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360A - 수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360A
KR20200111360A KR1020190030947A KR20190030947A KR20200111360A KR 20200111360 A KR20200111360 A KR 20200111360A KR 1020190030947 A KR1020190030947 A KR 1020190030947A KR 20190030947 A KR20190030947 A KR 20190030947A KR 20200111360 A KR20200111360 A KR 2020011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ater
cutting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435B1 (ko
Inventor
조동곤
Original Assignee
조동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곤 filed Critical 조동곤
Priority to KR102019003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15Cutt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는 수면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선체; 상기 선체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고, 수중 수초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수용하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된 커버부; 상기 선체의 전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를 기울게 하는 틸팅부; 및 상기 선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절단된 수초가 상기 선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초 제거장치는 수초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용이하게 기울지게 함으로써, 수중의 고르지 않은 바닥과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선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수초의 종류 내지는 수위 변화에 따라 커버부의 각도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초 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on of water grass}
본 발명은 수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중의 고르지 않은 바닥과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선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절단부에 의해 예취된 수초를 선체에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수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수 내지는 저수지에서의 수초는 수면 위 녹지를 조성하여 주변경관의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정화 및 수중으로의 산소공급을 통해 수중 생물의 안정적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초는 수면 위에 녹지를 조성하여 물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자연정화능력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고사시 부패로 인한 악취를 동반하는 수질 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83419호(압착형 용ㅇ배수로 수초제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수초제거기는, 이를테면 토목 건축용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초를 꺾어 절곡하는 절곡수단과, 상기 절곡수단에 의해 꺾인 수초를 눌러 바닥에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초제거기는 수초를 아예 뽑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꺾어 바닥에 눌러 압착하는 원리를 가지는 것으로서, 수초 제거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83419호(2009.02.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의 고르지 않은 바닥과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선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판을 이용하여 수초를 효율적으로 절단부에 유입시켜 예취할 수 있으며, 절단부에 의해 예취된 수초를 선체의 후방부 상측에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수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면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선체; 상기 선체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고, 수중 수초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수용하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된 커버부; 상기 선체의 전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를 기울게 하는 틸팅부; 및 상기 선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절단된 수초가 상기 선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복수의 회전날이 구비된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는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틸팅부는, 상기 선체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외측 일면에 한 쌍의 연결바가 구비된 본체; 상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 연결바; 및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바에 연결되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바가 상기 실린더부의 신장 및 복원에 대응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선체의 후방부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서로 겹쳐지는 복수의 가이드판;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을 서로 겹치거나 펴지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는 수초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용이하게 기울지게 함으로써, 수중의 고르지 않은 바닥과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선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수초의 종류 내지는 수위 변화에 따라 커버부의 각도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는 선체의 후방부와 커버부 사이에 복수의 가이드판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절단부에 의해 예취된 수초를 선체의 후방부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길이를 늘린 복수의 가이드판이 수중 바닥면에 쓸리게 하여 바닥면에 올라온 수초를 좀 더 효율적으로 절단부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는 절단부가 수용되는 커버부, 복수의 가이드판, 측면판을 금속의 메쉬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초와 함께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하여 선체에 적재되는 수초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절단부의 복수의 회전날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에서 복수의 가이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에서 복수의 가이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초 제거장치(1)는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보트 등에 연결됨으로써 견인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1)는 선체(100), 절단부(200), 커버부(300), 틸팅부(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체(100)는 길이 방향 양측에 부력부(110)가 배치된다. 이러한 부력부(110)는 복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선체(100)는 수면을 부유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체(100)는 수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모터, 실린더 등의 다양한 액츄에이터(Actuator)를 직접 연결하여 구현하거나, 필요에 따라 랙/피니언, 볼스크류, 풀리, 벨트, 캠 등의 동력 전달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절단부(200)는 선체(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부력부(11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수초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회전날(211)이 구비된 커팅부(210), 커팅부(210)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커팅부(21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구동부(220)는 유압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버부(300)는 절단부(200)를 수용하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300)는 절단부(200)를 둘러싸는 상면 및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00)는 철망 등의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부(200)가 수용된 커버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수초가 유입될 때 커버부(300)가 메쉬망 구조일 경우 수초와 함께 유입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수분은 수초의 무게를 배가시켜 이송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선적 한계를 초래하기 때문에 수분에 대한 선적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는 수분의 유입이 최소화되도록 메쉬망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300)가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될 경우 수중 암초 등과의 마찰을 예방하여 절단부(200)의 복수의 회전날(211)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00)는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선체(100)의 진행 방향에서 수초의 유입이 방해받지 않고 수초가 절단부(200)에 의해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커버부(300)의 개방된 후방부는 후술할 가이드부(500)에 연결되기 때문에 절단된 수초는 가이드부(500)를 통해 선체(100)의 상측에 적재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틸팅부(400)는 선체(100)의 전방부와 커버부(300) 사이에 설치되고, 커버부(300)를 기울게 하는 것으로, 본체(410),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 실린더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틸팅부(400)의 본체(410)는 선체(100)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외측 일면에 한 쌍의 연결바(411)가 구비된다.