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029A - 멀티미디어 설비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029A
KR20200116029A KR1020200027504A KR20200027504A KR20200116029A KR 20200116029 A KR20200116029 A KR 20200116029A KR 1020200027504 A KR1020200027504 A KR 1020200027504A KR 20200027504 A KR20200027504 A KR 20200027504A KR 20200116029 A KR20200116029 A KR 2020011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oudspeaker
base
assemblies
loudspeaker assemb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447B1 (ko
Inventor
베어스트룀 그라백 자콥
Original Assignee
방 앤드 오루프센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 앤드 오루프센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방 앤드 오루프센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1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고정부 및 가동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설비로서, 멀티미디어 설비를 작동시킴으로써 스크린이 가동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도록, 비디오 스크린이 베이스에 장착되고 두 개의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가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에 장착되고,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볼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가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위치로부터 스크린의 적어도 실질적인 더 큰 부분이 보이는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원할 경우에는 다시 제 1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설비{Multimedia install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설비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설비들은 전형적으로 스크린, 라우드스피커들(loudspeakers) 및 텔레비전 제공자, 라디오 제공자, 다양한 인터넷 플랫폼 등으로부터의 신호의 형태를 띄는 입력을 스크린과 라우드스피커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들도 멀티미디어 설비에 포함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모든 시스템들에 대하여, 높아진 스크린 품질 및 해상도와 함께 대형 스크린 가격의 하락이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증가하는 스크린 크기를 얻도록 촉진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음성 및 영상 컨텐츠 양쪽 모두의 높은 품질은 또한 최선의 성능으로 스크린에 영상들을 재생산하고 라우드스피커들에서 음성을 재생산하기 위해 제대로 된 오디오 및 비디오 설비를 필요로 한다. 동시에 라우드스피커와 스크린 양쪽 모두의 증가하는 크기는 가정 및 다른 장소 내의 더 많은 공간 및 벽면 영역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멀티미디어 설비들은 인테리어 장식 계획에서 더욱 더 지배적이게 되고 있다.
비디오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는 대형 스크린을 “숨기고” 그림이나 예술작품으로 위장시키기 위해 영구적인 그림 또는 거의 영구적인 그림을 스크린에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져 왔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원이 꺼진 검은 스크린을 “숨기기” 위해 적합한 재료 내에 형성되는 롤러 도어(roller doors) 또는 블라인드(blinds)를 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모두 멀티미디어 설비로 하여금 환경에 더 잘 융합하게 하도록 시도하지만, 멀티미디어 설비가 여전히 인테리어 장식 계획의 상당한 공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바꾸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다른 장점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멀티미디어 설비가 사용될 때보다 덜 지배적이고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스크린 상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및 다른 놀라운 효과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은 고정부 및 가동부(movable part)를 구비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설비로서, 멀티미디어 설비를 작동시킴으로써 스크린이 가동부에 의해 올려지도록(elevate), 비디오 스크린이 베이스에 장착되고 두 개의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에 장착되고,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사용자의 위치에서 볼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위치(position)로부터 스크린의 적어도 실질적이고 더 큰 부분이 보이는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회전시키고 원할 경우에는 다시 제 1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다룬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위치로부터 스크린이 거의 또는 완전히 보이는, 즉, 작동될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및 스크린이 멀티미디어 설비 전체에 펼쳐지는(fold out) 제 2 위치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이동될 수 있다는 사실은, 첫째로 방 안의 사용자에게 놀라운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내고 두번째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스크린 앞에서 접히거나 회전한다는 점에서, 예를 들면 스크린의 외곽 한계에 대응하는 최소의 (벽) 공간만을 차지한다.
