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70Y1 -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70Y1
KR200415470Y1 KR2020060004602U KR20060004602U KR200415470Y1 KR 200415470 Y1 KR200415470 Y1 KR 200415470Y1 KR 2020060004602 U KR2020060004602 U KR 2020060004602U KR 20060004602 U KR20060004602 U KR 20060004602U KR 200415470 Y1 KR200415470 Y1 KR 200415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guide groove
cove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인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인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인상사
Priority to KR2020060004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받이와 코너베이스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여 안정된 상태로 결합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코너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의 하부가 자유롭게 구부러지게 하여 걸레받이의 하부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여서 걸레받이의 연결 부위가 보다 세련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걸레받이, 모서리 마감, 코너베이스, 커버, 유도홈

Description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A corner panel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감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베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베이스가 걸레받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하부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코너베이스 101 : 상단부
110 : 커버체결부 111 : 상부체결홀
112 : 하부체결홀 120 : 걸레받이체결부
120 : 끼움돌기 121a : 제1돌기
121b : 제2돌기 121c : 제3돌기
200 : 커버 201 : 상부판
202 : 전면판 203 : 하부판
203a : 제1유도홈 203b : 제2유도홈
203c : 제3유도홈 203d : 코팅층
210 : 상부체결구 210a : 하부체결구
210b : 가이드돌기 300 : 걸레받이
310 : 후면판 312 : 체결홈
320 : 상부받이 330 : 하부받이
330a : 장식면 331 : 힌지
332 : 체결돌기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5-34692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레받이와 코너베이스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여 안정된 상태로 결합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코너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의 하부가 자유롭게 구부러지게 하여 걸레받이의 하부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여서 걸레받이의 연결 부위가 보다 세련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받이는 실내의 바닥면과 연속되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걸레질할 때, 벽면을 장식하는 벽지 등이 더러워지게 되는 것과, 손상되는 것이 예방되게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005-34692호에 개시되어 있는 걸레받이의 연결 부 마감부재는 걸레받이를 연결해주는 코너베이스와, 이 코너베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는데, 코너베이스와 걸레받이의 연결부위가 삼각 형상을 이루는 하나의 끼움돌기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 상태가 헐겁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었고, 커버의 하부판이 전면판과 동일한 경질의 사출물로 되어 있어, 걸레받이의 하부받이와 연속됨이 없이 들뜨거나 틈이 생기게 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걸레받이와 코너베이스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고, 커버의 하부가 걸레받이의 하부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치 벽면에 고정되는 후면판의 상부에는 수평의 끼움홀을 갖는 상부받이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하부받이가 형성되는 한편, 이 하부받이의 아래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장식면이 돌출 되는 걸레받이를 다면체로 되는 코너베이스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한편, 이 코너베이스에 상부판, 전면판, 하부판이 일체로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판과 전면판의 경계면에 제1유도홈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이 제1유도홈의 아래에 제2유도홈이 형성되게 하되, 제1유도홈이 평행하게 형성되게 하고, 제2유도홈의 중앙에 수직 하향되는 제3유도홈이 형성되게 하며, 하부판, 전면판, 상부판의 전면에 코팅층이 얇게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하부판은 전면판에 인서트 사출 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는 코너베이스(100), 커버(200), 걸레받이(300)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베이스(100)는 일정한 높이를 이루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는데, 상부에는 평면을 이루는 상단부(10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동일한 형상의 바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앞쪽 모서리에는 전면체결부(110)가 형성되는데, 이 전면체결부(110)는 앞쪽에서부터 뒤쪽으로 움푹 파인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체결홀(11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하부체결홀(112)이 상, 하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전면체결부(110)의 양쪽에는 걸레받이체결부(120)가 형성되는데, 각 걸레받이체결부(120)의 상부에는 끼움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121)는 도 3 도시와 같이 제1돌기(121a), 제2돌기(121b), 제3돌기(121c)가 삼각을 이루면서 배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3돌기(121a)(121c)는 상, 하로 같은 위치에 위치하여 돌출 되고, 제2돌기(121b)는 제1 및 제3돌기(121a)(121c)의 가운데에서 옆쪽으로 위치하여 돌출 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코너베이스(100)의 전면체결부(110)를 덮어 줄 수 있게 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상부에 판체로 되는 상부판(201)이 수평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이 상부판(201)의 앞쪽 모서리에는 전면판(202)이 수직 하향되 게 형성되며, 이 전면판(202)의 하부에는 전방을 향해 더 돌출 되는 하부판(203)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202)과 하부판(203)은 상기 전면체결부(110)와 동일하게 원호를 이루면서 움푹 파인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전면판(202)의 뒷면에는 “ㄱ”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상, 하부체결구(210)(210a)가 상, 하에 형성되며, 이 상, 하부체결구(210)(210a)의 사이에 가이드돌기(210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 하부체결구(210)(210a)는 상기 코너베이스(100)의 상부체결홀(111), 하부체결홀(112)에 걸림 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202)과 하부판(203)이 경계하는 뒷면에는 도 5 도시와 같이 제1유도홈(203a)이 좌, 우로 형성되고, 제1유도홈(203a)의 아래에는 제2유도홈(203b)이 형성되며, 이 제2유도홈(203)의 중앙에는 수직 하향되는 제3유도홈(203c)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유도홈(203a)과 제2유도홈(203b)은 상, 하로 평행하게 되는 한편, 상기 제2유도홈(203b)과 제3유도홈(203c)은 “T”자 모양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 있어, 하부판(203)과 전면판(202)은 도 6 도시와 같이 일체로 사출 될 수 있고, 도 7 도시와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인서트 사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3)과 전면판(202) 및 상부판(201)의 전면에는 코팅층(203d)이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유도홈(203a)(203b)(203c)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걸레받이(300)는 도 4 도시와 같이 벽에 고정되는 후면판(310)의 상부 에는 상부받이(320)가 형성되고, 이 상부받이(320)의 하부에는 하부받이(330)가 연속되는 한편, 이 하부받이(330)의 아래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장식면(330a)이 돌출 되는데, 상기 하부받이(330)는 후면판(3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이(320)에는 그 내부에 끼움홀(3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받이(320)와 하부받이(330)는 힌지(331)에 의해 연결되는 한편, 이 힌지(331)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받이(330)가 열리고 닫히게 되는데, 닫힐 때에는 하부받이(330)의 내측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332)가 후면판(310)에 수평으로 형성된 체결홈(312)에 끼움 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1 도시와 같이 모서리 내측면에 걸레받이(300)를 설치할 때에는 코너베이스(100)의 걸레받이체결부(120)에 걸레받이(300)가 면접되게 하되, 도 4 도시와 같이 끼움돌기(121) 중 제1 및 제3돌기(121a)(121c)는 끼움홀(321)의 앞쪽에, 제2돌기(121b)는 뒤쪽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면, 코너베이스(100)를 중심으로 양쪽의 걸레받이(300)가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벽(W)에 고정되게 한다.
