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955A -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955A
KR20100129955A KR1020090048577A KR20090048577A KR20100129955A KR 20100129955 A KR20100129955 A KR 20100129955A KR 1020090048577 A KR1020090048577 A KR 1020090048577A KR 20090048577 A KR20090048577 A KR 20090048577A KR 20100129955 A KR20100129955 A KR 2010012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ng plate
coupled
hole
moun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985B1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09004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9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바깥에서 펀칭에 의해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 및 제2 프레임돌기가 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의 프레임장착공과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도, 내부식성 및 심미감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하다.
프레임, 조립, 도어, 수납장

Description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Frame assembly and the cabin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성 및 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 크기조절이 용이한 프레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수납공간을 가지며 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며 프레임구조를 취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최근 들어, 아파트 또는 주상복합건물 따위가 점점 일반화되면서,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은 공간에 다량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납장을 설치하는 바, 상기 수납장은 내습성 및 심미감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장에 있어서, 프레임조립체를 이루는 한 쌍의 가로부재와 한 쌍의 세로부재를 연결부재로써 결합하되,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의 관통공에 연결부재를 각기 삽입한 다음,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바깥으로부터 나사 따위를 관통하여 연결부재에 고정함으로써, 나사가 외부로 돌출되어 심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프레임조립체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를 자동 또는 반 자동으로 조립하는 등 우수한 조립성을 가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식성, 심미감 및 조립성이 우수한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바깥에서 펀칭에 의해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 및 제2 프레임돌기가 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의 프레임장착공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모서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에는 상기 모서리부재가 안착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재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이루는 모서리부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일측에 마감재안착면을 더 포함하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마감재안착면은 동일 평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는, 상기 각각의 마감재안착면이 이루는 상기 동일 평면상에 안착되는 장식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은, 수납공간을 가지며, 일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바깥에서 펀칭하여,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 및 제2 프레임돌기가 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의 프레임장착공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일측에 마감재안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마감재안착면이 이루는 상기 동일 평면상에 안착되는 장식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수납장에 따르면,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도, 내부식성 및 심미감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에서, 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에서, 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10)는 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 역할을 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이 연결부재(13)를 매개체로 하여 다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된 조립체로서, 이렇게 결합된 상태로 수납장(100)의 구성요소인 도어(20)의 테두리부를 구성한다.
제1 프레임(11)은, 사각형 태두리부의 일부분인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공(11a)에 연결부재(13)의 제1 연결판(13a)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11)의 바깥에서 펀칭하여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11b)가 제1 연결판(13a)의 프레임장착공(13d)과 결합됨으로써, 제1 프레임(11)과 연결부재(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모서리부재안착홈(11d)에 연결부재(13)의 모서리부재(13c)이 결합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의 일측에는 제1 마감재안착면(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이 연결부재(13)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마감재안착면(11c)과 제2 마감재안착면(12c)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제2 프레임(12)은, 사각형 태두리부의 일부분인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관통공(12a)에 연결부재(13)의 제2 연결판(13b)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12)의 바깥에서 펀칭하여 돌출된 제2 프레임돌기(12b)가 제2 연결판(13b)의 프레임장착공(13d)과 결합됨으로써, 제2 프레임(12)과 연결부재(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2 프레임(12)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모서리부재안착홈(12d)에 연결부재(13)의 모서리부재(13c)가 결합됨으로써,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및 연결부재(13)가 이루는 모서리부는 라운드 형상이 됨으로써, 이를 다루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 일부분이 다치는 일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2)의 일측에도 제2 마감재안착면(12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이 연결부재(13)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마감재안착면(11c)과 제2 마감재안착면(12c)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그리고, 제1 프레임돌기(11b) 및 제2 프레임돌기(12b)는, 펀치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일명 세미-피어싱(semi-piercing)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도 3 참고), 펀치에 의하여 일측이 절개되면서, 절개된 돌출편(도 4 참고)이 벤딩(bending)된 상태에서 제1 연결판(13a) 및 제2 연결판(13b)의 프레임장착공(13d)과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3)는, 제1 관통공(11a)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13d)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13a) 및 상기 제2 관통공(12a)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13d)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13b), 그리고 제1 모서리부재안착홈(11d) 및 제2 모서리부재안착홈(12d)에 안착될 수 있는 모서리부재(13c)를 가지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판(13a) 및 제2 연결판(13b)이 90° 각도로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제1 프레임(11)과 한쌍의 제2 프레임(12)이 각기 번갈아 배치되면서, 연결부재(13)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전체로서 4각형의 프레임조립체(10)를 이룬다.
그리고, 연결부재(13)는 합성수지로써 사출 성형함으로써 대량 생산될 수 있고, 특히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은 금속재질로써 압출 성형한 것을 전단 및 모서리부의 마무리가공에 의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 부재(13c)는 금속재질의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과 동일한 느낌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금 따위로써 표면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100)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100)은, 수납공간(30)을 가지는 본체부(40), 그리고 상기 본체부(40)에 연결되어 내부 수납공간(30)을 밀폐시키며, 프레임조립체(10)를 가지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11),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12),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11a)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13d)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13a) 및 상기 제2 관통공(12a)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장착공 프레임장착공(13d)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13b)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13a) 및 상기 제2 연결판(13b)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은 일측에 마감재안착면(11c,12c)이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마감재안착면(11c,12c)이 이루는 상기 동일 평면상에 거울 따위의 장식패널(21)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못 또는 나사 따위와 같은 체결수단(S) 및 경첩(22)으로써 본체부(40)에 연결됨으로써, 본체부(40)의 개구부(41)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부(40)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공간이 수납공간(30)을 이루되, 상 기 수납공간(30)은 개구부(41)에 의하여 외부와 통하고, 상기 개구부(41)는 도어(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에서, 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에서, 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조립체를 이용한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조립체 11 : 제1 프레임
11a : 제1 관통공 11b : 제1 프레임돌기
11c : 제1 마감재안착면 11d,12d : 모서리부재안착홈
12 : 제2 프레임 12a : 제2 관통공
12b : 제2 프레임돌기 12c : 제2 마감재안착면
13 : 연결부재 13a : 제1 연결판
13b : 제2 연결판 13c : 모서리부재
13d : 프레임장착공 20 : 도어
21 : 장식패널 22 : 경첩
30 : 수납공간 40 : 본체부
41 : 개구부 100 : 수납장
H : 손잡이 S : 체결수단