또한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부 표면을 갖는 라우드스피커들을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큰 멀티미디어 설비의 인테리어 장식 계획에 대한 영향은 최소화될 수 있고 또는 인테리어 장식 계획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스크린이 올라감에 따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돌아갈 때 스크린과 간섭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사운드 바(sound bar)를 제공할 수 있는 라우드스피커를 위한 공간이 아래에 만들어진다.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고정부에 대하여 가동부를 올리고 내림으로써 스크린을 올리고 내리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기(actuator)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설비가 펼쳐지고 그것의 사용 구성, 즉, 올라간 스크린 및 회전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달성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설비를 작동시키는 것 또는 켜는 것(turning on)이 움직이고 있는 스크린 및 라우드스피커들의 움직임을 초기에 설정하도록, 움직임을 위해 제공되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기는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고 또는 멀티미디어 설비 상의 스위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자명하듯이, 물리적 크기, 예를 들면 스크린의 물리적 크기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물리적 크기와 전적으로 별개이며, 이에 따라, 스크린은 단순히 올려지거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뒤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베이스가 충분히 강하고 충분히 안정적인 한 임의의 크기의 스크린이 멀티미디어 설비에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린의 측면들은 시스템의 나머지 것들과 전적으로 별개이고 베이스는 스크린을 (라우드스피커가 없는) 적절한 높이로 올릴 수 있게 될 뿐이다.
실무적으로, 심미적 이유로 스크린은 보는 사람이 의자 따위에 자리를 잡고 편안히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야각(viewing angle)을 제공하는 높이로, 즉, 실질적으로 눈 높이 또는 그보다 약간 높게 올려질 것이다.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유닛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면과 스크린의 하부 측면 사이에 중대한 간격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회전된 제 2 위치에서 멀티미디어 설비가 그 자신을 실질적으로 동종의 구조(homogenous structure)로 나타내도록 제 2 위치에서의 라우드스피커의 높이가 되는 제 1 위치에서의 라우드스피커의 폭이 치수화될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스크린 크기와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 크기 사이의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명백하게도 상대적인 크기는, 전체 스크린을 노출시키고 통합 유닛에서 라우드스피커들을 제공하기 위해 스크린이 올려지면서 동시에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회전할 수 있는 발명적 개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가 스크린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되고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베이스에는 고정부에 부착된 두 개의 그라운드 타워가 제공되고, 각 그라운드 타워에는 원위 단부(distal end)에 레버 암(lever arm)의 제 1 단부로의 피봇식 연결이 제공되고, 상기 레버 암은 반대쪽 단부에서 하나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동일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는 베이스의 가동부 상에 제공되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 연결 지점으로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그라운드 타워에는 하나의 원위 단부에, 즉, 베이스의 고정부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에, 피봇 가능한 연결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은 다른 단부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로 연결된 레버 암이 연결 지점 주위에서 축을 중심으로 돌 수 있도록 한다(pivot).
베이스의 가동부가 고정부에 비해 올려질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와 가동부 사이에 제공된 연결 지점으로 인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는 가동부와 함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를 위로 당길 것이다. 레버 암은 가동부의 상승 동안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로 하여금 회전하도록 할 것이다(레버 암과 라우드스피커 사이의 연결 지점과 라우드스피커와 가동부 사이의 연결 지점이 오프셋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움직임으로, 베이스 가동부의 상승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90도 회전에 상응한다는 것이 예측된다. 가동부가 베이스의 고정부에 대해 낮추어질 때 반대 움직임이 일어날 것이고, 즉,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라우드스피커와 가동 섹션 사이의 연결 지점과 레버 암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회전하여 돌아올 것이다.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가동부 상에 제공된 연결 지점들은 레버 암과 가동부 사이의 피봇 연결이 길이방향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가동부의 움직임 방향에 수직인 길이방향 확장을 가지고 배치된 상기 길이방향 개구들이다.
길이방향의 개구들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모서리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이로써 움직이는 동안 서로에게 손상을 가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도록, 라우드스피커들의 측면 움직임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어 그들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안정 위치(rest positions)(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라우드스피커들 사이의 매우 좁은 간격의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가동부가 올려지는 방향에 대하여 측면으로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유리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에 측면 제어 암이 제공되고,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가 회전함에 따라 측면 제어 암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인접하고 가장 가까운 측면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측면 제어 암은 하나의 단부에서 가동부에 있는 연결 지점들에 인접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다.
측면 제어 암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의 움직임 동안 두 개의 회전하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사이에 최소한의 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길이방향 개구들은 제 1 위치 및 특히 제 2 위치 양쪽 모두에서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매우 정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의, 및 그 반대의 움직임 동안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서로에 대한 약간의 변위(displacement)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가동부의 상하 움직임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차축(axles), 벨트,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또는 체인을 통해 각각의 전기 모터들에 연결되고, 제어 유닛은 실질적으로 스크린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는데 경과되는 시간 동안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도록 차축이 돌아가는 것(turning)을 제어한다.
