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57B1 - 커튼 레일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튼 레일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57B1
KR102348257B1 KR1020190172322A KR20190172322A KR102348257B1 KR 102348257 B1 KR102348257 B1 KR 102348257B1 KR 1020190172322 A KR1020190172322 A KR 1020190172322A KR 20190172322 A KR20190172322 A KR 20190172322A KR 102348257 B1 KR102348257 B1 KR 10234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present
coupling
curtain
rai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996A (ko
Inventor
신광선
Original Assignee
신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선 filed Critical 신광선
Priority to KR102019017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2001/003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rods or rail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의 계단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부가 형성된 커버패널과, 상기 커버패널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다리의 계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 레일 커넥터 {Curtain rail connector}
본 발명은 커튼 레일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서리공간이나 병원 침대 칸막이, 탈의실과 같이 분리가 필요한 공간에 'ㄱ' 형태의 곡선 커튼 레일이 사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의 직선 커튼 레일을 시공자가 굽힘장치나 외력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커튼 레일을 길이방향으로 굽힘 형성하여 천장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설치장소의 방향에 따라 현장에서 굽힘 형성함으로써 레일을 굽히기 위한 별도의 굽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용이 높아 질뿐만 아니라 고정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설치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현장작업의 작업환경으로 인한 굽힘 작업의 불량률이 높아 시간적 금전적 손실이 상승하여 커튼 설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 후 커튼레일의 불량으로 인한 커튼의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81939호에 커튼 레일 커넥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로 구성된 중공 몸체와, 상기 중공몸체의 하단에 커튼 롤러가 지나가는 하단 개방부와, 상기 하단 개방부의 양측을 따라 하단 프레임부와, 중공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천정 또는 창호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커튼 레일이 하부레일의 제1돌출부의 넓이와 형태를 가진 내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커튼 레일 커넥터에 연결되게 되는 것으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1581939호(2015.12.24.) 등록 실용신안 제20-0449596호(2010.07.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브라켓이 분리 제작되어 제조가 용이한 커튼 레일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양단부에 커튼 레일의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 롤러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가 형성되는 양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튼 레일은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양단부에 커튼 레일의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 롤러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가 형성되는 양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튼 레일은 단부에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폭방향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단이 개방형성되되,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턱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통로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브라켓이 분리 제작되어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 및 커튼 레일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커튼 레일 커넥터 및 커튼 레일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튼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 및 커튼 레일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커튼 레일 커넥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커튼 레일 커넥터 및 커튼 레일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튼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10)와 브라켓(120)이 분리 구성되어 각각 제작되므로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양단부에 커튼 레일(10)의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12)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롤러(미도시)가 통과하는 통로(114)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114)가 형성되는 양단에는 결합돌기(1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100)는 커튼 레일(10)의 사이에 결합되어 커튼 레일(10)을 서로 연결하고 특히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너가 형성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커튼 롤러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는 플라스틱 등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상기 통로(114)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115)가 형성되어 롤러(미도시)의 바퀴가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20)은 폭방향 양단부에 플랜지(1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는 상단이 상기 브라켓(120)이 결합되도록 개방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122)가 안착되는 단턱(111)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브라켓(120)이 본체(110)의 상단에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튼 레일(10)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16)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100)와 커튼 레일(1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커튼 레일(10)은 상기 커튼 레일 커넥터(100)의 양 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112)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116)가 커튼 레일(10)의 결합공(12)에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20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210)는 양단부에 커튼 레일(20)의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212)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롤러(미도시)가 통과하는 통로(214)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14)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215)가 외측방향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홀(216)이 형성되고, 커튼 레일(20)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홀(216)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바(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24)는 상기 커튼 레일(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 레일(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2)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커튼 레일 커넥터(200)에 커튼 레일(20)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바(24)가 결합홀(216)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서로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튼 레일 커넥터(20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통로(214)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215)에 의해 롤러(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220)은 폭방향 양단부에 플랜지(2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10)의 상단이 개방형성되되, 상기 플랜지(222)가 안착되는 단턱(211)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레일 커넥터(100,20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10,20)과 결합돌기(116) 또는 결합바(24)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110,210)와 브라켓(120,220)이 분리 제작되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연결되는 커튼 레일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10,20: 커튼 레일 12: 결합공
22: 결합공 24: 결합바
100,200: 커튼 레일 커넥터 110,210: 본체
111,211: 단턱 112,212: 결합부
114,214: 통로 115,215: 돌출부
116: 결합돌기 120,220: 브라켓
122,222: 플랜지 216: 결합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양단부에 커튼 레일이 결합되는 커튼 레일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튼 레일은 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양단부에 커튼 레일의 내측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 롤러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가 외측방향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과 결합공에 양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어 커튼 레일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바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폭방향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단이 개방형성되되,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턱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레일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2322A 2019-12-20 2019-12-20 커튼 레일 커넥터 KR10234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22A KR102348257B1 (ko) 2019-12-20 2019-12-20 커튼 레일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22A KR102348257B1 (ko) 2019-12-20 2019-12-20 커튼 레일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96A KR20210079996A (ko) 2021-06-30
KR102348257B1 true KR102348257B1 (ko) 2022-01-10

Family

ID=7660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22A KR102348257B1 (ko) 2019-12-20 2019-12-20 커튼 레일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39B1 (ko) * 2014-07-18 2015-12-31 손명관 커튼 레일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96Y1 (ko) 2007-11-26 2010-07-22 조정달 천장 설치용 조립형 커튼 레일
EP2669196B1 (en) * 2012-05-31 2019-07-03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cabin curtain rail assembly kit, aircraft cabin curtain rail and aircraft with an aircraft cabin having a curtain supported on such an aircraft cabin curtain ra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39B1 (ko) * 2014-07-18 2015-12-31 손명관 커튼 레일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96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187B2 (en) Translucent ceiling or wall panel
US949394A (en) Coupling for members for building-frames, &c.
CN100447434C (zh) 结构连接装置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ITPD20000048U1 (it) Struttura di gabbia componibile.
KR101856654B1 (ko) 조립식 문짝의 결합구조
JPH0515857B2 (ko)
US20150041072A1 (en) Window curtain assembly
KR102348257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KR101581939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JP5601620B2 (ja) 予め組み立てられた吊り天井格子
KR200483988Y1 (ko) 베이비룸 연결판
KR102231258B1 (ko) 덕트용 댐퍼
KR20220074834A (ko)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JP2010106498A (ja) 建具
KR102148097B1 (ko) 수직 결합 구조를 갖는 창틀을 포함하는 방충창
JP4847217B2 (ja) 2段ベッド
JP6099512B2 (ja)
KR101828689B1 (ko) 공기 청정 장치
JP4652184B2 (ja) 溝形鋼等の部材同士の連結構造
KR102202734B1 (ko)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200112316A (ko) 문틀의 세로프레임
KR102445083B1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73885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US20240102340A1 (en) Screen guide frame structure and screen device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