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31U -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31U
KR20180000531U KR2020160004709U KR20160004709U KR20180000531U KR 20180000531 U KR20180000531 U KR 20180000531U KR 2020160004709 U KR2020160004709 U KR 2020160004709U KR 20160004709 U KR20160004709 U KR 20160004709U KR 20180000531 U KR20180000531 U KR 20180000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id
corner
cut
finis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창균
Original Assignee
나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창균 filed Critical 나창균
Priority to KR202016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531U/ko
Publication of KR20180000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마감부재는 한 쌍의 걸레받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덮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는 양 측면에 걸레받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압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제조되고, 상기 덮개구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구는 압축공정에 의하여 기다랗게 성형된 부분을 시공 현장의 걸레받이의 높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걸레받이의 외측 코너나 내측 코너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A CORNER PANEL CONNECTOR}
본 고안은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성형과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걸레받이의 내부코너나 외부코너에도 장착할 수 있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실내는 인테리어 작업이 수반된다. 구체적으로 내벽에 벽지, 도배시공 및 천장의 조명설치, 욕실작업이 시공되고, 바닥은 마루시공에 의해 실내 인테리어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마루를 시공할 때에는 거실의 외측 코너나 내측 코너부분에는 걸레받이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게 된다.
문헌 1: 공개특허공보 10-2009-0012980(2009.02.04. 공개) 문헌 2: 공개특허공보 10-2011-0014289(2011.02.11. 공개) 문헌 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64340(2000.02.15. 공고) 문헌 4: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0617(2006.03.09. 공고) 문헌 5: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5470(2006.05.03. 공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코너 부분의 걸레받이가 연결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각각 절취한 후에, 절취된 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걸레받이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위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미관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걸레받이가 서로 연결되는 외측 코너의 모서리가 날카로워서 안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걸레받이가 서로 연결되는 코너 부위(외측 모서리 또는 내측 모서리)의 미관이 향상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걸레받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는, 한 쌍의 걸레받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덮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 측면에 걸레받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구는 평판형상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구는 압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제조되고, 상기 덮개구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 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구는 압축공정에 의하여 기다랗게 성형된 부분을 시공 현장의 걸레받이의 높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걸레받이의 외측 코너나 내측 코너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코너부분의 모서리가 일체로 라운딩 되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차하는 걸레받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마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구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외측 코너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내측 코너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마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구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재는 연결구와 덮개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양 측면에 걸레받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압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압출공정에 의하여 기다랗게 성형된 부분을 절단하여서 상기 연결구를 성형하게 된다.
즉 상기 걸레받이의 높이는 장착되는 장소에 따라서 보통 60mm ~90mm 등으로 차이가 나게 되는데, 본원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구는 압출공정에 의하여 기다랗게 성형된 부분을 상기 걸레받이의 높이에 맞게 절단하여서 상기 연결구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구는 평판형상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에는 안착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구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안착돌기가 삽입하여서 결합하게 된다. 시공 현장에서는 상기 안착돌기의 외부면에 접착제로 도포하여서 결합하게 되면,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구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구와 상기 덮개부를 일체로 하여서 사출성형 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원 고안의 마감부재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코너와 외측 코너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 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외측 코너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라운딩 된 부분이 돌출되어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한 마감재는 내측 코너에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마감부재, 20: 연결구,
21: 삽입홈, 25: 안착홈,
30: 덮개구, 31: 상부판,
35: 안착돌기

Claims (5)

  1. 한 쌍의 걸레받이가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장칙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한 쌍의 걸레받이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덮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 측면에 걸레받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구는 평판형상의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압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제조되고, 상기 덮개구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 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KR2020160004709U 2016-08-16 2016-08-16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KR201800005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09U KR20180000531U (ko) 2016-08-16 2016-08-16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09U KR20180000531U (ko) 2016-08-16 2016-08-16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31U true KR20180000531U (ko) 2018-02-26

Family

ID=6138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709U KR20180000531U (ko) 2016-08-16 2016-08-16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5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47B1 (ko) 2018-05-08 2019-11-06 윤재기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673Y1 (ko) * 1995-10-31 1999-06-15 박유재 싱크대용 걸레받이
KR200164340Y1 (ko) 1997-08-12 2000-02-15 강호철 건물바닥 모서리의 걸레받이용 몰딩 장착구조
KR20040010617A (ko) 2001-04-04 2004-01-31 악상스 액체 또는 기체상의 유기 또는 무기 폐기물에 존재하는금속 할로겐화물 제거 방법
KR200415470Y1 (ko) 2006-02-20 2006-05-03 주식회사코인상사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100727891B1 (ko) * 2005-05-26 2007-06-14 박재영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20090012980A (ko) 2007-09-17 2009-02-04 강학현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KR200451966Y1 (ko) * 2010-10-20 2011-01-27 후지이엠씨(주)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KR20110014289A (ko) 2009-08-05 2011-02-11 최웅권 걸레받이 부착형 모서리 보호대
KR200469082Y1 (ko) * 2011-08-10 2013-09-17 (주)금강씨엔텍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 마감 몰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673Y1 (ko) * 1995-10-31 1999-06-15 박유재 싱크대용 걸레받이
KR200164340Y1 (ko) 1997-08-12 2000-02-15 강호철 건물바닥 모서리의 걸레받이용 몰딩 장착구조
KR20040010617A (ko) 2001-04-04 2004-01-31 악상스 액체 또는 기체상의 유기 또는 무기 폐기물에 존재하는금속 할로겐화물 제거 방법
KR100727891B1 (ko) * 2005-05-26 2007-06-14 박재영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200415470Y1 (ko) 2006-02-20 2006-05-03 주식회사코인상사 걸레받이의 연결부 마감부재
KR20090012980A (ko) 2007-09-17 2009-02-04 강학현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KR100911557B1 (ko) * 2007-09-17 2009-08-10 강학현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KR20110014289A (ko) 2009-08-05 2011-02-11 최웅권 걸레받이 부착형 모서리 보호대
KR200451966Y1 (ko) * 2010-10-20 2011-01-27 후지이엠씨(주)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KR200469082Y1 (ko) * 2011-08-10 2013-09-17 (주)금강씨엔텍 조립식 건축물용 모서리 마감 몰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47B1 (ko) 2018-05-08 2019-11-06 윤재기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098B2 (en) Molding profile and molding profile assembly
US20110020589A1 (en) Combination plate
KR200497905Y1 (ko) 조립식 타일
KR100709271B1 (ko) 걸레받이
KR20180000531U (ko) 걸레받이의 모서리 마감부재
KR100911557B1 (ko)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JP5877340B2 (ja) 見切具
KR101377579B1 (ko) 테이블용 상판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KR101602324B1 (ko) 걸레받이
JP5796224B2 (ja) 見切接続具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200491880Y1 (ko)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GB2472201A (en) Plastic and metal combination floor board with integral connecting lugs
JP5616158B2 (ja)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KR20090002996U (ko) 조립식 바닥재
KR200411550Y1 (ko) 난간 일체형 이중 창틀
KR102041047B1 (ko)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KR20070000458U (ko) 상하 탈부착 걸레받이
KR20100007974U (ko) 타일 시공용 맞춤구
KR200155279Y1 (ko)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CN211949418U (zh) 一种可变换夹角形状的踢脚板
KR20230046571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
CN209780150U (zh) 内嵌式地脚线
JP6931554B2 (ja) 建築用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