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08A -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08A
KR20200115308A KR1020200036605A KR20200036605A KR20200115308A KR 20200115308 A KR20200115308 A KR 20200115308A KR 1020200036605 A KR1020200036605 A KR 1020200036605A KR 20200036605 A KR20200036605 A KR 20200036605A KR 20200115308 A KR20200115308 A KR 2020011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light
camera
light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802B1 (ko
Inventor
조성락
최항석
송인의
Original Assignee
민팃(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팃(주) filed Critical 민팃(주)
Priority to EP20782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51368A4/en
Priority to JP2021554413A priority patent/JP7225430B2/ja
Priority to PCT/KR2020/004242 priority patent/WO2020204503A1/ko
Priority to US17/310,827 priority patent/US20220136977A1/en
Priority to CN202080020513.2A priority patent/CN113557427A/zh
Publication of KR2020011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5Multiple wavelengths of illumina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8Optics, miscellaneo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전자 기기가 안치되는 본체, 조명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검사 결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성능 검사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전자 기기의 가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때, 외관 검사 결과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자 기기를 촬영한 영상에 기반한다. 또한, 상기 조명들은 빛을 출력하되 일부 조명들은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결함에 대한 난반사가 상쇄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SYSTEM FOR ESTIMATING VALU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전자 기기의 외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빛의 간섭에 의한 간섭무늬나 상쇄감소 현상을 방지하여 전자 기기의 외관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가중치가 높은 상위항목에 대해 먼저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하위 항목의 평가를 하지 아니하여 불필요한 평가 단계를 제거한 다중 파장 광원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단말기는 최신기술의 집합체로서 고가의 제품이다.
그래서 고가의 전자 기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전자 기기의 경우 내부 기능도 중요하지만 외부에서 보여지는 외관의 상태가 전자 기기(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가치평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외관의 가장 큰 부분은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화면(디스플레이)과 KEY기능을 하는 버턴이 차지한다. 특히 외관의 찍힘, 스크래치, 크랙(깨짐) 등이 주요 항목이며, 이들을 확인하고 등급을 나누는 것이 가치 평가의 가장 중요한 일이다.
전자 기기의 가치, 즉, 가격은 그 상태를 검사하여 평가한다. 전자 기기의 상태 검사는 주로 사람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데, 이는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즉, 가격 산정)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즉, 동일한 전자 기기로 검사자의 숙련도, 컨디션, 기준 등에 따라 가치평가는 달라질 수 있고, 전자 기기의 가격이 낮게 평가되면 소유자도 검사자에 의한 가치평가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게 된다.
그리고 검사자에 의핸 전자 기기의 검사는 속도가 느린 단점도 있다.
그래서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자동화하여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7-0019085호 "중고 모바일 단말 자동 가치평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17-0019085호는 자동 가치평가 장치의 내부에 안치된 중고 모바일 단말을 카메라세트가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중고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 베젤, 강화유리, 화면 등의 외관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한다.
영상으로 중고 모바일 단말의 외관 상태를 분석할 때에는 중고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환경, 즉, 조명의 위치, 조사각도, 파장(색온도), 밝기, 카메라의 시야각 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 제10-2017-0019085호는 이러한 촬영환경에 소홀하여 중고 모바일 단말의 가치 평가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전자 기기를 조명하는 조명유닛의 광원이 전자 기기 표면에 반사되어 카메라의 영상에 나오면 전자 기기에서 그 부위의 상태를 판정할 수 없고, 광원의 조사각도에 따라 단말기의 산란부위(보통 변형으로 손상된 부위)의 산란의 세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전자 기기를 촬영할 때에는 광원이 동시에 여러 방향에서 조명하여 촬영하고, 조사각도를 바꿔가뭐 여러번 촬영을 한다.
이때, 동시에 조명하는 광원들의 파장(즉, 색온도)이 같으면 빛의 간섭에 의해 간섭무늬가 상쇄간섭 등의 현상이 발생되어 영상을 통해 전자 기기의 외관 상태 분석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전자 기기를 조명하는 광원의 간섭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기술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전자 기기의 가치 평가는 다양한 항목에 대해서 하게 되는데, 어떤 항목은 그 불량 상태가 중하면 매입을 하지 않거나 최대 차감금액이 되어서 다른 항목에 대한 가치 평가가 필요 없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모든 항목에 대해 가치 평가를 한 후에 전자 기기의 매입 여부와, 매입 금액을 결정하는 방식으로서,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크다.
일 측에 따른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전자 기기가 안치되는 본체; 조명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검사 결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성능 검사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전자 기기의 가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들은 빛을 출력하되 일부 조명들은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결함에 대한 난반사가 상쇄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한다.
상기 조명들 중 나머지 조명들은 동일한 파장의 빛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일부 조명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나머지 조명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조명들 중 제1 조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조명들 중 제2 조명은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들 중 제3 조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제3 면에 위치하고, 상기 조명들 중 제4 조명은 상기 제3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은 상기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은 제1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하고 상기 제3 조명과 상기 제4 조명은 제2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관 결함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결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파장 광원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은 전자 기기를 동시에 다른 각도에서 조사하는 광원의 파장(색온도)을 달리하여 빛의 간섭에 의한 간섭무늬나 상쇄감소 현상을 방지하여 전자 기기의 외관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암실에 구비되는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3aa 내지 3b는 전자 기기의 상부면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전자 기기의 측면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전자 기기의 하부면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전자 기기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화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전자 기기의 전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시야각과 그에 따른 촬영위치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반사거울을 이용해 하나의 카메라가 전자 기기의 여러면을 동시에 촬영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는 가치 평가를 통해 매입한 전자 기기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초기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절차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파장 광원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전자 기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은 본체(10), 카메라유닛(20), 조명유닛(30), 컨트롤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은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전자 기기 매입 시스템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컨트롤러(50)는 전자 기기의 가치(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매입 금액)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중고 이동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은 전자 기기(M)를 무인으로 매입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에 구비되고, 중앙의 관제센터(미도시)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본체(10)는 전자 기기(M)가 안치되고, 촬영환경에 있어서 외적요인을 차단하는 암실(11)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0)의 암실(11)에는 상기 전자 기기(M)가 올려져 안치되는 안치판(13)이 암실(11)의 중간부분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다.
