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85B1 -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85B1
KR102273885B1 KR1020190158947A KR20190158947A KR102273885B1 KR 102273885 B1 KR102273885 B1 KR 102273885B1 KR 1020190158947 A KR1020190158947 A KR 1020190158947A KR 20190158947 A KR20190158947 A KR 20190158947A KR 102273885 B1 KR102273885 B1 KR 10227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rubber member
fine dust
variab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303A (ko
Inventor
이한우
구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Priority to KR102019015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부재(160a); 및 요철(161); 을 포함하되,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헤파 필터부(130) 삽입을 위한 양측 수직 격벽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에 의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며, 수평 부재(160a) 중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에 해당하는 요철(161)에 의해 자신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헤파 필터부(1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단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각 프레임 간의 단차를 없게 함으로써, 필터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러버부재가 체결된 프레임 내부에서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등에도 러버부재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필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Window frame type hybrid rubber member for fine dust protection, window frame for fine dust pro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window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단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각 프레임 간의 단차를 없게 함으로써, 필터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러버부재가 체결된 프레임 내부에서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등에도 러버부재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필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과의 마찰을 통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헤파 필버부(130)와의 마찰력을 최대한 분산하여 수용함으로써, 요철(161)을 활용하여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와 헤파 필터부(130)간의 마찰 이후의 그립(grip)이 최적화될 수 있다.
부착시 마찰이
2) 러버부재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 R 및 요철에 의해 더더욱 필터를 끼울때 마찰을 최소화하는 효과
개선안의 주요 특징입니다.
1. 가변구간 내측 러버 채용
- 러버의 형상을 다양하게 한정해서 작성 부탁합니다.
- ppt파일에 설명을 넣었습니다
- 파트도면에 잘 나와 있습니다.
2. 슬라이딩시 이너캡 롤러 적용건
- 업체 요청 사항인데 제가 잘모르겠어요
- 보시고 특이사항이 없으면 일단 배제하시고
나중에 추가 요청이 들어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청구범위는 내측 러버 부재를 별도의 독립항으로 빼서 4항정도로 하고,
러버 +프레임을 1~2항
러버 +프레임+필터 2~3항 정도로 부탁드립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창문을 통해서 실내 공간으로 다량 유입되고, 유입된 미세먼지는 실내 공간에서 별도의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베란다 창과 같은 표면적이 넓은 창문의 외측으로 미세먼지 필터 등과 같은 포집망을 설치하고 하여 실내로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한 번의 시공된 상태의 미세먼지 필터를 다시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미세먼지가 없는 날에도 실내의 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미세먼지 필터를 이용한 경우 베란다 창과 같은 비교적 큰 면적에 설치시 주문 제작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치되는 장소의 높이와 폭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된 미세먼지 차단 기능용 필터부에 대한 제거와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내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다른 길이로 삽입되는 필터에 대한 체결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69179호 "반자동 먼지제거 창틀(Dust removed a semiautomatic window frame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각 프레임 간의 단차를 없게 함으로써, 필터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부재가 체결된 프레임 내부에서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등에도 러버부재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필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는, 수평 부재(160a); 및 요철(161); 을 포함하되,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헤파 필터부(130) 삽입을 위한 양측 수직 격벽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에 의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며, 수평 부재(160a) 중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에 해당하는 요철(161)에 의해 자신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헤파 필터부(1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수평 부재(160a)의 양끝단에 상부 끝단이 5 내지 15°사이에서 수평 부재(160a)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벌어진 수직 부재(160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철(161)의 개수는 2개 내지 6개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철(161)은,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수평 부재(160a)가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 중 중앙에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기 위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및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 양단으로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간의 내부 단차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헤파 필터부(130) 삽입을 위한 양측 수직 격벽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에 의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은,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기 위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다단 접이식 필터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전체 프레임의 내부의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부 프레임(110)을 위한 것(130a)과, 하부 프레임(120)을 위한 것, 그리고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위한 것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내측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다단 접이식 필터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다단 접이식 필터를 상하 양방향으로 접거나 펼침으로써, 펼쳐지면 큰 면적을 커버하고 접어지면 작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파 필터부(130); 및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 양단으로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간의 내부 단차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의 조립전에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가 조립되는 공간의 외측의 양방향 돌출 영역에 먼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은, 