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237A -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237A
KR20200115237A KR1020200035387A KR20200035387A KR20200115237A KR 20200115237 A KR20200115237 A KR 20200115237A KR 1020200035387 A KR1020200035387 A KR 1020200035387A KR 20200035387 A KR20200035387 A KR 20200035387A KR 20200115237 A KR20200115237 A KR 2020011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titanium copper
elongation
roll
tit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064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10Other heavy metals
    • C23G1/103Other heavy metals copper or alloy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23G1/20Other heav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3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spray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18Roll crown; roll prof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 Rolling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라인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 및 찰과 흠집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티타늄 구리박을 제공하는 것.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 중고율이 0.01 내지 1.20%이고, 중앙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인, 상기 티타늄 구리박.

Description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COPPER FOIL WITH TITANIUM AN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FOIL WITH TITANIUM}
본 발명은,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의 카메라 렌즈부에는,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이라고 불리는 전자 부품이 사용된다. 휴대 전화의 카메라 오토 포커스 기능은,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재료의 스프링력에 의해, 렌즈를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과 함께, 주위에 감긴 코일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렌즈를 재료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기구로 카메라 렌즈가 구동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이 발휘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에는, 박 두께 0.1㎜ 이하이고, 1100MPa 이상의 인장 강도 또는 0.2% 내력을 갖는 Cu-Ni-Sn계 구리 합금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의 비용 절감 요구에 의해, Cu-Ni-Sn계 구리 합금보다 비교적 재료 가격이 저렴한 티타늄 구리박이 사용되게 되어, 그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2800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115895호 공보
티타늄 구리박은, 코일의 형태로 제품화되고, 티타늄 구리박에 대해서 각종 처리 및 가공이 행해진다(예를 들어, 도금 처리, 슬릿 가공, 에칭 가공,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서 면과 면을 붙이는 가공 또는 접합하는 가공 등). 이들 처리나 가공은, 권출 장치, 처리 장치, 가공 장치, 및 권취 장치 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들 장치 및 그 밖의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 라인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은, 안내 롤을 거쳐 연속적으로 각 장치를 통과한다.
티타늄 구리박은, 다양한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처리 및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특성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것에 추가하여, 결함 없이 라인을 통과할 수 있는 특성이 필요해진다. 라인을 통과할 때의 결함으로서, 주름의 발생, 및 찰과 흠집의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 및 찰과 흠집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티타늄 구리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티타늄 구리박 등의 구리박은,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발명자는, 평탄하지 않아도 결함 없이 라인을 통과할 수 있는 티타늄 구리박, 혹은 어느 정도의 평탄성이 결여된 티타늄 구리박이, 오히려 완전히 평탄한 것보다 결함 없이 라인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어, 일 측면에 있어서,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발명 1)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 중고율이 0.01 내지 1.20%이고,
중앙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인, 상기 티타늄 구리박.
(발명 2)
발명 1의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 단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인, 상기 티타늄 구리박.
(발명 3)
발명 1 또는 2의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
Ti를 1.5 내지 5.0질량%,
Ag, B, Co, Fe, Mg, Mn, Mo, Ni, P, Si, Cr,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 내지 1.0질량%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티타늄 구리박.
(발명 4)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1100MPa 이상인, 상기 티타늄 구리박.
(발명 5)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티타늄 구리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산세하는 공정과, 마무리 냉간 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산세는, 폭 방향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감량율(%)이 0 내지 60%로 되는 범위에서 산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은, 워크 롤 크라운양(%)이 20 내지 45%로 되는 범위에서 압연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발명 6)
발명 5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은, 중간 롤 시프트양(%)이 5 내지 30%로 되는 범위에서 압연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일 측면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의 중고율이 0.01 내지 1.20%이다. 또한, 중앙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이다. 이에 의해, 주름의 발생 및 찰과 흠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단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이다. 이에 의해, 안내 롤의 손상 및 구리박의 변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의 중고율에 관련된 각종 치수를 나타낸다.