상기 암실(11)에는 안치판(13)에 놓인 전자 기기(M)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유닛(20)과 조명하는 조명유닛(30), 전자 기기(M)에 전원을 공급하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어하도록 컨트롤러(50)에서 인출된 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암실(11)에는 안치판(13)을 회전시키거나 전자 기기(M)를 밀거나 당겨서 전자 기기(M)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40),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조절되도록 카메라유닛(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또 다른 이동유닛(4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는 본체(10)의 암실(11)에 최적의 촬영환경이 제공되도록 상기 카메라유닛(20)과 조명유닛(30) 등의 구동을 제어하고, 카메라유닛(20)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전자 기기(M)의 상태를 분석하여 가치를 평가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최적의 촬영환경을 제공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는 카메라유닛(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구동부(51), 상기 조명유닛(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구동부(52), 상기 전자 기기(M)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M) 구동부(53), 전자 기기(M)의 위치나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켜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이동유닛(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이동유닛구동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50)는 상기 카메라유닛(20)에 촬영되는 영상을 전처리하고 압축하는 영상처리부(55)와, 영상처리부(55)에서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56)와, 상기 영상저장부(56)에 저장된 영상을 불러와 분석하는 영상분석부(57),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기기(M)에 접속하여 전자 기기(M)의 내부 부품에 관한 성능을 검사하는 성능검사부(61), 상기 성능검사부(61)의 검사결과와 상기 영상분석부(57)의 분석결과를 이용해 전자 기기(M)의 가치를 평가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부(58), 중앙의 관제센터와 통신하는 통신부(59). 가치평가를 통해 매입한 전자 기기(M)의 메모리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초기화하는 데이터 삭제모듈(6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부(58)에서 가치를 평가하는 평가 항목에는 상호 연관성이 없는(또는 적은) 독립항목들로 구성되고, 각 독립항목에는 여러 종속항목들이 포함된다.
독립항목의 구분 예로는 전자 기기(M)의 외관 상태에 관한 '케이스', '베젤', '강화유리', 내부부품의 성능에 관한 '디스플레이모듈', '충전모듈', '통신모듈', '카메라'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독립항목으로서 '강화유리'에 관한 종속항목의 분류 예로는 '스크래치', '크랙', '깨짐', '틈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독립항목과 종속항목 각각은 가중치가 부여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부는 가중치가 높은 독립항목과 종속항목에 대해 먼저 가치를 평가한다. 여기서, 먼저 가치 평가를 하는 항목은 상기 성능검사부에서 취득된 검사결과나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취득된 분설결과를 이용해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중에서 가중치가 높은 항목을 말하는 의미 하는 것이고, 아직 검사결과는 분석결과가 취득되지 아니하여 평가할 수 없는 항목까지 포함해서 가충치가 높은 항목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각 항목에서 평가되는 가치는 등급이 있고, 등급에 따라 전자 기기(M)를 매입하지 않거나 매입금액에 대한 차감금액이 달라진다.
각 항목의 가중치는 불량시 매입을 하지 않게 되는 항목의 가중치가 높을 것이고, 매입을 하더라도 차감금액이 큰 금액의 항목이 다음으로 가중치가 높게될 것이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부(58)는 가중치가 높은 항목순으로 전자 기기(M)의 가치를 평가를 하면서,
평가된 가치(즉, 불량 정도)가 수리가 불가능 하거나 수리 비용이 과다하여 해당 전자 기기(M)의 매입을 하지 않을 수준으로 평가되는 항목이 나오면 더 이상 다른 항목에 대한 가치 평가를 중단하여 불필요하게 평가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독립항목에 포함된 종속항목들을 가중치 순번으로 평가하는 중에 최대 차감금액에 해당하는 등급으로 판정되는 종속항목이 나오거나, 이전에 평가된 종속항목들의 차금금액 합계가 최대금액을 이르면 더 이상 그 하위의 종속항목데 대한 가치 평가를 중단하여 불필요하게 평가가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 기기(M)의 매입을 위한 가치 평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부(58)에서 항목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중에 매입을 하지 않는 수준의 불량으로 평가되면, 컨트롤러(50)는 더 이상 불필요하게 카메라유닛(20)이 해당 전자 기기(M)를 촬영하거나 상기 성능검사부가 전자 기기(M)의 내부부품의 성능을 검사하는 것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항목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중에 해당 항목이나 그에 관련된 항목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면, 상기 컨트롤러(50)는 카메라유닛(20), 조명유닛(30), 성능검사부(61)를 제어하여 필요한 데이터(영상 분석결과, 부품 성능 검사결과)가 취득되어 가치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부(58)는 평가 항목의 양부나 그 불량의 등급을 판정함에 있어서 오차범위 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해당 항목을 '양호'나 '불량' 중에서 어느 것으로 판정해야할지 분명하지 않거나 등급을 '상급'이나 '중급' 중에서 어느 등급으로 판정해야할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59)를 통해 중앙의 관제센터에 관련된 데이터(분석결과, 검사결과 등)를 전송하여 재판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부(58)는 관제센터에 재판정을 요청한 이후에 다른 항목들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관제센터에서 재판정 결과가 수신되면 이를 반영하여 해당 전자 기기(M)의 가치를 최종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이때,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서 재판정 요청을 송신하지 못하거나 재판정 결과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평가를 보류하는 등록을 하고, 관련된 매입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전자 기기(M) 판매자의 동의 하에 평가가 보류된 항목의 차감금액을 제외한 비용을 판매자에게 선지급하고, 이후에 보류된 항목에 대해 평가가 완료되면 평가된 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에게 지급하게 된다.
상기 조명유닛(30)은 제1조명 내지 제4조명(31~34)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유닛(20)은 제1카메라 내지 제4카메라(2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유닛(20)의 제1카메라 내지 제4카메라(21~24)는 화각이 넓은 광각렌즈, 1:1렌즈, 접사렌즈, 망원렌즈 및 Pan/Tilt/zoom 기능을 선택적으로 탑재할 수 있고, 또한 가시공선을 이용해 촬영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해 촬영하거나 적외선 및 가시광선을 모두 이용해 촬영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2a,b와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조명(31)과 제1카메라(21)는 상기 본체(10)의 암실(11)에 안치된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을 조명하고 촬영하여, 전자 기기(M)의 상부면 상태, 즉, 상부면에 발생된 손상을 분석하도록 한다.
전자 기기(M)의 상부면에는 화면을 덮어 보호하는 강화유리가 배치된다.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베젤이 구비되는 전자 기기(M)도 있다.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을 덮는 강화유리에는 스크래치,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강화유리는 고가의 제품으로, 전자 기기(M)의 가격(가치)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그래서 강화유리의 상태 분석은 보다 정밀할 필요가 있다.
강화유리는 투명하여서, 조명의 위치와 밝기, 카메라의 촬영각도 등이 상태를 분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먼저, 상기 제1카메라(21)는 전자 기기(M)의 상부에서 35도에서 60도 사이의 경사진 촬영각도로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을 촬영한다. 상기 제1카메라(21)의 촬영각도는 45도가 바람직하다.
투명한 강화유리에 발생된 스크래치나 크랙 등의 손상은 조명의 밝기 등에 따라 영상에서 표시가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조명(31)은 격자형태로 배열된 LED들로 구성되고, 격자형태의 LED들은 전자 기기(M)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격자형태로 배열된 제1조명(31)의 LED들은 줄이 교차하여 점소등된 상태로 전자 기기(M)를 조명한다. 여기서, 교차하여 점소등되는 LED의 줄은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줄이 가능하고, LED들이 원형이나 기타 특정 모양의 패턴줄도 LED의 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LED의 일부가 교차하여 점소등되면서 점등된 상태의 LED가 이동되면서 촬영되도록 하면 된다.
