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294A -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294A
KR20200112294A KR1020190032560A KR20190032560A KR20200112294A KR 20200112294 A KR20200112294 A KR 20200112294A KR 1020190032560 A KR1020190032560 A KR 1020190032560A KR 20190032560 A KR20190032560 A KR 20190032560A KR 20200112294 A KR20200112294 A KR 20200112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tance
light source
lens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지온옵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온옵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온옵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294A/ko
Publication of KR2020011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되어, 특정 시점에 레이저 광원을 노면으로 조사함으로써, 특정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경고 안내와 같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변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이목을 집중시켜 주변 차량 운전자가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DEVICES AND METHODS THAT CHANGE THE SAFETY ALERT INDICATION BASED ON DISTANCE}
본 발명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특정 시점에 레이저 광원을 노면으로 조사함으로써, 특정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도로교통법에서는 차량 고장이나 접촉사고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경우 2차 사고로 인한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하여 도로상에 안전 삼각대의 설치가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 삼각대는 발광 반사판을 포함하는 조립 형태로 구성되며, 설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차량 운전자가 후방 150m 내지 200m 거리를 이동하여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설치 과정에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질주하는 차량에 의한 위험상황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삼각대는 발광 반사판을 사용함에 따라 능동적으로 위험 상황을 표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운전자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기상조건에서는 인식률이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사용 하면서 보행하는 초등학생과 일반 보행자가 증가하면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인지하지 못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스몸비라는 신조어까지 생성되었으며, 스마트폰 화면에 눈길을 빼앗긴 탓에 차량에 치이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자 서울시와 경찰청이 2016년 6월 시민이 많이 오가는 시청, 연세대, 홍익대, 강남역, 잠실역 길바닥에 걸어가며 스마트폰을 보면 위험하다는 내용을 담은 교통안전표지를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은 단순하게 교통안전표지를 설치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제 얼마만큼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 모르는 상황이며, 보다 효과적인 대응책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145호(2018.06.20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여부 및 차량 주위에 차량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경고 표시와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경고 안내와 같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변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이목을 집중시켜 주변 차량 운전자가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흐리거나 안개 발생과 같은 특이 사항 발생 시 주의하시오 등과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주변 차량 운전자가 보다 주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차간 거리를 고려하여 차간 거리에 따라 별개의 광원 및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여부 및 차량 주위에 차량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경고 표시와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경고 안내와 같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변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이목을 집중시켜 주변 차량 운전자가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흐리거나 안개 발생과 같은 특이 사항 발생 시 주의하시오 등과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주변 차량 운전자가 보다 주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차간 거리를 고려하여 차간 거리에 따라 별개의 광원 및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차량 감지부, 레이저를 투사하는 레이저 투사부, 상기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간 거리를 계산하는 차간 거리 계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투사부는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투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 모듈,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렌즈 선택 모듈, 제1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제1거리 렌즈 모듈 및 제2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제2거리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은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은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은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은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정보 수신부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저장부가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단계, 차간 거리 계산부가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간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레이저 투사부가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투사부가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는 광원 모듈이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하는 단계, 집광 렌즈 모듈이 상기 광원 모듈이 투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집광하는 단계 및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이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이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여부 및 차량 주위에 차량 존재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경고 표시와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경고 안내와 같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변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이목을 집중시켜 주변 차량 운전자가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흐리거나 안개 발생과 같은 특이 사항 발생 시 주의하시오 등과 같은 내용을 노면에 레이저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주변 차량 운전자가 보다 주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차간 거리를 고려하여 차간 거리에 따라 별개의 광원 및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저 투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후진 시에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방향 지시등을 켰을때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비상등을 켰을때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저 투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는 차량정보 수신부(110), 차량 감지부(120), 레이저 투사부(130), 저장부(140), 센서부(150) 및 차간 거리 계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투사부(130)는 광원 모듈(131), 집광 렌즈 모듈(132), 렌즈 선택 모듈(133), 제1거리 렌즈 모듈(134) 및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 수신부(11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비상등 동작 신호, 차량 속도 등의 차량 안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감지부(12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투사부(130)는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 모듈(131)은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고, 집광 렌즈 모듈(132)은 광원 모듈(131)이 투사한 레이저 광원을 집광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 및 제2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원은 R(RED)채널, G(GREEN)채널 및 B(BLUE)채널로 이루어진 광원일 수 있고, 제2광원은 R(RED)채널, R(RED)채널 및 R(RED)채널로 이루어진 광원일 수 있다. 즉, 제2광원은 3개의 R(RED)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 및 제2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1거리에 대응하여 레이저 광원을 조사할 수 있고,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은 제2거리에 대응하여 레이저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거리는 제2거리 미만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명세서 상에 기재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차간 거리 계산부(16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및 해당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감지부(12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감지부(12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감지부(12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2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은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 감지부(12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2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은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5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변 환경의 조도, 습도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5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변 환경의 조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차량 주변 환경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2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주변 환경에 발생한 이상 상황은 안개 발생, 우천 발생, 흐림 등 다양한 경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제1광원 및 제2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는 것은, 제1광원은 R채널, G채널 및 B채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2광원은 3개의 R채널을 이용하여 보다 밝고 가시성이 좋으며 멀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제1광원 및 제2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상황에 최적화된 경고 표시를 노면에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후진 시에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후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 (b) 및 (c)를 참고할 경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경고 표시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고 표시를 통해 보행자가 보다 쉽게 차량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방향 지시등을 켰을때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방향 지시등 동작 신호를 수신한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1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은 제1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방향 지시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스마트폰을 집중하고 있는 경우에도, 노면에 조사된 방향 지시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접근 및 차량의 운행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비상등을 켰을때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가 노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한 경우, 렌즈 선택 모듈(133)은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선택할 수 있고, 광원 모듈(131)은 제2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으며, 집광 렌즈 모듈(132) 또한,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투사할 수 있으며,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은 제2광원을 통해 생성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 또는 멈춤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등의 경우에는 제2광원을 이용함으로써, 가시성이 좋게 멀리 경고 표시 또는 멈춤 표시를 디스플레이하여 2차 사고 등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차량정보 수신부(11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30)
또한, 차량정보 수신부(11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감지부(12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S631)
또한, 저장부(140)는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S632)
여기서, 저장부(140)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투사부(130)는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다.(S633)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 모듈(131)이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할 수 있고, 집광 렌즈 모듈(132)이 광원 모듈(131)이 투사한 레이저 광원을 집광할 수 있으며, 렌즈 선택 모듈(133)이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S730)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S73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차량정보 수신부(11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의 비상등 동작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S73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감지부(120)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S731) 차량 감지부(120)가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한 경우, S73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S733)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라면, S733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라면 S73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라면, 렌즈 선택 모듈(133)이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134)로 선택할 수 있다.(S733)
또한, 제1거리 렌즈 모듈(134)이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S734)
그리고 차간 거리 계산부(160)의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라면, 렌즈 선택 모듈(133)이 집광 렌즈 모듈(132)이 조사한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135)로 선택할 수 있다.(S735)
또한, 제2거리 렌즈 모듈(135)이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할 수 있다.(S73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110: 차량정보 수신부
120: 차량 감지부 130: 레이저 투사부
131: 광원 모듈 132: 집광 렌즈 모듈
133: 렌즈 선택 모듈 134: 제1거리 렌즈 모듈
135: 제2거리 렌즈 모듈 140: 저장부
150: 센서부 160: 차간 거리 계산부

