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611Y1 - 이쑤시개 - Google Patents

이쑤시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611Y1
KR200350611Y1 KR20-2004-0005345U KR20040005345U KR200350611Y1 KR 200350611 Y1 KR200350611 Y1 KR 200350611Y1 KR 20040005345 U KR20040005345 U KR 20040005345U KR 200350611 Y1 KR200350611 Y1 KR 200350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pick
blade
flat portion
po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수
Original Assignee
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수 filed Critical 강명수
Priority to KR20-2004-0005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쑤시개 본체 타측에 평탄부 및 날부를 형성시켜 치아 사이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서도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쑤시개{A toothpick}
본 고안은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이쑤시개는 주로 재질이 나무로 되어있고 일측은 손잡이 기능을 하고 타측은 뾰족하게 한 뾰족부를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 뾰족부는 끝단부가 매우 뾰족하게 되어 치아사이의 이물질 제거에는 유용하나, 이 뾰족한 부분이 본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치아사이에 뾰족부를 넣어 사용시 직경이 큰 부분의 이쑤시개 부위에 의해 치아 사이의간격을 넓혀 치아를 망손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치아의 망손을 방지하기 위한 이쑤시개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이쑤시개 본체 일측에 뾰족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본체 타측에 평탄부를 형성하되, 평탄부 양단에 날부를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쑤시개 본체
11 : 이쑤시개 뾰족부
12 : 이쑤시개 평탄부
12A, 12B : 날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이쑤시개 본체(10) 일측에 뾰족부(11)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타측에 평탄부(12)를 형성하되, 평탄부(12) 양단에 날부(12A)(12B)를 형성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뾰족부(11)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뾰족부(11)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부(12)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탄부(12) 양단에 형성시킨 날부(12A) 또는 날부(12B)를 치아사이에 위치시킨 후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평탄부(12) 면적이 얇으면서 좁고 날부(12A)(12B)가 뾰족하므로 날부(12A) 또는 날부(12B)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시 날부(12A)(12B)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부(12)는 평탄하면서 좁으므로 치아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데 큰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치아의 망손을 방지하면서 이물질 제거가 효율적이다.
본 고안은 이쑤시개 본체 타측에 평탄부 및 날부를 형성시켜 치아 사이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서도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이쑤시개 본체(10) 일측에 뾰족부(11)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타측에 평탄부(12)를 형성하되, 평탄부(12) 양단에 날부(12A)(12B)를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KR20-2004-0005345U 2004-02-27 2004-02-27 이쑤시개 KR200350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45U KR200350611Y1 (ko) 2004-02-27 2004-02-27 이쑤시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45U KR200350611Y1 (ko) 2004-02-27 2004-02-27 이쑤시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611Y1 true KR200350611Y1 (ko) 2004-05-13

Family

ID=4943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345U KR200350611Y1 (ko) 2004-02-27 2004-02-27 이쑤시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6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76A3 (ko) * 2019-04-05 2021-01-07 이성원 이쑤시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76A3 (ko) * 2019-04-05 2021-01-07 이성원 이쑤시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57902A3 (en) Ablating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for removal of dental periapical lesions
ATE466539T1 (de) Dentales handinstrument
DE602006015132D1 (de) Nasenhaarschneidegerät
KR200458375Y1 (ko)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200350611Y1 (ko) 이쑤시개
WO2006131253A3 (de) Zahnzwischenraumreiniger
KR200411995Y1 (ko) 치아 및 잇몸 보호용 이쑤시개
RU2005106731A (ru) Ирригационный шпатель для микрофакоэмульсификации
KR200246662Y1 (ko) 이쑤시게
KR200196045Y1 (ko) 이쑤시개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200288981Y1 (ko) 이쑤시개
KR200220966Y1 (ko) 귀이 개를 겸한 이쑤시개
KR200355077Y1 (ko) 예초기 칼날
KR200295084Y1 (ko) 1회용 이쑤시개
JP3238550U (ja) 鼻クソかき取り道具
KR200331516Y1 (ko) 자일리톨 이쑤시개
JP3115189U (ja) 爪楊枝
KR200253460Y1 (ko) 톱날
KR200320347Y1 (ko) 안전 이쑤시개
KR200233785Y1 (ko) 브러시가 구비된 이쑤시개
KR200235879Y1 (ko) 이쑤시개
KR200399479Y1 (ko) 채칼용 칼날
JP3112300U (ja) 鱗の取れる包丁
JP3188430U (ja) 爪楊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