다단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설치하여 각 프레임 간의 단차를 없게 함으로써, 필터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은, 러버부재가 체결된 프레임 내부에서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경우 등에도 러버부재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필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이 베란다 창틀(1)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부착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과 하부 프레임(120)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체결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상부 프레임(11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서 실제로 제작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이 베란다 창틀(1)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부착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과 하부 프레임(120)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착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체결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 이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상부 프레임(11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 중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서 실제로 제작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헤파 필터부(130), 고정 모듈(140) 그리고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를 구비함으로써, 베란다 새시(1) 중 하단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베란다 창(2)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방 영역에 부착되어 미세먼지를 거르면서 베란다 창(2)을 중심으로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는 대형 필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중심으로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10)은 도 7 과 같이 수평 프레임(110a)과 수직 프레임(110b)으로 구분되며, 수평 프레임(110a)과 수직 프레임(110b)이 만나는 영역에는 모서리 체결단(100c)이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110a)과 수직 프레임(110b) 모두 전면에 해당하는 제 1 패널(111)과 후면에 해당하는 제 2 패널(112)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제 1 패널(111)과 제 2 패널(112)을 중앙에서 양측을 고정하는 체결형 지주(113)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된 체결홈으로 각각 제 1 패널(111)과 제 2 패널(112)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각각은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과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고정 모듈(140)이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헤파 필터부(130)는 다단 접이식 필터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전체 프레임의 내부의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부 프레임(110)을 위한 것(130a)과, 하부 프레임(120)을 위한 것, 그리고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위한 것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내측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다단 접이식 필터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다단 접이식 필터를 상하 양방향으로 접거나 펼침으로써, 펼쳐지면 큰 면적을 커버하고 접어지면 작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2와 같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은 베란다 창(2)의 측부에 해당하는 베란다 새시(1)의 내측으로 탈착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이 순차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베란다 창틀(1) 내부에 베란다 창(2)이 개방된 영역에 삽입한 뒤,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고정 모듈(140)을 이용해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상부 프레임(110), 하측으로 하부 프레임(120)을 탁탁 소리가 나도록 조립을 하되,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110b)의 내측으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수직 프레임이 탁탁 소리가 나도록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110)의 하단부, 하부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모듈(140)은 수직 프레임(110b) 보다 큰 테두리 면을 갖는 수직 체결단(140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전체 프레임을 아래부터 베란다 새시(1)에 끼워넣는 뒤, 이웃하는 위치에 베란다 창(2)을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 창호와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볼트(140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임으로써, 상부 프레임(110)과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간의 전체 길이 및/또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과 하부 프레임(120) 간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고정시킴으로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프레임 가변구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프레임 가변구간으로 길이가 조절된 전체 프레임을 베란다 새시(1)로부터 분리시킨 뒤, 도 8과 같이 프레임 가변구간에 해당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를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수직 프레임의 내측으로 도 5와 같이 조립할 수 있으며, 추가로 도 8과 같이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를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의 조립전에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가 조립되는 공간의 외측의 양방향 돌출 영역으로 먼저 조립함으로써,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와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사이에 위치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헤파 필터부(130)와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사이 공간으로 침투하는 미세먼지를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의 두께 조절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후, 가변길이 구간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 외에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를 순서에 맞게 각 프레임 내측으로 넣을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으로 조립된 전체 프레임 중 상부 프레임(110)의 상부 수평 프레임(110a)을 탈거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20)용,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용, 상부 프레임(110)용에 맞게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를 삽입한 뒤, 수평 프레임(110a)을 재조립하는 방식으로 각 필터부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을 다시 분리한 뒤, 각 프레임에 맞게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를 넣은 뒤 다시 각 프레임을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재단된 헤파 필터부(130)의 길이 정보를 활용해 재조립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3개의 헤파 필터부(130)를 하부 프레임(120), 가변길이 구간인 필터용 프레임(130), 상부 프레임(110)에 투입한 뒤, 다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상부 프레임(110), 하측으로 하부 프레임(120)을 탁탁 소리가 나도록 재조립을 할 수 있다.
