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551A -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551A
KR20200114551A KR1020190036497A KR20190036497A KR20200114551A KR 20200114551 A KR20200114551 A KR 20200114551A KR 1020190036497 A KR1020190036497 A KR 1020190036497A KR 20190036497 A KR20190036497 A KR 20190036497A KR 20200114551 A KR20200114551 A KR 2020011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bar
door
step adjustment
locking member
b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9003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551A/ko
Publication of KR2020011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도어에 형성된 홈바 저장실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홈바 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의 래치어셈블리에 걸리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단차조절용 요철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기 단차조절용 요철부가 상기 홈바 도어와 조립되어 상기 홈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종래와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되 부품의 형상을 변경하여 홈바 도어와 다른 도어(홈바 도어)간의 단차를 개선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Refrigerator with home bar door}
본 발명은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차를 개선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3738호(이하,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도 1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와,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다수의 저장실과, 각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본체 도어인 제1도어 내지 제4도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본체 도어 중 제3도어(230)가 개방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어(230)에는 홈바 도어(236, 237)가 마련된다. 홈바 도어(236, 237)는 본체 도어인 제3도어(23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므로 좌,우 회동식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홈바 도어(236, 237)에 의해 본체 도어인 제3도어(230)의 일부분이 개폐된다.
도 3은 제3도어(230)의 홈바 도어(236, 237)가 모두 열려, 홈바 저장실(236d, 237d)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홈바 도어(236, 237)의 후면에는 홈바 저장실(236d, 237d) 내에 수용되는 홈바 수납부(236e, 237e)가 마련되어 있다.
제3도어(230)의 전면에는 걸림홈(239)이 형성되어 있고, 홈바 도어(236, 237)의 후면에는 걸림홈(239)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재(236c, 237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홈바 도어(236, 237)가 닫힐 때 제3도어(230)의 걸림홈(239)에 홈바 도어(236, 237)의 걸림부재(236c, 237c)가 걸려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도어(23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제3도어(230)가 닫히 상태에서 홈바 도어(236, 237)를 열 때에는 제3도어(230)의 전측벽(235)과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홈바 도어(236, 237)의 전면(도 2상에서 전면의 좌측편)의 중앙 부분을 누르면, 홈바 도어(236, 237)의 걸림부재(236c, 237c)가 제3도어(230)의 걸림홈(239)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홈바 도어(236, 237)의 측벽(236a, 237a)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홈바 저장실(236d, 237d)이 개방된다.
한편, 홈바 도어(236, 237)의 걸림부재(236c, 237c)와 제3도어(230)의 걸림홈(239)의 결합 및 눌러서 결합해제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도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5929호(이하, 특허문헌 2)를 참고하도록 한다.
한편 도 4,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홈바 도어(236,237)는, 보스부(B)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걸림부재(236c)가 보스부(B)에 지지되며, 보스부(B)와 걸림부재(236c)의 접촉부(BT)가 모두 평면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홈바 도어를 가진 종래의 냉장고는, 홈바 도어의 부품간의 조립 편차나 누적 공차 또는 사출 성형 조건 상의 문제로 홈바 도어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튀어나와 다른 홈바도어(다른 도어)와 단차가 발생되면, 상기 단차를 없애기 위한 조치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도어나 홈바도어의 내부에 부품을 추가하여 상기 단차를 맞추는 관계로 냉장고의 품질적인 면이나 단가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3738호(2014.10.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5929호(2015.12.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닫힌 상태의 홈바 도어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튀어 나와 측부에 배치된 다른 도어(다른 홈바 도어)와 단차가 발생할 경우, 홈바 도어의 단차 개선이 용이한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이나 비용의 추가 없이 단차를 개선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차가 개선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홈바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냉장고의 도어에 형성된 홈바 저장실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홈바 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 지지된 채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의 래치어셈블리에 걸리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는 제1위치 또는 상하가 반전된 제2위치인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보스부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상기 보스부에 형성되는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단차조절용 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가 맞닿은 채 체결되거나,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가 끼워진 채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상기 보스부의 후면과 상기 걸림부재의 전면을 똑바로 볼 때,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위치이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고, 상기 제1위치의 걸림부재가 상하가 바뀌도록 회전되어 제2위치가 되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동일한 모습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후면에 표시부가 형성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조절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미조절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글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단차미조절표시부가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단차조절표시부가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닫힌 상태의 홈바 도어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튀어 나와 측부에 배치된 다른 도어(다른 홈바 도어)와 단차가 발생할 경우, 보스부 및 걸림부재에 돌기 및 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이나 비용의 추가 없이 홈바 도어의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바 도어의 개방시 걸림부재에 형성된 '수정상' 또는 '상' 글자가 보이므로, 홈바 도어가 단차가 개선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냉장고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홈바 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홈바 도어에 형성된 보스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스부에 지지되는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바 도어의 사시도
