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150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1500A
KR20240071500A KR1020220152665A KR20220152665A KR20240071500A KR 20240071500 A KR20240071500 A KR 20240071500A KR 1020220152665 A KR1020220152665 A KR 1020220152665A KR 20220152665 A KR20220152665 A KR 20220152665A KR 20240071500 A KR20240071500 A KR 2024007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ib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심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도어 다이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개폐 시, 상기 캐비닛과 접하여 냉기 누설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도어 라이너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이를 위해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도어에는 닫힌 상태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이 구비되며, 가스켓과 캐비닛의 밀착력이 강할수록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저장실의 개방면 사이에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된 상기 가스켓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켓의 일면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 개방면의 테두리에 접하며 상기 도어와 저장실의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스켓의 노화, 상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의 도어와 저장실의 접합력에 따른 변형 등으로 인해 냉기가 누설되고 소비 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가스켓 자체의 구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5-0029430호에는 가스켓이 확장판, 확장판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도어와 저장실의 개방면이 접하는 부분으로 유통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 가스켓은, 확장판의 몸체에 다수의 리브가 장착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리브가 쉽게 변형되고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리브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기밀성은 높아지지만 개폐 과정에서 간섭될 수 있으며, 특히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될 경우 개폐시 간섭되어 가스켓의 쓸림소리, 동작성 저하, 찢어짐 등 물리적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반발력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가스켓의 반발력으로 인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도어의 개방시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가스켓에서 연장되는 리브에 탄성을 제공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도어 개폐 시 실링부의 형태를 유지하여 도어의 개폐 조작시 동작성 저하 및 기밀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링부가 날개 형상의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의해 리브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도어 다이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개폐 시, 상기 캐비닛과 접하여 냉기 누설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도어 라이너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접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와 연장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의 가스켓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부; 상기 베이스부와 떨어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부착되는 자석이 수용된 자석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자석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중 상기 도어 다이크와 가장 인접한 연결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브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와 리브 및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와 리브 및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연장부와 리브의 직선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리브 및 지지공간의 형상은 상기 지지부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도어 다이크의 방향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리브의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라운딩부; 상기 제1라운딩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지지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라운딩부의 곡률은 제1라운딩부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리브, 지지부, 제1라운딩부 및 제2라운딩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라운딩부의 두께는 상기 제2라운딩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2라운딩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더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저장실과 도어 다이크 사이의 간격 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과 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라운딩부의 시작부분과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저장실과 상기 도어 다이크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면 중 하면과, 상면 그리고 좌우 양측 중 상기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과 가까운 일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 면 중 하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된 가스켓에서 연장된 실링부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 도어와 상기 저장실 전면 테두리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에 의한 저장실과 도어 사이의 기밀과 함께 실링부에 의해 저장실과 도어의 사이가 2중으로 기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와 저장실 개방면의 사이로 누설되는 냉기가 실링부에 의해 2중으로 차단되어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링부는 연장부와 리브 그리고 지지부로 구성되며 가스켓의 하단에 연장부가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리브가 과도하게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가 리브와 지지공간을 가짐으로써 도어를 여닫을 시 발생하는 반발력과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도어를 여닫을 시의 형체 변형 방지 및 형상 유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도어 다이크와 저장실 내측면 사이에서 플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가지는 도어에 적용 가능하고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의 리브가 플렉시블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 다이크를 완전 밀폐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브의 라운드진 부분은 제 1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2 라운드부로 구성되어, 도어 개폐시 리브가 역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 성능이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스켓의 하단에 연장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리브가 지지부에 의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가 자중에 의해 리브가 과도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 다이크와의 저장실 사이의 밀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가스켓이 포함하는 본체부와 실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링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링부의 실시 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실링부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 예의 단열 성능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켓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켓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구비되고, 4개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 및 가스켓이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에 필요한 경우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다시 정의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상기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구획벽(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장실(12)과,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형성되는 