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586B1 -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 Google Patents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586B1
KR101539586B1 KR1020140160694A KR20140160694A KR101539586B1 KR 101539586 B1 KR101539586 B1 KR 101539586B1 KR 1020140160694 A KR1020140160694 A KR 1020140160694A KR 20140160694 A KR20140160694 A KR 20140160694A KR 101539586 B1 KR101539586 B1 KR 10153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protrusion
distance
indica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영근
Original Assignee
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영근 filed Critical 현영근
Priority to KR102014016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치열 상태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는 사람의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헤드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헤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바디와, 헤드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헤드의 가장자리에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일정한 간격 비율로 우측으로 차례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및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헤드의 가장자리에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일정한 간격 비율로 좌측으로 차례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 및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는 피검자의 치아에 갖다 대는 것으로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가 좌우 대칭의 일정한 치간 거리 비율로 고르게 배열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Guage for Measuring Interdental Distance and Measuring Guage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치아 배열 상태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와 치열은 사람의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치과교정술이 성행하고 있다.
치아가 삐뚤어지고 치열이 고르지 못한 부정교합 상태인 경우,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쳐 인상이 나빠질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을 씹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아 사이로 발음이 새 발음이 불명확해지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치과교정술은 이러한 부정교합을 바로 잡아줌으로써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
치과 교정술은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치열 교정 시술과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이 있다. 악교정 수술은 치열 교정 시술만으로는 얼굴모양의 개선과 치아기능의 개선이 불완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성장중인 아이들의 경우 치열 교정 시술을 통해 골격적인 개선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교정이 가능하지만, 성인의 경우는 치열 교정만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있어 악교정 수술이 치열 교정 시술과 병행하여 시술되기도 한다.
이 밖에 인공치아 이식도 치아에 대한 기능적/심미적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 교정술이나 인공치아 이식을 통한 치아 치료 후, 의사나 환자는 치료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경우, 객관적인 기준이 없이 육안으로 치료 결과를 확인하고 있어 보는 사람에 따라 치료 결과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고객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의사와 고객이 육안으로 고객의 치열 상태를 판단하게 되면 서로간에 치열 상태에 대한 이견이 생겨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5306호(2000. 01. 2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6183호(2004. 03. 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치열 상태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는 사람 치아의 치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헤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바디;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좌측 중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우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우측 측절치와 우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좌측 중절치와 좌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 및 상기 사람의 좌측 측절치와 좌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측정게이지 세트는, 사람의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헤드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바디와,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좌측 중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우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우측 측절치와 우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좌측 중절치와 좌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좌측 측절치와 좌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상기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는 단순한 구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피검자의 치아에 갖다 대는 것으로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가 좌우 대칭의 일정한 치간 거리 비율로 고르게 배열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를 이용하면 치과 교정술이나 인공치아 이식을 통한 치아 치료 후, 환자의 치료 결과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가 고객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를 이용하면 고객의 치열 상태를 객관적으로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 고객에 대한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측정게이지 세트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구비된 치간 지시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피검자의 상악 치아들의 배열 간격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측정게이지 세트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구비된 치간 지시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피검자의 상악 치아들의 배열 간격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는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와,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게이지 세트(100)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를 사람의 치열에 대고 치아 배열 상태를 신속하고 간단하며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는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겉보기 치아 크기(얼굴의 정면에서 보여지는 평면 상의 치아 크기) 등에 따른 사이즈 별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개수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갖춰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측정게이지 세트(100)는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평균적인 겉보기 중절치 크기(또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의 간격)에 따라 8.0 ~ 9.5까지 0.5mm 간격씩 차이가 나는 네 개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가 구비된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를 갖추면 피검자의 치아 크기에 맞춰 적절한 크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선택하여 그 사람의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물론,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의 개수나, 각각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에는 결합구멍(115)이 구비되고, 이 결합구멍(115)에 연결부재(170)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는 하나의 세트로 묶인다. 도면에는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가 링형의 연결부재(170)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연결부재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와 연결부재의 연결 구조도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의 결합구멍에 연결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는 그 사이즈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만 발췌하여 그 구체적인 구조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나머지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40)(150)(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는 헤드(120)와, 바디(125)와, 헤드(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 및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이다.
