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97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976A
KR20150047976A KR1020130128112A KR20130128112A KR20150047976A KR 20150047976 A KR20150047976 A KR 20150047976A KR 1020130128112 A KR1020130128112 A KR 1020130128112A KR 20130128112 A KR20130128112 A KR 20130128112A KR 20150047976 A KR20150047976 A KR 2015004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me bar
groove
pock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관
최석재
윤석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301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976A/ko
Publication of KR2015004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바도어의 하부와 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닫을 때, 구동부가 노출되지 않아 심미성이 향상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바도어의 하부와 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닫을 때, 구동부가 노출되지 않아 심미성이 향상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는 회동가능하면서 냉장고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냉장고를 여닫는 도어가 설치된다.
냉장고에는 다수 개의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홈바란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또 하나의 작은 도어로서,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홈바를 열어서 냉장고 내부에 보관한 물병 등을 꺼낼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홈바는 냉장고의 도어의 일부분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홈바의 상부를 누러서 홈바의 상부가 사용자 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를 취하였다.
또 다른 종래의 홈바는 냉장고에 설치된 도어의 전면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홈바의 일측을 누르면 홈바의 좌측부가 사용자 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바를 열 경우, 상기 홈바의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홈바가 열렸을 대의 미관을 해치며, 노출된 힌지부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 상기 힌지부가 고장 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홈바도어의 하부와 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홈바도어 개폐시 상기 제2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개구부를 구비한 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홈바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부와 상기 홈바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와, 상기 도어의 하부와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상기 제2힌지는, 일단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 상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홈과 상호작용하는 힌지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수평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홈기 형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 탑재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와,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 지지부재의 하면에서 돌출된 힌지돌기가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바도어의 하부와 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는 상기 홈바도어 개폐시 구동북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냉장고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힌지는, 일단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 상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홈과 상호작용하는 힌지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냉장고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와 상기 홈바도어를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 탑재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와,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 지지부재의 하면에서 돌출된 힌지돌기가 상기 홈에 끼워지므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상기 홈바도어를 도어와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본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홈바도어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방된 홈바도어가 모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힌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제2힌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의 포켓 부분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의 포켓과 홈바 도어 어셈블리 결합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 어셈블리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와,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다수의 저장실(110)과, 각 저장실(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은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도어는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210)와,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220)와, 제3저장실을 개폐하는 제3도어(230)와, 제4저장실을 개폐하는 제4도어(240)를 포함하여, 4룸 4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편의상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은 냉장고 본체(100)의 좌측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저장실을 지칭하며,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은 냉장고 본체(100) 우측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저장실을 지칭한다.
각 본체 도어(210, 220, 230, 240)는 좌, 우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힌지축(101)이 마련되어, 각각의 도어(210, 220, 230, 240)가 상기 본체(100)의 힌지축(10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230)의 전면은 홈바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홈바도어는 제1홈바도어(7)와 제2홈바도어(9)이고, 상기 개구부는 제1개구부(3)와 제2개구부(5)이다.
즉, 도어(230)의 상측에는 제1홈바도어(7)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개구부(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30)의 하측에는 제2홈바도어(9)에 의해 개폐되는 제2개구부(5)가 형성된다.
상기 제1홈바도어(7)와 상기 제2홈바도어(9)는 우측벽이 힌지축이 되어 상기 우측벽을 기준으로 냉장고 본체(100)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도어(230)와 상기 제1홈바도어(7)의 상부는 제1힌지(1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홈바도어(7)의 하부와 제2홈바도어의 상부(9)는 제3힌지(1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홈바도어(9)의 하부와 상기 도어(230)의 하부는 제2힌지(12)에 의해 연결된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제2힌지(12)는 브라켓(15)과, 힌지 어셈블리(17)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5)은 상기 도어(230)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23)과, 상기 체결브라켓(23)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브라켓(25)과, 상기 전방브라켓(25)에서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수평브라켓(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23)의 단면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상기 체결브라켓(23)의 전면에는 나사(27)가 결합되는 관통공(29) 두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9)은 단차가 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공(29)에 상기 나사(27)가 결합될 때, 상기 단차에 의해서 나사(27)의 머리가 상기 체결브라켓(23) 전면에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나사(27)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23)의 하측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체결브라켓(23)을 지지하는 전방브라켓(25)이 더 형성된다.