도 7의 도 6의 홈바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홈바 도어 중 보스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홈바 도어 중 걸림부재가 설치 방향에 따라 도시된 모습
도 10은 단차 미조정시 걸림부재와 보스부 조립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단차 조정시 걸림부재와 보스부 조립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바 도어(300)의 사시도이고, 도 7의 도 6의 홈바 도어(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홈바 도어(300) 중 보스부(400)의 후면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9 (a)는 도 7의 홈바 도어(300) 중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때 전면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9(b)는 도 7의 홈바 도어(300) 중 걸림부재(500)가 제2위치일 때 전면을 바라본 모습이며, 도 10(a)와 도 10(b)는 단차 미개선시 종래와 동일한 치수 조건으로 제1위치의 걸림부재(500)와 보스부(400)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a)와 도 11(b)는 걸림부재(500)와 보스부(40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체결되어 치수 보정값을 갖게 돼 단차가 개선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를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홈바 도어(300)가 적용되는 냉장고는, 냉장고의 도어에 형성된 홈바 저장실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홈바 도어(300);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홈바 도어(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스부(400); 상기 보스부(400)에 스크류(S)에 의해 체결 지지된 채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의 래치어셈블리에 걸리는 걸림부재(500); 상기 보스부(400)에 형성되는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 상기 걸림부재(500)에 형성되는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500)는 제1위치 또는 상하가 반전된 제2위치인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보스부(400)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걸림부재(500)의 설치 방향(제1위치,제2위치)에 따라 상기 홈바 도어(300)와 상기 도어의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맞닿은 채 체결되거나,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끼워진 채 체결된다.
전술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재(500)의 설치 방향(제1위치,제2위치)에 따라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가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맞닿아 상기 홈바 도어(300)와 상기 도어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로 인해 홈바 도어(300)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튀어나오는 정도가 조절되어 홈바 도어(300)와 다른 홈바 도어(다른 도어)간의 단차가 개선된다.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보스부(4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보스부(400)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걸림부재(5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와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의 후면과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전면이 서로 마주본다.
상기 보스부(400)의 후면과 상기 걸림부재(500)의 전면을 똑바로 볼 때, 상기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이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고, 상기 제1위치의 걸림부재(500)가 상하가 바뀌도록 회전되면 제2위치가 되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동일한 모습이다.
상기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때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상기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가 각각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와 마주보고, 상기 걸림부재(500)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각각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와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홈바 도어(300)는 상기 걸림부재(500)가 상기 제1위치일 때보다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도어와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홈바 저장실 폐쇄시 걸림부재(500)는 제1위치일 때보다 제2위치일 때 걸림부재(500)가 후술될 보스부(400)의 공간(480)에 더 깊게 삽입된다. 따라서 홈바 도어(300)는 걸림부재(500)가 후술될 공간(480)에 깊게 삽입된 만큼 도어와 가까워지므로 단차가 개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닫힌 상태의 홈바 도어(300)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튀어 나와 측부에 배치된 다른 도어(다른 홈바 도어)와 단차가 발생할 경우, 보스부(400) 및 걸림부재(500)에 돌기(413,433,513,533) 및 홈(415,435,515,535)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이나 비용의 추가 없이 홈바 도어(300)의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홈바 저장실 폐쇄 상태에서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경우,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와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가 서로 연통되고,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의 후면과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의 전면이 서로 마주본다.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된 보스부(400)는 스크류(S)가 체결되며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측 보스(410)와 하측 보스(430), 상기 상하측 보스(430)를 둘러싸는 네 개의 측벽(460), 상기 상하측보스(410,430)의 사방과 상기 측벽(460)에 양단이 연결되는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상측 보스(410)에 형성된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 상기 하측 보스(430)에 형성된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열되는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15)와 상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열되는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35)와 하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걸림부재(500)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와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열되는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부(515)과 상측제2단차조절용 철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열되는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부(535)와 하측제2단차조절용 철부(533)를 포함한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부(400)의 후면과 상기 걸림부재(500)의 전면을 똑바로 볼 때, 상기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고,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다.