도 2는 신율의 정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1. 티타늄 구리박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티타늄 구리박에 관한 것이다. 티타늄 구리박이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티타늄을 함유하는 구리박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은, 적어도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중고율이 0.01 내지 1.20%
·중앙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
이하에서는, 상기 특징 및 그 밖의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1. 치수
티타늄 구리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형으로 제품화되지만, 치수로서는, 두께 및 폭을 들 수 있다. 폭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00 내지 700㎜여도 된다. 또한, 티타늄 구리「박」이라고 칭해지는 것을 이유로 하여, 두께에 대해서는, 0.100㎜ 이하(바람직하게는 0.050㎜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두께(즉, 티타늄 구리박 전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두께)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의 두께를 의미한다. 두께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0.020㎜ 이상이어도 된다.
1-2. 조성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은 티타늄을 1.5 내지 5.0질량% 함유한다(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질량%). 1.5질량% 이상임으로써, 원하는 인장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5.0질량%를 초과하면 강도가 너무 높아서 가공이 곤란해진다.
상기 이외의 원소로서, Ag, B, Co, Fe, Mg, Mn, Mo, Ni, P, Si, Cr, 및 Zr 중 1종 이상을, 총량 0 내지 1.0질량% 더 첨가해도 되고, 또는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예를 들어, 0질량%여도 됨). 이들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제조에 있어서는 열간 가공성, 제품에 있어서는 내력, 인장 강도, 스프링 한계치 및 응력 완화 특성 등의 기계적 성질, 납땜 특성 및 도금 특성 등의 표면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양호해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너무 첨가하면 가공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6질량%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잔부는, Cu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Cu 이외에 불가피적 불순물이 포함되어도 된다. 불가피적 불순물은, 예를 들어 S 및 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가피적 불순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합계 100질량ppm 이하이다.
1-3. 중고율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중고율(中高率)」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고는, JISH0500 「신동품 용어」(2018년)에 기재된 바와 같다. 그리고, 중고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중앙부의 두께-단부의 두께)/단부의 두께)×100%
여기서, 각 치수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도 1 참조).
·단부의 두께: 티타늄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르는 직선상의 점에서,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1/10W인 점에 있어서의 두께와,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9/10W인 점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
·중앙부의 두께: 티타늄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르는 직선상의 점에서,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1/2W인 점에 있어서의 두께
·폭 방향: 구리박면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
·폭: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그은 직선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치수(W)
중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중앙부의 두께가 단부의 두께에 비해 큰 형상이다. 두께가 크므로, 중앙부는 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다. 그 때문에, 중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라인의 통과에 있어서 안내 롤에 티타늄 구리박이 둘러싸였을 때, 중앙부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중앙부의 두께가 단부의 두께에 비해 큰 형상이면, 중앙부가 단부에 비해 높은 압박력으로 안내 롤과 접촉하게 되어, 안내 롤과의 접촉에 의한 찰과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중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1.20%이다(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0.70%). 0.01%를 하회하면, 중앙부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1.20%를 상회하면, 중앙부에 찰과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1-4. 신율(I-Unit)
신율은, 냉간 압연 강대, 또는 구리 및 구리 합금의 판 및 조의 평탄도를 평가할 때 널리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급준도 및 신율(신장 차율이라고도 함)」의 측정에 의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베제강 기보(제59권 제3호: 2009년 12월)를 참조한다.
상기에 있어서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와 같이 해석한다.