전방브라켓(25)은 체결브라켓(23)과 마찬가지로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브라켓(25)에서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수평브라켓(26)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브라켓(15)은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브라켓(15)은 제3도어(230)에 형성된 체결홈(28) 설치된다.
상기 체결홈(28)은 제3도어(23) 전면 우측에 형성되되, 제1개구부(3)의 하측과, 제2개구부(5)의 상측 사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3도어(230) 우측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제1홈바도어(7)의 하부와 제3도어(230), 제2홈바도어(9)의 상부와 제3도어(23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홈바도어(7)와 제2홈바도어(9)를 연결하는 것이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체결홈(28)은 체결브라켓(23)과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브라켓(23)이 상기 체결홈(28) 수용되어 나사 결합한다.
다시 말해, 체결홈(28)에 체결브라켓(23)이 수용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제1홈바도어(7)와 제2홈바도어(9)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홈바도어(7)와 상기 제2홈바도어(9)의 설치가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체결홈(28)에는 상기 관통공(29)과 동심인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9a)이 더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9) 및 체결공(29a)에 나사(27)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5)은 제3도어(230)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브라켓(26)의 상면에는 상기 제1홈바도어(7)의 하부에 장착된 힌지 어셈블리(17)와 상호작용하는 지지대(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1)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 중심에 형성된 홈(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33)은 수평브라켓(26) 상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32)의 중심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32)를 원기둥으로 형성하였으나, 실시 가능하다면 그 크기와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힌지 어셈블리(17)를 도시하였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7)는 하우징(39)과 상기 하우징(39)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부(4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9)은 사각기둥 형상의 하우징 본체(43)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본체(43)의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고정브라켓(45)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은 사각형상이고, 모서리 및 상기 하우징 본체(43)와 연결된 부분은 라운드 처리된다.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에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17)를 상기 제2홈바도어(9) 하부에 나사(49) 결합하기 위한, 제1 나사구멍(47)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 나사구멍(47)은 두 개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17)가 고정됨과 동시에 정확한 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 하측에는 제2 고정브라켓(4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의 하면에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의 상면이 맞닿도록 설치된다.
설치된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에는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의 제1 나사구멍(47)과 같은 위치에 제2 나사구멍(47a)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은 상기 제1 고정브라켓(45)이 상기 제2홈바도어(9)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홈바도어(9) 하부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17)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43)와 같은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17)를 고정하기 위해, 제2홈바도어(9)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나사구멍(47)과 같은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구멍 더 형성된다.
또한, 제2홈바도어(9) 하부에 함몰된 홈에 힌지 어셈블리(17)가 설치되어, 제2홈바도어(9)가 닫혔을 때, 상기 힌지 어셈블리(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하기 위해, 제2홈바도어(9) 하부에는 단차가 더 형성된다.
상기 단차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2힌지(12)가 설치되는 함몰된 홈이 형성되는 부분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에 상기 함몰된 홈을 형성하였다.
즉, 상기 나사(49)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과 제1 고정브라켓(45)과 제1홈바도어(9)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의 뒷면은 상기 홈의 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 고정브라켓(46)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단면이 'ㄴ'자 형상인 제2 고정브라켓(46)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17)의 나사 결합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43)의 일면에는 가이드라인(48)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라인(48)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17)가 제2홈바도어(9) 하부의 홈에 설치될 때, 설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라인(48)은 상기 홈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대응되며, 상기 가이드라인(48)과 상기 가이드 홈은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형상 및 개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본체(4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면이 사각인 두 개의 가이드라인(48)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가이드홈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48)과 마찬가지로 단면형상이 사각인 홈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본체(43)에는 회전부(41)가 설치되는 중공부(37)가 더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41)는 스프링(51)과, 상기 스프링(51)의 하단지지부재(53)와, 상기 스프링(51)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51)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스프링(51) 상단 및 하단 끝에는 상기 스프링(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하단 걸림부(51a)와 상단 걸림부(5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재(53)는 평편한 원반 형태이며, 상기 하단 지지부재(53) 상면에는 상기 하단 걸림부(51a)가 끼워지는 하단 지지공(53a)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 지지공(53a)은 하단 지지부재(53)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1)과 상기 하단 지지부재(53)가 동심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51)이 상기 하단 지지부재(53)의 중심에 정확히 설치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단 지지부재(53) 상면에 중심봉(56)을 더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중심봉(56)에 상기 스프링(5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단 걸림부(51a)가 하단 지지공(53a)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51)이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봉(56)과 상기 하단 지지공(53a)의 크기 및 위치를 고려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심봉(56)을 원기둥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5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하단 지지공(53a)에 상기 하단 걸림부(51a)가 끼워졌을 때, 약간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상단 지지부재(55) 또한 하단 지지부재(53)와 마찬가지로, 평편한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재(55) 하면에는 상기 상단 걸림부(51b)가 끼워지는 상단 지지공(55a)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 지지공(55a)은 상기 상단 지지부재(55)의 상면에서 돌출된 중심 돌출부(5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돌출부(58)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부재(55)의 상면이 반으로 나눠지며, 상기 상단 지지부재(55)는 상기 중심 돌출부(58)를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상단 지지부재(55)의 측면에는 상기 중심 돌출부(58)와 수직인 방향으로 측면 연장부(59)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 연장부(59)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것으로, 상기 중심 돌출부(58)에 대해 대칭이다.