이어서 커버(200)를 코너베이스(100)에 결합되게 하면 되는데, 커버(200)를 코너베이스(100)의 상부로부터 수직 하향되게 결합되게 하되, 상부체결구(210)는 상부체결홀(111)을 통해 억지 끼움 되게 하는 한편, 하부체결구(210a)는 하부체결홀(112)을 통해 억지 끼움 되게 하면 커버(200)의 전면판(202)과, 하부판(203)이 코너베이스(100)의 전면체결부(110)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커버(200)의 하부판(203)은 제1 내지 제3유도홈 (203a)(203b)(203c)에 의해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걸레받이(300)의 장식면(330a)과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커버(200)의 하부판(203)이 걸레받이(300)의 장식면(330a) 보다 더 길게 결합된다 하더라도, 제1 내지 제3유도홈(203a)(203b)(203c)에 의해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바닥면에 “L”자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되는데, 제3유도홈(203c)이 접혀짐에 의해 평면에 대해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3)이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제1내지 제3유도홈(203a)(203b)(203c)의 자국이 코팅층(203d)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너베이스의 걸레받이체결부에 제1 내지 제3돌기를 갖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걸레받이의 끼움홀에 끼움 결합되게 함으로써, 걸레받이와 코너베이스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점과, 커버 하부의 뒷면에 제1 내지 제3유도홈이 형성되게 하여 하부가 자유롭게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걸레받이의 하부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 전면을 코팅함으로써, 하부가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제1내지 제3유도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설치 벽면(W)에 고정되는 후면판(310)의 상부에는 수평의 끼움홀(321)을 갖는 상부받이(32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하부받이(330)가 형성되는 한편, 이 하부받이(330)의 아래에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장식면(330a)이 돌출 되는 걸레받이(300)를 다면체로 되는 코너베이스(100)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한편, 이 코너베이스(100)에 상부판(201), 전면판(202), 하부판(203)이 일체로 형성된 커버(200)가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하부판(203)과 전면판(202)이 경계하는 뒷면에 제1유도홈(203a)이 형성되게 하고, 이 제1유도홈(203a)의 아래에 제2유도홈(203b)이 형성되게 하되, 제1유도홈(203a)이 평행하게 형성되게 하며, 제2유도홈(203b)의 중앙에 수직 하향되는 제3유도홈(203c)이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3)은 전면판(202)에 인서트 사출 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3)과 전면판(202)의 전면에 코팅층(203d)이 얇게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20060004602U 2006-02-20 2006-02-20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0415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02U KR200415470Y1 (ko) 2006-02-20 2006-02-20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02U KR200415470Y1 (ko) 2006-02-20 2006-02-20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70Y1 true KR200415470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02U KR200415470Y1 (ko) 2006-02-20 2006-02-20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31U (ko) 2016-08-16 2018-02-26 나창균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31U (ko) 2016-08-16 2018-02-26 나창균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tal clad facade
KR200415470Y1 (ko)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0456095Y1 (ko)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TWI693327B (zh) 附有飾邊的板材
KR200491434Y1 (ko) 가구용 도어틀
KR101377579B1 (ko) 테이블용 상판
CA2506264A1 (en) Corner cover for a cabinet
KR101189985B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US20080190156A1 (en) Enclosure Having an Escutcheon Plate with Extended Side Flanges, Fastening Clips and an Opposing Handle
JP2007126922A (ja) 巾木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410617Y1 (ko) 모서리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0448355Y1 (ko) 파티션의 상단프레임 체결구조 및 그 체결구
KR100961092B1 (ko) 칸막이의 티자형 연결구조
CN206026233U (zh) 尘杯和吸尘器
US10165904B2 (en) Hidden shower surround storage
JP4603408B2 (ja) ベースキャビネット及びサイドカバー
KR101913136B1 (ko) 붙박이장 마감용 몰딩
CN220395092U (zh) 一种可拆卸的多功能踢脚线
CN212815831U (zh) 一种可隐藏螺丝的卡扣式层板主体架
KR20070000458U (ko) 상하 탈부착 걸레받이
KR200224857Y1 (ko) 싱크대용 걸레받이
JP5642470B2 (ja) 引き手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CN210239473U (zh) 一种门页
JP3902486B2 (ja) 玄関パン
JP5163133B2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