위에서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움직임이 기계적 수단, 즉, 레버 암과 베이스 가동부의 움직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기술었지만, 예를 들면 잘 알려진 기계적 수단들에 의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각각의 전기 모터에, 특히 스텝 모터에 연결함으로써 그 움직임을 만들 수 있도록, 즉,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전기 모터 수단에 의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움직임은 베이스의 상승부의 움직임과 조화(coordinate)를 이루게 될 수 있다는 것도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려된다.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서, 스크린의 표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실질적으로 스크린을 덮을 것이 예견된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스크린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이러한 구성에서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제 1 위치에 있는 위치, 즉, 스크린이 올려지지 않은 위치에서 스크린은 실질적으로 가려질 것이다. 또한 스크린이 항상 부분적으로 보이고 스크린의 보이는 부분이 예를 들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에 대한 정보, 이메일, 달력에 대한 리마인더(reminder) 등과 같은 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실질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설비가 작동됨에 따라, 즉, 스크린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올려질 것임에 따라, 스크린은 그것의 본래의 목적으로 돌아갈 것이고, 즉 예를 들면 영화 또는 전체화면 영상 따위를 표시하도록 돌아갈 것이다.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각각은 하우징 및 전면 커버(front cover)를 포함하고, 제 1 위치에서 내부 측면들이 서로 근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실질적 4면인 하우징 및 전면 커버 각각의 가장자리(periphery)를 측면들이 함께 정의하도록, 각각의 하우징 및 전면 커버는 하부 측면 및 상부 측면과, 상부 및 하부 측면들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하는 내부 및 외부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 커버는 하우징보다 실질적으로 더 클 수 있고,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양쪽 모두의 전면 커버들은, 내부 측면들이 하우징의 상응하는 측면과 평행하고 동일 평면에 있으며 하부 측면들이 각각의 하우징들의 하부 측면들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동일 평면에 있도록 배치된다.
평범한 거실에서 충분한 음압(sound pressure)을 제공하기 위해 80 인치 이상의 스크린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매우 큰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면 비교적 작은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전면 커버(front covers)가 80 인치가 넘는 초대형 스크린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과 매우 상이할 수 있는 전면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의 회전 동안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회전 움직임이 각각의 하우징들의 모서리들이 가까운 근접거리에 있도록 할 것이어서, 회전 동안 모든 위치에서 두 개의 회전하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제 1 위치에 있는 하우징의 하부 측면들이 전면 커버들의 하부 측면들과 동일 평면에 있고 하우징의 내부 측면들이, 즉, 제 1 위치에 있는 하우징들의 대향하는 측면들(facing sides)이 전면 커버들의 내부 측면들과 평행하고 동일 평면에 있도록, 전면 커버가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었다면, 제 1 및 제 2 위치에서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사이의 간격이 너무 컸을 것이고, 원하지 않는 설계 효과를 주었을 것이다.
이제 수반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발명이 설명될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스크린 및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가 그들의 제 1 위치에 있는 멀티미디어 설비를 도시한다.
도 2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의 제 2 위치로 회전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와 스크린의 제 2 위치로 올려진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분해 조립도(exploded view)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3개의 위치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의 회전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5는 스탠드가 베이스에 연결된,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베이스의 가동부를 도시한다.
도 6b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이 어떻게 회전하기 시작할 지를 도시한다.
도 6c는 약 90 °의 회전이 달성된 제 2 위치에 도달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7a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의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및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을 서로 가깝게 유지하는 측면 제어 암을 도시한다.
도 7b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 사이의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고 충돌을 피하기 위해 측면 제어 암들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킨 중간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7c는 측면 제어 암들이 다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을 서로 가깝게 당긴, 최종, 제 2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8c는 스크린과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의 다양한 조합들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특징을 표시할 것이다.
도 1에는 스크린(2) 및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설비(1)가 도시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설비(1)는 또한 이하 더 자세히 논의될 스탠드(5)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전면 커버(front covers)가 스크린의 상당한 부분을 덮는 제 1 위치에 있다.
도 2로 넘어가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그들이 스크린(2)을 덮지 않는 그들의 제 2 위치로 회전되었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었다.