이때, 상기 상단 지지공(55a)은 상단 지지부재(55)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재(55)와 상기 중심 돌출부(58)의 중심을 관통하는 홀(57)이 더 형성된다.
상기 홀(57)은 상기 중심봉(56)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상단 걸림부(51b)가 상단 지지공(55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상단 지지공(55a)에 상기 상단 걸림부(51b)가 끼워졌을 때, 약간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홀(57)을 통과하는 중심봉(56)의 상단 부분은 단면이 타원 또는 둥근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홀(57)을 중심으로 유격에 의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41)는 상기 중공부(37)에 설치된다.
도 6에 상기 회전부(41)가 중공부(37)에 설치된 제2 힌지(12)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37)는 상기 하우징 본체(43)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41)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4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37)는 상기 하단 지지부재(53)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턱(61)과, 상기 스프링(51)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62)와, 상단 지지부재(55)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된 제2 수용부(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41)를 상기 중공부(37)에 설치하면, 유격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는데, 상기 상단 지지부재(55) 상면에 두 쌍의 제1 블록(67)과 제2 블록(68)을 형성하하여, 유격에 의한 움직임 발생을 방지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블록(67)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록(68)은 플레이트로써, 일면은 홈이 형성된 제1블록(67)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며, 반대측은 중심봉(56)을 감싸듯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봉(56)은 상기 제1 블록(67)과 상기 제2 블록(68)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공부(37) 중심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9)은 덮개(69)에 의해 마감되는데, 상기 덮개(69)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덮개(69)의 네 귀퉁이에는 관통공(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69)가 장착되는 하우징 본체(43) 상면 네 귀퉁이에는 상기 관통공(70)과 같은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결합공이 더 형성되어, 나사(71)에 의해 상기 덮개(69)와 상기 하우징 본체(43)를 결합시킨다.
상기 덮개(69) 상면은 평면이 십자(+)인 형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나사(71)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브라켓(26) 상면에는 홈(33)이 형성된 돌출부(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 지지부재(53)의 하면에는 돌출된 힌지돌기(73)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돌기(73)는 전술한 홈(33)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홈(33)은 원기둥 형상의 상기 돌출부(33)와 중심이 같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를 원호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돌기(73)와 상기 홈(33)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73)가 상기 홈(33)에 딱 맞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돌기(73)의 하측면에서 연장 돌출된 원형형상의 돌기를 더 형성하고, 상기 홈(33)의 하면에서 상기 원형형상의 돌기와 같은 형상의 홈을 더 형성하였다.