도3b를 보면, 제1조명(31)의 LED들 중에서 점등된 LED들이 전자 기기의 상부면 강화유리에 상이 맺혀져 있다. 두개가 한 쌍을 이루는 LED가 길이방향으로 4줄 점등되어 있고, 그 사이의 길이방향 3줄은 소등되어 있다. 그리고 폭방향으로는 12줄이 점등되어 있고, 그 사이의 폭방향 11줄은 소등되어 있다.
도3b처럼 제1조명(31)의 LED들을 점소등시킨 상태에서 제1카메라(21)로 촬영하고, 다음에는 폭방향으로 점등되어 있던 12줄은 소등시키고, 소등되어 있는 11줄은 점등시킨 상태에서 촬영하고, 다음에는 길이방향으로 점등되어 있는 4줄은 소등시키고, 소등되어 있는 3줄은 점등시킨 상태에서 촬영하고, 다음에는 폭방향으로 점등되어 있던 12줄은 소등시키고, 소등되어 있는 11줄은 점등시킨 상태에서 촬영하면, 강화유리 표면 전체에 대하여 밝기와 점등된 LED의 상의 유무를 달리하는 영상을 취득하게 되고, 이 영상을 분석하면 강화유리에 스크래치와 크랙 등의 손상이 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31)은 LED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대신에 LED들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LED들이 1열로 배열된 것은 LED들이 전자 기기(M)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할 수 없는 경우를 대표해서 말하는 것으로 2열,3열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LED들이 전자 기기(M)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할 수 없는 제1조명(31)의 경우에, 제1조명(31)의 LED들이 점등된 상태로 전자 기기(M)의 상부를 지나가면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은 점등된 상과 소등된 상이 공존하고, 상부면 전체는 점등된 상의 상태와 소등된 상의 상태로 각각 제1카메라(21)에 촬영될 수 있다.
반대로, 제1조명(31)이 이동하지 않고, 전자 기기(M)가 이동하여 전자 기기(M)의 상부면에 점등된 상과 소등된 상이 공존하고, 각 상의 상태가 제1카메라(21)에 촬영될 수 있다.
참고로, 전자 기기(M)의 강화유리를 촬영할 때에는 전자 기기(M)의 화면은 오프한 상태로 촬영한다.
도2a,b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조명(32)과 제2카메라(22)는 상기 본체(10)의 암실(11)에 안치된 전자 기기(M)의 측면을 조명하고 촬영하여, 전자 기기(M)의 측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제2조명(32)과 제2카메라(22)는 전자 기기(M)의 측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크랙, 깨짐 등과 같은 손상, 그리고 전자 기기(M)에 휨과 같은 변형이 없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카메라(22)는 전자 기기(M)의 상부에서 1도에서 30도 사이, 바람직하게는 5도에서 30도 사이의 경사진 촬영각도로 전자 기기(M)의 측면을 촬영한다. 보다 바람직한 각도는 15도 이다. 상기 제2카메라(22)는 전자 기기(M)의 정측면에서 촬영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카메라의 화각에 의해 영상에서 전자 기기(M)가 휘어진 모양으로 왜곡될 수 있다. 그래서 정측면 보다는 위와 같아 5도에서 30도 사이의 경사진 각도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가 근접한 거리에 큰 전자 기기(M)를 촬영하면서 한 화면에 담기 위해 화각이 넓은 렌즈를 이용하면 촬영된 전자 기기의 측면의 상이 휘어질 수 있는데, 위처럼 제2카메라(22)의 각도를 조정하면 상이 휘어지는 것을 교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와 카메라의 거리를 조절한다면 이러한 카메라의 경사각도 조절은 필요 없을 수 있다. 제2카메라(22)는 화각이 넓은 광각렌즈, 1:1렌즈, 접사렌즈, 망원렌즈 및 Pan/Tilt/zoom 기능을 선택적으로 탑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명(32)은 상기 제2카메라(22)와 같은 방향에서 전자 기기(M)의 측면을 조명한다. 제2조명(32)은 별도로 준비하여 암실(11)에 장착할 수도 있고, LED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제1조명(31)에서 가장자리 줄에 배치된 LED를 제2조명(32)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2a,b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3조명(33)과 제3카메라(23)는 상기 본체(10)의 암실(11)에 안치된 전자 기기(M)의 하부면을 조명하고 촬영하여, 전자 기기(M)의 하부면 상태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제3조명(33)과 제3카메라(23)는 전자 기기(M)의 측면에 발생된 스크래치, 크랙, 깨짐 등과 같은 손상이 없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카메라(23)는 전자 기기(M)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투명한 안치판(13)에 놓인 전자 기기(M)의 하부면을 촬영하고, 제3조명(33)은 전자 기기(M)의 하부에서 전자 기기(M)의 하부면을 조명한다.
상기 제3카메라(23)와 제3조명(33)은 전자 기기(M)의 정하부에서 촬영하고 조명할 수 있고, 하부에서 경사진 방향에서 촬영하고 조명할 수도 있다.
도2a,b와 도6를 참조하면, 상기 제4조명(34)과 제4카메라(24)는 상기 본체(10)의 암실(11)에 안치된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을 조명하고 촬영하여, 전자 기기(M)의 상부면에 위치한 화면의 상태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제4조명(34)과 제4카메라(24)의 전자 기기(M)의 화면의 출력 상태와, 화면에 얼룩, 노화, 번인 등의 손상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카메라(24)는 전자 기기(M)의 상부 정면에서 화면을 촬영한다. 상기 컨트롤러(50)는 단말기구동부(53)를 통해 화면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화면의 출력 상태를 촬영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화면 전체가 백색이나 회색 또는 검정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화면에 얼룩, 노화, 번인 등의 손상이 있는지 촬영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조명(34)은 전자 기기(M)의 하부에서 하부면을 조명함으로써 화면의 색상과 밸런스를 맞춰, 화면의 상태 분석을 위한 화면의 품질을 높이다. 다시 말해, 백색이나 회색 또는 검정색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촬영하는 경우에 화면의 빛이 주변으로 번져 화면의 경계가 불명확하게 됨으로써 영상 분석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전자 기기(M)의 하부에서 제4조명(34)이 조명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4조명(34) 대신, 전자 기기(M)가 놓이는 안치판(13)에서 전자 기기(M) 주변으로 빛을 흡수 차단하는 흑색의 차단시트를 배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흑색의 차단시트는 전자 기기(M)의 측면과 하부면을 촬영하고 조명할 때도 배치시키면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취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자 기기(M)는 상부면, 하부면, 그리고 네 측면의 총 6면을 촬영하여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이때, 전자 기기(M)의 크기와 카메라의 화각을 고려할 때, 전자 기기(M)의 6면 전부를 촬영하는 방안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안은 카메라의 수량은 최소화하면서 이동유닛(40)을 이용해 전자 기기(M)를 카메라의 이동시켜 6면 전부를 촬영하는 방안이고, 둘째 방안은 이동유닛(40)을 단순화하면서 카메라의 수량을 늘려 6면 전부를 촬영하는 방안이다. 물론, 이동유닛(40)을 이용하지 않고 카메라의 수량을 최대화하여 이동없이 제위치에 있는 전자 기기(M)의 6면 전부를 촬영하는 방안도 있다.