실시예들에서, 제 2 위치에 있는 스크린의 도시된 측면 엣지들(side edges)은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엣지들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 그러나, 이는 정해진 것이거나 필요조건은 아니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예를 들면 그들이 제 1 위치에서 스크린을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스크린이 다른 바람직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처럼,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제 1 및 제 2 위치 양쪽 모두에서 스크린은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과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또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3에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분해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만을 위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 라우드스피커 커버들(3', 4') 및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 스크린(2) 및 스탠드(5)와 같은,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각각 라우드스피커 하우징(3', 4') 및 전면 커버들(front covers)(3'', 4'')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들(3'', 4'')은 하우징들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 보통 전면 커버들(3'', 4'')은 라우드스피커 하우징(3', 4')의 전면(front surface)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큰 크기를 가질 것이다. 도 8a 내지 8c와 관련하여 아래를 참고하라. 전면 커버들의 제 1 위치에서 전면 커버들(3'', 4'')의 높이는 전면 커버들의 제 2 위치에 있는 전면 커버들(3'', 4'')의 결합된 폭이 스크린(2)의 폭과 매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에는 스크린(2)의 상승(elevation)에 대하여 3개의 위치들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회전 움직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도 1에 상응하는 제 1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그들이 스크린(2)을 부분적으로 덮는 위치에 있다.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에 의해 덮이지 않은 스크린(2')의 영역은 다양한 정보(시간, 날짜, 이메일, 메시지, 그림 등)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설비(1)가 작동됨에 따라 스크린(2)은 들어올려진다. 동시에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은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고(화살표(6)에 의해 도시됨), 도 4b를 참고하라.
스크린(2)이 더 상승하는 것은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로 하여금 더 회전하여 도 4c에 도시된 제 2 위치에 도착하게 할 것이다. 수평 파선들(7, 7')은 각각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 있는 멀티미디어 설비 스크린의 상부 엣지의 레벨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4c를 참고하여 이상 기술되고 도시된 움직임은 다수의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2)은 스크린(2)을 낮은 위치(레벨(7'))에서 높은 위치(레벨(7))로 들어올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기 구동기(actuator)에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전기 모터는, 제어함(control box)에 의해 제어되고 조정되는 움직임으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돌리거나 회전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스크린(2)의 상승과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회전 양쪽 모두를 구동하는 하나의 모터만 갖는 것도 고려된다.
도 5 내지 7c를 참고하여 유리한 특정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5 내지 7c에서는 스크린이 묘사되어 있지 않다.
도 5에는 스탠드(5)가 베이스(10)에 연결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는 고정부(11)와 더불어 가동부(movable part)(12)를 포함한다.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선형 구동기들(13, 14)이 제공된다. 가동부(12)는 브릿지(15)와 더불어 플랫폼(16)을 포함한다.
브릿지(15)와 플랫폼(16)은 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브릿지(15)는 또한 연장 개구들(elongated apertures)(17, 18)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들(17, 18)은 여기서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에 의해 도시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로의 연결 지점을 만들기 위해 이용된다(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전면 커버들(3'', 4'')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
뿐만 아니라 고정부(11)에는 두 개의 그라운드 타워들(19, 20)이 제공된다. 각각의 그라운드 타워(19, 20)는 하나의 단부에서 고정부(11)에 연결되고 자유 원위 단부(free distal end)(19', 20')에는 피봇 가능한(pivotable) 연결 지점이 제공된다. 원위 단부들(19', 20')에 있는 피봇 가능한 연결 지점은 레버 암(lever arm)(21, 21')에 연결된다. 도 5에는 하나의 레버 암(21)만 보이지만, 대칭적인 배치가 제공되어 다른 그라운드 타워(20)의 원위 단부(20')에 연결된 제 2 레버 암(21')도 제공된다. 이는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라운드 타워(19, 20)의 원위 단부(19', 20')에 연결된 레버 암(21, 21')의 단부에서의 레버 암(21, 21')의 반대쪽 단부에는, 레버 암(21, 21')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3', 4')의 후면에 연결된다. 이제 도 5를 참고하여 기술된 부분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위에서 기술된 부분들과 함께 베이스(10)에 대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움직임을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6a 내지 6c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6a는 도 1에도 도시된 위치, 즉,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이 스크린(2) 앞의 제 1 위치에 있는 위치에 상응한다. 스크린(2)은 도 5 내지 7c 중 어느 것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크린은 브릿지(15) 및 플랫폼(16) 상에 장착되어 있거나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6a에는 베이스(10)의 가동부(12)가 그것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즉,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이 스크린(2) 앞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도 6a 내지 7c에는 오로지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필수적인 베이스(10)의 부분과 더불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만 도시되어 있다. 연장 개구들(17, 18)이 제공된 브릿지(15)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후면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레버 암들(21, 21')은 그라운드 타워들(19, 20)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에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후면에 피봇식으로(pivotally) 연결된다.