헤드(120)는 사람의 상악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헤드(120)를 사람의 상악 치아에 정면으로 대면 헤드(120)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악의 좌우측 중절치(10)(14)와, 좌우측 측절치(11)(15) 및 좌우측 견치(12)(16)의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바디(125)는 사용자(검사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헤드(12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다. 바디(125)는 목부(126)와, 연결부(127)와, 손잡이부(128)를 포함한다. 목부(126)는 헤드(120)의 중앙에 헤드(12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연결부(127)는 목부(126)와 손잡이부(128) 사이에 목부(126) 및 손잡이부(128)와 각각 경사지게 연결된다. 따라서, 목부(126)와 손잡이부(128)는 연결부(127)를 통해 상호 단차지게 연결된다.
즉, 목부(126)는 아치형 헤드(120)의 외주면과 거의 동일하게 배치되고, 손잡이부(128)는 목부(126)보다 헤드(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외측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바디(125)의 손잡이부(128)를 잡고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정면으로 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바디(125)를 손잡이부(128)가 헤드(120)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하면, 검사자가 바디(125)를 잡고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댈 때 검사자의 손이 피검자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25)의 손잡이부(128)에는 해당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의 사이즈를 표시하는 치수 마크(129)가 마킹된다. 치수 마크(129)로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평균적인 겉보기 중절치 크기(또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의 간격)가 마킹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패턴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가 헤드(120)의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의 우측으로 복수의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132)(133)가 일정한 간격 비율로 배치되고,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의 좌측으로 복수의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135)(136)가 복수의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132)(133)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132)(133)와 복수의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135)(136)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는 피검자의 우측 중절치(10)와 좌측 중절치(14)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댈 때 기준이 된다. 즉, 검사자는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댈 때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를 우측 중절치(10)와 좌측 중절치(14) 사이의 치간에 댄 상태로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는 피검자의 우측 중절치(10)와 좌측 중절치(14)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헤드(12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어 끝단이 뾰족한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를 산모양으로 하면 검사자가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댈 때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가 피검자의 우측 중절치(10)와 좌측 중절치(14) 사이의 움푹 들어간 치간 속에 삽입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헤드(120)를 흔들리지 않게 피검자의 치아에 대고 치아의 배열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는 피검자의 우측 중절치(10)와 우측 측절치(11)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우측 중절치(10)와 우측 측절치(11)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는 피검자의 우측 측절치(11)와 우측 견치(12)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우측 측절치(11)와 우측 견치(12)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는 피검자의 우측 견치(12)와 우측 제 1 소구치(13)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와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우측 견치(12)와 우측 제 1 소구치(13)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는 피검자의 좌측 중절치(14)와 좌측 측절치(15)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좌측 중절치(14)와 좌측 측절치(15)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 사이의 간격은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 사이의 간격과 같다.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는 피검자의 좌측 측절치(15)와 좌측 견치(16)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와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좌측 측절치(15)와 좌측 견치(16)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와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 사이의 간격은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 사이의 간격과 같다.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는 헤드(120)의 굽은 상부 가장자리에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는 피검자의 좌측 견치(16)와 좌측 제 1 소구치(17)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같이 산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와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 사이의 간격은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의 좌측 견치(16)와 좌측 제 1 소구치(17) 사이의 평균적인 치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와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 사이의 간격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와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 사이의 간격과 같다.
일반적으로, 고른 치아 배열은 사람의 얼굴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보여지는 치아들의 평면 상의 모양이 고르고,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격들이 중앙에서 좌우 측부로 가면서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좌우 대칭적인 치아 배열을 말한다. 이러한 고른 치아 배열은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와 좋은 인상을 만들어주어 심미적으로 우수한 치아 특성일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잘 씹고 말할 때 발음을 정확하게 해주어 기능적으로도 우수한 치아 특성이다.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격들이 중앙에서 좌우 측부로 가면서 황금 비율(1.618:1)로 감소되는 좌우 대칭적인 치아 배열이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치아 배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에서 좌우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들(131)(132)(133)(134)(135)(136) 사이의 간격이 황금 비율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헤드(120)를 정면에서 바라본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 사이의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와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 사이의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의 비율은 황금 비율이다. 그리고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 사이의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와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132)와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133) 사이의 제 3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C1)의 비율도 황금 비율이다.
또한, 헤드(120)를 정면에서 바라본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와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 사이의 제 1 좌측 겉보기 치간 거리(A2)와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와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 사이의 제 2 좌측 겉보기 치간 거리(B2)의 비율은 황금 비율이다. 그리고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와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 사이의 제 2 좌측 겉보기 치간 거리(B2)와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135)와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136) 사이의 제 3 좌측 겉보기 치간 거리(C2)의 비율도 황금 비율이다.