첫번째 방안은 사람이 검사하는 환경과 가장 근접한 환경을 제공 하지만 특정 공간에서 검사 제품(즉, 전자 기기(M))의 방향을 다양하게 이동하고 움직이기 위한 이동유닛(40)의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고 시스템 구성 가격이 높아 지는 문제와 이동유닛(40)의 이동 및 움직임에 대한 미세 조정 기술 구현의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첫 번째 방안 보다는 이동유닛(40)을 단순화시키면서 카메라의 수량을 조금 더 늘리는 두 번째 방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카메라는 네 측면(VIEW #1, #2, #3, #4), 하부면(VIEW #5), 상부면(VIEW #6)의 여섯 촬영방향에서 전자 기기(M)의 6면을 촬영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화각이 작은 경우에 이동유닛(40)이 전자 기기(M)를 직진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카메라는 네 측면(VIEW #1, #2, #3, #4), 하부면(VIEW #5), 상부면(VIEW #6)의 여섯 촬영방향에서 전자 기기(M)의 6면을 촬영할 수 있다. 참고로, 도7b에서 전자 기기(M)가 전후진 않는다면, 카메라는 측면에 2개와 상하부면에 각각 1개의 촬영방향이 추가되어야 전자 기기(M)의 6면을 전부 촬영할 수 있다.
도7c를 참조하면, 이동유닛(40)이 전자 기기(M)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카메라는 측면(VIEW #1), 하부면(VIEW #5), 상부면(VIEW #6)의 세 촬영방향만으로 전자 기기(M)의 6면 전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7d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화각(view angle)이 작은 경우에 이동유닛(40)이 전자 기기(M)를 360도 회전시키고, 직진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카메라는 측면(VIEW #1), 하부면(VIEW #5), 상부면(VIEW #6)의 세 촬영방향만으로 전자 기기(M)의 6면 전부를 촬영할 수 있다.
조명유닛(20)의 광원(LED가 광원에 해당함)이 전자 기기(M)를 직접 조사하고, 카메라가 전자 기기(M)의 표면에 반사된 광원과 그 주변을 촬영하는 경우 영상에서 광원이 위치한 부위는 판정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다른 위치에 있는 광원이 전자 기기(M)를 조사하는 상태에서 카메라가 촬영하여 이전에 광원이 반사된 분위에 광원이 없는 상태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한다. 즉, 조명유닛(20)에 다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들은 일부가 교대로 점등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전자 기기(M)를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광원이 전자 기기(M)의 표면에 반사되지 않는 상태로 카메라를 촬영할 수도 있는데, 즉, 영상에 광원이 보이지 않도록 촬영할 수 있는데, 이때는 전자 기기(M)를 조명되는 빛의 조명각도에 따라 산란부위(통상, 전자 기기(M)에서 흠집이나 변형이 있는 부분에 주로 산란됨)의 산란이 정도가 약하여 영상에서 이를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이때는 조명유닛이 여러 각도에서 광원을 조사하여 전자 기기(M)의 산란부위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산란이 발생되도록 해야한다.
이처럼, 조명유닛(20)이 전자 기기(M)를 조명할 때에는 통상 조사각도를 달리하는 다수의 광원이 동시에 조명을 하게 되는데, 이때, 광원들의 파장이 동일한 경우에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해 소멸간섭(상쇄간섭)이 발생되어 어둡거나 명암의 띠가 생기는 간섭무늬가 발생될 수 있다. 소멸간섭이나 간섭무늬는 영상의 분석을 곤란하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조명유닛을 구성하는 광원들이 조명하는 빛의 파장(빛의 색온도)이 2종류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50)가 전자 기기(M)를 다수의 광원이 동시에 조명각도를 달리하면서 조명하는 때에 조명들의 빛의 파장이 다르도록 하여서, 빛의 간섭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원들로는 발산되는 빛의 컬러(즉, 색온도, 파장)가 조절되는 것을 사용하고 컨트롤러(50)가 동시에 조명되는 광원의 컬러가 다르도록 제어하여 빛의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들은 각자 하나의 컬러로 조명되는 것을 사용하면서 컨트롤러가 동시에 조명되는 광원으로 다른 컬러의 색상을 선택하여 빛의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빛의 간섭현상으로 발생되는 간섭무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원에 조명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면광원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면광원으로 전환되면서 광량이 감소되는 것은 광원에 발광각도를 협각으로 조정하는 협각필터를 구비하여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필터와 협각필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광원에 구비될 수 있고, 병합하여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2c는 조명들이 전자 기기(M)에 직접 반사되지 않는 상태로 카메라가 촬영하고, 조명들의 파장이 2종류 이상이 되어서 빛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기에 좋은 카메라유닛과 조명유닛의 배치구조로서 정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c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전자 기기(M)의 상부면을 촬영하는 제4카메라(24)가 배치되고, 본체(10)의 각 측면에는 전자 기기(M)의 네 측면을 촬영하는 제5카메라(25-1 내지 25-4)들이 배치되며, 본체(10)의 하부면에는 전자 기기(M)의 하부면을 촬영하는 제3카메라(23)가 배치된다.