냉동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도 8의 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는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1)는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를 연결하는 다수의 힌지(14)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14)는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202)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21)와, 상기 도어(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캡 데코(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24,25)는 도어(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 데코(24)와 도어(2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 데코(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1)와 도어 라이너(22), 캡데코(24,25) 및 사이드 프레임(26)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이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충진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19)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22)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저장실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도어 다이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221)는 상기 도어(20)의 후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후면에는 함몰된 도어 함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30)은 본체부(35)와 실링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스켓(30)의 본체부(35)는 상기 도어 라이너(22)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22)에는 가스켓 장착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장착 홈(224)은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35)는 상기 가스켓 장착 홈(224)에 장착 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5)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에 밀착되고 상기 저장실을 실링하여 상기 저장실과 도어(20)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스켓(3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가스켓이 포함하는 본체부와 실링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실링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먼저, 가스켓(3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스켓(30)의 본체부(35)는 전체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5)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32), 상기 베이스부(32)에서 돌출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22)의 가스켓 장착홈(224)에 삽입되는 장착부(31), 상기 베이스부(32)와 떨어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0)에 부착되는 자석이 수용된 자석 장착부(34), 상기 베이스부(32)와 자석 장착부(34)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이 수용된 자석 장착부(34)에 의해 상기 본체부(35)는 금속소재로 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자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35)는 상기 캐비닛(10)과 보다 밀착될 수 있으며, 냉기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1)는 상기 가스켓 장착홈(224)의 내측에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3)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연결부(33)는 장착부(31)의 일단에서 상기 자석 장착부(34)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331)와, 상기 장착부(31)의 다른 일단에서 상기 자석 장착부(34)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333)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331)와 제3연결부(333)의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31)와 자석 장착부(34)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33) 중 연장부(361)가 형성된 상기 제3연결부(333)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된다. 서로 길이가 다른 다수의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자석이 배치된 상기 자석 장착부(34)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체부(35)에서 연장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실링부(36)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본체부(35)에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221)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부(361), 상기 연장부(361)에서 돌출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접하는 리브(363), 상기 리브(363)와 연장부(361) 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리브(363)를 지지하는 지지부(36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361)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가장 가까이 돌출된 상기 연결부(333)의 일측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61)는 상기 자석 장착부(34)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361)는 상기 가스켓(30)의 네 면 중 하면과, 상면 그리고 좌우 양측 중 상기 도어(20)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과 가까운 일측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20)를 따라 배치되는 가스켓(30)의 상하좌우 네면 중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겹쳐지는 저장부의 벽면이 존재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20)는 좌우 양측에 나란히 한쌍이 배치되고, 상기 도어(21,22)들 간에 서로 인접하는 일면에는 저장실 벽면과 접하지 않으므로, 상기 실링부(36)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부(361)가 상기 가스켓(30)의 네 면 중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리브(363)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부(362)가 리브(363)의 처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62)는 상기 리브(363)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362)는 상기 리브(363)와 연장부(361)를 연결하는 연결 리브(362a), 상기 연결 리브(362a)와 상기 리브(363) 및 연장부(361)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공간(362b)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362)는 지지공간(362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연결 리브(362a)만 형성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상기 가스켓(30)의 처짐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공간(362b)은 네면 모두가 막혀 있는 구조로써 하나의 방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가스켓(30)이 처짐 현상 없이 형상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과 도어 다이크(221)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리브(363)는 상기 연결 리브(362a)에 의해 지지되어 형태를 유지하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공간(362b)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리브(363)가 적절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지지공간(362b)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리브(363)가 원래의 형태로 빠르게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62)의 지지공간(362b)은 완충 효과와 더불어 그 자체로써 추가적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61)와 리브(363) 및 지지부(36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362a)의 길이(L1)는 상기 연장부(361)와 상기 리브(363)의 직선 거리(L2)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리브(362a) 및 지지공간(362b)의 형상은 상기 지지부(362)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방향을 따라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363)는 상기 연장부(361)의 끝부분에서 상기 리브(363)의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라운딩부(363a)와,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끝부분에서 상기 지지공간(362b)을 향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라운딩부(363b)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곡률은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저장실과 