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2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22B1
KR102471322B1 KR1020150090369A KR20150090369A KR102471322B1 KR 102471322 B1 KR102471322 B1 KR 102471322B1 KR 1020150090369 A KR1020150090369 A KR 1020150090369A KR 20150090369 A KR20150090369 A KR 20150090369A KR 102471322 B1 KR102471322 B1 KR 10247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ller
dyke
refrigerato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30A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 1 도어 다이크 및 제 2 도어 다이크;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 사이를 차폐하는 필러; 상기 필러는,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과 접하는 필러 바디와, 상기 필러 바디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 힌지; 상기 필러 바디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 또는 제 2 도어 다이크를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제품으로서,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냉장고, 바텀 프리저 냉장고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바텀 프리저 냉장고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장실은 한 쌍의 냉장실 도어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는 냉장실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각각은 상기 힌지가 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반대 쪽 측단부인 자유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자유단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자유단들의 배면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수직 격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냉기 손실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자유단들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차폐하여 냉기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의 자유단 배면에 필러(pillar)라고 하는 차폐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84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의 자유단 배면에 밀폐 기둥(30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좌측 도어의 자유단과 우측 도어의 자유단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폐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밀폐 기둥(300)과 같은 차폐 부재가 구비되더라도, 차폐 부재의 측면과 도어의 측면 사이를 통해서 냉기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 쌍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폐 기둥의 양 측면과 마주 보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 즉 도어 다이크(door dike)의 외주면에 별도의 가스켓(510)이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밀폐 기둥이 장착된 좌측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우측 도어만 열고자 할 때, 우측 도어의 도어 다이크에 장착된 가스켓(510)과 밀폐 기둥의 측면부가 서로 간섭되어 우측 도어도 함께 열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우측 도어만 개방된 상태에서 우측 도어를 닫으면, 우측 도어의 도어 다이크에 장착된 가스켓이 밀폐 기둥의 측면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밀폐 기둥의 전면과 도어 가스켓의 자석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 가스켓에 내장된 자석의 자력이 냉장실 전면에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여, 도어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가스켓(510)이 클 경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ㅔㅋㅅ(510)이 밀폐 기둥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 1 도어 다이크 및 제 2 도어 다이크;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 사이를 차폐하는 필러; 상기 필러는,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과 접하는 필러 바디와, 상기 필러 바디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 힌지; 상기 필러 바디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 또는 제 2 도어 다이크를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 쌍의 냉장실 도어의 자유단들이 마주보는 부분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실링 부재가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이 아닌 필러의 측면에 장착됨으로써, 도어를 개폐할 때 실링 부재와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필러가 장착된 도어는 닫히고 필러가 장착되지 않은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서, 필러가 장착되지 않은 도어를 닫을 때, 필러가 장착되지 않은 도어 쪽을 향하는 가스켓이 필러의 전면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 가스켓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의 자력 감소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도어의 닫힘력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에 가스켓이 장착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필러의 측면에 가스켓이 장착되면 가스켓을 더 크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단열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와 가스켓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도어의 자유단이 마주보는 경계 부위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고, 도어의 가장자리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의 작동에 따른 소비 전력량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필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5는 제 1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은 제 1 냉장실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의 상태에서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7은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가 구비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11)과 상기 냉장실(111)의 하측에 형성되는 냉동실(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은 한 쌍의 회동식 도어(12)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냉동실(112)은 직립하는 냉동실 도어(1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3)의 전면에는 핸들(131)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131)을 잡아당기면, 상기 냉동실 도어(13)는 직립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112)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13)의 배면에는 수납 박스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한 쌍의 회동식 도어(12)는 프렌치 도어(french door)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회동식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는 제 1 도어와 제 2 도어로 각각 정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한 쌍의 회동식 도어는 냉장실 뿐만 아니라 냉동실을 개폐할 수도 있기 때문에, 냉장실 도어로 한정될 필요가 없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도어(121,122)의 전면에는 핸들(123)이 구비되고, 배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124)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 중 어느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2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의 좌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자유단에 상기 필러(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필러(2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가이드 리브(후술함)가 돌출되고, 상기 냉장실(111)의 천장과 바닥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필러의 전면이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1,122)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개방되면, 상기 필러(20)가 회전하여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측면에 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필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러(20)는, 납작한 막대 형상의 필러 바디(21)와,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는 제 1 실링 부재(23)와,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장착되는 제 2 실링 부재(24)와,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러 바디(21)의 전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1,1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 배면에 밀착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필러 바디(21)의 우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필러 바디(21)의 좌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필러 바디(2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또한, 상기 필러(20)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자유단에 장착될 경우, 상기 필러(20)의 회전 중심은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브라켓(22)은 상기 필러 바디(21)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자유단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도어의 자유단 측면은,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가 결합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힌지가 결합되는 측면은 고정단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체결 브라켓(22)의 일단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배면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도어 다이크(후술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필러 바디(21)의 측면에 고정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브라켓(22)은 체결 힌지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실링 부재(23)는 상기 필러 바디(21)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브라켓(22)은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체결 브라켓들(2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과, 상기 필러 바디(21)의 상단부와 상기 체결 브라켓(2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 및 상기 필러 바디(21)의 하단부와 상기 체결 브라켓(2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각각 상기 제 2 실링 부재(24)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러 바디(21)의 자유단 측면, 즉 제 1 측면에는 하나의 긴 가스켓이 장착되고, 상기 필러 바디(21)의 고정단 측면, 즉 제 2 측면에는 다수의 짧은 가스켓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링 부재(24)의 개수는 상기 체결 브라켓(22)의 개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러 바디(21)의 상면과 하면에는 가이드 돌기(2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5)는 상기 냉장실(111)의 찬장 및 바닥의 전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힐 때, 상기 필러(2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전면부 절반 정도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22)가 닫히면, 상기 필러(20)의 전면부의 나머지 절반 정도는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배면에 밀착된다.