본체(10)의 각 측면에는 제5조명들(35-1 내지 35-4)이 배치된다.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제5 조명(35-1)은 본체(10)의 제1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5 조명(또는 제2 광원)(35-3)은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5 조명(35-2)는 본체(10)의 제3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5 조명(35-4)는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조명들(35-1 내지 35-4) 각각은 광원에 해당한다. 제5 조명(35-1)은 제1 광원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고, 제5 조명(35-2)는 제2 광원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으며, 제5 조명(35-3)은 제3 광원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고, 제5 조명(35-4)는 제4 광원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제5 조명들(35-1 내지 35-4) 각각은, 예를 들어, LED들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현에 따라, 제5 조명들(35-1 내지 35-4) 각각은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의 빛이 전자 기기(M)에 직접적으로 반사되어 제4 카메라(24)와 제5 카메라들(25-1 내지 25-4)에 촬영되지 않도록, 제5조명들(35-1 내지 35-4)의 점등, 제4 카메라(24)의 구동, 및 제5 카메라들(25-1 내지 25-4)의 구동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제5조명들(35-1 내지 35-4)의 빛은 전자 기기(M)에서 변형(크랙, 깨짐, 스크래치 등)이 있는 부위에서 난반사 또는 산란되고, 제4 카메라(24) 및 제5 카메라들(25-1 내지 25-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기기(M)의 산란부위를 촬영한 영상을 취득한다. 여기서, 상기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이 전자 기기(M)를 조사하는 각도에 따라 난반사 또는 산란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은 2개 이상의 방향에서 2개 이상의 파장으로 전자 기기(M)를 동시에 조명할 수 있다. 유리와 같은 재질의 제품의 크랙 또는 깨진 부위에 빛이 수직방향으로 조사하면 산란이 없거나 미약하게 발생할 수 있고, 크랙 또는 깨진 부위에 동시에 여러 방향에서 빛이 조사되면 빛의 간섭현상에 의한 상쇄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은 2가지 이상의 파장으로 전자 기기(M)를 조명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제5 조명(35-1)과 제5 조명(35-3)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5 조명(35-1)은 파장 λ1의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제5 조명(35-3)은 파장 λ2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제5 조명(35-1)과 제5 조명(35-3) 사이의 거리는 짧아 제5 조명(35-1)과 제5 조명(35-3)이 동일한 파장의 빛을 출력하면 간섭에 의해 전자 기기(M)의 외관 결함(예를 들어, 상술한 크랙, 깨짐, 스크래치 등)에 대한 난반사 또는 산란이 상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기기(M)의 외관 결함에 대한 상(image)이 제4 카메라(24) 및 제5 카메라들(25-1 내지 25-4)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에 정확히 맺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조명(35-1)과 제5 조명(35-3)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M)의 상부 측면 쪽을 향하는 제5 조명(35-4)과 전자 기기(M)의 하부 측면 쪽을 향하는 제5 조명(35-2)은 동일한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제5 조명(35-2)과 제5 조명(35-4) 사이의 거리는 빛의 간섭이 없을 정도로 길어서 제5 조명(35-2)과 제5 조명(35-4)은 동일한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5 조명(35-2)과 제5 조명(35-4)은 제5 조명(35-1)과 제5 조명(35-3) 각각과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5 조명(25-2)과 제5 조명(25-4)은 파장 λ3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제5 조명(35-2)과 제5 조명(35-4)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5 조명(35-2)은 파장 λ3의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제5 조명(35-4)는 파장 λ4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5 조명들(35-1 내지 35-4) 각각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하게 된다.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제5 조명(35-1)과 제 5 조명(35-3)은 제1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제5 조명(35-2)와 제5 조명(35-4)은 제1 조사 각도와 다른 제2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제5 조명들(35-1 내지 35-4) 각각은 동일한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도2c에서 전자 기기(M)와 제5조명(35) 사이의 거리와 전자 기기(M)와 제5카메라(25) 사이의 거리가 같은 경우, 제5조명(35)이 전자 기기(M)를 조명하는 각도는 45도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자 기기(M)의 면적이 넓어지거나 제5조명(35)과 전자 기기(M)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그에 비례하여 제5조명(35)이 전자 기기(M)를 조명하는 각도는 더 작아질 수 있다.
도2c에 도시된 예의 경우,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의 빛은 전자 기기(M)에 직접 반사되어 제4 카메라(25-4) 및 제5 카메라(25-1 내지 25-4)에 의해 촬영되는 방식이 아니어서,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은 강한 세기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M)의 재질 특성으로 영상에 줄무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에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면광원필터가 이용할 수 있고, 밝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5 조명들(35-1 내지 35-4)의 조사 각도를 협각으로 하는 협각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2c는 제5조명들(35-1 내지 35-4)이 동시에 조사하여 촬영하기에 전자 기기(M)의 분석을 위해 취득하는 영상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영상의 분석을 통한 전자 기기(M)의 가치 평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전자 기기(M)의 가치(예를 들어, 전자 기기(M)의 매입 금액)를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는 전자 기기(M)의 외관 검사와 성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외관 검사 결과 및 성능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자 기기(M)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외관 검사는 카메라들(23, 24, 및 25-1 내지 25-4) 각각이 전자 기기(M)를 촬영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컨트롤러는 카메라들(23, 24, 및 25-1 내지 25-4) 각각이 전자 기기(M)를 촬영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서버 또는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전자 기기(M)의 성능 검사 결과를 서버 또는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또는 관제센터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M)의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외관 검사 결과 및 전자 기기(M)의 성능 검사 결과를 통해 전자 기기(M)의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또는 관제센터는 전자 기기(M)의 결정된 가치를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서버 또는 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전자 기기(M)의 결정된 가치를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M)의 소유자는 전자 기기(M)의 가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전자 기기(M)를 판매하거나 판매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기기(M)의 소유자가 전자 기기(M)를 판매할 것을 최종 결정하면, 컨트롤러는 본체(10)에 안치된 전자 기기(M)가 후술할 수거함으로 안전하게 이동되게 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각의 촬영 환경에 따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LED 광원의 조도가 설정값이 맞게 조사되고 있는지 조도센서를 이용해 감시한다. 컨트롤러는 시스템의 구동초기와 임의의 설정기간 마다 조도센서를 이용해 본체(10) 내부의 조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조도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조명유닛의 광량을 제어하여 조도가 설정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카메라유닛의 성능 점검을 위해 구동 초기와 임의의 설정 기간 마다 본체(10) 내부를 촬영하고, 기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카메라유닛의 상태와 본체의 촬영환경 등을 체크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전자 기기에 부착된 부착물로 인한 오판정이 예상되는 경우 판매자에게 단말기의 부착물을 제거하도록 안내하고, 이때 부착물에 따른 오판정으로 후불 판매에 대한 전환도 안내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카메라유닛(20)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요소이고, 고장으로 인한 유지보수나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래서 카메라유닛(20)의 수량을 줄이면 제조원가가 유지보수의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반사거울(60)을 이용해 카메라의 수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거울(60)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카메라유닛(20)이 향하지 않는 방향(즉, 카메라유닛이 직접 촬영할 수 없는 방향)에서 상기 전자 기기(M)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8a에는 하나의 카메라가 전자 기기(M)의 6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도8b에는 하나의 카메라가 전자 기기(M)의 5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도8c는 하나의 카메라가 전자 기기(M)의 3면을 동시에 촬영하는 구조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전자 기기(M)의 외관은 강화유리가 있는 정면이 제일 중요하다. 그래서 상기 카메라유닛(20)은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전자 기기(M)를 상부에서 정면으로 촬영하는 정면카메라(도2a의 제4카메라(24)가 정면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거울(60)은 상기 정면카메라에 상기 전자 기기(M)의 측면이 동시에 촬영되도록 하는 측면거울(61)과, 상기 전자 기기(M)의 후면이 동시에 촬영되도록 하는 후면거울(62)을 사용한다.