상기 원형형상의 돌기와 상기 원형형상의 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지돌기(73)를 상기 홈(33)의 중심에 정확히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및 도 2는 제1힌지(11), 제2힌지(12), 제3힌지(13)에 의해 지지되는 홈바도어(7, 9)가 마련된 제3도어(230)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각 본체 도어(210, 220, 230, 240)에는 각 본체 도어(210, 220, 230, 240)의 가장자리에 홈 형상으로 손잡이(211, 221, 231, 24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11, 221, 231, 241)는 상기 도어(210, 220, 230, 240)의 측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어(210, 220, 230, 24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도어(210, 220, 230, 240)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도어(210, 220, 230, 240)가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여 좌, 우 회동식으로 개폐됨에 따라, 손잡이(211, 221, 231, 241)는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측으로 배치된 본체 도어(210, 220, 230, 240)의 측벽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 상에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는 우측벽에 손잡이(211, 221)가 형성되어 있고,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는 좌측벽에 손잡이(231, 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11, 221, 231, 241)는 냉장고 본체(100)의 상측에 배치된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는 각 도어의 하측에 손잡이(211, 231)가 배치되어 있고, 냉장고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된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는 각 도어의 상측에 손잡이(221, 24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손잡이(211, 221, 231, 241)는 본체 도어(210, 220, 230, 240)가 닫혔을 때, 냉장고 본체(100)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도어(210)의 손잡이 (211)와 제3도어(230)의 손잡이(231)는 도어(210, 230)의 하단에서 중간부분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도어(220)의 손잡이(221)와 제4도어(240)의 손잡이(241)는 도어(220, 240)의 상단에서 4분의 1이 되는 지점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220)가 손잡이(221)와 제4도어(240)의 손잡이(241)의 세로길이보다 제1도어(21)의 손잡이(211)와 제3도어(230)의 손잡이(231)의 세로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체 도어 중 제3도어(2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2에 따르면, 제3도어(230)의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 측에 배치된 측벽(234, 도 1상에서 좌측벽)은, 제3도어(2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측벽(232)과, 제3도어(2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측벽(23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전측벽(235)은 후측벽(232)보다 제3도어(23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마련되어 있어, 전측벽(235)은 후측벽(232)에 대해 단차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231)는 전측벽(235)에 제3도어(230)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마련된다.
나아가.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제3도어(23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오목한 곡선형의 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231)는 제3도어(23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오목하도록 곡선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손잡이(231)가 제3도어(230)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이며, 특히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제3도어(23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오목한 곡선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장고 본체(100)의 전면에서는 전혀 손잡이(231)가 보이지 않으므로 냉장고 전체의 미관을 해치지 않아 심미성을 높일수 있으며, 손잡이(231)가 부드러운 곡선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었을 때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후측벽(232)의 상측에는 전측벽(235)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3)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3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측벽(235)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곡선형태인 것이 심미감을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233)는, 제3도어(230)의 최상단에서 2분의 1이 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되, 돌출부(233)의 최상단에서 3분의 2가 되는 지점까지는 전측벽(235)측으로 완전히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33)의 최상단에서 3분의 2가 되는 지점부터 최하단까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측벽(235)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곡선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231)는 전측벽(235)에 배치되되, 돌출부(233)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도어(230)에는 홈바도어(7, 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바도어(7, 9)는 본체 도어인 제3도어(23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므로 좌, 우 회동식으로 개폐되며,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하여 외측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7, 9)에 의해 본체 도어인 제3도어(23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홈바도어(7, 9)는 제3도어(230)의 상,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 형성된 제1홈바도어(7)와, 하측에 형성된 제2홈바도어(9)가 제3도어(230)의 전면 전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홈바도어(7, 9)는 우측벽이 힌지축이 되어 우측벽을 기준으로 사이 냉장고 본체(100)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홈바도어(7, 9)의 측벽(236a, 237a)은 제3도어(2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측벽(235)과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도 3은 제3도어(230)의 홈바 도어(7, 9)가 모두 열려,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홈바도어(7, 