여기에서, 겉보기 치간 거리(A1)(B1)(C1)(A2)(B2)(C2)는 얼굴의 정면에서 보여지는 평면 상의 치아와 치아 사이의 거리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검사자는 측정게이지 세트(100)에 구비된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 중 피검자에 맞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를 선택하여 피검자의 정면에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00)의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가 피검자의 좌우측 중절치(10)(14) 사이의 치간에 위치하도록 헤드(120)를 피검자의 치아에 갖다 댄다. 이때,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132)(133)와 복수의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135)(136)가 피검자의 치아 사이사이의 치간에 위치한다면 피검자는 고른 치아 배열을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편, 복수의 우측 치간 지시돌기(131)(132)(133)와 복수의 좌측 치간 지시돌기(134)(135)(136) 중 하나라도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간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피검자는 고른 치아 배열을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는 간단한 구조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를 피검자의 치아에 갖다 대는 것으로 피검자의 치아 배열 상태가 좌우 대칭의 일정한 치간 거리 비율로 고르게 배열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를 이용하면 치과 교정술이나 인공치아 이식을 통한 치아 치료 후, 환자의 치료 결과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가 고객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를 이용하면 고객의 치열 상태를 객관적으로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 고객에 대한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쉬워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가 7개씩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구비되는 치간 지시돌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는 좌우측 중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좌우측 중절치와 좌우측 측철치 사이 각각의 치간을 지시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및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와, 좌우측 측절치와 좌우측 견치 사이 각각의 치간을 지시하는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 및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 등 모두 5개의 치간 지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는 도시된 것에 대해 좌우측 제 1 소구치와 좌우측 제 2 소구치 사이 각각의 치간을 지시하는 두 개의 좌우측 치간 지시돌기를 더 포함하여 모두 9개의 치간 지시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바디(125)가 헤드(120)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바디는 검사자가 손으로 잡고 헤드를 피검자의 치아에 댈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치간 지시돌기(130~136)가 헤드(12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어 끝단이 뾰족한 산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치간 지시돌기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간을 검사자나 피검자가 바로 알아볼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의 치수 마크(129)로서 고른 치아 배열을 갖는 사람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평균적인 겉보기 중절치 크기(또는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의 간격)가 마킹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치수 마크로는 각각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의 사이즈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치수 또는 구분 기호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130~136)는 중앙의 중앙 치간 지시돌기(130)에서 좌우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들(131)(132)(133)(134)(135)(136) 사이의 간격이 황금 비율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구비되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들은 중앙에서 좌우 측부로 가면서 각각의 간격이 황금 비율 이외의 다른 일정한 비율로 줄어드는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100)가 피검자의 상악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110)(140)(150)(160)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측정게이지 세트는 피검자의 하악 치아 배열 상태를 검사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갖는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구비되는 복수의 치간 지시돌기들은 중앙에서 좌우 측부로 가면서 각각의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줄어드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0 : 우측 중절치 11 : 우측 측절치
12 : 우측 견치 13 : 우측 제 1 소구치
14 : 좌측 중절치 15 : 좌측 측절치
16 : 좌측 견치 16 : 좌측 제 1 소구치
100 : 측정게이지 세트
110, 140, 150, 160 :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115 : 결합구멍 120 : 헤드
125 : 바디 126 : 목부
127 : 연결부 128 : 손잡이부
129 : 치수 마크 130 : 중앙 치간 지시돌기
131, 132, 133 : 제 1, 2, 3 우측 치간 지시돌기
134, 135, 136 : 제 1, 2, 3 좌측 치간 지시돌기
A1, B1, C1 : 제 1, 2, 3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
A2, B2, C2 : 제 1, 2, 3 좌측 겉보기 치간 거리

Claims (11)

  1. 사람 치아의 치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헤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바디;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좌측 중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우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우측 측절치와 우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
    상기 사람의 좌측 중절치와 좌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 및
    상기 사람의 좌측 측절치와 좌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우측 견치와 좌측 제 1 소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 및
    상기 사람의 좌측 견치와 좌측 제 1 소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3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의 비율은 상기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3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3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C1)의 비율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와 상기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의 비율은 황금 비율(1.6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2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B1)의 비율은 황금 비율(1.6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좌우측 중절치, 좌우측 측절치, 좌우측 견치는 상기 사람의 상악 치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헤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목부와, 상기 목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목부와 단차지도록 상기 연결부와 경사지게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헤드 또는 바디에 마킹되는 치수 마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9. 사람의 치아 배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헤드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바디와,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좌측 중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되는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우측 중절치와 우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우측 측절치와 우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좌측 중절치와 좌측 측절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사람의 좌측 측절치와 좌측 견치 사이의 치간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좌측 치간 지시돌기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2 우측 치간 지시돌기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구비되는 제 2 좌측 치간 지시돌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상기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게이지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각각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각각의 상기 중앙 치간 지시돌기와 상기 제 1 우측 치간 지시돌기 사이의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게이지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각각의 상기 제 1 우측 겉보기 치간 거리(A1)는 0.5mm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게이지 세트.