도어 다이크(221) 사이의 공간을 완전 밀폐시켜 단열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곡률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가스켓(30)이 상기 도어(20)의 개폐 시 상기 가스켓(30)의 쓸림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 힌지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도어(20)의 개폐 시 상기 가스켓(30)이 눌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라운드 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의 힌지에 부착되는 전체적인 밀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61), 리브(363), 지지부(362), 제1라운딩부(363a),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장부(361)의 두께(T1)는 지지부(362), 제1라운딩부(363a) 및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T2,T3,T4)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61)의 두께(T1)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힘을 가장 많이 받게 되고 중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두께(T3)는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T4)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딩부(363a)는 상기 제2라운딩부(363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점점 더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T4)가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두께(T3)보다 얇게 형성되는 이유는,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T4)가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기 도어(20)의 개폐 시 반발력으로 인해 소리가 나거나 상기 도어(20)가 잘 닫히지 않는 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두께(T4)를 더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20)와 직접 접하는 부분의 반발력을 줄여 상기 도어(20)가 보다 쉽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두께(T3)는 상기 연결리브(362a)의 두께(T2)와 같거나 더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리브(362a)는 상기 리브(36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61)의 끝부분과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시작부분이 만나는 지점은, 상기 제1라운딩부(363a)의 끝부분과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시작부분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연장부(361)를 기준으로 설정각도(α)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각도(α)는 52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상기 설정각도(α) 52.4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브(363)의 길이는 상기 저장실과 상기 도어 다이크(221)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리브(363)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여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시작부분과 상기 연장부(36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저장실과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과 상기 도어 다이크(221)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제2라운딩부(363b)의 시작부분과 상기 연장부(361)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링부(36)의 동작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실링부의 실시 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실링부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실링부(36)는 정렬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실링부(36)의 리브(363)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저장실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361)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361)와 상기 도어 다이크(221)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361)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33)에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5)가 상기 도어 라이너(22)에 장착되면 상기 연장부(36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35)의 장착 시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연장부(361)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될 때의 저항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보다 쉽게 닫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36)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덜 닫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상기 리브(363)가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장부(361)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부(362)가 상기 저장실 벽면과 일정하게 접하여 기밀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를 열고 닫는 순간 상기 실링부(36)의 리브(363)는 상기 지지부(362)의 지지공간(362b)과 상기 연장부(361) 측을 향해 플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36)의 리브(363)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저장실 사이의 공간에 따라 라운드되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를 열고 닫을 때 반발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링부(36)의 제1라운딩부(363a)에서 제2라운딩부(363b)로 연장될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20)의 개폐시 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저항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내측면과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후면은 상기 도어 라이너(2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22)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도어 다이크(2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2)에는 상기 본체부(35)가 장착되는 가스켓 장착홈(22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장착홈(224)은 상기 도어(20)의 후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외측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장착홈(224)에 상기 본체부(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5)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35)의 상기 자석 장착부(34)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상기 본체부(35)는 스틸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10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다이크(221)에는 상기 실링부(3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35) 보다 더 내측에 상기 실링부(36)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상기 냉동실(13)의 내측 벽면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즉, 상기 실링부(36)에 의해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냉기 누설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본체부(35)에 의해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냉기 누설을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개폐될 때 상기 실링부(36)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변형됨은 물론, 상기 냉동실(13)의 내측면 즉,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보다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개폐시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 예의 단열 성능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5)는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실링부(36)에 의해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상기 저장실의 벽면 사이가 추가적으로 기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5)의 각 부위에서의 온도 변화를 도9(b)를 참조하여 실링부(36)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 예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살표 1과 같이 상기 본체부(35)의 외부에서 상기 자석 장착부(34)를 지나는 구간에서, 상기 본체부(35)의 외측에서 히터(103)가 배치된 위치까지는 온도가 상승하고, 히터(103)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35)의 내측 즉, 상기 제2연결부(332)의 지점까지는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03)에서 