상기 보스부(400)의 후면과 상기 제2위치인 걸림부재(500)의 전면을 똑바로 볼 때, 상기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와 동일한 모습이고,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동일한 모습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500)가 제2위치일 때 보스부(400)와 체결되면,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철부(533)와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철부(513)가 상기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15)와 상기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35)에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것이다.
홈바 도어(300)는 냉장고의 전면을 이루는 전판(310), 전판(3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홈바 도어 케이스(320), 홈바 도어 케이스(320)의 후측에 결합되어 홈바 도어(300) 폐쇄시 도어와 마주보는 후판(330)을 포함한다.
홈바 도어 케이스(320)는 정면으로 볼 때 사각의 띠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홈바 도어 케이스(320)는 본판, 상기 본판의 외측 테두리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본판 및 측판에 둘러싸여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480)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480) 내에 보스부(400)가 배치된다.
상기 후판(330)에는 걸림부재(500)의 후술될 걸림편(540)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부(331)가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재(500) 및 스크류(S)는 걸림편(540)을 제외한 부분이 후판(330)에 가려 외부에 보이지 않는다.
----- 보스부(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이하에서는 도 8, 도 10, 도 11을 참고로 보스부(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하도록 한다.
보스(410,430)의 후면은 정면으로 볼 때 단면이 원형 띠 형상이다.
보스(410,430)의 후면을 정면으로 볼 때,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 및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의 단면은 보스(410,430)의 후면이 4등분된 것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는 서로 거의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 본 실시 예에서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는 보스(410,430) 당 2 개씩 형성된다. 즉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는 1 개씩 번갈아가면서 배치된다. 따라서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의 양측에는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가 1 개씩 배치되고,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의 양측에는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배열은 동일하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상기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기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고,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는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500)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하가 바뀌도록 180도 회전되면 상기 제2위치가 된다.
도 8을 기준으로 상측 보스(410)와 하측 보스(430)를 비교해보면, 상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는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35)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15)는 하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15)는 상측 보스(410)의 후면의 우측상부와 좌측하부에 배치되고, 상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는 상측 보스(410)의 후면의 좌측상부와 우측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하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는 하측 보스(430)의 후면의 우측상부와 좌측하부에 배치되고,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35)는 상측 보스(410)의 후면의 좌측상부와 우측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보스부(400) 중 리브는 보스의 좌우측과 측벽(460)에 연결된 양측리브(451)와, 보스의 상하측과 측벽(460)에 연결된 상하측리브(453)와, 상하 양측이 상하측보스(410,430)에 연결된 중앙리브(455)를 포함한다.
----- 걸림부재(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토대로 걸림부재(5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걸림부재(500)는 보스부(400)에 체결되는 스크류(S)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551,553)이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편(510), 지지편(5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에 설치된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걸림홈(도 3의 239)에 걸리는 걸림편(540)을 포함한다.
걸림부재(500)의 관통공(551,553)과 보스부(400)의 관통공(470)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지지편(5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지지편(510)은 보스부(400)의 상기 공간(480)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지지편(510)의 전면에는 보스(410,430)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보스삽입관(511)이 돌출 형성된다.
보스삽입관(511)은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와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를 둘러싸도록 지지편(5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지지편(510)의 전면 중 보스삽입관(511)과 관통공(551,553) 사이에 배치되되, 보스삽입관(511)에 둘러싸이고, 관통공(551,553)을 둘러싼다.
