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898A - 치간 칫솔기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898A
KR20180047898A KR1020160144736A KR20160144736A KR20180047898A KR 20180047898 A KR20180047898 A KR 20180047898A KR 1020160144736 A KR1020160144736 A KR 1020160144736A KR 20160144736 A KR20160144736 A KR 20160144736A KR 20180047898 A KR20180047898 A KR 2018004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urved
moving member
present
eff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길
Original Assignee
박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길 filed Critical 박찬길
Priority to KR102016014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898A/ko
Publication of KR2018004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3Magazins or sets of brushes components, e.g. plurality of brushes linked as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간 칫솔기에 관한 것으로서, 관형의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서 일단에 브러쉬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브러쉬부를 가이드 인출시키는 관형의 인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간 칫솔기는 만곡 인출부에 의해 브러쉬부가 소정 각도 굽어진 채 외부로 나와 치아세척이 손쉽고, 사용자가 치간 칫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조작편을 만곡 인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브러쉬부를 치간 칫솔기의 외부에 존재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브러쉬부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몸체부 및 저장부를 분리하여 저장부 내부에 보관 중인 여분의 브러쉬부를 꺼내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간 칫솔기{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브러쉬부가 소정 각도 구부러져 나와 쉽게 닿지 않는 치아 또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는 치간 칫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기존에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에 강모형의 칫솔모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어금니와 같이 구강 안쪽에 위치한 치아의 경우 구강 구조가 곡선형이므로 직선형으로 형성된 칫솔로 치아를 세척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실 및 손잡이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휘어지는 칫솔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치실의 경우 치실을 파지하는 손을 구강 내부로 삽입해야 하므로 치아 외부의 이물질 제거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칫솔모의 경우 손잡이의 탄성에 한계가 존재하므로 구강 안쪽의 치아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3475호)에서는 유지부가 구부러져 브러시 암을 삽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1의 경우, 브러시 암은 구부러지지 않아 구강 안쪽에 위치한 치아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1의 경우, 사용자가 치간 칫솔을 사용하지 않을 때 브러시 암을 보관할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문헌1의 경우, 여분의 브러시 암을 보관할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3475호(2007.02.09.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브러쉬부가 소정 각도 구부러진 채로 분출되어 치아 또는 치아 사이의 세척이 용이한 치간 칫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 시에만 브러쉬부를 인출하고 비사용시에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다시 넣을 수 있는 치간 칫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여분의 브러쉬부를 보관할 수 있는 치간 칫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관형의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서, 일단에 브러쉬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브러쉬부를 가이드 인출시키는 관형의 인출부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기를 제공한다.
또한, 인출부는 브러쉬부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면서 가이드 인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치간 칫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쉬부가 소정 각도 구부러져 인출되어 쉽게 닫지 않는 안쪽 치아 또는 치아 사이의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사용시에 몸체부 내부에 브러쉬부가 들어가 외부 오염으로부터 브러쉬부를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상황 및 사용자의 희망에 맞는 여러 형상의 브러쉬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분의 브러쉬부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기 및 브러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기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곡 인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간 칫솔기는 관형의 몸체부(100), 슬라이딩 홈(110), 조작편(210), 브러쉬부(300)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만곡 인출부(500) 및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후술되겠지만, 브러쉬부(3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브러쉬부(300)는 일단이 원형반구형인 일반형, 브러쉬부(300)의 측면에 날이 구비된 칼날형, 브러쉬부(300)의 측면에 칫솔모가 구비된 칫솔모형, 및 브러쉬부(300)의 양 측면에 날이 구비되고 상기 날에 톱니가 구비된 톱니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b 참조).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부(300)가 일단이 원형반구형인 일반형인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내부에 브러쉬부(300)가 구비되고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몸체부(10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일단은 만곡 인출부(500)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부(100) 및 만곡 인출부(500)를 분리하여 브러쉬부(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몸체부(100) 내부의 청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타단은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00)의 타단에 이동부재(200) 및 브러쉬부(300)를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시키는 스프링(400)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10)은 이동부재(200) 및 브러쉬부(300)를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시키는 조작편(210)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조작편(210)은 이동부재(200)와 결합되어 있어, 조작편이 슬라이딩 홈을 따라서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브러쉬부가 만곡 인출부측으로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서 몸체부의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면 기호 (Y)로 표시하였다. 