로, 캡부의 회전 정도를 수치화하여 이를 측정부의 각도 변경 정도와 연동시킬 수 있어 각도 변경이 얼만큼 되었는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기부의 스프링플런저 구조와, 복수 개의 돌기부 및 복수 개의 돌기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구조로 인해, 돌기부가 돌기홈부에 삽입되는 구간에서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캡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캡부의 고정으로 인해 측정부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측정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정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배면에서 사시도 형태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사시도를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손잡이부와 바디부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측정장치의 사이즈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는 손잡이부(100), 바디부(200), 지지부(300), 측정부(400) 및 캡부(5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100) 내부에는 여분의 측정부(400)가 삽입 가능하다. 이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바디부(200)는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바디부(200)는 손잡이부(100)와 결합되는 메인바디부(210), 메인바디부(210)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보조바디부(220), 보조바디부(2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링부(23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부(210)와 보조바디부(220) 사이에는 그루브부(212)가 형성되어, 메인바디부(210)와 보조바디부(220)를 잇는다. 이때, 그루브부(212)는 메인바디부(210) 및 보조바디부(220)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술할 스토퍼부(240)가 그루브부(212) 내로 진입될 수 있으며, 보조바디부(220)에 의해 이동 반경이 제한된다.
링부(230)에는 링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부(231)가 결합된다. 복수 개의 돌기부(23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231)는 스프링플런저인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캡부(500)의 가압으로 링부(230)의 중심 방향으로 삽입 또는 돌출(탄성회복력에 의해)될 수 있다. 스프링플런저는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돌기부(231)의 작동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부(300)는 바디부(200)에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바디부(200)의 링부(23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지지부(300)는 메인지지부(310), 가이드부(320), 중심축부(330) 및 커넥터부(340)를 포함한다.
메인지지부(310)는 링부(23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부(320)는 메인지지부(3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부(3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 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중심축부(330)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부(3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커넥터부(340)의 일단은 측정부(400)가 체결 가능하며, 커넥터부(340)의 타단은 중심축부(3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중심축부(330)의 틸팅 시, 이에 대응하여 커넥터부(340) 또한 틸팅하고, 커넥터부(340)의 틸팅에 대응하여 측정부(400)가 틸팅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부(340)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 사이에서 틸팅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부(340)는 폭 방향으로의 틸팅은 발생되지 않고, 수직 방향 및 길이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틸팅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측정부(400)는 수직 방향 및 길이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틸팅하게 된다.
측정부(400)는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측정부(400)는 커넥터부(340)와 체결된다. 측정부(400)는 단부에서 길이 방향에 따라 층별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치간공극을 대비표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정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캡부를 배면에서 사시도 형태로 표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공극 측정장치의 사시도를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캡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부(500)는 제1 캡부(510) 및 제2 캡부(520)를 포함한다. 제1 캡부(510)는 구 형상을 지니며, 제2 캡부(520)에 의해 일부 절단된 구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캡부(510)에는 홈(511)이 형성된다. 홈(511)은 제1 캡부(510)의 단부(꼭지점)에서 시작되어, 제1 캡부(5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제2 캡부(520) 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그리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511)에는 측정부(400) 및 커넥터부(340)가 관통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1 캡부(510)가 바디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홈(511)에 관통 삽입된 측정부(400) 및 커넥터부(340)는 제1 캡부(5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홈(511)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틸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캡부(500)를 회전하는 행위만으로 측정부(400)의 각도 변경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할 돌기부(231)를 통해 변경한 각도가 어느정도인지 수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캡부(510) 및 제2 캡부(520)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300) 및 바디부(200)의 일부가 캡부(50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2 캡부(520)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관통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522,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캡부(500)와 지지부(300) 및 바디부(200)가 체결 시, 바디부(200)에 형성된 돌기부(231)가 돌기홈부(522)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캡부(500)와 지지부(300) 및 바디부(200)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캡부(500)가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돌기홈부(522) 사이에 돌기홈부(522)가 형성되지 않은 제2 캡부(520)의 내벽과 돌기부(231)가 맞닿을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231)가 스프링플런저이므로 중심 방향으로 삽입되었다가, 돌기홈부(522)와 맞닿을 때는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돌출되어 캡부(500)와 바디부(200)가 체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부(500)를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측정부(400)의 각도 변경을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측정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부(231) 및 복수 개의 돌기홈부(52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므로, 캡부(500)의 회전 정도를 수치화하여 이를 측정부(400)의 각도 변경 정도와 연동시킬 수 있어 각도 변경이 얼만큼 되었는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어금니에 가까울수록 손잡이부(100)와 측정부(400)의 각도가 더욱 90도에 가까워야 하므로, 이를 수치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또한, 돌기부(231)의 스프링플런저 구조와, 복수 개의 돌기부(231) 및 복수 개의 돌기홈부(5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구조로 인해, 돌기부(231)가 돌기홈부(522)에 삽입되는 구간에서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캡부(500)를 고정시킬 수 있어 캡부(500)의 고정으로 인해 측정부(400)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측정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제2 캡부(520)의 표면에는 함몰된 라운드부(523)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미끄럼 방지를 행할 수 있다.