9)의 후면에는 제1개구부(3) 및 제2개구부(5)에 수용되는 홈바 수납부(236e, 237e)가 마련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제3도어(230)의 측벽(231)과 간격을 두고 측벽(231)을 따라 제1단턱(238)이 형성되어 있고, 홈바도어(7, 9)의 후면에는 제1단턱(238)과 맞물리는 제2단턱(236b, 23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어(230)의 전면에는 걸림홈(239)이 형성되어 있고, 홈바 도어(7, 9)의 후면에는 걸림홈(239)에 걸려 결합되는 검림돌기(236c, 237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홈바도어(7, 9)가 닫힐 때 상기 홈바도어(7, 9)의 제2단턱(236b, 237b)은 제3도어(230)의 제1단턱(238)과 맞물리며, 홈바도어(7, 9)의 측벽(236a, 237a)은 도 2와 같이 제3도어(230) 전측벽(235)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3도어(230)의 걸림홈(239)에 홈바도어(7, 9)의 걸림돌리(236c, 237c)가 걸려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도어(23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제3도어(230)를 열 때에는 제3도어(230)의 전측벽(235) 하측에 형성된 홈 형상의 손잡이(231)에 손가락을 넣어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3저장실이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제3도어(230)의 닫힌 상태에서 홈바도어(7, 9)를 열 때에는 제3도어(230)의 전측벽(235)과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홈바도어(7, 9)의 전면(도 2상에서 전면의 좌측편)의 중앙 부분을 누르면, 홈바도어(7, 9)의 걸림돌기(236c, 237c)가 제3도어(230)의 걸림홈(239)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홈바도어(7, 9)의 측벽(236a, 237a)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개구부(3) 및 제2개구부(5)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제1도어(210)는 도 1 상에서 좌측벽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우측벽의 하측에 손잡이(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어(210)의 우측벽(214)은,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3도어(230)의 좌측벽(234)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11)는, 냉장고 본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3도어(230)의 손잡이(23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도어(220)는 도 1상에서 좌측벽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우측벽의 상측에 손잡이(2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어(220)의 우측벽(224)은 제1도어(210)의 우측벽(214)과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제2도어(220)의 손잡이(221)는,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도어(210)의 손잡이(21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도어(240)는 도 1상에서 우측벽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좌측벽의 상측에 손잡이(241)가 형성되어 있다.
제 4도어(240)의 우측벽(244)은 제3도어(230)의 우측벽(234)과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제4도어(240)의 손잡이(241)는 냉장고 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3도어(230)의 손잡이(231)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바도어(7, 9)가 설치된 제3도어(230) 내측에는 냉장고의 홈바영역 및 상기 홈바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홈바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상기 홈바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홈바도어(7, 9)와, 홈바도어(7, 9)에 의해 개폐되는 제1개구부(3) 및 제2개구부(5)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3, 5) 내에는 홈바 수납부(236e, 237e)가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바 어셈블리는, 홈바 프레임부와, 상기 홈바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은 제1포켓(310)과 상기 제1포켓(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포켓(3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포켓(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포켓(310)과 상기 제2포켓(3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홈바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바 프레임부는 홈바가 형성되는 도어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바 도어프레임(300)과, 홈바도어가 설치되며 홈바 도어프레임(300)의 전면에 설치되는 홈바도어판넬(200)을 포함한다.
상기 홈바 프레임부에는 하부에 제1포켓(310)의 저장공간이 연통되는 제2개구부(5)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3포켓(330)의 저장공간이 연통되는 제1개구부(3)가 형성된다.
홈바 도어프레임(300)은 양측에 측벽지지부(13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측벽지지부(130)의 하부에 바닥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측벽지지부(130)의 내측벽 후방에는 사각형상의 결합돌기(11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돌기(111)에는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홈바 도어프레임(300) 전면에는 홈바도어판넬(200) 배면에 형성된 홈바 도어프레임 끼움홈에 삽입되는 판넬끼움돌출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바도어판넬(200)에는 두 개의 제1, 2 개구부(3, 5)를 개폐하는 홈바도어(7, 9)가 설치된다.
상기 포켓은 상기 홈바 프레임부의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설치된다.
상기 포켓은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은 제1포켓(310)과, 상기 제1포켓(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포켓(320)과, 상기 제2포켓(3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포켓(330)을 포함한다.
제2포켓(320)은 제1포켓(310)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포켓(330)은 제2포켓(320)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포켓(310) 상부 내측에는 제2포켓(320)이 끼워지는 제1끼움홈(319)이 형성되고, 제2포켓(320) 하부 외측에는 제1포켓(310)이 끼워지는 제2끼움홈(328)이 형성되어, 제2포켓(320)과 제1포켓(310)이 끼움결합된다.
제2포켓(320) 상부 내측에는 제3포켓(330)이 끼워지는 제3끼움홈(329)이 형성되고, 제3포켓(330) 하부 외측에는 제2포켓(320)이 끼워지는 제4끼움홈(339)이 형성되어, 제3포켓(330)과 제2포켓(320)이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2, 3, 4 끼움홈(319, 328, 329, 339)이 형성되어, 제1, 2, 3 포켓(310, 320 330)의 끼움결합 부위의 면이 연속되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포켓의 제1포켓(310)과 제3포켓(330)은 양측벽(301)과 바닥면(302)과 배면(303)을 포함하며, 배면(303)에는 냉기통기공(304)이 형성된다.