Flatness: 평탄도
Steepness: 급준도
λ: 급준도
Elongation: 신장 차율=신율
I-Unit: 신장 차율=신율
δ: 신장 차에 의한 파의 높이
L: 신장 차에 의한 파의 길이
ΔL: 신장 차
상기에 의해 측정되는 신율에 대하여, 중앙부 및 단부의 신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단부의 신율: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르는 영역에서,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0/4W 내지 1/4W인 영역과,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3/4W 내지 4/4W인 영역을, 합친 영역에 있어서의 신율의 최댓값
·중앙부의 신율: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르는 영역에서, 일단으로부터의 치수가 1/4W 내지 3/4W인 영역에 있어서의 신율의 최댓값
여기서,
·폭 방향: 구리박면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
·폭: 구리박면에서 폭 방향으로 그은 직선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치수(W)
단부의 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단부가 늘어진 형상이다. 늘어진 형상이면, 라인의 통과에 있어서 안내 롤에 티타늄 구리박이 둘러싸였을 때, 안내 롤과 티타늄 구리박의 사이에 발생하는 압박력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단부의 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단부의 최선단부와의 접촉에 의한 안내 롤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단부가 늘어진 형상이면, 단부의 최선단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변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단부의 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1 내지 60(I-Unit)이다. 1(I-Unit)을 하회하면, 늘어진 형상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안내 롤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60(I-Unit)을 상회하면, 늘어진 형상이 과잉이기 때문에 변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중앙부의 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중앙부가 늘어진 형상이다. 늘어진 형상이면, 라인의 통과에 있어서 안내 롤에 티타늄 구리박이 둘러싸였을 때, 안내 롤과 티타늄 구리박의 사이에 발생하는 압박력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중앙부의 신율이 높은 티타늄 구리박은, 중앙부에 찰과 흠집이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중앙부가 늘어진 형상이면, 중앙부가 양측의 단부에 구속되는 부위에 위치하기도 하여, 중앙부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중앙부의 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1 내지 60(I-Unit)이다. 1(I-Unit)을 하회하면, 늘어진 형상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찰과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60(I-Unit)을 상회하면, 늘어진 형상이 과잉이기 때문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1-5. 인장 강도(압연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티타늄 구리박은, 11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다(더욱 바람직하게는 1300MPa 이상). 이에 의해, 카메라 모듈 등으로 사용할 때의 요구 사양을 충족할 수 있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000MPa 이하여도 되고, 전형적으로는 1600MPa 이하여도 된다.
2.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일반적으로, 티타늄 구리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용해로에서 전기 구리, Ti 등의 원료를 용해하여, 원하는 조성의 용탕을 얻는다. 경우에 따라, 첨가 원소의 원료를 추가로 함께 용해시켜도 된다.
그리고, 이 용탕을 잉곳으로 주조한다. 티타늄이 산화에 의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해 및 주조는 진공 중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잉곳에 대해서, 전형적으로는 열간 압연, 제1 냉간 압연, 용체화 처리, 산세, 제2 냉간 압연, 시효 처리, 마무리 냉간 압연, 방청 처리를 이 순으로 실시하고, 원하는 박 두께 및 특성을 갖는 박으로 마무리한다.
상기 각 공정에 대해서는, 당분야에서 공지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산세 및 마무리 냉간 압연에 대해서는, 이하의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상술한 특징의 티타늄 구리박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2-1. 산세
산세는, 상술한 중고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산세 공정에서 단부와 중앙부에서 산세 두께 감소량을 각각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용체화 처리 후의 산세 공정에서는, 용체화 처리재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스프레이 노즐 스프레이압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와 단부(중앙부와 단부의 정의에 대해서는, 「1-3. 중고율」에서 기재한 바와 같음)에서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산세에 의한 두께 감소의 균등성을 조정한다.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단부의 스프레이압-중앙부의 스프레이압)/단부의 스프레이압)×100%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이 0%인 경우, 중앙부와 단부에서, 산세에 의한 두께 감소의 능력은 균등하다.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이 부(負)의 값인 경우, 중앙부는, 단부에 비해 산세에 의한 두께 감소의 능력이 높다.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이 정(正)의 값인 경우, 중앙부는, 단부에 비해 산세에 의한 두께 감소의 능력이 낮다.
단, 실제로는,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이 0%인 경우라도, 중고율은 0%로 되지 않아 정의 값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스프레이압 이외의 원인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저감율과 중고율 사이에는 양호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 발명의 실시에 큰 영향은 없다.
2-2. 마무리 냉간 압연
중앙부 및 단부의 신율의 제어는, 철강 또는 구리 및 구리 합금의 판 및 조를 냉간 압연에 의해 제조할 때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주지의 형상 제어 수단을 이용하면 된다.
압연기에 의한 형상 제어 수단은, 많은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롤 벤딩, 롤 치수 형상(테이퍼, 크라운), 롤 시프트, 롤 크로스, 가변 크라운 롤(VC롤 등), 백업 베어링의 압출 패턴 변경(20단이나 12단 클러스터 압연기), 압하 레벨링, 비대칭의 롤 벤딩 등의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판의 냉간 압연에 있어서, 금속판의 형상을 조정하는 수단이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단, 중앙부 및 단부의 신율에 대하여, 2 변수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형상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적어도 2 이상의 수단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워크 롤의 크라운양과, 중간 롤의 시프트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2-2-1. 워크 롤의 크라운양
워크 롤에 대해서는, 크라운 형상을 롤 연삭에 의해 조절하고, 서로 다른 크라운 형상의 롤을 사용한다. 여기에서는, 워크 롤을, 롤 길이 방향 중앙부의 롤 직경이 롤 길이 방향 에지부의 롤 직경에 비해 큰 것으로 조절하고 있으며, 그 양을 크라운양이라 칭하기로 한다.