도 4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냉장실 도어(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111)의 좌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냉장실(111)의 우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 2 냉장실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제 1 도어 다이크(121a)가 돌출되고,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제 2 도어 다이크(122a)가 돌출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자유단의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와 제 2 도어 다이크(122a)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자유단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1,122)의 자유단의 측단부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121a,122a)의 시작 지점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1,122)의 배면에는 제 1 도어 가스켓(121b)과 제 2 도어 가스켓(122b)이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필러(20)는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의 외측 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 브라켓(22)의 일단은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의 외측 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2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필러 바디(21)의 제 1 측면은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의 외측 면과 마주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121,12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실링 부재(23)는 상기 필러 바디(21)와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 사이에 놓여서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링 부재(24)는 상기 필러 바디(21)와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 사이에 놓여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5는 제 1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개방된 상태, 즉 상기 필러(2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 상기 가이드 돌기(25)가 상기 냉장실(111)의 천장과 바닥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필러(20)는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의 외측 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은 제 1 냉장실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의 상태에서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러 바디(21)의 상하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돌기(25)가 상기 냉장실(111)의 상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에 수용되는 순간부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필러(20)는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필러(20)는 회전하여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필러(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필러(20)의 제 1 실링 부재(23)는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22)의 제 2 도어 다이크(122a)에 가까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121a)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도 돌출 단부에서 돌출 시작부(제 2 도어 가스켓(122b)이 장착된 단차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즉,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의 외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러(20)의 전면이 상기 도어 가스켓(121b,122b)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 1 실링 부재(23)와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의 외측 면 간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도 7은 제 1 및 제 2 냉장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필러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가 완전히 닫혀서 상기 냉장실(111)을 폐쇄하면, 상기 필러(20)의 전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가스켓들(121b,122b)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가스켓들(121b,122b) 내부에 삽입된 마그넷과 상기 필러 바디(21)의 전면에 장착된 금속편이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어,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필러 바디(21)와 상기 도어 다이크들(121a,12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23,24)가 놓여서, 냉기가 상기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가 도어 다이크들(121a,122a)에 부착되는 선행 기술과 달리,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23,24)가 상기 필러 바디(21)에 한 몸으로 연결됨으로써, 냉장실 도어(121,122)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 부재들(23,24)이 간섭되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23,24)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열릴 때(도 7 → 도 6 →도 5 방향으로 회전), 상기 제 2 실링 부재(24)는 제 1 도어 다이크(121a)의 상대적으로 틈새가 넓은 첨단 쪽에서 틈새가 좁아지는 기저부 쪽으로 회전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힐 때에도(도 5 → 도 6 → 도 7 방향으로 회전), 상기 제 1 실링 부재(23)는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122a)의 상대적으로 틈새가 넓은 첨단 쪽에서 틈새가 좁아지는 기저부 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23,24)의 횡단면 면적을 크게 설계하더라도 도어 다이크(121a,122a)의 외측면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 1 도어 다이크 및 제 2 도어 다이크;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 사이를 차폐하는 필러;
    상기 필러는,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과 접하는 필러 바디와,
    상기 필러 바디를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 힌지;
    상기 필러 바디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 또는 제 2 도어 다이크를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필러 바디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제 1 실링 부재; 및
    상기 필러 바디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제 2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힌지는,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과 상기 필러 바디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힌지는, 다수 개가 상기 필러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실링 부재는 상기 다수의 체결 힌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1 도어 가스켓 및 제 2 도어 가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필러 바디의 전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 가스켓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실링 부재 및 상기 제 2 실링 부재는, 각각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 및 상기 제 1 도어 다이크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 2 도어 다이크의 틈새가 넓은 첨단 쪽에서 틈새가 좁아지는 기저부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필러 바디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 다이크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 부재는 상기 필러 바디에 한 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90369A 2015-06-25 2015-06-25 냉장고 KR10247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69A KR102471322B1 (ko) 2015-06-25 2015-06-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69A KR102471322B1 (ko) 2015-06-25 2015-06-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0A KR20170001030A (ko) 2017-01-04
KR102471322B1 true KR102471322B1 (ko) 2022-11-29

Family

ID=5783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69A KR102471322B1 (ko) 2015-06-25 2015-06-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28B1 (ko) * 2018-10-29 2023-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221B1 (ko) * 2013-07-01 2020-03-11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양문형 냉장고의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0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US9157676B2 (en) Refrigerator
US9080808B2 (en) Refrigerator
US10429121B2 (en) Refrigerator
EP3222947B1 (en) Refrigerator
KR20130052087A (ko) 냉장고
KR102471322B1 (ko) 냉장고
KR20130026325A (ko) 냉장고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102526528B1 (ko) 냉장고
JP6510018B2 (ja) 冷蔵庫
JP2013108706A (ja) 冷蔵庫
JP6305251B2 (ja) 冷蔵庫
US1139150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rticulating horizontal mullion
KR102394402B1 (ko) 냉장고
KR101350011B1 (ko) 냉장고
KR20090074996A (ko) 개스킷 밀착구조를 가지는 프렌치식 냉장고
JP2018004199A (ja) 冷蔵庫
KR20090133013A (ko) 양문형 냉장고
KR20240071500A (ko) 냉장고
KR20220034603A (ko) 냉장고
KR100638270B1 (ko) 냉장고의 멀리언 구조
KR20060015865A (ko) 냉장고
KR19980027187U (ko) 냉장고의 냉기누출 방지장치
JP2018123978A (ja) 冷凍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