도8a를 보면, 상기 본체(10)의 암실에서 상기 전자 기기(M)가 놓이는 투명한 안치판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설치된 네 측면거울(61)이 각각 정면카메라에 전자 기기(M)의 측면을 제공하고, 안치판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설치된 후면거울(62)이 정면카메라에 전자 기기(M)의 후면측을 제공한다. 상기 후면거울(62)은 크기와 각도에 따라 1개 내지 4개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M)의 후면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8b은 후면거울(62)을 사용하지 않아서 정면케메라가 후면을 제외한 전자 기기(M)의 5면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도8c는 보면 후면거울(62)을 사용하지 않고 측면거울(61)은 2개 사용하여 정면카메라가 중고전자 기기(M)의 정면과 두 측면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전자 기기(M)는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 이에 전자 기기(M)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최적의 측면과 후면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반사거울(60)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서 전자 기기(M)의 가치 평가와 매입을 통한 수거가 행해지는 경우 매입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불할 수 있지만, 전자 기기(M)를 수거하는 수거함(미도시)이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본체(10)에서 가치 평가한 전자 기기(M)와 수거함에 수납된 전자 기기(M)가 동일한 전자 기기(M) 임이 확인한 후에 매입 대금을 지불하게 된다.
본체(10)에서 가치평가를 위해 등록된 전자 기기(M)와 별도의 수거함에 수납된 전자 기기(M)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체(10)에 등록된 중고전자 기기(M)는 가치평가를 위해 본체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되고, 가치평가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원격제어가 될 수 있다. 수거함에 수납된 전자 기기(M)도 동일 전자 기기(M)를 인증하기 위해 수납함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된다.
본체(10)와 수거함은 각각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기기(M)의 고유ID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수거함에서 고유ID를 비교하여 전자 기기(M)의 동일성을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M)의 고유ID에는 하드웨어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 기종정보, 부품의 고유번호, 설치된 프로그램의 시리얼번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치평가를 위해 본체에 등록된 전자 기기(M)를 원격제어할 한 경우에는 수거함에 수납된 전자 기기(M)도 원격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원격제어를 통해 전자 기기(M)가 수거함의 내부 환경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전자 기기(M)의 동일성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함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 조명, 수납경로, 주파수, 소리 등을 환경정보를 원격제어를 통해 전자 기기(M)가 인식하도록 한다. 수납함에서 출력되는 환경정보와 전자 기기(M)가 인식하는 환경정보가 일치하면 동일한 전자 기기(M)로 인증된다. 이때, 수납함에서 출력되는 환경정보는 수납함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수거함 내부에 다른 칼라의 빛을 발하는 조명을 설치하고, 어느 한 조명을 점등시키고, 수납된 전자 기기(M)의 카메라가 촬영하여 동일한 칼라가 촬영되었는지 확인하여 동일성을 인증한다. 또는 조명을 점멸하고 점멸되는 횟수를 확인하여 동일성을 인증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M)를 수거함에 수납시 전자 기기(M)가 들어오는 수납되는 경로의 요청 및 경사, 꺾임 등등 전자 기기(M)의 내부의 자이로센서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인증할 수 있다.
수거함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가 특정 소리(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전자 기기(M)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하여 동일성을 인증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수거함에 수납된 전자 기기(M)가 화면에 특정 컬러를 디스플레이하고 수거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이를 촬영하여 동일성을 인증할 수 있고, 전자 기기(M)가 특정 소리(주파수)를 출력하고, 수거함에 설치된 마이크가 이를 취득하여 동일성을 인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전자 기기(M)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 기기(M)를 매입한 이후에는 해당 전자 기기(M)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 즉, 메모리 초기화하여 전자 기기(M)의 전 소유자(즉, 판매자)의 개인적인 자료나 신상정보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매입한 전자 기기(M)를 통해 전 소유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러(50)에는 데이터 삭제모듈(62)이 구비될 수 있다. 현장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에 데이터 삭제모듈(62)을 구비하여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비용, 보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부적합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삭제모듈(62)은 관제 센터에 구비될 수 있다.
도9에는 상기 데이터 삭제모듈(62)에서 수행되는 전자 기기(M)의 데이터 삭제방법에 관한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M)의 데이터 삭제방법은 전자 기기(M)의 데이터영역에 접속하는 접속단계(S10)와, 접속된 전자 기기(M)의 데이터영역을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S20), 암호화된 데이터영역을 삭제하는 삭제단계(S30),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완전하게 삭제하는 랜덤덮어쓰기 단계(S40) 및 전자 기기(M)의 공장초기화를 진행하는 초기화단계(S5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접속단계(S10)는 전자 기기(M)를 연결하여 디버깅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데이터삭제모듈과 전자 기기(M)를 별도의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말한다.
디버깅 모드란 시스템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상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를 말하는 것으로서, 흔히 개발자 모드라고 하는데 외부에서 모바일 기기에 PC 등을 강제로 연결하여 모바일 기기 내에서 임의적으로 접근하기 힘든 영역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강제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자 모드에서 보여주지 않는 기기 정보 등을 읽어 오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다시 이러한 개발자모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인증 또는 확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인증 또는 확인절차를 구동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디버깅모드에 진입하면, 일반적으로는 전자 기기(M)의 데이터영역을 삭제하는 삭제단계(S30)로 바로 진입하여 삭제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별도의 복원프로그램을 통하여 삭제된 데이터의 복구를 할 수 있어 개인정보의 유출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원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하여도, 이를 열어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삭제 단계전에 데이터 영역 전체에 대한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암호화단계(S20)를 더 진행함으로써 삭제 이후 데이터 복원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하더라도 암호화된 데이터로 복원이 됨으로 암호화 당시의 암호화 코드가 없으면 데이터를 바로 복원 할 수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암호화단계(S20) 및 삭제단계(S30) 등 전반적인 삭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디버깅모드 진입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승인여부 및 진행에 따른 확인절차를 구동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승인이 확인되면, 데이터영역을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S20)를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자 기기(M) 메모리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전자 기기(M)의 메모리는 일반 데스크탑 피씨와 달리, 부트영역, 시스템영역, 복구영역, 데이터 영역, 캐시영역, Misc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부트영역은 전자 기기(M)를 부팅하기 위한 프로그램, 리소스,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시스템 영역은 전자 기기(M)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과 관련된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공장에서 전자 기기(M)를 생산할 때 설치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공간을 말한다.
복구영역은 일반적으로 공장초기화 등을 진행할 때, 앞서 언급된 시스템 영역을 공장에서 출시하는 상태로 돌려주기 위한 복구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가 저장한 프로그램, 개인파일(연락처, 메시지, 설정) 등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이 공간에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들이 포함되게 된다.