우선, 예비 시험으로서, 마무리 냉간 압연의 최종 패스에 있어서, 크라운양을 점차 크게 한 워크 롤을 사용하여, 파단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크라운양을 크게 해 가면(즉 롤 길이 방향 중앙부의 롤 직경을 롤 길이 방향 단부의 롤 직경에 비해 크게 해 가면) 티타늄 구리박은 파단된다. 이때의 크라운양을 100%로 한다.
크라운양을 조절함으로써,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신율을 조절 할 수 있다. 크라운양이 작으면 중앙부의 신율은 낮아지고, 크라운양이 크면 중앙부의 신율은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크라운양은 20 내지 45%로 조절한다(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2-2-2. 중간 롤의 시프트양
중간 롤은, 테이퍼를 갖는 롤을 사용하여, 롤 시프트가 가능한 방식으로 하였다. 테이퍼를 갖는 롤은, 테이퍼부와 플랫부로 이루어진다. 테이퍼부는, 롤 직경이 플랫부에 비해 작다. 그 때문에, 중간 롤의 테이퍼부가 워크 롤에 접하는 부분은, 중간 롤로부터 워크 롤로의 압하가 경감된다. 중간 롤은, 테이퍼부가 티타늄 구리박의 단부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롤 시프트에 의해 중간 롤의 롤 시프트 위치를 바꿈으로써 테이퍼부의 위치도 바뀌어, 테이퍼의 효과, 즉 중간 롤로부터 워크 롤로의 압하가 가감된다.
우선, 예비 시험으로서, 중간 롤의 롤 시프트 위치를 점차 변화시켜, 파단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테이퍼의 효과가 없는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롤 시프트양을 100%로 하고, 여기서는 파단은 일어나지 않았다. 다음에, 테이퍼의 효과가 커지는 방향으로 롤 시프트 위치를 점차 바꿔 가면, 즉 테이퍼부가 티타늄 구리박에 걸치는 것을 늘려 가면 티타늄 구리박은 파단되었다. 파단되었을 때의 롤 시프트 위치에 있어서 롤 시프트양을 0%로 두었다.
롤 시프트양의 조절에 의해, 티타늄 구리박에 있어서의 단부의 신율을 조절 할 수 있다. 롤 시프트양이 작으면 단부의 신율은 낮아지고, 롤 시프트양이 크면 단부의 신율은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롤 시프트양은 5 내지 30%가 바람직하다(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실시예
3. 평가 항목(라인 통과 시의 결함)
티타늄 구리박의 재권취 라인에서 라인의 통과에 있어서의 결함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은, 주름, 찰과 흠집, 안내 롤 손상 및 변동의 4개 항목을 채용하였다.
평가 항목 「주름」에 대하여, 라인을 통과 중에 눈으로 보아 주름이 보인 경우, 불량(×)이라고 하였다. 또한, 요철이 보이지 않고, 주름 형상의 모양으로 보이는 것이라도 불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외를 양호(○)라고 하였다.
평가 항목 「찰과 흠집」에 대하여, 이하의 수속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라인에 금속제의 안내 롤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안내 롤의 주속도가, 티타늄 구리박의 통과 속도의 80%로 되도록 안내 롤의 회전 토크를 조정하였다. 즉, 티타늄 구리박의 속도와 안내 롤의 속도가 동조하지 않는 상태로 하였다. 그리고, 라인을 통과한 다음, 티타늄 구리박의 표면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고, 찰과 흠집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외를 양호(○)라고 하였다.
평가 항목 「안내 롤 손상」에 대하여, 이하의 수속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라인에 고무제의 안내 롤을 배치하였다. 이어서, 인장 강도의 60%에 상당하는 장력을 티타늄 구리박에 부여하였다. 그리고, 티타늄 구리박이 라인을 통과한 다음 안내 롤의 손상을 확인하였다. 티타늄 구리박의 에지가 통과한 개소를 관찰하고, 고무의 표면이 깎여 있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하였다. 또한, 깎일 정도가 아니더라도 통과 흔적이 눈으로 보아 관찰되는 경우도 불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외를 양호(○)라고 하였다.
