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37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373A
KR20160099373A KR1020150021752A KR20150021752A KR20160099373A KR 20160099373 A KR20160099373 A KR 20160099373A KR 1020150021752 A KR1020150021752 A KR 1020150021752A KR 20150021752 A KR20150021752 A KR 20150021752A KR 20160099373 A KR20160099373 A KR 2016009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sket
main body
pillar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02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373A/ko
Publication of KR2016009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부의 일단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상기 필러부와 수평격벽 사이의 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부의 하단에 가스켓이 설치되어 저장실 내의 냉기가 상기 필러부와 수평격벽 사이의 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 내부의 저장실에 식품 등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 좌우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을 구획하기 위한 수직격벽 또는 수평격벽들이 마련되지만, 상기 저장실의 좌우 폭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해 상기 수직격벽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수직격벽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의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필러부가 설치된다.
상기 필러부는 각각의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한 경우, 각각의 상기 도어 사이로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46493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어(40)에 필러유닛(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도어(40)와 제2도어(50)의 폐쇄 시, 제1도어(40)와 제2도어(50) 사이로 저장실(20) 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게 한다.
하지만, 종래의 냉장고는 필러유닛(60)의 하단과 수평격벽(11) 사이에 발생하는 갭으로 인해 저장실(20) 내의 냉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필러유닛(60)의 하단과 수평격벽(11) 사이의 갭으로 유출된 냉기에 의해 제1도어(40), 제2도어(50), 필러유닛(60) 등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446493 B1
본 발명은 필러부의 하단에 가스켓이 설치되어 저장실 내의 냉기가 상기 필러부와 수평격벽 사이의 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부의 일단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기 필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절곡부재와;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고 내부가 관통된 밀폐부재와;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밀폐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서로 가장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상기 필러부가 설치된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필러부의 하단에 가스켓이 설치되어 저장실 내의 냉기가 상기 필러부와 수평격벽 사이의 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필러부 등에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별도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갖는 가스켓의 밀폐부재에 의해 저장실 내의 냉기 유출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러부와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러부와 가스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러부와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필러부와 가스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110)을 갖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실(110)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200)와, 본체(1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실(110)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300)와,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러부(400)를 포함하되, 필러부(400)의 일단에는 가스켓(500)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110)을 갖는다.
저장실(110)은 개방된 전면을 통해 식품 등의 물품이 수납되어 보관되는 부분으로써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격벽(미도시) 및 수평격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격벽(미도시) 및 수평격벽(120)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110)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수직격벽(미도시)은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저장실(110)을 좌우로 구획하고, 수평격벽(120)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저장실(110)을 상하로 구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100)는 저장실(110)의 좌우 폭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해 수직격벽(미도시)이 설치되지 않은 저장실(1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다.
저장실(110)은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본체(100)에는 가이드부(13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130)는 본체(100) 상부 내면의 전방 측 단부 중앙에 설치된다.
가이드부(130)는 본체(100) 상부 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한 형태로 설치된다.
가이드부(130)의 하부에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31)는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31)은 개방된 전면을 통해 후술할 가이드돌기(411)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도어(200)는 본체(100)의 전방 좌측에 제1힌지(210)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도어(200)는 저장실(110)의 개방된 전면 좌측부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2도어(300)는 본체(100)의 전방 우측에 제2힌지(310)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도어(300)는 저장실(110)의 개방된 전면 우측부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는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제1힌지(210)와 제2힌지(310)도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제1도어(200)에는 필러부(400)가 설치된다.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가 닫혀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도어(200)의 후면 우측 단부 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가 열려 있는 상태일 때 제1도어(200) 우측 단부의 우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러부(400)가 제1도어(200)에 설치되어 있으나, 필러부(400)는 제2도어(3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가 닫힌 상태일 때,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필러부(4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의 형상이다.
필러부(400)는 제1케이스(410) 및 제2케이스(420)로 이루어진다.
제1케이스(41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케이스(4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1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에는 외기로 인한 저장실(110)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미도시)가 수용되거나 필러부(400)에 생길 수 있는 이슬을 제거하기 위한 발열체(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필러부(400)의 상단면에는 가이드돌기(411)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돌기(411)는 제1케이스(410)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케이스(410)의 상단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돌기(411)는 라운드진 가이드홈(13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다소 라운드 지게 형성되며, 상하 높이가 중앙 부근에서 양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홈(131)에 수용되고, 가이드홈(131)의 안내에 따라 필러부(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케이스(410)의 내부 하단 측에는 설치홈(413)이 형성된다.
설치홈(413)은 전방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설치홈(413)에는 후술할 가스켓(500)의 절곡부재(51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케이스(4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제2케이스(420)가 장착된다.
제2케이스(42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제1케이스(410)의 개방된 전면을 덮은 상태로 제1케이스(410)와 결합된다.