구동기들(13, 14)이 작동됨에 따라 가동부(12)는 스탠드(5)에 장착된 고정부(11)에 대하여 움직일 것이다. 레버 암들(21, 21')이 고정부(11) 상에 (그라운드 타워들(19, 20)의 원위 단부들(19', 20') 쪽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가동부(12)가 올려짐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이 도 6b를 참고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기 시작하도록, 연장 개구들(17, 18)로 연결 지점들 내에 연결된 피봇 지점들과 레버 암들(21, 21')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로의 부착 지점들 사이에 오프셋(offset)이 있다.
스탠드(5) 상에 장착된 고정부(11)에 대하여 브릿지(15)가, 그리고 이에 따라 가동부(12)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레버 암들(21, 21')은 피봇 지점들(19', 20')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것이다(pivot).
움직임의 마지막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은 약 90 °의 회전이 달성된 제 2 위치에 도달하였다. 이 위치에서 레버 암들(21, 21')은 라우드스피커 하우징(3', 4')으로 통하는 연결 지점들이 그라운드 타워들(19, 20) 사이에 있도록 하는 위치로 도는(swing) 반면 제 1 위치에서는 도 6a를 참고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점들은 그라운드 타워들 밖에 있다.
반대의 움직임에서, 즉, 스탠드(5) 상에 장착된 고정부(11)를 향해 가동부(12)를 낮추고 이로써 브릿지(15)를 낮추는 것에서, 레버 암들(21, 21')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다시 돌아 나갈 것이며 동시에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은 도 6b 및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들로 회전할 것이다.
도 6a를 참고하여 도시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위치에서 도 6c를 참고하여 도시된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제 2 위치까지의 움직임 동안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후면 상의 연결 지점을 제공하는 연장 개구들(17, 18)은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이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측면으로(laterally)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이는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며, 그렇지 않으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길 원하는 경우 서로 간섭할 수 있다.
특히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모서리들(corners)은 매우 가깝게 인접하게 될 수 있지만, 브릿지(15) 내에 연장 개구들(17, 18)을 제공함으로써 측면(lateral) 움직임이 허용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조 개발에 있어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의 측면 움직임은 도 7a 내지 7c를 참고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세컨더리 레버 암들(secondary lever arms)에 의해 인도된다.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은 일 단부에서 각각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후면에 연결되고 반대쪽 단부들에서 연장 개구들(17, 18) 옆의 브릿지(15)에 연결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은 다소 휘어져 있고, 그 결과로, 연결 지점들은 연장 개구들(17, 18) 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 회전 지점들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그 결과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예를 들면 도 6a를 참고로 하여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도 6c를 참고로 하여 도시된 제 2 위치로 옮기기 위해 움직임이 개시되면, 세컨더리 레버 암들은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이 회전 움직임 동안 절대 닿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가장 가까운 지점들 사이의 고정된 거리를 유지할 것이다.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은 휘어질 필요는 없다.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의 목적은 연결 지점들(17, 18)을 견고한 부재(member)에 의해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 상의 지점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의 연결 지점들을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매우 엄격한 설계 체제가 얻어지도록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도 6c 참고)로의 전이에 걸쳐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 사이에 동일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세컨더리 레버 암들(25, 26)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의 라우드스피커 하우징들(3', 4')의 움직임 동안 연장 개구들(17, 18) 내의 연결 지점들의 측면 움직임이 무작위적이지 않도록 이러한 측면 움직임을 안내하고 제어하기 위해 필요하다.
