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49B1 - 조립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449B1
KR100888449B1 KR1020070074326A KR20070074326A KR100888449B1 KR 100888449 B1 KR100888449 B1 KR 100888449B1 KR 1020070074326 A KR1020070074326 A KR 1020070074326A KR 20070074326 A KR20070074326 A KR 20070074326A KR 100888449 B1 KR100888449 B1 KR 10088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ortion
base
cov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081A (ko
Inventor
허찬
Original Assignee
(주)비앤씨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씨판넬 filed Critical (주)비앤씨판넬
Priority to KR102007007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2Elastic connections, e.g. inflate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실내 공간의 영역 구획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칸막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식 칸막이는, 벽체부와, 그 벽체부의 단부에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연결부 및, 연결부들끼리 맞댄 상태로 클램핑하여 벽체부들 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조인트클립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조립식 칸막이를 사용하면, 조인트클립으로 연결부 간의 틈새를 거의 없앨 수 있으므로, 방음과 차광성이 뛰어난 벽체를 만들 수 있다.
칸막이, 파티션, 조립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A partition}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중 완충수단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벽체부 120...연결부
130...조인트클립 140...베이스부
150...완충수단 161,162...커버
170...베이스클립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영역 구획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칸막이 간 연결부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사무실과 같이 여러 명이 공간을 나눠서 사용해야 하는 곳에서는, 조립식 칸막이로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영역을 나눠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이러한 영역 구획용 조립식 칸막이로서 종래에 사용되던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도면과 같이 측면에 상호 형합되는 돌기(11)와 홈(12)이 마련된 복수의 칸막이(10)를 준비해서, 각각의 돌기(11)와 홈(12)이 결합되며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준비된 칸막이(10)를 옆으로 나란히 세워서 상기 돌기(11)와 홈(12)이 결합되도록 연결하면, 공간을 둘로 가르는 벽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조립식 칸막이(10)는 상기와 같이 돌기(11)와 홈(12)이 서로 부드럽게 살짝 맞춰지면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연결부에서의 기밀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즉, 돌기(11)와 홈(12)이 부드럽게 맞춰져야 하기 때문에 약간의 틈새가 생길 수 밖에 없고, 그러다보니 영역 간의 방음이나 차광을 보장하기 위한 기밀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칸막이로 구획된 영역 간에 서로 프라이버시 침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연결부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칸막이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서로 이웃하는 벽체부들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들끼리 맞댄 상태로 탄력적인 조임력으로 상기 벽체부들 간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클램핑되는 다수의 조인트클립과, 상기 벽체부 하방에 위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벽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수단과, 상기 벽체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공간을 가려주는 커버와, 상기 벽체부 하단에 체결되는 ㄷ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커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곡선형태의 날개부로 구성된 베이스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완충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벽체부에 양단이 체결된 조정볼트와, 그 베이스부와 벽체부 사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조정볼트를 돌리면 상기 완충스프링이 압축이나 이완되면서 전체 높이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클립이 설치된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도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칸막이의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단위 벽체는, 중앙에 마련된 벽체부(110)와, 그 양단에 마련된 연결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상기 벽체부(110)는 전면이 다 막힌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측에 창(111)이 달린 형태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를 롤 포밍(roll forming)하여 제조한 것으로, 단부는 인접한 다른 연결부와 함께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벤딩(bending)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벽체들을 옆으로 나란히 배치한 후 도면과 같이 상기 연결부(120)끼리 맞댄 상태에서 조인트클립(130)으로 클램핑하면, 조인트클립(130)의 탄력적인 조임력에 의해 연결부(120)들이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밀착되고, 따라서 그 틈새가 사실상 없어지게 된다. 여기서는 조인트클립(130)을 두 개씩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기밀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으로 클램핑되는 여러 개를 더 끼울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단위 벽체를 연결하면서 그 틈새가 거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방음이나 차광 효과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140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50은 상기 벽체부(110)를 베이스부(140)에 대해 탄력적으로 유동되게 지지하며 필요 시에는 높이도 조정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나타낸다. 즉, 완충수단(150)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에 양단이 체결되는 조정볼트(151)와, 그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스프링(152) 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정볼트(151)를 돌리면 완충스프링(152)이 압축되거나 늘어나면서 양측간 간격이 변하게 되어 전체 높이가 조정되고,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152)이 그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한, 칸막이의 기밀성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상기 완충수단(150)이 설치되는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 및, 상기 조인트클립(130)이 설치되는 연결부(120)들 사이에 커버(161)(16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개방이 되어 있으므로 커버(161)를 설치해서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들 사이도 상기 조인트클립(130)에 의해 틈새가 거의 없어지다시피 했지만, 거기에 커버(162)를 더 설치하면 방음과 차광 등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참조부호 170는 벽체부(110)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클립을 나타내며, 상기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161)가 이 베이스클립(170)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부(110) 하단의 벽체부(110) 전면과 후면 사이에 끼워지는 'ㄷ'자 형상의 몸체부(170a)와, 이 몸체부(170a)의 양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곡선형태로 대략 'U'자 형상의 탄력편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날개부(170b)로 구성되어, 커버(161)가 벽체부(110) 하단면과 날개부(170b) 상단면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칸막이의 기밀성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상기 완충수단(150)이 설치되는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 및, 상기 조인트클립(130)이 설치되는 연결부(120)들 사이에 커버(161)(16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개방이 되어 있으므로 커버(161)를 설치해서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들 사이도 상기 조인트클립(130)에 의해 틈새가 거의 없어지다시피 했지만, 거기에 커버(162)를 더 설치하면 방음과 차광 등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참조부호 170는 벽체부(110)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클립을 나타내며, 상기 벽체부(110)와 베이스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161)가 이 베이스클립(170)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상기한 조립식 칸막이의 설치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우선, 상기와 같이 벽체부(110)와 연결부(120)가 마련된 단위 벽체들을 준비해서 연결부(120)들끼리 맞닿게 배치한다. 그리고는 상기 조인트클립(130)으로 인접한 연결부(120)들을 같이 클램핑하여 틈새를 그 조인트클립(130)의 탄력적인 조임력으로 완전히 밀봉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40)와 상기 벽체부(110) 사이에 완충수단(150)을 설치한 후, 상기 커버(161)(162)를 각각의 위치에 설치한다. 이런 식으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조립식 칸막이를 조립해나가면, 틈새가 거의 없는 매우 우수한 기밀성의 벽체가 완성된다.