제1포켓(310)의 바닥면(302)은 양측벽(301)과 배면(30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3포켓(330)의 바닥면(302a, 선반)은 양측벽(301)과 배면(303)에 둘러싸이도록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제1포켓(310)의 배면(303)에 형성된 냉기통기공(304)은 제3포켓(330)의 배면(303)에 형성된 냉기통기공(304)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3포켓(330)의 배면(303)에 형성된 냉기통기공(304, 304a)는 바닥면(302a)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바닥면(302a)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기통기공(304a)은 포켓덮개(340)의 배면(343) 하단에 형성된 냉기통기공(304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3포켓(330)의 바닥면(302a)은 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제1포켓(310)과 제2포켓(320)과 제3포켓(3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홈바 프레임부의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되어, 결합구조는 최대로 단순화하면서 상기 포켓의 숫자는 최대화하여 상기 포켓의 공간을 더욱 최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켓(310)과 제3포켓(330)은 결합돌기(111)가 걸림돌기(306)의 홈(307)에 삽입되어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된다.
제1포켓(310)과 제3포켓(330)의 양측벽(30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체결편(305)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체결편(305)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306)가 형성된다.
체결편(305)은 양측벽(301)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양측벽(301)으로부터 단차지기 혀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켓은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걸림돌기(306)의 하부 후방에는 결합돌기(111)가 삽입되는 홈(307)이 형성된다.
상기 홈(307)은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걸림돌기(306)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306)에는 외측면에 경량화홈(308)이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306)가 형성되어 걸림돌기(306)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전체 중량도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걸림돌기(306)의 하부 일측에는 경사면(306a)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11)를 홈(307)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체결편(305)과 양측벽(301) 사이에는 리브(309)가 형성되어, 상기 포켓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리브(309)는 체결편(30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포켓(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편(305)에는 리브(309)가 상부에만 배치된다.
제2포켓(320)은 서랍식으로 구비된다.
제2포켓(320)은 양측벽(301)과, 양측벽(301)의 상붕에 배치되는 상면(322)과, 양측벽(301) 및 상면(322)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면을 포함한다.
제2포켓(320)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제1포켓(310)과 저장실이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제1포켓(310)의 냉기통기공(304)으로 유입된 냉기가 제2포켓(302)의 서랍(321)에도 공급된다.
양측벽(301)의 내측에는 서랍(321)을 가이드하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벽(301)의 전방에는 체결편(305a)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체결편(305a)에는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포켓(320)은 제1포켓(310) 위에 끼워진 후 스크류로 체결되어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서랍(321)을 슬라이딩시킬 때 제2포켓(320)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2포켓(320)의 상면(322)의 전방에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사용자가 서랍(321) 안쪽에 있는 식품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제2포켓(320)의 상면(322)은 제3포켓(330)의 바닥면 역할을 동시에 한다.
또한, 제2포켓(320)은 상면을 포함하여 제1포켓(310)의 저장공간과 제3포켓(330)의 저장공간을 분리한다.
이와 같이 견고하게 스크류체결되는 제2포켓(320)에 의해 저장공간이 분리되어 저장공간 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서랍(321) 및 제1포켓(310)에 저장된 식품은 제2개구부(5)를 통해 인출되고, 제3포켓(330)에 저장된 식품은 제1개구부(3)를 통해 인출된다.
제1포켓(310)과 제3포켓(330)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제2포켓(320)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홈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홈바 프레임부의 홈바 도어프레임(300)의 상단에는 포켓덮개(3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포켓덮개(340)를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도어 내측에서도 제3포켓(330)에 저장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포켓덮개(340)는 양측벽(341)과 양측벽(34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342)과 양측벽(341) 및 상면(342)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면(343)을 포함한다.
