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16A - 문틀의 세로프레임 - Google Patents

문틀의 세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16A
KR20200112316A KR1020190032596A KR20190032596A KR20200112316A KR 20200112316 A KR20200112316 A KR 20200112316A KR 1020190032596 A KR1020190032596 A KR 1020190032596A KR 20190032596 A KR20190032596 A KR 20190032596A KR 20200112316 A KR20200112316 A KR 20200112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all
support
door frame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9003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316A/ko
Publication of KR2020011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의 세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문을 형성하도록 벽체 개구부의 가로벽 및 세로벽에 고정되는 문틀의 세로부분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에 있어서, 폭방향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삽입용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삽입용 결합돌기가 한쪽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연결지지대;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지지대가 각각 결합된 한쌍의 수직지지대의 한쪽 면을 벽체 개구부의 좌우 세로벽 부분에 각각 밀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의 결합은 측면삽입용 결합홈 안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라쳇톱니와, 측면삽입용 결합돌기 바깥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라쳇톱니와 맞물리는 역라쳇톱니에 의해 이루어져,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이 아닌 양측면으로 연결지지대를 각각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작업현장이 협소하여도 세로프레임을 얼마든지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틀의 세로프레임{Length frame of doorframe}
본 발명은 문틀의 세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를 결합하여 세로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형성된 라쳇톱니와 상기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삽입되는 연결지지대의 측면삽입용 결합돌기에 형성된 역라쳇톱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문틀의 세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문틀을 보면 도 9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에 고정되어, 문짝(20)을 지지하는 바, 도시된 것처럼, 크게 가로대(3)와 세로대(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세로대(5)를 보면 문틀(1)의 세로 부분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조립되어 문짝(20)을 설치할 건물의 좌우 벽체(10)에 각각 고정된다. 특히, 문틀(1)이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제작된 경우, 세로대(5)는 좌우 벽체(10)에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와 동일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된 측판체(11)와, 벽체(10)에의 고착성이 높은 합성수지재의 지지체(13)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세로대(5)의 측판체(11)와 지지체(13)의 결합은 서로 접하는 접촉면에 구비되는 상호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암수형 체결부(2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판체(11)에 형성된 ㅜ자형 수형 돌기(25)와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지지체(13)에 형성된 ㅗ자형 암형 홈(27)으로 구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짜맞춤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문틀(1)에 있어 암수형 체결부(26)에 의해 측판체(11)와 지지체(13)를 결합하려면, 상기 측판체(11)의 한쪽 끝단의 ㅜ자형 수형 돌기(25)에서부터 상기 지지체(13)의 한쪽 끝단의 ㅗ자형 암형 홈(27)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결합작업은 상당한 불편함이 뒤따른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측판체(11)와 지지체(13)를 한줄로 길게 늘어놓기 위한 공간확보가 작업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간확보가 되지 않는다면 별도의 넓은 공간에서 미리 결합한 후에 작업현장으로 이송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하여 측판체(11)와 지지체(13)를 결합하는 방식은 문틀(1)의 구성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문을 설치하기 위한 벽체 개구부의 세로벽 부분은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굴곡진 형태로 되어 있는데,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세로대의 한쪽 면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벽체와 세로대 사이의 틈새를 별도로 마감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의 세로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의 결합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상기 연결지지대에 형성된 측면삽입용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의 양측면과 각 연결지지대의 한쪽 면을 서로 각각 맞대어 결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세로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의 세로벽 부분과 밀착되면서 상기 벽체의 세로벽 부분의 울퉁불퉁한 굴곡면 형상을 따라 마감된 측면을 갖는 벽체마감재를 상기 연결지지대에 추가로 부착하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문틀의 세로프레임은, 건물의 문을 형성하도록 벽체 개구부의 가로벽 및 세로벽에 고정되는 문틀의 세로부분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에 있어서, 폭방향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삽입용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삽입용 결합돌기가 한쪽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연결지지대;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지지대가 각각 결합된 한쌍의 수직지지대의 한쪽 면을 벽체 개구부의 좌우 세로벽 부분에 각각 밀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의 결합은 측면삽입용 결합홈 안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라쳇톱니와, 측면삽입용 결합돌기 바깥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라쳇톱니와 맞물리는 역라쳇톱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수직지지대의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경금속 재질은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연결지지대의 다른 쪽 면에 각각 부착되면서 벽체 개구부의 세로부분에 밀착되는 한쪽 측면이 상기 벽체 개구부의 세로벽의 굴곡을 따라 마감되어 있는 벽체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틀의 세로프레임에 따르면,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이 아닌 양측면으로 연결지지대를 각각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작업현장이 협소하여도 세로프레임을 얼마든지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의 연결지지대에 부착되는 벽체마감재에 의해 벽체 개구부의 세로벽 부분이 울퉁불퉁하여도 세로프레임을 설치만 하면 빈틈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프레임이 적용되는 문틀의 사시도