또한 캐시영역은 캐시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여기서 캐시데이터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소형 고속 기억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와 명령어들을 임시 저장하여 접근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으로 보관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아울러 Misc 영역은 CID(Carrier or Region ID), USB 구성 및 특정 하드웨어 설정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호화단계(S20)는 이러한 전자 기기(M)의 각 구역에 대하여, 특히 데이터영역을 암호화하는 것으로서, 개인정보, 즉 메시지, 사진, 연락처, 사진, 인증서 등의 데이터 파일을 모두 암호화하여 임의로 열어볼 수 없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암호화단계(S20)는 데이터 영역, 특히 내장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 및 외장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을 모두 암호화 하는 것으로서, 암호화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영역을 암호화하며, 특히 이 암호화 코드로 AES-128bit 방식을 사용하여 진행하게 된다.
AES 암호화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미국의 국립표준국(National Bureau of Standards)은 1975년에 데이터 암호화를 위해 DES(Data Encryption Standard)라는 암호화 표준을 제정하였고, 이 기술은 56bit의 키(key)를 사용하는 대칭키(symmetric-key) 암호화 방법으로, 한동안은 별다른 문제 없이 이용되었으나, 키의 길이가 너무 짧은 데다가 백도어(backdoor)가 포함되어 있어서 특수한 방법을 사용하면 해독할 수 있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으로서, AES 기술 역시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에 같은 키를 이용하는 대칭키 방식을 이용하지만, 128bit의 블록을 128bit, 196bit, 혹은 256bit의 키 길이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DES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영역을 암호화 한 후에는 암호화된 데이터영역을 삭제하는 삭제단계(S30)에 진입한다.
삭제단계(S30)는 앞서 언급한 전자 기기(M)의 각 구역, 즉 데이터 영역, 캐시영역을 모두 삭제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삭제단계(S30)는 파일 시스템에서 기록을 지우는 것으로서, 실제 해당파일을 찾아 파일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복원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손쉽게 복원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삭제단계(S30)를 거친 후, 본 발명은 보다 완전한 데이터 영역의 삭제를 위하여 랜덤덮어쓰기 단계(S40)를 한번 더 거치게 된다.
랜덤덮어쓰기 단계(S40)는 일반적인 삭제와는 다른 영구적인 삭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전 영역을 0 또는 1로 기록하는 제로필방식과 데이터의 전 영역을 서로 중복되지 않는 문자로 기록하여 모든 데이터를 제거하는 무한난수입력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운영체제의 단순한 방식을 따르지 않고, 파일 시스템의 기록을 삭제함과 동시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실제 파일 공간으로 이동하여, 파일 위에 새로운 데이터, 즉 0 또는 1 또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문자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랜덤덮어쓰기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완적 삭제 방식은 PC의 HDD 같은 저장매체의 경우 미국방성이나 국내 국정원 등에서 권장하는 표준 방식(DOD 5220.22-M)을 적용하고 있으며, 통상 3회 이상의 덮어쓰기를 권장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PC의 HDD 같은 저장매체와 달리 저장장치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는 직접적인 데이터 덮어쓰기가 불가하고 데이터를 모두 지운 후 제로필을 하고 다시 모두 지우고 제로필을 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완전 삭제를 하고 있다. 그렇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이런 방식의 여러번 덮어쓰기를 하는 것은 시간도 오래 걸리며 메모리 수명을 단축시키는 부작용이 있고, 1회 정도만 덮어쓰기를 해도 데이터 완전 삭제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어 1회 정도의 제로필만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삭제방법과 함께 데이터 복구 기술도 발전하여 단순 제로필 한번 만으로는 데이터 완전 삭제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W를 활용하는 등 복구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어, 이 또한 완벽한 삭제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를 0 또는 1로 기록하는 제로필 방식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M)의 상태에 따라 서로 중복되지 않는 문자를 입력하는 무한난수입력방식을 혼재하여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완전삭제를 가능하게 하며,
추가적인 보안책으로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랜덤덮어쓰기 단계(S40) 전에 암호화단계를 수행하여 개인정보가 복구가 되더라도 암호화된 파일이 복구됨으로서,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도록 하여 보다 완벽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랜덤덮어쓰기 단계(S40)에서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무한난수입력방식과 제로필방식을 혼재하여 사용하고, 보다 신속한 처리를 위해 병렬 프로세스로 처리된다.
도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랜덤덮어쓰기 단계(S40)는 메모리 데이터 영역의 용량이 기준용량(예; 100M) 보다 큰지 확인한다(S41).
확인결과 데이터 영역이 기준용량 보다 작은면, 데이터 영역 전체에 대하여 무한난수입력방식이나 제로필방식 또는 이들이 혼재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완전 삭제한다(S42).
확인 결과 데이터 영역이 기준용량 보다 크면, 데이터 영역을 분할용량(예; 280M) 크기의 섹터(S45)들로 순차적으로 분할한다(S43). 여기서 섹터(S45)들은 물리적,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데이터 영역에서 첫번째 섹터의 분할이 완료되면 첫번째 섹터에 대해 무한난수입력방식과 제로필방식이 혼합된 방식으로 데이터의 완전 삭제가 진행되고, 첫번째 섹터에 대해 데이터의 완전 삭제가 진행되기 시작하면 바로 데이터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서 두번째 섹터의 분할이 시작되고, 두번째 섹터의 분할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완전 삭제가 진행되고, 다시 세번째 섹터의 분할이 시작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래서 상기 랜덤덮어쓰기 단계(S40)는 데이터 영역에서 분할된 다수의 섹터(S45)들에 대한 데이터 완전 삭제가 동시에 진행되는 병렬 프로세스 방식으로 처리됨으로써, 데이터 영역 전체에 대한 데이터 완전 삭제 시간이 단축된다.