평가 항목 「변동」에 대하여, 이하의 수속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안내 롤을 배치하였다. 이들 롤은, 지상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의 높이가 동일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수평 방향의 간격을 3미터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한 쌍의 안내 롤 사이를 티타늄 구리박이 통과하고 있을 때, 중간점(즉, 2개의 안내 롤 간의 거리가 1.5미터인 점)에서 단부의 최선단을 관찰하였다. 단부의 최선단이 수직 방향으로 크게 진동하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라인의 운전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단부의 최선단은 진동하지 않는다. 이때에 있어서의 단부의 최선단은, 수직 방향으로 높아지고 낮아지는 것이 반복되는 파상의 곡선을 나타낸다. 이 파의 고저차의 2배를 초과하는 진동이, 라인의 운전 중에, 즉 티타늄 구리박이 한 쌍의 안내 롤 사이를 통과하고 있을 때 관찰된 경우를 불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외를 양호(○)라고 하였다.
4.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표 1 내지 2에 기재한 조성으로 되도록 잉곳을 주조하였다. 당해 잉곳에 대해서, 표 1 내지 2에 기재한 제품 두께가 되도록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열간 압연, 제1 냉간 압연, 용체화 처리, 산세, 제2 냉간 압연, 시효 처리, 마무리 냉간 압연, 방청 처리를 이 순으로 실시하였다.
산세 시에, 폭 방향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감량율(%)을, 표 1 내지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마무리 압연 시의 중간 롤 시프트양(%) 및 워크 롤 크라운양(%)을 표 1 내지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조절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중고율(%), 단부의 신율 및 중앙부의 신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장 강도를, JIS Z2241-2011(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주름, 찰과 흠집, 안내 롤 손상 및 변동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발명예 1 내지 2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중고율, 및 중앙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후의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주름 및 찰과 흠집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발명예 1 내지 20 및 23에서는, 또한 단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후의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안내 롤 손상 및 변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발명예 21에서는,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중간 롤 시프트양이 너무 작았기 때문에 단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안내 롤 손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발명예 22에서는,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중간 롤 시프트양이 너무 컸기 때문 단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상회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변동이 발생하였다. 또한, 발명예 23에 있어서는, Ti 농도가 너무 낮았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였다.
비교예 1은, 용체화 처리 후 산세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감소율이 너무 낮았기 때문에 중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주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는, 용체화 처리 후 산세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감소율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중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초과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찰과 흠집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3은,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워크 롤의 크라운양이 너무 작았기 때문에 중앙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하회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찰과 흠집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4는, 마무리 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워크 롤의 크라운양이 너무 컸기 때문에 중앙부의 신율이 바람직한 범위를 상회하고, 재권취 시험에 있어서 주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5는, Ti 농도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열간 압연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그 후의 가공이 불능으로 되었다.
비교예 6은, Ti를 제외하는 각 합금 원소의 총 농도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열간 압연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그 후의 가공이 불능으로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은,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특정한 방법에 대해서는, 일부의 공정을 다른 공정의 순서와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정한 2개의 공정 사이에 또 다른 공정을 추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6)

  1. 티타늄 구리박이며, 중고율이 0.01 내지 1.20%이고,
    중앙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인, 티타늄 구리박.
  2. 제1항에 있어서,
    단부의 신율(I-Unit)이 1 내지 60인, 티타늄 구리박.
  3. 제1항에 있어서,
    Ti를 1.5 내지 5.0질량%,
    Ag, B, Co, Fe, Mg, Mn, Mo, Ni, P, Si, Cr,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합계 0 내지 1.0질량% 함유하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티타늄 구리박.