도 2는 벽체 개구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프레임이 적용되는 문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종래 문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프레임이 적용되는 문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벽체 개구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세로프레임이 적용되는 문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이 설치되는 벽체 개구부(30)의 가로벽(30a) 및 세로벽(30b) 부분에 한쌍의 가로프레임(31)과 한쌍의 세로프레임(32)을 격자구조로 연결하여 문틀(1)을 완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세로프레임(32)은 수직지지대(32a)와 연결지지대(32b)를 서로 길이방향을 따라 맞붙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세로프레임(32)은 세로방향의 상기 연결지지대(32b)에 같은 세로방향의 벽체마감재(33a)가 부착되어 마감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문틀(1)의 세로프레임(32)에 관한 발명이지만 가로방향의 가로프레임(31)에도 같은 가로방향의 벽체마감재(33b)가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에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프레임(32)의 구조 및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32)은 수직지지대(32a)와 연결지지대(32b)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직지지대(32a)와 연결지지대(32b)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고 서로 어떻게 결합되는지 설명하도록 한다.
가로프레임(31)과 한쪽 면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상기 수직지지대(32a)는 직사각 박스형상으로 되어 폭방향의 양쪽 측면에 측면삽입용 결합홈(34)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측면삽입용 결합홈(34) 내의 양쪽 내벽의 길이방향 전체는 각각 라쳇톱니(35a)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라쳇톱니(35a)는 안쪽을 향해 걸림턱(36a)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한쪽의 톱니날이 비스듬히 길게 누워있는 형상으로 된 톱니이다. 이러한 수직지지대(32a)는 보통 설치의 용이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지지대(32b)는 긴 판 형상으로 되어 한쪽 면의 일측에 상기 수직지지대(32a)의 측면삽입용 결합홈(3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한쪽 면의 타측에는 가로프레임(3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38)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의 돌기 부분 양쪽 측벽 전체는 상기 라쳇톱니(35a)와 같은 형상으로 역라쳇톱니(35b)로 구성되고, 이러한 역라쳇톱니(35b)는 상기 라쳇톱니(35a)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바깥쪽을 향해 역걸림턱(36b)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한쪽의 톱니날이 비스듬히 길게 누워있는 형상으로 된 톱니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의 안쪽에는 직사각 형상의 비어있는 공간(39)을 연속적으로 나란히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다수개의 비어있는 공간(39)에 의해 연결지지대(32b)의 무게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지지대(32b)는 보통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면삽입용 결합홈(34)의 라쳇톱니(35a)와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의 역라쳇톱니(35b)는 같은 형상의 톱니이지만 서로 맞물린 후 결합의 반대방향으로는 절대로 분리되지 않도록 톱니날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톱니이다.
이러한 수직지지대(32a)의 양쪽 측면으로 연결지지대(32b)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붙여 연결하는데, 상기 수직지지대(32a)의 측면삽입용 결합홈(34)에 상기 연결지지대(32b)의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를 삽입하면서 밀착시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를 삽입하게 되면, 역라쳇톱니(35b)가 측면삽입용 결합홈(34)의 라쳇톱니(35a)의 길게 비스듬히 누워있는 톱니날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안쪽으로 들어가고, 다 들어간 이후에 라쳇톱니(35a)와 역라쳇톱니(35b)는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이렇게 라쳇톱니(35a)와 역라쳇톱니(35b)가 서로 맞물리면서 수직지지대(32a)와 연결지지대(32b)가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면, 상기 라쳇톱니(35a)의 걸림턱(36a)에 역라쳇톱니(35b)의 역걸림턱(36b)이 걸리면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상기 연결지지대(32b)는 수직지지대(32a)로부터 절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세로프레임은 상기 라쳇톱니(35a)와 역라쳇톱니(35b)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어 연결되는 수직지지대(32a)와 연결지지대(32b)로 세로프레임(32)을 구성한 후에, 문틀(1)이 설치되는 벽체 개구부(30)에 밀착되도록 하는 벽체마감재(33a)를 상기 연결지지대(32b)에 부착한 것이다.
즉 한쪽 면에 측면삽입용 결합돌기(37)가 형성된 상기 각 연결지지대(32b)의 다른 쪽 면에 벽체마감재(33a)를 부착하여, 한쪽 측면이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과 마주하여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지 않고 다소 울퉁불퉁하게 처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벽체마감재(33a)의 한쪽 측면도 상기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 형상에 따라 마감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의 다소 울퉁불퉁한 형상을 따라 마감되어 있는 벽체마감재(33a)의 한쪽 측면을 상기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에 밀착시키면 되면, 세로프레임(32)와 상기 벽체 개구부(30)의 세로벽(30b) 부분 사이에 빈틈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된다. 이러한 벽체마감재(33a)의 재질은 연결지지대(32b)에 수월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틀의 세로프레임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문틀 30 : 벽체 개구부
30a : 가로벽 30b : 세로벽
31 : 가로프레임 32 : 세로프레임
32a : 수직지지대 32b : 연결지지대
33a,33b : 벽체마감재 34 : 측면삽입용 결합홈
35a : 라쳇톱니 35b : 역라쳇톱니
36a : 걸림턱 36b : 역걸림턱
37 : 측면삽입용 결합돌기 38 : 연결홈
39 : 비어있는 공간