상기 본체부(35) 내측의 구간에서 비교 예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저장실 내부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성능의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 2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332)에서 제3연결부(333)를 지나는 구간 전체에서, 비교 예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온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저장실 내부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성능의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화살표 3과 같이, 제3연결부(333)에서 상기 실링부(36)를 지나는 구간 전체에서, 비교 예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온도 편차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장부(361)의 시작 부분과 리브(363)의 단부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 예와 비교해 보더라도, 화살표 3의 시작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온도가 더 높고 화살표 3의 종료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온도가 더 낮으므로 비교 예에 비하여 단열 성능이 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고내측을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고내측에서 상기 실링부(36)를 지나는 지점까지의 단열성능이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실링부(36)의 배치 위치에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36)의 배치 위치를 제외한 상기 본체부(35)의 구조 및 냉장고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켓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스켓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도어(20)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외측을 따라서 상기 실링부(36)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가스켓(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가스켓(30)의 상하면과 좌우 양측면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둘레 전체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전체 둘레에 상기 실링부(36)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도어 다이크(221)와 상기 저장실의 사이의 틈새를 모두 차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장실의 냉기 누설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는 저장실의 온도가 매우 낮은 냉장고에서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링부(36)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실링부(36)는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상하 좌우 네 면에 설치되되, 라운드진 둘레면에는 상기 실링부(36)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36)는 냉장고(1) 또는 상기 도어(2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전체 둘레 중 필요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20)의 후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가스켓(30)의 상하좌우측면 중 하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하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의 하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221) 하면의 사이를 기밀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6)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실링부(36)는 자중에 의해서 처짐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부(362)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실링부(36)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과정 중에 상기 실링부(36)가 처지게 되어 상기 저장실 벽면에 끼거나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의 냉기는 하방으로 흐르게 되며 따라서 저장실의 하부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상기 실링부(36)는 상기 도어 다이크(221)의 하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저장실 하면을 통해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도어 다이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개폐 시, 상기 캐비닛과 접하여 냉기 누설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도어 라이너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과 접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 다이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상기 도어 다이크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저장실의 벽면과 접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와 연장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의 가스켓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부;
    상기 베이스부와 떨어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부착되는 자석이 수용된 자석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자석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중 상기 도어 다이크와 가장 인접한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브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 리브; 및
    상기 연결 리브와 리브 및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와 리브 및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연장부와 리브의 직선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 및 지지공간의 형상은 상기 지지부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도어 다이크의 방향을 따라 변형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연장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리브의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라운딩부;
    상기 제1라운딩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지지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라운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운딩부의 곡률은 제1라운딩부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리브, 지지부, 제1라운딩부 및 제2라운딩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운딩부의 두께는 상기 제2라운딩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2라운딩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두께가 점점 더 얇아지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길이는 상기 저장실과 도어 다이크 사이의 간격 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과 접하여 변형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운딩부의 시작부분과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저장실과 상기 도어 다이크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되는 냉장고.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면 중 하면과, 상면 그리고 좌우 양측 중 상기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과 가까운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냉장고.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네 면 중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220152665A 2022-11-15 냉장고 KR20240071500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500A true KR20240071500A (ko) 2024-05-2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958B2 (en) Refrigerator
US11231222B2 (en) Refrigerator
JP5269720B2 (ja) 冷蔵庫
EP3190367B1 (en) Refrigerator
KR102296461B1 (ko) 냉장고
KR20130105065A (ko) 냉장고
KR20140060431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AU2013309684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32608A (ko) 냉장고
KR20100084924A (ko) 냉장고
KR20030001233A (ko) 냉장고의 문구조체
KR20240071500A (ko) 냉장고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20230149581A (ko) 냉장고
KR102471322B1 (ko) 냉장고
KR102377308B1 (ko) 냉장고
KR100483067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발포구조
JP6937472B2 (ja) 冷蔵庫
KR200316728Y1 (ko) 냉장고의도어
JP2003021455A (ja) 冷蔵庫
JP3896345B2 (ja) 冷蔵庫
KR20220034603A (ko) 냉장고
JP2022166699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