슬라이딩 홈(110)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슬라이딩 홈(110)의 길이는 조작편(210)의 조작을 통해 브러쉬부(300)가 치간 칫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을 정도록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20)은 이동부재(200)의 걸림부(230)가 걸려 이동부재가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걸림홈(120)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예를 들어 단면이 반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20)은 이동부재(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걸림홈(120) 및 걸림부(230)가 반구 형상을 갖는 이유는 걸림홈(120)에 걸림부(230)를 넣고 뺄 때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걸림홈(120)은 스프링(400)의 복원력을 대항하여 스프링(400)과 체결되는 이동부재(200)가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편(210)을 누르게 되면, 걸림부(230)가 걸림홈(1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재(200) 및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내측면은 조작편(210)을 눌러서 이동부재(200)가 몸체부(1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공간(E)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부(230)가 걸림홈(120)에서 이탈하여 이동부재(200)가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몸체부(100)에 구비된 공간(E)을 통해 조작편(210)을 가압함과 동시에 몸체부(1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230) 및 걸림홈(120)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재(200)는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00)는 브러쉬부(300)의 일단과 탈부착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브러쉬(300)부를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동부재(2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몸체부(100)와 동일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 인출부(500)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이동부재(200)의 일단은 브러쉬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 및 브러쉬부(300)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이동부재(200)에서 브러쉬부(30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00)의 측면에는 조작편(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조작편(210)은 이동부재(200)의 측면에서 몸체부(100)의 슬라이딩 홈(110)을 향해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조작편(210)은 슬라이딩 홈(110)을 통해 만곡 인출부(5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조작편(210)과 체결되는 이동부재(200) 또한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동부재(200)에 체결된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부(300)는 치아를 세척하는 구성이다. 브러쉬부(300)는 이동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브러쉬부(3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나와있는 상기 브러쉬부(300) 외에도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에서 용이하게 인출되어 치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면 어떠한 브러쉬부(300)의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의 각도(a)로 굽어진 만곡 인출부(500)를 통과하여 치간 칫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브러쉬부(300)는 플라스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브러쉬부(300)는 만곡 인출부로 인출되는 일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310)는 강성 재질(만곡되지 않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나머지 부분(32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재질(만곡될 수 있는 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2 개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짐으로써, 연성 재질에 의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치간으로 구부러질 수 있지만, 경성 부분만이 인출되기 때문에 보다 강한 힘으로 치간 사이를 세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00)의 측면에는 걸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30)는 걸림홈(120)과 체결되어 이동부재(200)가 만곡 인출부(500)로 갑자기 이동하는 오작동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걸림부(230)의 크기는 걸림홈(120)과 체결되기 위해 걸림홈(120)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30)는 스프링(400)이 수축했을 때 위치되는 이동부재(200) 및 걸림홈(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400)이 수축한 시점에 걸림홈(120) 및 걸림부(230)가 체결되어 의도하지 않은 스프링(400)의 신장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이동부재(200)의 진출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스프링(400)은 이동부재(200)를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스프링(400)은 이동부재(200)와 몸체부(100)의 타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400)이 최대한 신장했을 때, 이동부재(200)에 체결된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의 외부로 진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200)가 만곡 인출부(500) 방향으로 진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200)에 체결된 브러쉬부(300)가 만곡 인출부(500)로 이동하여 치간 칫솔기의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스프링(400)이 최대한 수축했을 때, 몸체부(100)의 걸림홈(120) 및 이동부재(200)의 걸림부(230)가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술한 조작편(210)을 만곡 인출부(5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홈(120) 및 걸림부(230)의 체결에 따라 스프링(400)이 수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조작편(210)을 몸체부(100)에 구비된 공간(E)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걸림부(230)가 걸림홈(120)에서 이탈되고, 이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재 및 브러쉬부가 만곡 인출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만곡 인출부(500)는 입 속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잘 닿지 않는 치아 또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해 브러쉬부(300)를 만곡시켜 치간 칫솔기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만곡 인출부(500)는 몸체부(10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만곡 인출부(500)는 몸체부(100)와 같은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만곡 인출부(500)의 타단이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것과 비교하여 만곡 인출부(500)의 일단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a)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부(300)는 만곡 인출부(500)에서 소정의 각도(a)로 굽어져 치간 칫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만곡 인출부(500)는 만곡 인출부(500)의 타단에서 만곡 인출부(500)의 일단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치아에 있는 이물질이 치간 칫솔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만곡 인출부(500) 일단은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치아 접촉부(500a)를 구비할 수 있다(도 5b 참조). 따라서, 만곡 인출부(500)를 잇몸에 접촉한 상태로 브러쉬부(300)를 인출하여 잇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상기 치아 접촉부는 주걱 형태(500b)를 가지고, 만곡 인출부(500)의 일단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c참조). 이는 만곡 인출부(500)가 치아에 접촉했을 때의 치아 및 잇몸의 손상을 피하기 위함이다. 만곡 인출부(500) 또는 만곡 인출부의 일단은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치아를 세척할 때 잇몸 또는 인접한 치아를 지지하고, 만곡 인출부(500)로 인해 잇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만곡 인출부(500)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소재뿐만 아니라 치아 및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면 어떤 재질이라도 바람직하다. 만곡 인출부(500)는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만곡 인출부(500)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만곡 인출부(500)를 회전시켜 구강 세척에 편한 만곡 인출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저장부(600)는 여분의 브러쉬부(300)를 보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저장부(600)는 이동부재(200)에 삽입되지 않은 여분의 브러쉬부(300)를 보관할 수 있다. 저장부(6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타단과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장부(600)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저장부(600)가 몸체부(100)와 체결될 수 있다면 어떤 저장부(600)의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600)는 브러쉬부(3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고 저장부(600)의 저면은 밀폐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몸체부 110 : 슬라이딩 홈
120 : 걸림홈 200 : 이동부재
210 : 조작편 230 : 걸림부
300 : 브러쉬부 400 : 스프링
500 : 만곡 인출부 600 : 저장부