제2케이스(420)의 후면에는 제2케이스(420)의 후면 둘레 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상부테두리(421), 하부테두리(423), 좌측테두리(425) 및 우측테두리(427)가 형성된다.
하부테두리(423)는 제1케이스(410)와 제2케이스(420)의 결합 시 후술할 가스켓(500)의 홈(517)에 삽입되어 필러부(400)의 하단에 후술할 가스켓(500)이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테두리(421), 하부테두리(423) 및 우측테두리(427)는 전후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나, 좌측테두리(425)는 전후 폭이 일정하지 않은 부분이 일부 포함된다.
좌측테두리(425)와 우측테두리(427)에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6개의 체결공(429)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체결공(429)에는 제1케이스(410)의 내부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6개의 후크(415)가 걸리게 되어 제1케이스(410)에 제2케이스(420)가 장착된다.
제2케이스(420)는 제1도어(200) 및 제2도어(300)의 후면 테두리 측에 각각 형성된 제1도어가스켓(220) 및 제2도어가스켓(320)의 내부에 마련된 자석(미도시)의 자력을 받을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어(200)와 필러부(400) 사이에는 제1도어(200)가 열린 상태일 때 필러부(400)의 제2케이스(420) 전면이 우측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필러부(400)의 하단에는 가스켓(500)이 설치된다.
가스켓(500)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켓(50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부분이 필러부(400)의 내부에 삽입된다.
가스켓(500)은 절곡부재(510), 밀폐부재(520) 및 연결부재(530)로 이루어진다.
절곡부재(510), 밀폐부재(520) 및 연결부재(53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절곡부재(5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의 제1수평부(511)와, 제1수평부(5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수평부(511)의 하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수평부(513)와, 제1수평부(511)의 후방 측 단부와 제2수평부(513)의 후방 측 단부를 연결하는 수직부(515)를 포함한다.
제1수평부(511)와 제2수평부(513)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수직부(515)는 제1수평부(511) 및 제2수평부(513)와 수직되게 배치된다.
절곡부재(510)는 종단면 형상이 역'ㄷ'자 형상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전방 및 좌우 측이 개방된 홈(517)이 형성되어 있다.
홈(517)은 제1수평부(511), 제2수평부(513) 및 수직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절곡부재(510)는 필러부(40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홈(413) 내에 삽입되고, 절곡부재(510)의 홈(517)에는 제2케이스(420)의 하부테두리(423)가 삽입되어 가스켓(500)이 필러부(400)에 고정된다.
절곡부재(510)의 하부에는 밀폐부재(520)가 배치된다.
밀폐부재(520)는 절곡부재(510)와 이격되어 있다.
밀폐부재(5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밀폐부재(520)의 전후 폭은 절곡부재(5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밀폐부재(520)는 내부가 좌우로 관통되어 있다.
밀폐부재(52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된 상측부(525), 하측부(527), 전방부(521) 및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측부(52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다.
상측부(525)는 제1수평부(511) 및 제2수평부(513)와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측부(525)의 상면은 필러부(400)의 하단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부(525)의 전방 측 단부에는 전방부(521)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전방부(521)는 상측부(525)의 전방 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측부(525)와 수직되게 배치된다.
상측부(525)의 후방 측 단부에는 후방부(523)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후방부(523)는 상측부(525)의 후방 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측부(525)와 수직되게 배치된다.
전방부(521)와 후방부(52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전방부(521)와 후방부(523)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전방부(521)의 하단과 후방부(523)의 하단은 하측부(527)에 의해 연결된다.
하측부(527)의 전방 측 끝단은 전방부(521)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부(527)의 후방 측 끝단은 후방부(523)의 하단에 연결된다.
하측부(527)는 돌출부(5271)와 오목부(5272)로 이루어진다.
하측부(527)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5271)와 서로 가장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5271) 사이마다 형성되는 오목부(527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부(527)가 3개의 돌출부(5271)와 서로 가장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5271)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오목부(5272)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측부(527)를 구성하는 돌출부(5271)와 오목부(5272)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돌출부(5271)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돌출부(5271)는 3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72)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오목부(5272)는 가장 전방에 위치한 돌출부(5271)와 중앙에 위치한 돌출부(5271) 사이 및 중앙에 위치한 돌출부(5271)와 가장 후방에 위치한 돌출부(5271)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5271)와 상측부(525) 사이의 폭은 오목부(5272)와 상측부(525)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3개의 돌출부(5271)는 제1도어(200)가 닫힐 때 수평격벽(120)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출부(5271)는 제1도어(200)가 닫힐 때 본체의 일면 즉, 수평격벽(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필러부(400)와 수평격벽(120) 사이의 갭을 통해 저장실(110)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돌출부(5271)는 수평격벽(120) 상면에 의해 제1도어(200)의 개폐에 지장이 없는 정도의 압력을 다소 받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재(510)와 밀폐부재(520) 사이에는 연결부재(530)가 형성된다.