Claims (8)

  1.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차량 감지부;
    레이저를 투사하는 레이저 투사부;
    상기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및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간 거리를 계산하는 차간 거리 계산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투사부는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투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 모듈;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렌즈 선택 모듈;
    제1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제1거리 렌즈 모듈;및
    제2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제2거리 렌즈 모듈;
    을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은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은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은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은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5. 차량정보 수신부가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의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저장부가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려는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단계;
    차간 거리 계산부가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간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및
    레이저 투사부가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투사부가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는
    광원 모듈이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여 투사하는 단계;
    집광 렌즈 모듈이 상기 광원 모듈이 투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집광하는 단계;및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은
    현재 상기 차량의 속도, 경고 표시 및 화살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1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제1거리 렌즈 모듈이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였으며, 상기 차간 거리 계산부의 상기 차간 거리 계산 결과, 상기 차간 거리가 제1거리 초과인 경우,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선택 모듈이 상기 집광 렌즈 모듈이 조사한 상기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킬 렌즈를 제2거리 렌즈 모듈로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제2거리 렌즈 모듈이 상기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노면으로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방법.
KR1020190032560A 2019-03-21 2019-03-21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00112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0A KR20200112294A (ko) 2019-03-21 2019-03-21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0A KR20200112294A (ko) 2019-03-21 2019-03-21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94A true KR20200112294A (ko) 2020-10-05

Family

ID=7280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60A KR20200112294A (ko) 2019-03-21 2019-03-21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2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93A (ko) *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긴급 경로 생성 시스템
KR102595829B1 (ko) * 2023-03-28 2023-10-27 황호석 차량용 가상 안전표지판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145A (ko) 2016-12-12 2018-06-20 양예슬 차량 충돌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145A (ko) 2016-12-12 2018-06-20 양예슬 차량 충돌 예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93A (ko) *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긴급 경로 생성 시스템
KR102595829B1 (ko) * 2023-03-28 2023-10-27 황호석 차량용 가상 안전표지판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309B1 (ko) 차량용 램프
US107173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trajectory path of an autonomous vehicle onto a road surface
JP6465317B2 (ja) 画像表示装置
JP6250180B2 (ja) 車両用照射制御システムおよび画像照射の制御方法
US10325488B2 (en) Image display device
EP36169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outside of vehicle,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7796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driver when driving a vehicle
US109608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display of a pictogram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a disruption in front of the vehicle
US10960814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US20190130742A1 (en) Safety drving assistant system, vehicle, and program
US93786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a driver of a potential rear end collision
JP6238859B2 (ja) 車両用照射制御システムおよび光照射の制御方法
US20140049384A1 (en) Method for warning a following motor vehicle
CN106097776A (zh) 一种弯道防碰撞预警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54127B1 (ko) 보행자 및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고 제공 시스템
JP2018149875A (ja) 画像表示装置
US20190389373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Lighting Module for Generating a Symbol
US20120268600A1 (en) Methods for notify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about a danger spot and driver assistance systems using such methods
JP2018149855A (ja) 画像表示装置
US9776559B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KR20200112294A (ko) 거리 별 가변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50339926A1 (en) Traffic warning apparatus and traffic warning method for warning traffic participants about a hazard region
US20190057606A1 (en) Warning to vulnerable users in dangerous situation
JP2012256235A (ja) 運転支援用情報提供装置、車載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KR20200112293A (ko) 안전 경고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