지지편(510)을 정면에서 볼 때,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단면 형상은 보스부(4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 즉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보스(410,430)처럼 원형 띠 형상이다.
도 9(a)를 기준으로 지지편(510)의 상측에 위치된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측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고, 지지편(510)의 하측에 위치된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하측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이다.
또한 도 9(b)를 기준으로 지지편(510)의 상측에 위치된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하측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고, 지지편(510)의 하측에 위치된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상측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이다.
보다 자세하게 도 9(a)처럼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때, 상측제2단차조절용 철부(513)는 전면 상측의 우측상부와 좌측하부에 배치되고,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15)는 전면 상측의 좌측상부와 우측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435)는 전면 하측의 우측상부와 좌측하부에 배치되고, 하측제1단차조절용 철부(413)는 전면 하측의 좌측상부와 우측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9(b)처럼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때,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마찬가지로 제2단차조절용 요부(515,535)와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서로 번갈아 형성되고, 제1단차조절용 요부(415,435)와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가 서로 번갈아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처럼 걸림부재(500)가 제2위치일 때,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의 측면은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의 측면과 접촉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재(500)가 충격을 받아 측방으로 흔들리더라도 제1단차조절용 철부(413,433)와 제2단차조절용 철부(513,533)가 서로 걸려 있어 걸림부재(500)와 보스부(400)간의 결합, 즉 체결이 잘 유지된다. 따라서 걸림부재(500)가 상기 래치어셈블리에 걸릴 때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상기 래치어셈블리에 걸린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조립'이란 보스의 돌기(413,433)가 걸림부재(500)의 홈(515,535)에 끼워져 체결되고, 걸림부재(500)의 돌기(513,533)가 보스(410,430)의 홈(415,435)에 끼워져 체결된 상태를 말한다.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433,435)의 형상은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413,415)와 대응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413,415)를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걸림편(540)은 지지편(510)의 중앙에 직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편(540)은 지지편(510)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나눈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500)에는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후면에 표시부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조절표시부(610),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미조절표시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글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500)가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단차미조절표시부(620)가 도 10(a)처럼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500)가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단차조절표시부(610)가 도 10(b)처럼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차미조절표시부(620)는 지지편(510)과 상측 관통공(551) 사이에 형성되고, 단차조절표시부(610)는 지지편(510)과 하측 관통공(553) 사이에 형성된다.
표시부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부가 지지편(5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홈바 도어(300)의 개폐시 표시부가 도어와 마찰되는 등의 불편함이 없다.
도 10(a),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단차미조절표시부(620)는 '상'으로 형성되고, 단차조절표시부(610)는 '수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홈바 도어(300)의 개방시 걸림부재(500)에 형성된 '수정상'(610) 또는 '상'(620) 글자가 보이므로, 홈바 도어(300)가 단차가 개선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본 발명 실시 예의 홈바 도어(300)의 사용 예 -----
본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홈바 도어(300)들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가 정상품일 경우, 즉 홈바 도어(300)가 다른 홈바 도어(300)(도어)와 단차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단차를 조절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이라는 글자가 도 10(a)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독이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즉 걸림부재(500)의 상측에 오도록 배치되어 사용된다.
반면, 홈바 도어(300)가 상기 정상품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다른 홈바 도어(300)(도어)와 단차가 발생되는 경우, '수정상'이라는 글자를 도 11(a)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독이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이로 인해 걸림부재(500)가 제1위치일 때보다 걸림부재(500)가 제2위치일 때, 걸림부재(500)가 도 11의 화살표방향으로 공간(480) 내로 더 깊게 삽입되어 홈바 도어 케이스(320)의 전판(310)과 가까워지므로, 보스의 전면과 지지편(510)의 후면이 가까워지고, 보스삽입관(511)이 리브와 가까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장고에 홈바 도어(300)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보스부(400)와 걸림부재(500)간의 조립 간격 차이를 통해 상기 단차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부품을 추가하거나 비용을 추가할 필요 없이 상기 단차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를 홈바 도어(300)가 상하로 서로 나란하게 1 개씩 배치된 도 1 내지 도 3의 냉장고에 적용하면, 상하측 홈바 도어(300)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각 홈바 도어(300)의 걸림부재(500)를 모두 '상'이 걸림부재(5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홈바 도어 케이스(320)에 조립시킨다.