Claims (8)

  1. 관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200);
    상기 이동부재(200)의 일단에 구비되는 브러쉬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부(300)를 가이드 인출시키는 관형의 만곡 인출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 인출부(500)는 브러쉬부(300)가 소정의 각도(a)로 휘어지면서 가이드 인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타단이 밀폐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1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200)의 측면에 조작편(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300)는 가이드 인출 시 소정의 각도(a)로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 사이에 스프링(4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과 나사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저장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6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여분의 상기 브러쉬부(300)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20);및
    상기 이동부재(2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120)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300)는 가이드 인출 시 소정의 각도(a)로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기.

KR1020160144736A 2016-11-01 2016-11-01 치간 칫솔기 KR20180047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736A KR20180047898A (ko) 2016-11-01 2016-11-01 치간 칫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736A KR20180047898A (ko) 2016-11-01 2016-11-01 치간 칫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98A true KR20180047898A (ko) 2018-05-10

Family

ID=6218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736A KR20180047898A (ko) 2016-11-01 2016-11-01 치간 칫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8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3022A1 (en) * 2019-07-30 2022-05-05 Xing Zhou Retractable built-in interdental brus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587A (ko) * 1999-07-29 2001-02-15 장지일 치간칫솔
KR200417701Y1 (ko) * 2006-03-09 2006-06-02 노창현 치간칫솔
KR20100029487A (ko) * 2008-09-08 2010-03-17 이황수 치간 칫솔
WO2015166591A1 (ja) * 2014-05-02 2015-11-05 一夫 湯田 歯間ブラシ
US20160278896A1 (en) * 2014-03-12 2016-09-29 Xing Zhou Interdental brus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587A (ko) * 1999-07-29 2001-02-15 장지일 치간칫솔
KR200417701Y1 (ko) * 2006-03-09 2006-06-02 노창현 치간칫솔
KR20100029487A (ko) * 2008-09-08 2010-03-17 이황수 치간 칫솔
US20160278896A1 (en) * 2014-03-12 2016-09-29 Xing Zhou Interdental brush
WO2015166591A1 (ja) * 2014-05-02 2015-11-05 一夫 湯田 歯間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3022A1 (en) * 2019-07-30 2022-05-05 Xing Zhou Retractable built-in interdental bru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JP6361991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KR101387383B1 (ko)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US10888403B2 (en) Interdental brush and cleaning device for the same
KR20180047898A (ko) 치간 칫솔기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JP6308332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KR200484576Y1 (ko) 칫솔
TWM579963U (zh) 具手把外罩之牙齒清潔工具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JP2004313446A (ja) 歯間清掃具
KR102136363B1 (ko) 조립식 칫솔
US20050071939A1 (en) Dual head toothbrush
US20170164727A1 (en) Oral Care Device
KR20100029487A (ko) 치간 칫솔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20230034693A (ko) 혀 크리너
KR102609026B1 (ko) 회전형 칫솔
JP3097244U (ja) 歯間清掃具
KR102049094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칫솔
KR101356341B1 (ko) 휴대용 치간칫솔
KR20190101736A (ko) 휴대용 다기능 칫솔
KR200357415Y1 (ko) 치간칫솔
KR101861186B1 (ko)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