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366B1 -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366B1
KR102022366B1 KR1020180033919A KR20180033919A KR102022366B1 KR 102022366 B1 KR102022366 B1 KR 102022366B1 KR 1020180033919 A KR1020180033919 A KR 1020180033919A KR 20180033919 A KR20180033919 A KR 20180033919A KR 102022366 B1 KR102022366 B1 KR 10202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capture
space
fix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18003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선체 사이의 공간에서 해파리를 포획하여 살아있는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적어도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과, 부유 장치들 사이에서 위치되어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을 구비하며, 그물을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해파리 포획 장치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유체와, 수용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격벽의 하단과 부유체의 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이송선과, 포획 공간에서 물과 해파리를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바스켓을 회전시켜 물과 해파리를 포획 공간으로부터 이송선의 수용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TRANSPORTABLE JELLYFISH CAPTUR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선체 사이의 공간에서 해파리를 포획하여 살아있는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환경오염이 원인이 되어 원양에서 서식하는 해파리가 근해로 접근함으로 인하여 주변 인근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그물에는 대다수의 해파리가 딸려 올라오는 문제로 인하여 어민들은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하여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그물이 파손되는 등 해파리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해파리는 약 200여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식용이 가능한 해파리는 약 4종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지로 접근하는 해파리는 대부분 식용이 불가능한 해파리에 해당한다.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설치하여 입구를 넓게 하여 해파리가 자연스럽게 그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해파리의 양이 크게 급증한 관계로 그물이 찢어져 파손되어 활용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그물 속에 해파리가 포획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물의 크기가 수십, 수백 미터에 이르는 대형이므로 그물 안에 갇혀 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어민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그물을 설치하는 것은 어업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비용 또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요구하므로 실효성이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4744호 "해파리 제거장치"
본 발명은 조류에 따라 유영하는 해파리를 포획하여 살아 있는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적어도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과, 부유 장치들 사이에서 위치되어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을 구비하며, 그물을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해파리 포획 장치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유체와, 수용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격벽의 하단과 부유체의 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이송선과, 포획 공간에서 물과 해파리를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바스켓을 회전시켜 물과 해파리를 포획 공간으로부터 이송선의 수용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해파리 포획 장치는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복수의 부유 장치들 각각의 상측면의 후미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부와, 제 1 및 제 2 수직부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평부와, 제 1 및 제 2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의 후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확장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파리 포획 장치는 상측에 그물의 상측 라인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상부 고정부와, 하측에 그물의 하측 라인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하부 고정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확장부와, 복수의 부유 장치 사이의 포획 공간을 향하는 부유 장치의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며, 수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확장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 장치는 외측면에 복수의 바스켓이 장착되고 회전하는 회전부와, 일단은 제 1 및 제 2 고정부 내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회전부의 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와, 각도 조절부의 양단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며 제 1 및 제 2 연장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와, 제 1 및 제 2 고정부 각각과 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류에 따라 유영하는 해파리를 포획함에 있어, 포획 공간의 위치를 가변하며, 해파리를 살아 있는 상태로 이송선으로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장치에서의 바스켓을 이용하여 해파리를 물(해수)와 함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송하여 해파리의 손상 가능성을 낮추고 향상시키고, 이송선에 물과 해파리가 함께 수용되는 구조에 의해 해파리의 생존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선의 단면도(A-A')이다.
도 3은 이송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이송부의 개념도이다.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은 수면에서 이동 및 고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해파리를 포획하는 해파리 포획 장치(100)와, 포획된 해파리를 살아 있는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선(200)과, 포획된 해파리를 이송선(200)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해파리 포획 장치(100)는 포획 공간 이상 이격되어 제 1 연결부(120)와 제 2 연결부(122)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와,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 각각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에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M)로 구성된다.
먼저,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는 수면 위에 또는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장치이며, 내부에 수용 공간(또는 탑승 공간)(110A, 110B)과, 이동을 위한 이동부(도 4의 9)가 장착된 동력 장치(102A, 102B)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부유 장치(100B)는 해파리 포획 장치(100)에 대한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104)를 구비한다.
제 1 연결부(120)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 각각의 상측면을 'ㄷ'자 형태로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 2 연결부(122)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 각각의 상측면의 후미를 'ㄷ'자 형태로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 2 연결부(122)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 각각의 상측면의 후미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부(122A, 122B)와, 제 1 및 제 2 수직부(122A, 122B)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평부(124A, 124B)와, 제 1 및 제 2 수평부(124A, 124B) 사이에 형성된 수평 확장부(126)으로 구성된다. 수평 확장부(126)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의 후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송선(200)의 탑승자가 이송선(200)을 해파리 포획 장치(100)에 접근시킬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에 해당된다.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0A, 100B)는 포획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며, 수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승강부(130A, 130B)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승강부(130A, 130B)는 내부에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를 각각 수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 각각의 상부측에는 그물(M)의 상측 라인(TL)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상부 고정부(140A, 140B)(140B는 미도시됨)가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 각각의 하부측에는 그물(M)의 하측 라인(BL)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하부 고정부(142A, 142B)가 형성된다.
그물(M)은 상측 라인(TL)과 하측 라인(BL) 사이에 줄이나 실 등의 물질이 얽혀져 있으며, 상측 라인(TL)과 하측 라인(BL) 사이에 해파리가 포획되는 포획 공간이 형성되며, 제 1 내지 제 3 중량부(m1, m2, m3)가 그물(M)의 중앙 부분에 장착된다. 또한, 상측 라인(TL)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부(150)가 결합된다.