연결부재(530)는 상단이 제2수평부(513)의 전방 측 끝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측부(525)와 전방부(521)가 만나는 모서리에 연결된다.
연결부재(530)는 전방부(52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전방부(52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절곡부재(510)는 필러부(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밀폐부재(520)와 연결부재(530)는 필러부(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도어(200)의 개폐 상태에 따른 필러부(400) 및 가스켓(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200)가 열려 있는 상태일 때, 필러부(400)는 제2케이스(420)의 전면이 우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즉,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가 열려 있는 상태일 때 제1도어(200) 우측 단부의 우측으로 튀어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도어(200)를 닫을 경우, 필러부(4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11)는 본체(100)에 설치된 가이드부(130)에 점점 가까워지다가 가이드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131)에 삽입된다.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홈(13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가이드홈(131)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홈(13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돌기(411)와 일체로 형성된 필러부(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케이스(420)의 전면은 필러부(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고, 이때,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 우측 단부의 우측으로 튀어나온 상태가 된다.
이때, 제1도어가스켓(220)은 제2케이스(420)의 전면 좌측에 밀착하게 되고, 제2도어가스켓(320)은 제2케이스(420)의 전면 우측에 밀착하게 되며, 필러부(400)의 제2케이스(420)는 제1도어가스켓(220)과 제2도어가스켓(320)의 내부에 마련된 자석(미도시)에 의해 자력을 받아 제1도어가스켓(220)과 제2도어가스켓(320)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또한, 3개의 돌출부(5271)는 각각 수평격벽(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수평격벽(120)의 상면에 의해 압력을 다소 받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제1도어(200)와 제2도어(300) 사이로 저장실(110)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러부(400)와 수평격벽(120) 사이의 갭을 통해 저장실(110) 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제1도어(200)가 닫혀 있는 상태일 때 제1도어(200)를 열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홈(131)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홈(413)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돌기(411)와 일체로 형성된 필러부(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케이스(420)의 전면은 필러부(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우측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어 필러부(400)가 제1도어(200)를 닫기 전 상태로 원상복귀된다.
여기서 필러부(400)는 제1도어(200)와 필러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제2케이스(420)의 전면이 우측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홈(131)의 안내를 받지 않는 경우에 제1도어(200) 우측 단부의 우측 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저장실
120 : 수평격벽 130 : 가이드부
131 : 가이드홈 200 : 제1도어
210 : 제1힌지 220 : 제1도어가스켓
300 : 제2도어 310 : 제2힌지
320 : 제2도어가스켓 400 : 필러부
410 : 제1케이스 411 : 가이드돌기
413 : 설치홈 415 : 후크
420 : 제2케이스 421 : 상부테두리
423 : 하부테두리 425 : 좌측테두리
427 : 우측테두리 429 : 체결공
500 : 가스켓 510 : 절곡부재
511 : 제1수평부 513 : 제2수평부
515 : 수직부 517 : 홈
520 : 밀폐부재 521 : 전방부
523 : 후방부 525 : 상측부
527 : 하측부 5271 : 돌출부
5272 : 오목부 530 : 연결부재

Claims (4)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부의 일단에는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필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절곡부재;
    돌출부와 오목부를 갖고 내부가 관통된 밀폐부재;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밀폐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서로 가장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상기 필러부가 설치된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21752A 2015-02-12 2015-02-12 냉장고 KR20160099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52A KR20160099373A (ko) 2015-02-12 2015-02-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52A KR20160099373A (ko) 2015-02-12 2015-02-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373A true KR20160099373A (ko) 2016-08-22

Family

ID=5685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52A KR20160099373A (ko) 2015-02-12 2015-02-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3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938A (ko)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양문 냉장고 도어의 필러 어셈블리
WO2024106691A1 (ko)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93B1 (ko) 2008-09-25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93B1 (ko) 2008-09-25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938A (ko)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양문 냉장고 도어의 필러 어셈블리
WO2024106691A1 (ko)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160B1 (ko) 냉장고
US11768027B2 (en) Refrigerator
KR20170110484A (ko) 냉장고
JP6482317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KR20050096342A (ko) 냉장고
KR20160099373A (ko) 냉장고
KR20090099877A (ko) 냉장고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JP5603556B2 (ja) 断熱箱体
JPH04320785A (ja) 貯蔵庫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JP6403475B2 (ja) 冷却貯蔵庫
KR102471322B1 (ko) 냉장고
JP7427465B2 (ja) 貯蔵庫
WO2022190362A1 (ja) 冷蔵庫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1592231B2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reinforced housing
JP2021099202A (ja) 冷蔵庫
JP6189621B2 (ja) 冷却貯蔵庫
JP7422310B2 (ja) 冷蔵庫
JPWO2022190362A5 (ko)
KR100487819B1 (ko) 냉장고의 도어용 저장부 구조
JP2016156517A (ja) リーチイン型のショーケース
KR20160044233A (ko) 냉장고
JP201514098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