실무적으로 도 1 내지 3을 참고로 하여 도시된 스크린(2)은 베이스(10)의 가동부(12) 상에 장착된다. 이는 또한 제 1 위치에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이 스크린(2)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도록 스크린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뒤로 지나갈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8a 내지 8c에는 스크린(2) 및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3, 4)의 다양한 조합들이 도시되어 있다. 라우드스피커들(3, 4)은 라우드스피커들이 스크린(2)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는 제 1 위치에서와, 라우드스피커들이 스크린으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스크린의 전면(front)을 노출시키는 제 2 위치에서 모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위치들에서, 스크린의 전체 표면(entire surface)은 제 2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에 있는 스피커들도 스크린의 (작은) 부분을 덮을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도 8a에서 라우드스피커들(3, 4)은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들(3, 4)이 스크린(2)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을 덮고 제 2 위치에서는 스크린(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스크린(2)보다 상당히 작다.
도 8b에서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들(3, 4)은 스크린(2)의 폭을 덮고 있지 않고, 제 2 위치에서는 라우드스피커들(3, 4)의 폭이 스크린(2)의 폭보다 크다.
도 8c에서 스피커들(3, 4)은 제 1 위치에서 스크린(2)(파선)보다 큰 영역을 함께 덮고, 이로써 스크린(2)을 완전히 덮는다. 제 2 위치에서는 라우드스피커들(3, 4)은 스크린(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도시된 발명은 라우드스피커들(3, 4)의 크기에 대한 스크린 크기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Claims (9)

  1. 고정부 및 가동부를 구비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설비로서, 멀티미디어 설비를 작동시킴으로써 스크린이 가동부(movable part)에 의해 올려지도록, 비디오 스크린이 베이스에 장착되고 두 개의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사용자의 위치에서 볼 때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위치로부터 스크린의 적어도 실질적인 더 큰 부분이 보이는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을 회전시키고 원할 경우에는 다시 제 1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고정부에 대하여 가동부를 올리고 내림으로써 스크린을 올리고 내리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가 스크린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되고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베이스에는 고정부에 부착된 두 개의 그라운드 타워가 제공되고, 각각의 그라운드 타워에는 레버 암(lever arm)의 제 1 단부로의 피봇식(pivotal) 연결이 원위 단부(distal end)에 제공되고, 상기 레버 암은 반대쪽 단부에서 하나의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로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동일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는 베이스의 가동부 상에 제공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 연결 지점으로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레버 암과 가동부 사이의 피봇 연결이 길이방향 개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가동부 상에 제공된 연결 지점들은 가동부의 움직임 방향에 수직인 길이방향 확장을 가지고 배치된 상기 길이방향 개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에 측면 제어 암이 제공되고,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가 회전함에 따라 측면 제어 암이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의 인접하고 가장 가까운 측면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측면 제어 암은 하나의 단부에서 가동부에 있는 연결 지점들에 인접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의 상하 움직임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회전가능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차축(axles), 벨트,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또는 체인을 통해 각각의 전기 모터들에 연결되고, 제어 유닛은 실질적으로 스크린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는데 경과되는 시간 동안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전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도록 차축이 돌아가는 것(turning)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은 스크린의 표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스크린을 실질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스크린의 일부가 보이고, 제어 유닛은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에 정보의 표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9. 제 1 항에 있어서,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각각은 하우징 및 전면 커버(front cover)를 포함하고, 제 1 위치에서 내부 측면들은 서로 근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측면들은 실질적 4면인 하우징 및 전면 커버 각각의 가장자리(periphery)를 함께 정의하도록, 각각의 하우징 및 전면 커버는 하부 측면 및 상부 측면과, 상부 및 하부 측면들의 원위 단부들을 연결하는 내부 및 외부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 커버는 하우징보다 실질적으로 더 클 수 있고, 제 1 위치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어셈블리들 양쪽 모두의 전면 커버들은, 내부 측면들이 하우징의 상응하는 측면과 평행하고 동일 평면에 있고 하부 측면들이 각각의 하우징들의 하부 측면들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동일 평면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설비.