반면, 상하측 홈바 도어(300)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정상품보다 전방으로 튀어나온 홈바 도어(300)에 조립된 걸림부재(500)를 도 10 대비 180도 회전시켜 도 11과 같이 '수정상'이 걸림부재(5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홈바 도어 케이스(320)에 조립시킨다. 이로 인해 홈바 도어(300)가 1.5mm정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조립 간격 보정값을 갖게 되므로 홈바 도어(300)간에 단차가 용이하게 개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300 : 홈바 도어 320 : 홈바 도어 케이스
400 : 보스부 410 : 상측 보스
430 : 하측 보스 413 : 상측제1단차조절용 철부
415 : 상측제1단차조절용 요부 433 : 하측제1단차조절용 철부
435 : 하측제1단차조절용 요부 451 : 양측 리브
453 : 상하측 리브 455 : 중앙 리브
460 : 측벽 470 : 관통공
480 : 공간 500 : 걸림부재
510 : 지지편 511 : 보스삽입관
513 : 상측제2단차조절용 철부 515 :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부
533 : 하측제2단차조절용 철부 535 : 하측제2단차조절용 요부
540 : 걸림편 551 : 상측 관통공
553 : 하측 관통공 610 : 단차조절표시부(수정상)
620 : 단차미조절표시부(상)

Claims (5)

  1. 냉장고의 도어에 형성된 홈바 저장실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상기 홈바 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스부;
    상기 보스부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 지지된 채 상기 홈바 저장실 폐쇄시 상기 도어의 래치어셈블리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는 제1위치 또는 상하가 반전된 제2위치인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보스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에 형성되는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단차조절용 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가 맞닿은 채 체결되거나,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철부가 끼워진 채 체결되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후면과 상기 걸림부재의 전면을 똑바로 볼 때,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위치이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좌우가 반전된 모습이고, 상기 제1위치의 걸림부재가 상하가 바뀌도록 회전되어 제2위치가 되면 상기 제1단차조절용 요철부와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는 서로 동일한 모습인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도어와 마주보는 후면에 표시부가 형성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조절표시부를 포함하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측제2단차조절용 요철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단차미조절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글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단차미조절표시부가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단차조절표시부가 가독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190036497A 2019-03-29 2019-03-29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2020011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97A KR20200114551A (ko) 2019-03-29 2019-03-29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97A KR20200114551A (ko) 2019-03-29 2019-03-29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51A true KR20200114551A (ko) 2020-10-07

Family

ID=7288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97A KR20200114551A (ko) 2019-03-29 2019-03-29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5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738A (ko) 2013-04-15 2014-10-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75929B1 (ko) 2013-06-05 2015-1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3738A (ko) 2013-04-15 2014-10-2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75929B1 (ko) 2013-06-05 2015-1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1947A (en) Hinge for an article of furniture with a frame
KR102574759B1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KR20050096342A (ko) 냉장고
KR20200114551A (ko) 홈바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JP4546892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100129955A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102093486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309591Y1 (ko) 냉장고 도어의 캡 부재 조립구조
KR200328257Y1 (ko) 장식판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구조
KR200147349Y1 (ko) 냉장고용 도어
KR20150047976A (ko) 냉장고
KR100656399B1 (ko) 후크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케이스
JP2011074635A (ja) 門扉
CN106403470B (zh) 具有门的冰箱
KR20160099373A (ko) 냉장고
JP2019141274A (ja) 連結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鏡アセンブリ
JP7422310B2 (ja) 冷蔵庫
CN216282278U (zh) 储物盒及储物柜
JP5010483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180237Y1 (ko) 냉장고
JPWO2022190362A5 (ko)
KR101985484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200160511Y1 (ko) 냉장고
JP2005139802A (ja) 共有空間構造体
KR20170022314A (ko) 냉장고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