이후, 전체 프레임의 상/하를 순차적으로 베란다 새시(1)의 위쪽부터 아래쪽 순으로 설치를 수행함으로써,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창호와 닿는 수직 프레임 영역에는 추가적인 러버인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형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이 연결된 전체 프레임의 측 단부 중 베란다 창(2)과 맞닿는 단부홈으로는 탄성 재질의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를 도 9와 같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베란다 새시(1) 내부에서 맞닿는 베란다 창(2)의 측부 홈과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는 베란다 새시(1) 내부의 베란다 창(2)과의 연결부위에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는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의 단부홈을 막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패킹 몸체(181), 패킹 몸체(181) 중 단부홈으로 삽입되기 위한 제 1 테두리 길이를 갖는 돌기단에 해당하는 내측 삽입단(182), 패킹 몸체(181)를 기준으로 내측 삽입단(182)과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베란다 창(2)의 측부 홈으로 삽입되기 위한 제 2 테두리 길이를 갖는 돌기단에 해당하는 외측 삽입단(1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삽입단(182)의 돌기의 길이 및 제 1 테두리 길이 각각은 외측 삽입단(183)의 돌기의 길이 및 제 2 테두리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됨으로써, 내측 삽입단(182)이 단부홈(110a)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손방지형 러버부재(180)의 삽입대상이 되는 베란다 창(2)의 측부 홈의 외측 삽입단(183)으로의 유도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상에서 상부 프레임(110)의 양측 수직 프레임과 만나는 영역에 해당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양측 수직 프레임의 상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상에서 하부 프레임(120)의 양측 수직 프레임과 만나는 영역에 해당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하단에는 수직 체결단(140b) 및 프레임 고정나사(140c)가 각 수직 프레임별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고정나사(140c)는 베란다 창(2)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직 체결단(140b)은 상부 프레임(110)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 끝단과,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의 상부 끝단을 내부로 넣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 끝단을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의 끝단을 감싸면서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의 형상과 1 : 1 비율로 매칭되는 홈 형상의 테두리면을 감싸는 캡(cap) 형상으로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체결단(140b)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의 수직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의 중앙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이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삽입홈으로 삽입하여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프레임 고정나사(140c)가 수직 체결단(140b) 중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형성된 수직 체결단(140b) 중 실외를 향하는 방향에는 와이어 형태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양 수직 프레임의 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형 프레임 지지부(140a)이 상하 끝단부에 두 개가 형성됨으로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내측에 부착된 헤파 필터부(130)에 활용한 실내와 실외의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헤파 필터부(130)가 실외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형 프레임 지지부(140a)는 수직 체결단(140b)에 별도로 형성됨 수용홈에 "ㄱ자" 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한편, 수평형 프레임 지지부(140a)는 상술한 방식의 1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헤파 필터부(130)의 다단 접이식 필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형 절곡단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프레임(110)의 끝단에서 다단 절이식 필터에 대한 받침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10과 같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설치하여,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삽입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과의 내측 단차를 없게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 내부로 삽입되는 각 헤파 필터부(130) 간의 단차를 없애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를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삽입한 경우, 도 5에서 도 6로 상태로 변환된 상태에 해당하는 도 10에서와 같이 실제의 제작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과의 마찰을 통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요철(161)에 의해 상부 끝단이 5 내지 15°사이에서 대칭되게 벌어진 "ㄷ자" 형태의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헤파 필터부(1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과 같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a과 요철(161)의 개수가 4개로 도 5에서의 6개와 다르고 크기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 및 도 11c와 같이 요철(161)의 개수가 2개 또는 4개가 형성되며,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수평 부재(160a)가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 중 중앙에 집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삽입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과의 내측 단차를 없게 하면서도, 필요한 최소의 요철(161)을 활용하여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와 헤파 필터부(130)간의 마찰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d와 같이 요철(161)의 개수가 3개가 형성되되, 수평 부재(160a)의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삽입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과의 내측 단차를 없게 하면서도, 헤파 필버부(130)와의 마찰력을 최대한 분산하여 수용함으로써, 요철(161)을 활용하여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와 헤파 필터부(130)간의 마찰 이후의 부착력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1e와 같이 요철(161)의 개수가 2개 양끝단에 형성되되, 끝단이 직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삽입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과의 내측 단차를 없게 하면서도,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를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삽입한 경우, 도 5에서 도 6 상태로 변환된 상태에 해당하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내부 양측 수직 격벽에 의해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가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곡률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요철(161)을 활용하여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와 헤파 필터부(130)간의 마찰 이후의 접촉면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헤파 필터부