Claims (3)

  1. 건물의 문을 형성하도록 벽체 개구부의 가로벽 및 세로벽에 고정되는 문틀의 세로부분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에 있어서,
    폭방향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삽입용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측면삽입용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삽입용 결합돌기가 한쪽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연결지지대;
    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지지대가 각각 결합된 한쌍의 수직지지대의 한쪽 면을 벽체 개구부의 좌우 세로벽 부분에 각각 밀착시켜 고정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지지대의 결합은 측면삽입용 결합홈 안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라쳇톱니와, 측면삽입용 결합돌기 바깥쪽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라쳇톱니와 맞물리는 역라쳇톱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세로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세로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지지대의 다른 쪽 면에 각각 부착되면서 벽체 개구부의 세로부분에 밀착되는 한쪽 측면이 상기 벽체 개구부의 세로벽의 굴곡을 따라 마감되어 있는 벽체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세로프레임.
KR1020190032596A 2019-03-21 2019-03-21 문틀의 세로프레임 KR20200112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96A KR20200112316A (ko) 2019-03-21 2019-03-21 문틀의 세로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96A KR20200112316A (ko) 2019-03-21 2019-03-21 문틀의 세로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16A true KR20200112316A (ko) 2020-10-05

Family

ID=7280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96A KR20200112316A (ko) 2019-03-21 2019-03-21 문틀의 세로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3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2316A (ko) 문틀의 세로프레임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1995415B1 (ko) 개구 면적 최대화를 위한 비철거형 개보수용 창호 및 그 개보수 방법
KR20200114163A (ko) 문틀의 가로세로프레임
ITMI981495A1 (it) Elemento di connessione per un profilato composito e profilato composito comprendente detto elemento di connessione
KR102348257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JP3989305B2 (ja) グレーチング
JP3130624U (ja) パネルフェンス及びパネルフェンスを用いた構築物
KR102202734B1 (ko)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0416674Y1 (ko)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JPH0321434Y2 (ko)
JP5225315B2 (ja) コーナー連結具
KR200494228Y1 (ko) 원터치형태의 롤 블라인드 고정장치
CN217329495U (zh) 拼接线条灯防漏光卡扣式结构
KR101388093B1 (ko) 차양용 슬랫
KR200159119Y1 (ko) 조립식 창살
KR200145149Y1 (ko) 조립식 창살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IT202100013562A1 (it) Scatola elettrica da incasso.
KR101342263B1 (ko) 가구와 창호의 결합 구조체
KR19980087834A (ko) 버티칼용 가이드레일의 차단커버
WO2014068551A1 (en) Louvered structures with clipped slats
KR200151316Y1 (ko) 천정판
JPH08240084A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