KR1020200027504A 2019-03-26 2020-03-05 멀티미디어 설비 KR10236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5087.8A EP3716614B1 (en) 2019-03-26 2019-03-26 Multimedia installation
EP19165087.8 201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029A true KR20200116029A (ko) 2020-10-08
KR102360447B1 KR102360447B1 (ko) 2022-02-08

Family

ID=6599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504A KR102360447B1 (ko) 2019-03-26 2020-03-05 멀티미디어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2772B2 (ko)
EP (1) EP3716614B1 (ko)
KR (1) KR102360447B1 (ko)
CN (1) CN111757194B (ko)
DK (1) DK371661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8776B (zh) * 2019-02-01 2020-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升降式顯示器的電子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1A (ko) * 1999-04-02 2000-11-15 홍기성 영상음향기기
KR20000073039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스피커 장치
KR20170073443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3875A (zh) * 1996-05-16 1998-06-03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器带门、门又包含扬声器的电视接收机
US6151401A (en) * 1998-04-09 2000-1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lanar speaker for multimedia laptop PCs
KR100327357B1 (ko) * 1999-04-16 2002-03-06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용 스피커 시스템
JP2003015773A (ja) * 2001-06-06 2003-01-17 First Internatl Computer Inc 折りたたみ式スピーカ装置を有する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
KR20040091272A (ko) * 2003-04-21 2004-10-28 홍충식 더블 폴더 휴대폰
US6997525B2 (en) * 2003-09-17 2006-02-14 Alan Gillengerten Audio visual system
JP2007535227A (ja) * 2004-01-23 2007-11-29 フリーマン,バシル,ノーマン. 薄型スクリーン映像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を具える映像/音声システムの支持装置
TWM262776U (en) * 2004-10-08 2005-04-21 Hannspree Inc Display and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20070002813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접이식 스피커가 구비된 dmb 수신기
JP2009302667A (ja) * 2008-06-10 2009-12-24 Yamaha Corp スピーカ装置
JP2011013779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8302917B2 (en) * 2010-07-09 2012-11-06 Soundbar Brackets LLC Bracket
JP2013045103A (ja) * 2011-08-26 2013-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TWM434388U (en) * 2012-01-09 2012-07-21 In2Uit Inc Ltd Protecting case assembly with foldable slim speaker for portable apparatus
KR101415471B1 (ko) * 2012-08-03 2014-08-06 유국일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CN207369264U (zh) * 2017-09-06 2018-05-15 广州勒泰电子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折叠音箱
CN109003546A (zh) * 2018-08-01 2018-12-14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户外广告用防雨防雷便于维修的数字媒体播放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1A (ko) * 1999-04-02 2000-11-15 홍기성 영상음향기기
KR20000073039A (ko) * 1999-05-04 2000-12-05 구자홍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스피커 장치
KR20170073443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7194B (zh) 2022-06-10
US20200305598A1 (en) 2020-10-01
KR102360447B1 (ko) 2022-02-08
EP3716614B1 (en) 2022-02-09
DK3716614T3 (da) 2022-05-09
US11082772B2 (en) 2021-08-03
EP3716614A1 (en) 2020-09-30
CN111757194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99576A (zh) 平板型扬声器
KR201900537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0447B1 (ko) 멀티미디어 설비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244570A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の設置装置
JP2020113905A (ja) 会議システム
US20090219616A1 (en) Theater-type projection screen
JP3742761B2 (ja) 投写装置付き教卓
US8246181B2 (en) Apparatus having two functions
JP2581757Y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の投影装置
JP5197743B2 (ja) 表示装置
JP3778444B2 (ja) 収納型ホームシアターシステム
KR101952353B1 (ko) 스마트 픽셀 블라인드
KR20060096222A (ko) 좌,우 교차 이동형 스크린 장치
KR102654949B1 (ko) 초지향성 스피커가 탑재된 사운드바
JP2023073188A (ja) 什器システム
JPH1024348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0392730Y1 (ko) 화상시청기의 좌우 전후 회전식 힌지 및 힌지장치
KR20140119582A (ko) 원형 영상 스크린의 도어 스크린
JP2005080261A (ja) 映像投射方法、及び、この方法に適用されるプロジェクタ
KR200171864Y1 (ko) 가정극장용 스크린장치
JP2023073189A (ja) 什器システム
JPH07159898A (ja) 会議装置
KR200190584Y1 (ko) 반사형 스크린 시스템
KR200248987Y1 (ko) 박스형 영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