분할된 섹터(S45)에서 데이터를 완전 삭제하는 방식으로는 분할된 섹터의 일부(예; 280M 중 90M)에 대하여 무한난수입력방식으로 데이터를 완전삭제하고(S46), 나머지 중에서 일부(예; 190M(280-90)) 중 일부(100M)에 대하여 제로필방식으로 데이터를 완전삭제하고(S47), 나머지 전체(예; 90M)에 대해 무한난수입력방식으로 데이터를 완전삭제(S48)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랜덤덮어쓰기 단계(S40)를 거친 전자 기기(M)는 재사용을 위한 공장 초기화를 진행하는 초기화단계(S50)를 거치게 되며, 이를 통하여 기존에 남아있던 전자 기기(M)의 데이터를 완전삭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범법행위를 위하여 복원을 시도하는 경우, 복원된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있음에 따라 열어볼 수 없도록 하여 보완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전자 기기가 안치되는 본체;
    조명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검사 결과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성능 검사 결과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전자 기기의 가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 검사 결과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자 기기를 촬영한 영상에 기반하고,
    상기 조명들은 빛을 출력하되 일부 조명들은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결함에 대한 난반사가 상쇄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들 중 나머지 조명들은 동일한 파장의 빛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조명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나머지 조명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들 중 제1 조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조명들 중 제2 조명은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조명들 중 제3 조명은 상기 본체 내부의 제3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조명들 중 제4 조명은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에 위치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은 상기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과 상기 제2 조명은 제1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하고 상기 제3 조명과 상기 제4 조명은 제2 조사 각도로 빛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결함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결함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KR1020200036605A 2019-03-29 2020-03-26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KR10229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782360.0A EP3951368A4 (en) 2019-03-29 2020-03-27 ELECTRONIC DEVICE EVALUATION SYSTEM
JP2021554413A JP7225430B2 (ja) 2019-03-29 2020-03-27 電子機器価値評価システム
PCT/KR2020/004242 WO2020204503A1 (ko) 2019-03-29 2020-03-27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US17/310,827 US20220136977A1 (en) 2019-03-29 2020-03-27 Electronic Device Valuation System
CN202080020513.2A CN113557427A (zh) 2019-03-29 2020-03-27 电子装置估值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7138 2019-03-29
KR1020190037138 2019-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08A true KR20200115308A (ko) 2020-10-07
KR102290802B1 KR102290802B1 (ko) 2021-08-20

Family

ID=7288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05A KR102290802B1 (ko) 2019-03-29 2020-03-26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0802B1 (ko)
CN (1) CN11355742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2009A1 (en) * 2020-01-06 2021-07-15 Hyl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rading pre-owned electronic devices
US11436570B2 (en) 2014-10-31 2022-09-06 Ecoat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11462868B2 (en) 2019-02-12 2022-10-04 Ecoatm, Llc Connector carrier for electronic device kiosk
WO2022220565A1 (ko) * 2021-04-14 2022-10-20 민팃(주)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동화 기기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및 모바일 전자기기 테스트 시스템
US11482067B2 (en) 2019-02-12 2022-10-25 Ecoatm, Llc Kiosk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WO2023022369A1 (ko) * 2021-08-19 2023-02-23 민팃(주) 중고 전자 기기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91312A1 (ko) * 2022-03-29 2023-10-05 민팃(주) 전자 기기의 외관 상태 평가 및 가치 평가 방법과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장치
US11798250B2 (en) 2019-02-18 2023-10-24 Ecoatm, Llc Neural network based physical condition evalu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4025139A1 (ko) * 2022-07-26 2024-02-01 민팃(주) 웨어러블 기기를 매입하는 무인 매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22467B2 (en) 2020-08-17 2024-03-05 ecoATM, Inc. Evaluat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US11989710B2 (en) 2018-12-19 2024-05-21 Ecoat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nding and/or purchasing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11989701B2 (en) 2014-10-03 2024-05-21 Ecoatm, Llc System for electrically testing mobile devices at a consumer-operated kiosk,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105A1 (ko) * 2022-03-18 2023-09-21 민팃(주) 전자 기기를 촬영하는 촬영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매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057A (ko) * 2009-09-14 2011-03-22 이제선 영상촬영장치
JP2018520453A (ja) * 2015-05-12 2018-07-26 ア ラ カルト メデ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機器を遠隔で金銭的対価と引き換えに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057A (ko) * 2009-09-14 2011-03-22 이제선 영상촬영장치
JP2018520453A (ja) * 2015-05-12 2018-07-26 ア ラ カルト メデ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機器を遠隔で金銭的対価と引き換えに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9701B2 (en) 2014-10-03 2024-05-21 Ecoatm, Llc System for electrically testing mobile devices at a consumer-operated kiosk,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US11436570B2 (en) 2014-10-31 2022-09-06 Ecoat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11989710B2 (en) 2018-12-19 2024-05-21 Ecoat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nding and/or purchasing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11462868B2 (en) 2019-02-12 2022-10-04 Ecoatm, Llc Connector carrier for electronic device kiosk
US11482067B2 (en) 2019-02-12 2022-10-25 Ecoatm, Llc Kiosk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US11843206B2 (en) 2019-02-12 2023-12-12 Ecoatm, Llc Connector carrier for electronic device kiosk
US11798250B2 (en) 2019-02-18 2023-10-24 Ecoatm, Llc Neural network based physical condition evalu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1142009A1 (en) * 2020-01-06 2021-07-15 Hyl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rading pre-owned electronic devices
US11580627B2 (en) 2020-01-06 2023-02-14 Assura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rading pre-owned electronic devices
US11922467B2 (en) 2020-08-17 2024-03-05 ecoATM, Inc. Evaluat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O2022220565A1 (ko) * 2021-04-14 2022-10-20 민팃(주)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동화 기기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및 모바일 전자기기 테스트 시스템
WO2023022369A1 (ko) * 2021-08-19 2023-02-23 민팃(주) 중고 전자 기기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91312A1 (ko) * 2022-03-29 2023-10-05 민팃(주) 전자 기기의 외관 상태 평가 및 가치 평가 방법과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장치
WO2024025139A1 (ko) * 2022-07-26 2024-02-01 민팃(주) 웨어러블 기기를 매입하는 무인 매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57427A (zh) 2021-10-26
KR102290802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160B1 (ko) 다중 파장 광원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중고 단말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
KR102290802B1 (ko) 전자 기기 가치 평가 시스템
JP7225430B2 (ja) 電子機器価値評価システム
CN104185786B (zh) 缆绳检查装置
JP5410092B2 (ja) 複合構造に不整合がないか検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5259181A (zh) 显示屏的显示缺陷检测方法、装置及设备
CN108683907A (zh) 光学模组像素缺陷检测方法、装置及设备
CN107172084A (zh) 一种身份验证的方法和设备
CN104603575A (zh) 具有附加的感应装置的激光扫描仪
CN106645196A (zh) 投影镜头的灰尘检测装置及灰尘清除装置
CN105359502B (zh) 追踪装置、追踪方法以及存储了追踪程序的非易失性存储介质
KR20210059148A (ko) 터치로봇을 이용한 단말기 무인 매입 시스템
CN108801601A (zh) 菲涅尔透镜杂散光噪声的测试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8668121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存储介质
GB2584547A (en) Document authentication by attitude-independent determination of surface appearance using controlled illumination
Mukaigawa et al. Rapid BRDF measurement using an ellipsoidal mirror and a projector
JP721087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236764B2 (ja) 画像投射装置評価方法、画像投射装置、画像投射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の評価システム
JP4910939B2 (ja) 回折像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CN101663577A (zh) 探查系统及技术
TWM573824U (zh) 一種光學檢測裝置
JP2008134160A (ja) 検査装置、検査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8196426A (ja) 毛穴検出方法及び毛穴検出装置
KR102508899B1 (ko) 리플렉션 이미지의 획득을 통한 단말기 보험 가입 시스템
WO2022190273A1 (ja) ガラス破砕試験方法及びガラス破砕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