KR1020140160694A 2014-11-18 2014-11-18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KR10153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694A KR101539586B1 (ko) 2014-11-18 2014-11-18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694A KR101539586B1 (ko) 2014-11-18 2014-11-18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586B1 true KR101539586B1 (ko) 2015-07-28

Family

ID=5387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694A KR101539586B1 (ko) 2014-11-18 2014-11-18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38B1 (ko) * 2019-04-05 2020-10-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치료용 아치라인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교정치료용 영상 처리장치
KR20230091282A (ko) 2021-12-16 2023-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306A (ko) * 1996-04-10 2000-01-25 쿠라덴 아게 치간 간극의 측정방법과 측정기구
JP2000333974A (ja) * 1999-05-26 2000-12-05 Taihei Kogyo Kk 歯間ゲージ
KR200346183Y1 (ko) * 2003-10-14 2004-03-30 주식회사 오스템 치과용 틈새게이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306A (ko) * 1996-04-10 2000-01-25 쿠라덴 아게 치간 간극의 측정방법과 측정기구
JP2000333974A (ja) * 1999-05-26 2000-12-05 Taihei Kogyo Kk 歯間ゲージ
KR200346183Y1 (ko) * 2003-10-14 2004-03-30 주식회사 오스템 치과용 틈새게이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38B1 (ko) * 2019-04-05 2020-10-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치료용 아치라인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교정치료용 영상 처리장치
WO2020204375A1 (ko) * 2019-04-05 2020-10-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치료용 아치라인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교정치료용 영상 처리장치
KR20230091282A (ko) 2021-12-16 2023-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도변경이 용이한 치간공극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mitrienko et al. Interrelation between sagittal and transversal sizes in form variations of maxillary dental arches
JP3792159B2 (ja) 口腔用筋圧測定装置、口腔用筋圧測定装置用アダプター、及び口腔用筋圧測定装置用マウスピース
Krishnappa et al. Palatal rugoscopy: Implementation in forensic odontology–A review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Valentim et al. Evalua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tongue and lip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oth
KR101539586B1 (ko) 치간 거리 측정게이지 및 이를 갖는 측정게이지 세트
Aruna et al. Correlation betwee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length of little finger.
Hashim et al. Prediction of the size of un-erupted permanent cuspids and bicuspids in a Saudi sample: a pilot study
Weaver et al. Changes in dental and basal archforms with preformed and customized archwir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Horton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Hawley and perfector/spring aligner retainers on postorthodontic occlusion
Kassab The selec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width in relation to facial measurements at different types of face form
Purmal et al. The application and correlation of Pont’s Index to the facial framework of three main ethnic groups in Malaysia
Kerstein Healthy and harmonised function via computer-guided occlusal force management
Shah et al. An alternative technique to determin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from anthropometric study done in Gujarati population
CN206355175U (zh) 一种种植体周围牙龈高度测量尺
Juneja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separation effect and perception of pain using two different orthodontic separators
Al–Hamdany et al. Correlation of vertical dimensions of soft tissue facial profiles
US10010391B2 (en) Device for evaluating dental crown contacts
RU240226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размеров зубов по индивидуальным параметрам лица
Ekka et al. Mesiodistal crown width digital ratio for Kerala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urvey
Begum et al.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 discrepancies among different malocclusions in young permanent dentition of 13-15-year-old school children of Nalgonda District-South Indian population
Nada et al. Differences of patients with Angle class I type 1 profile before and after treated with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Gulve Curve of spee and its relation with dentoskeletal morphology in different skeletal growth pattern
KR200447220Y1 (ko) 치과용 교합지 홀더
Yousaf APPLICABILITY OF TANAKA JOHNSTON METHOD ON PAKISTANI PO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