Claims (6)

  1.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바깥에서 펀칭에 의해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 및 제2 프레임돌기가 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의 프레임장착공과 결합되는
    프레임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모서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에는 상기 모서리부재가 안착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조립체.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이루는 모서리부는 라운드 형상인 프레임조립체.
  4.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일측에 마감재 안착면을 더 포함하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마감재 안착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프레임조립체.
  5. 제4항에서,
    상기 각각의 마감재 안착면이 이루는 상기 동일 평면상에 안착되는 장식패널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6. 수납공간을 가지며, 일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프레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며, 복수의 프레임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연결판이 기설정된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바깥에서 펀칭하여, 돌출된 제1 프레임돌기 및 제2 프레임돌기가 각기 제1 연결판 및 제2 연결판의 프레임장착공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일측에 마감재안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마감재 안착면이 이루는 상기 동일 평면상에 안착되는 장식패널을 더 포함하는
    수납장.
KR1020090048577A 2009-06-02 2009-06-02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10118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77A KR101189985B1 (ko) 2009-06-02 2009-06-02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577A KR101189985B1 (ko) 2009-06-02 2009-06-02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955A true KR20100129955A (ko) 2010-12-10
KR101189985B1 KR101189985B1 (ko) 2012-10-12

Family

ID=4350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577A KR101189985B1 (ko) 2009-06-02 2009-06-02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89A (ko) 2015-02-26 2016-09-05 정욱철 도어 프레임 모서리 연결장치
KR101978866B1 (ko) * 2018-10-31 2019-05-15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수납가구 구조용 다중지지 철재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44B1 (ko) * 2013-03-22 2013-12-10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519A (en) 1986-09-08 1987-09-22 Gem Industries, Inc. Corner bracket
DE19514402C1 (de) 1995-04-19 1996-06-20 Rapid Maschbau Gmbh Verfahren und Stanzmesser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von Profilwerkstücken und Verbindungsstü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89A (ko) 2015-02-26 2016-09-05 정욱철 도어 프레임 모서리 연결장치
KR101978866B1 (ko) * 2018-10-31 2019-05-15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수납가구 구조용 다중지지 철재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985B1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7062A1 (en) Refrigerator handle assembly with exchangeable and caps
KR101189985B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20050096342A (ko) 냉장고
US6871385B2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US8516659B2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having pin and cavity interlock
KR101896298B1 (ko)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슬라이드 도어의 내측 결합식 손잡이 구조
KR20130007170U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US20040172881A1 (en) Door system opening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KR200453305Y1 (ko) 라운딩 모서리 구조를 갖는 욕실용 수납장
KR200368928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CN109210861B (zh) 冰箱的门体及冰箱
KR20130096459A (ko) 누름 클립형의 탄성 고정편을 갖는 미닫이 문 손잡이
JP6494542B2 (ja) 折戸
KR101124410B1 (ko) 프런트 케이스의 체결구조
JP4167953B2 (ja) 接続ユニット内蔵建具と接続ユニット及び接続金具
CN111691774B (zh) 双层壁家具中的埋铰链系统
CN213869544U (zh) 一种柜门
KR200309591Y1 (ko) 냉장고 도어의 캡 부재 조립구조
JP4603408B2 (ja) ベースキャビネット及びサイドカバー
JP3207069U (ja) 錠前付き把手装置
KR200415470Y1 (ko)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0462472Y1 (ko) 라운딩 모서리 구조를 갖는 욕실용 수납장
KR20170022314A (ko) 냉장고의 도어
KR200355666Y1 (ko) 도어
KR20180009171A (ko) 가구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