물론, 이 조립과정은 한 예를 설명한 것이고, 단위 벽체에 베이스부(140)와 완충수단(150)을 먼저 설치한 후에, 그 베이스부(140)까지 설치된 단위 벽체들끼리를 조인트클립(130)으로 연결하는 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조립순서는 사용 환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다만 조인트클립(130)과 커버(161)(162)를 이용하여 연결부 간의 틈새를 막으면, 방음과 차광능이 향상된 벽체가 만들어지는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도면에 보이는 벽체의 한쪽 면을 대상으로 설명하였는데, 도면에 안 보이는 반대쪽 면도 이와 대칭되는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조인트클립과 커버를 이용하여 연결부 간의 틈새를 거의 없앨 수 있으므로, 방음과 차광성이 뛰어난 벽체를 만들 수 있다.
둘째, 공장에서 벽체를 원하는 크기로 먼저 조립하여 만든 다음에 현장에 적용할 수가 있어서,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서로 이웃하는 벽체부들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들끼리 맞댄 상태로 탄력적인 조임력으로 상기 벽체부들 간의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클램핑되는 다수의 조인트클립;
    상기 벽체부 하방에 위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벽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수단;
    상기 벽체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공간을 가려주는 커버; 및
    상기 벽체부 하단에 체결되는 "ㄷ"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커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곡선형태의 날개부로 구성된 베이스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칸막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벽체부에 양단이 체결된 조정볼트와, 그 베이스부와 벽체부 사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조정볼트를 돌리면 상기 완충스프링이 압축이나 이완되면서 전체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
  4. 삭제
  5. 삭제
KR1020070074326A 2007-07-25 2007-07-25 조립식 칸막이 KR10088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26A KR100888449B1 (ko) 2007-07-25 2007-07-25 조립식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26A KR100888449B1 (ko) 2007-07-25 2007-07-25 조립식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081A KR20090011081A (ko) 2009-02-02
KR100888449B1 true KR100888449B1 (ko) 2009-03-11

Family

ID=4068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326A KR100888449B1 (ko) 2007-07-25 2007-07-25 조립식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9B1 (ko) 2013-05-02 2013-08-06 은종선 가림막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KR101442693B1 (ko) * 2013-06-07 2014-11-03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 벽체의 내진 시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332U (ko) * 1998-02-13 1998-04-30 박국주 착탈이 용이한 칸막이용 하단지지대와 양측커버의 결합구조
KR20060122189A (ko) * 2005-05-25 2006-11-30 (주)비앤씨판넬 조립식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332U (ko) * 1998-02-13 1998-04-30 박국주 착탈이 용이한 칸막이용 하단지지대와 양측커버의 결합구조
KR20060122189A (ko) * 2005-05-25 2006-11-30 (주)비앤씨판넬 조립식 칸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9B1 (ko) 2013-05-02 2013-08-06 은종선 가림막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KR101442693B1 (ko) * 2013-06-07 2014-11-03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 벽체의 내진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081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29B1 (ko) 내진 창호 새시의 코너피스
KR101729645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
US4614069A (en) Prefabricated curtain wall assembly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20190003006U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732474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117529B1 (ko) 유리창 고정구조
KR100888449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2100643B1 (ko) 소음 방지형 커튼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099373B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1833232B1 (ko) 단열성능을 확보한 노출 및 비노출 타입 자재 겸용 커튼월 어셈블리
KR101917584B1 (ko) 난간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288043B1 (ko) 비노출형 커튼월 시스템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2027380B1 (ko) 다용도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JP7011517B2 (ja) 長尺部材固定構造
KR102273885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창틀용 하이브리드 러버부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틀 및 창틀 제작 방법 및 창틀 제작 방법
KR960023549A (ko) 커튼 월(Curtain Wall)의 유니트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