양측벽(341)의 양측에는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회동축(34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포켓(310), 제2포켓(320), 제포켓(330), 포켓덮개(340)의 양측벽(301, 341)은 측벽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고, 제1포켓(310)의 바닥면(302)은 바닥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포켓 조립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포켓을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시킬 때에는 제1포켓(310) 상부에 제2포켓(320)을 끼우고, 제1포켓(310) 및 제2포켓(320)을 들어서 걸림돌기(306)의 홈(307)에 홈바 도어프레임(100)의 결합돌기(111)를 삽입하고, 제2포켓(320)의 체결편(305a)을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체결하여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된다.
또한, 제3포켓(330)은 제2포켓(320)의 상부에 끼워지면서 걸림돌기(305)의 홈(307)에 홈바 도어프레임(300)의 결합돌기(111)를 삽입하여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결합된다.
포켓덮개(340)를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포켓을 홈바 도어프레임(300)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걸림돌기(306)의 홈(307)에서 홈바 도어프레임(300)의 결합돌기(111)를 빼내고, 제2포켓(320)의 체결편(305a)을 결합해제하여 해체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포켓이 홈바 도어프레임(300)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해진다.
또한, 단순한 결합구조로 상기 포켓을 상기 홈바 프레임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포켓의 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포켓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탈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포켓의 세척도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제1개구부 5 : 제2개구부
7 : 제1홈바도어 9 : 제2홈바도어
11 : 제1힌지 12 : 제2힌지
13 : 제3힌지 15 : 브라켓
17 : 힌지 어셈블리 23 : 체결브라켓
25 : 전방브라켓 26 : 수평브라켓
27 : 나사 28 : 체결홈
29 : 관통공 29a : 체결공
32 : 돌출부 33 : 홈
37 : 중공부 39 : 하우징
41 : 힌지부 42 : 하우징 본체
45 : 제1 고정브라켓 46 : 제2 고정브라켓
47, 47a : 나사구멍 48: 가이드 라인
49 : 나사 51 : 스프링
51a : 하단 걸림부 51b : 상단 걸림부
53 : 하단 지지부재 53a : 하단 지지공
55 : 상단 지지부재 55a : 상단 지지공
56 : 중심봉 57 : 홀
58 : 중심 돌출부 59 : 측면 연장부
61 : 하단 지지턱 62 : 제1 수용부
63 : 제2 수용부 67 : 제1 블록
68 : 제2 블록 69 : 덮개
70 : 관통공 71 : 나사
73 : 힌지돌기

Claims (4)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개구부를 구비한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홈바도어;
    상기 도어의 상부와 상기 홈바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
    상기 도어의 하부와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2힌지의 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는,
    일단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 상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홈과 상호작용하는 힌지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홈바도어의 하부에 탑재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재와,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 지지부재의 하면에서 돌출된 힌지돌기가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28112A 2013-10-25 2013-10-25 냉장고 KR20150047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12A KR20150047976A (ko) 2013-10-25 2013-10-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12A KR20150047976A (ko) 2013-10-25 2013-10-2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76A true KR20150047976A (ko) 2015-05-06

Family

ID=5338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112A KR20150047976A (ko) 2013-10-25 2013-10-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9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33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35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33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35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150047976A (ko) 냉장고
JP2018123489A (ja) 建具
JP2013024506A (ja) 冷蔵庫
KR20150047975A (ko) 냉장고
KR100995047B1 (ko) 곡면부를 구비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장치
JP6838019B2 (ja) 冷蔵庫
KR20110115348A (ko) 냉장고 선반커버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KR20150047974A (ko) 냉장고
KR20150120674A (ko) 냉장고
JP6555855B2 (ja) 冷蔵庫
KR101012381B1 (ko) 가전장치용 도어
CN219037214U (zh) 用于冷藏装置的存储模块及具有其的冰箱
JP2021162285A (ja) 冷蔵庫用扉および冷蔵庫
KR100690147B1 (ko) 냉장고의 도어
JP2007224621A (ja) 間仕切り壁の収納装置
CN219037215U (zh) 用于冷藏装置的存储模块及具有其的冰箱
KR20150088432A (ko) 냉장고
KR100648798B1 (ko) 냉장고용 제어기의 조립구조
CN217686158U (zh) 制冷器具
JP7377972B2 (ja) 冷蔵庫
US10823493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n alignment contour provided on a wall element
KR200472219Y1 (ko) 회전식 수납가구
KR200295377Y1 (ko) 개선된 손잡이를 갖는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