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는 상단이 한 쌍의 연결바(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커버부(3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 하단은 틸트핀(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커버부(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 각각의 하단은 틸트핀이 연결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상향 경사면(4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가 회전하면, 상기 상향 경사면(421)이 틸트핀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팅(tilting)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실린더부(430)는 일단이 본체(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에 연결되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430)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연결바(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에 실린더부(430)가 설치될 경우,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는 실린더부(430)의 신장 및 복원에 대응하여 한 쌍의 연결바(4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하단에 연결된 커버부(30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선체(100)의 후방부와 커버부(300) 사이에 설치되고, 절단된 수초가 선체(100)의 후방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복수의 가이드판(510), 제1 가이드 구동부(520) 및 제2 가이드 구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가이드판(510)은 일측이 선체(100)의 후방부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버부(300)의 하측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판(510)은 3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수초 종류 내지는 수위 변화 등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판(51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절단부(200)에 의해 예취된 수초는 선체(100)의 후방부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판(510)이 펼쳐져서 길이가 늘어날 경우, 수초가 있는 바닥면이 복수의 가이드판(510)에 의해 쓸리면서 바닥면에 올라온 수초를 좀 더 효율적으로 절단부(200)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판(510)은 절단부(200)를 수용하는 커버부(300)와 마찬가지로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수초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판(510)과 커버부(300) 사이에는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측면을 폐쇄하는 측면판(510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판(510a)은 커버부(300)로부터 복수의 가이드판(510)으로 이동하는 수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판(510)은 제1 및 제2 가이드 구동부(520, 5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 구동부(520)는 복수의 가이드판(5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가이드판(5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구동부(530)는 복수의 가이드판(510)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가이드판(510)을 서로 겹치거나 펴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 판(510)은 제1 및 2 가이드 구동부(520, 53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짐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가이드 구동부(520, 530)는 모터, 실린더 등의 다양한 액츄에이터(Actuator)를 직접 연결하여 구현하거나 필요에 따라 랙/피니언, 볼스크류, 풀리, 벨트, 캠 등의 동력 전달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구동부(520, 530), 틸팅부(400)의 실린더부(430), 절단부(200)의 회전 구동부(2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초 제거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체(100)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한 쌍의 수직 연결바(4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체(100)의 이동 방향 측의 커버부(300)는 하측으로 기울어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체(100)의 이동 방향 측의 커버부(300)가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부(430)를 이용하여 선체(100)의 이동 방향 측의 커버부(300)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용이하게 기울지게 함으로써, 수중의 고르지 않은 바닥과의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선체(100)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수초의 종류 내지는 수위 변화에 따라 커버부(300)의 각도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체(100)가 전진하면서 커버부(300)의 개방된 전방부를 통해 수초가 유입되면, 복수의 회전날(211)이 구비되어 회전 구동하는 커팅부(210)가 수초를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수초는 커버부(300)의 개방된 후방부를 통해 복수의 가이드판(510)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절단된 수초는 복수의 가이드판(510)을 따라 이동하여 선체(100)의 후방부 상측에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초 제거장치(1)는 수면을 부유하면서 강이나 호수, 하천 등의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올라온 수초를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 흐름의 정상화는 물론, 수초 고사에 의한 악취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 : 수초 제거장치 100 : 선체
110 : 부력부 111 : 복수의 관통홀
200 : 절단부 210 : 커팅부
211 : 복수의 회전날 220 : 회전 구동부
300 : 커버부 400 : 틸팅부
410 : 본체 411 : 한 쌍의 연결바
420 : 한 쌍의 수직 연결바 421 : 상향 경사면
430 : 실린더부 500 : 가이드부
510 : 복수의 가이드판 510a : 측면판
520 : 제1 가이드 구동부 530 : 제2 가이드 구동부

Claims (5)

  1. 수면을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선체;
    상기 선체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고, 수중 수초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수용하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방된 커버부;
    상기 선체의 전방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를 기울게 하는 틸팅부; 및
    상기 선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절단된 수초가 상기 선체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복수의 회전날이 구비된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금속 메쉬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선체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외측 일면에 한 쌍의 연결바가 구비된 본체;
    상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 연결바; 및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바에 연결되어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연결바가 상기 실린더부의 신장 및 복원에 대응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선체의 후방부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서로 겹쳐지는 복수의 가이드판;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판을 서로 겹치거나 펴지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 제거장치.