140 : 고정 모듈
150 : 가변 필터용 프레임
160 :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170 :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
180 : 파손방지형 러버부재

Claims (8)

  1. 수평 부재(160a); 및 요철(161); 을 포함하되,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헤파 필터부(130) 삽입을 위한 양측 수직 격벽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에 의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며, 수평 부재(160a) 중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에 해당하는 요철(161)에 의해 자신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헤파 필터부(1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 부재(160a)의 양끝단에 상부 끝단이 5 내지 15°사이에서 수평 부재(160a)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벌어진 수직 부재(160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요철(161)의 개수는 2개 내지 6개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요철(161)은,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의 수평 부재(160a)가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방향 중 중앙에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5.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기 위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및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 양단으로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간의 내부 단차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는,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헤파 필터부(130) 삽입을 위한 양측 수직 격벽인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수직 프레임의 양측 삽입단에 의해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에 의해 헤파 필터부(130)와 맞닿는 반대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7.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기 위한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다단 접이식 필터로 상부 프레임(110),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하부 프레임(12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된 전체 프레임의 내부의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부 프레임(110)을 위한 것(130a)과, 하부 프레임(120)을 위한 것, 그리고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을 위한 것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내측 고정홈으로 양측단이 걸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다단 접이식 필터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다단 접이식 필터를 상하 양방향으로 접거나 펼침으로써, 펼쳐지면 큰 면적을 커버하고 접어지면 작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헤파 필터부(130); 및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의 내측 양단으로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 간의 내부 단차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의 조립전에 가변 필터용 프레임(150) 중 창틀용 하이브리브 러버부재(160)가 조립되는 공간의 외측의 양방향 돌출 영역에 먼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보조 러버부재(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KR1020190158947A 2019-12-03 2019-12-03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KR10227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47A KR102273885B1 (ko) 2019-12-03 2019-12-03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47A KR102273885B1 (ko) 2019-12-03 2019-12-03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03A KR20210069303A (ko) 2021-06-11
KR102273885B1 true KR102273885B1 (ko) 2021-07-06

Family

ID=7637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47A KR102273885B1 (ko) 2019-12-03 2019-12-03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70Y2 (ja) * 1978-10-17 1985-05-28 盟和産業株式会社 昇降式ガラス窓用グラスラン
JP3166824U (ja) * 2011-01-11 2011-03-24 佐久間 みゆき ルーバー付障子
KR20180135359A (ko) * 2017-06-12 2018-12-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필터링용 윈도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682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03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9482B2 (en) Cabinet frame enclosures, frame memb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KR102273885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CA1209770A (en) Openwork screen assembly
KR102117529B1 (ko) 유리창 고정구조
JP6611879B2 (ja) ユニットハウスの壁面構造
KR20110101431A (ko) 실내시공이 용이한 방충망 구조
CN109882478A (zh) 一种拼接结构
KR100888449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20220140949A (ko) 파티션 받침대
KR200279187Y1 (ko) 새시 프레임 연결구조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20210075682A (ko)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1566931B1 (ko) 커튼월 공틀일체형 구조
KR20200110999A (ko) 건식벽체용 고 차음 스터드
KR20190036220A (ko) 덧창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KR20210121489A (ko) 복합 도어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1303762B1 (ko) 열교방지 구조보강 창호
KR102483847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US20220196051A1 (en) Assembly structure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JP3225209U (ja) 組み立て式遮蔽構造物
JPS6031572Y2 (ja) シヤツタ−シ−トの吊下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