제2 캡부(520)의 측단부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삽입부(52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스토퍼부(24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바디부(210)의 일 지점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메인바디부(210)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211)이 형성된다.
스토퍼부(240)는 수용홈(211)에 수용되되, 수용홈(211)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스토퍼부(240)는 수용홈(211)의 일단에서 보조바디부(220) 사이의 구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체결된 캡부(500)의 제2 캡부(420)에 형성된 스토퍼삽입부(521)에 스토퍼부(240)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캡부(5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는 스토퍼부(240)를 손잡이부(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토퍼부(240)가 스토퍼삽입부(521)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며, 측정부(400)의 위치가 정해지면, 사용자가 스토퍼부(240)를 그 반대방향으로 밀어 스토퍼부(240)가 스토퍼삽입부(521)에 삽입되도록 하여 캡부(5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고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손잡이부(100)와 바디부(200)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며, 여분의 측정부(400a)를 보관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바디부(210)의 일단에는 손잡이부수용홈(213) 및 측정부수용홈(214)이 형성된다.
손잡이부수용홈(213)은 메인바디부(2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중공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부(100)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돌출부(12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부수용홈(214)는 손잡이부수용홈(213)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함몰된 중공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정부수용홈(214)에는 여분의 측정부(400a)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여분의 측정부(400a)를 삽입시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여분의 측정부(400a)를 별도의 공간에서 보관하는 것이 아닌, 장치 내부에 보관하여 측정부의 분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부(100)는 메인손잡이부(110) 및 손잡이부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메인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곳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측정부(400a)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홀은 전술한 측정부수용홈(214)과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돌출부(120)는 전술한 손잡이부수용홈(213)에 삽입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바디부(200)와 손잡이부(100)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200 : 바디부,
300 : 지지부,
400 : 측정부,
500 : 캡부.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치간의 공극에 삽입 가능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되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중심축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중심축부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 가능한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가 결합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에서 틸팅하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하는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가 관통되되, 상기 지지부를 덮어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가 회전 시, 상기 측정부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틸팅되는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관통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와 체결되는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스프링플런저인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원뿔 형상인 것인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KR1020210180244A 2021-12-16 2021-12-16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KR102619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244A KR102619148B1 (ko) 2021-12-16 2021-12-16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244A KR102619148B1 (ko) 2021-12-16 2021-12-16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282A KR20230091282A (ko) 2023-06-23
KR102619148B1 true KR102619148B1 (ko) 2023-12-27

Family

ID=8699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244A KR102619148B1 (ko) 2021-12-16 2021-12-16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1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222B2 (ja) * 1992-05-22 2001-11-1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46183Y1 (ko) 2003-10-14 2004-03-30 주식회사 오스템 치과용 틈새게이지
WO2005034792A2 (de) 2003-10-17 2005-04-21 Achim Hermann Witte Interdentalstick
US20220142759A1 (en) 2019-03-13 2022-05-12 Jörg Schlieper Upper jaw fitting element for fitting to a human upper jaw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701917C5 (de) * 1996-04-10 2013-06-06 Curaden Ag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r approximalen gängigkeit eines zahnzwischenraums
KR101539586B1 (ko) 2014-11-18 2015-07-28 현영근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JP3230222U (ja) * 2020-10-30 2021-01-14 株式会社パタカラ 歯周ポケット深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222B2 (ja) * 1992-05-22 2001-11-1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46183Y1 (ko) 2003-10-14 2004-03-30 주식회사 오스템 치과용 틈새게이지
WO2005034792A2 (de) 2003-10-17 2005-04-21 Achim Hermann Witte Interdentalstick
US20220142759A1 (en) 2019-03-13 2022-05-12 Jörg Schlieper Upper jaw fitting element for fitting to a human upper j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282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4004Y2 (ko)
US20010054211A1 (en) Triple clean toothbrush
US6389634B1 (en) Oral devices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KR102619148B1 (ko)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TW202031206A (zh) 具有可旋轉清潔器具的口腔清潔工具
EP0926966B1 (fr) Brosse a dents dont le manche comporte des moyens pour son rangement en position verticale
US7267548B2 (en) Support for interdental brushes and similar instruments for oral hygiene
US8813300B2 (en) Rotary toothbrush
JPH09121942A (ja) 歯間ブラシ
KR101630739B1 (ko) 치관 및 잇몸 세정용 칫솔
US20190216214A1 (en) Toothbrush with pick utensil
US6681436B2 (en) Toothbrush including retainer and detachable brush
JP6472956B2 (ja) 歯ブラシ
WO2020020239A1 (zh) 剔牙辅助用具
JP4522803B2 (ja) 歯ブラシ
JP2019071943A (ja) 歯ブラシ
JP2018509959A (ja) 回転ヘッドを有する歯ブラシ
KR20180047898A (ko) 치간 칫솔기
KR200199988Y1 (ko) 치간 치솔
JP2020069324A (ja) 角度可変歯ブラシ
KR200337910Y1 (ko) 상하 이동식 다목적 치솔
KR101861186B1 (ko) 치간칫솔
KR910001958Y1 (ko) 거울이 부착된 칫솔
KR101869208B1 (ko) 다각도 손가락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