KR1020190030947A 2019-03-19 2019-03-19 수초 제거장치 KR10225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47A KR102253435B1 (ko) 2019-03-19 2019-03-19 수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47A KR102253435B1 (ko) 2019-03-19 2019-03-19 수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60A true KR20200111360A (ko) 2020-09-29
KR102253435B1 KR102253435B1 (ko) 2021-05-17

Family

ID=7266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947A KR102253435B1 (ko) 2019-03-19 2019-03-19 수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2469A (zh) * 2023-09-25 2023-11-03 中国人民解放军63968部队 一种环境污染治理处理装置及方法
CN117452415A (zh) * 2023-12-26 2024-01-26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水下附着生物探测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19B1 (ko) 2008-10-21 2009-02-11 한국농어촌공사 압착형 용·배수로 수초제거기
WO2017017322A1 (fr) * 2015-07-27 2017-02-02 PELLENC (Société Anonyme) Tondeuse électrique à lames multiples
KR101750874B1 (ko) * 2017-02-28 2017-06-26 (주)에코코 수초 제거용 보트
KR101769407B1 (ko) * 2015-10-20 2017-08-18 (주)에코코 수초 제거용 보트
EP3329759A2 (en) * 2016-12-02 2018-06-06 Kubota Corporation Grass mower device and riding type grass mower having the grass mower device
JP7024494B2 (ja) * 2018-02-23 2022-02-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19B1 (ko) 2008-10-21 2009-02-11 한국농어촌공사 압착형 용·배수로 수초제거기
WO2017017322A1 (fr) * 2015-07-27 2017-02-02 PELLENC (Société Anonyme) Tondeuse électrique à lames multiples
KR101769407B1 (ko) * 2015-10-20 2017-08-18 (주)에코코 수초 제거용 보트
EP3329759A2 (en) * 2016-12-02 2018-06-06 Kubota Corporation Grass mower device and riding type grass mower having the grass mower device
KR101750874B1 (ko) * 2017-02-28 2017-06-26 (주)에코코 수초 제거용 보트
JP7024494B2 (ja) * 2018-02-23 2022-02-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2469A (zh) * 2023-09-25 2023-11-03 中国人民解放军63968部队 一种环境污染治理处理装置及方法
CN116982469B (zh) * 2023-09-25 2023-11-24 中国人民解放军63968部队 一种环境污染治理处理装置及方法
CN117452415A (zh) * 2023-12-26 2024-01-26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水下附着生物探测器
CN117452415B (zh) * 2023-12-26 2024-03-15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水下附着生物探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435B1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07B1 (ko) 수초 제거용 보트
US11097815B2 (en) Vessel for cleaning waste in shallow waters
KR102253435B1 (ko) 수초 제거장치
DK2971366T3 (en) Flood protection barrier lift system
US7509916B1 (en) Floating dock with integrated boat lift
KR20210035874A (ko) 외부 단부의 지지 표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형 요소를 뒤집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60029879A (ko) 수중 청소로봇
KR101549378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2037793B1 (ko) 수중 청소장치 및 방법
KR20180066597A (ko) 갑문에 연동되는 어도가 구비된 가동보
JP2006211910A (ja) 水生植物除去作業船
US20190323249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s within a body of water
US4676052A (en) Self-propelled dredge
LT2010024A (lt) Mobili tekančio vandens jėgainė
KR102022366B1 (ko)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JP3477539B2 (ja) 水草刈取機
JP3677032B1 (ja) 係留装置
JP3896499B2 (ja) 土石材投棄船
CN117299304B (zh) 一种水下礁石破碎设备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JP4126050B2 (ja) 水生植物除去作業船
JP3991329B2 (ja) 移動式防潮装置
JP2924572B2 (ja) 浚渫装置
WO2010081911A1 (en) Pontoon
JP2002360121A (ja) 魚捕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