  4. 제1항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1100MPa 이상인, 티타늄 구리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티타늄 구리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산세하는 공정과, 마무리 냉간 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산세는, 폭 방향 중앙부의 스프레이압 감량율(%)이 0 내지 60%로 되는 범위에서 산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은, 워크 롤 크라운양(%)이 20 내지 45%로 되는 범위에서 압연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냉간 압연은, 중간 롤 시프트양(%)이 5 내지 30%로 되는 범위에서 압연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35387A 2019-03-27 2020-03-24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KR10234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1744A JP6953465B2 (ja) 2019-03-27 2019-03-27 チタン銅箔及びチタン銅箔の製造方法
JPJP-P-2019-061744 2019-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237A true KR20200115237A (ko) 2020-10-07
KR102340064B1 KR102340064B1 (ko) 2021-12-16

Family

ID=7264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387A KR102340064B1 (ko) 2019-03-27 2020-03-24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3465B2 (ko)
KR (1) KR102340064B1 (ko)
CN (1) CN111748710B (ko)
TW (1) TWI788625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508A (ja) * 1996-02-19 1997-09-02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および多段圧延機による金属箔の圧延方法
JP2004280031A (ja) 2003-03-13 2004-10-07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9115895A (ja) 2007-11-02 2009-05-28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4143008A (ja) * 2013-01-22 2014-08-07 Sh Copper Products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の評価方法
JP2017179566A (ja) * 2016-03-31 2017-10-05 Jx金属株式会社 チタン銅箔、伸銅品、電子機器部品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606A (ja) * 1992-08-19 1994-03-08 Kobe Steel Ltd 金属箔の圧延方法
JP5723849B2 (ja) * 2012-07-19 2015-05-2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高強度チタン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46470A1 (ja) * 2013-09-26 2015-04-02 三菱伸銅株式会社 銅合金
JP6391618B2 (ja) * 2016-03-24 2018-09-19 Jx金属株式会社 チタン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03878B2 (ja) * 2016-03-31 2020-06-03 Jx金属株式会社 チタン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42570B (zh) * 2017-08-23 2019-01-29 西北有色金属研究院 一种微米级钛箔的制备方法
JP2019031741A (ja) * 2018-10-03 2019-02-28 Jx金属株式会社 チタン銅箔、伸銅品、電子機器部品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508A (ja) * 1996-02-19 1997-09-02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および多段圧延機による金属箔の圧延方法
JP2004280031A (ja) 2003-03-13 2004-10-07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9115895A (ja) 2007-11-02 2009-05-28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4143008A (ja) * 2013-01-22 2014-08-07 Sh Copper Products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の評価方法
JP2017179566A (ja) * 2016-03-31 2017-10-05 Jx金属株式会社 チタン銅箔、伸銅品、電子機器部品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64B1 (ko) 2021-12-16
JP6953465B2 (ja) 2021-10-27
TWI788625B (zh) 2023-01-01
CN111748710A (zh) 2020-10-09
JP2020157363A (ja) 2020-10-01
TW202035721A (zh) 2020-10-01
CN111748710B (zh)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3940B2 (ja) 銅合金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499159B2 (ja) 銅合金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9604267B2 (en)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sheet and magnesium alloy coil stock
KR101719889B1 (ko) 구리합금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9888B1 (ko) 구리합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5798A (ko) 티타늄 구리박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38268A (ja) 耐型かじり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90088A (ko) 마그네슘 합금 코일재, 마그네슘 합금 코일재의 제조 방법 및 마그네슘 합금 부재
JP2004298938A (ja) アルミニウム薄板および箔とその製造方法
KR20200115237A (ko) 티타늄 구리박 및 티타늄 구리박의 제조 방법
JP2011084800A (ja) 高純度アルミニウム圧延板とその圧延板の製造方法
JP6975391B2 (ja) Fe−Ni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およびFe−Ni系合金薄板
JP5761071B2 (ja) 高張力鋼板の調質圧延方法、調質圧延設備及び圧延ライン
KR20010012804A (ko) 금속박의 제조방법
JP2015193027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7200918B2 (ja) 鋼板の冷間圧延方法及び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18168451A (ja) 層状組織を有する高強度チタン銅条および箔
JPH0824904A (ja) 金属帯の製造方法
JP2002346606A (ja) 調質冷間圧延設備および調質冷間圧延方法
JP2003285112A (ja) チタン板の冷間圧延方法
JP2004243349A (ja) 鋼板の形状矯正方法
JP2005246407A (ja) エッジドロップの生じない冷間圧延方法
JP2001286905A (ja) ステンレス鋼箔
JPH11333502A (ja) 金属箔の製造方法
KR20130055906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연속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