제어 장치(104)는 제 1 또는 제 2 승강부(130A, 130B)를 제어하여 제 1 또는 제 2 확장부(132A, 132B)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그물(M)에 의한 포획 공간이 형성되는 수면으로부터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가 상승하게 되면 수면에 근접하여 포획 공간이 형성되고, 하강하게 되면 수면으로부터 더 깊은 곳에 포획 공간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선(200)은 수용 공간(S)이 내측면(222)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부유체(210)와, 부유체(210)의 상부 주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프레임(220)과, 강성을 제공하며 수용 공간(S)을 분할하도록 내측면(222)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송선(200)은 이동을 위한 모터부(미도시)와, 모터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S)은 부유체(210)의 내측면(222)과, 내측면(222)에 연결된 저면(224)에 의해 형성된다. 격벽(230)의 양단부는 내측면(222)에만 결합되므로, 적어도 저면(224)에 인접한 공간은 서로 통하게 되어, 물(담수/해수)과 해파리가 격벽(230)의 하단과 저면(224)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이송선(200)의 측면이 해파리 포획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포획 공간에 근접한 경우, 이송선(200)과 해파리 포획 장치(100) 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그물(M)의 상측 라인(TL)을 들어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돌기(240)가 작업 프레임(220)에 형성된다.
이송 장치(300)는 제 2 연결부(122)에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고정부(320) 각각과 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원통 형상의 각도 조절부(310)와, 각도 조절부(310)의 양단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연장부(322)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며 제 1 및 제 2 연장부(322)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고정부(320)와, 일단은 제 1 및 제 2 고정부(320) 내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회전부(330)의 축(324)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322)와, 외측면에 복수의 바스켓(340)이 장착되고 회전하는 회전부(330)로 구성된다.
제 2 연결부(122)가 각도 조절부(310)의 개구(312)를 통하여 관통하여 고정 장착되며, 제 2 연결부(122)를 축으로 하여 각도 조절부(310)가 회전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고정부(320)는 내부에 제 1 및 제 2 연장부(322)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회전부(330)는 축(32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장착된 바스켓(340)에 물과 해파리가 담겨져서 포획 공간(S)으로부터 이송선(200)의 수용 공간(S)으로 이동된다.
제어 장치(104)는 각도 조절부(310)와 제 1 및 제 2 고정부(320)를 각각 제어하여 바스켓(340)이 물과 닿게 되는 영역을 가변시킨다. 예를 들면, 각도 조절부(310)가 제어되어 제 1 및 제 2 고정부(320) 각각이 수면에 대해서 수직인 경우와, 각도 조절부(310)가 제어되어 제 1 및 제 2 고정부(320)가 수면에 대해서 45°의 경사를 지닌 경우, 바스켓(340)이 닿게 되는 영역이 다르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고정부(320) 각각이 수면에 대해서 수직인 경우에도, 제어 장치(104)가 제 1 및 제 2 고정부(320)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연장부(322) 각각의 연장 길이를 가변하여 바스켓(340)이 닿게 되는 영역(수면으로부터의 깊이)이 다르게 된다.
이송 장치(300)에서의 바스켓(340)을 이용하여 해파리를 물(해수)와 함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송하여 해파리의 손상 가능성을 낮추고 향상시키고, 이송선(200)에 물과 해파리가 함께 수용되는 구조에 의해 해파리의 생존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이송 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로, 회전주(330) 대신에 바스켓이 외주면에 장착되며, 타원 형태의 컨베이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의 장축 일측 단부는 제 1 및 제 2 고정부(320)의 연장 동작에 의해 포획 공간에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되고 컨베이어 장치의 장축 타측 단부는 이송선(200)의 수용 공간(S) 상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바스켓에 해파리와 물을 담아서 수용 공간(S)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로, 포획 공간(S)에 입수구가 잠기게 되고 출수구가 이송선(200)의 수용 공간(S)으로 출수구가 배치될 수 있는 펌프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제어 장치(104)는 사용자로부터의 이동 명령, 이송 명령, 승강 명령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1)와, 사용자의 정보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이나 이송선(2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와, 입력부(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승강부(5), 이송부(7) 및 이동부(9)를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도 4의 승강부(5)는 제 1 및 제 2 승강부(130A, 130B)를 포함하고, 이송부(7)는 도 3의 각도 조절부(310)와 제 1 및 제 2 고정부(320)를 포함하고, 이동부(9)는 동력 장치(102A, 102B)를 포함한다.
이동 명령은 해파리 포획 장치(10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포함하는 명령에 해당된다. 제어부(20)는 이동부(9)를 제어하여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을 수행한다.
승강 명령은 그물(M)이 수면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의 상승 및 하강을 포함하는 명령에 해당된다. 제어부(20)는 승강 명령(상승 승강 명령 또는 하강 승강 명령)에 따라 승강부(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확장부(132A, 132B)의 연장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포획 공간의 위치(수면으로부터의 깊이)를 가변한다.
이송 명령은 제 1 및 제 2 고정부(320)와 수면 간의 경사 각도와, 제 1 및 제 2 연장부(322)의 연장 길이에 대한 명령에 해당된다. 제어부(20)는 이송 명령에 따라 각도 조절부(310) 또는 제 1 및 제 2 고정부(32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여 바스켓(340)이 닿게 되는 영역을 가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해파리 포획 장치 200: 이송선
300: 이송부

Claims (4)

  1. 이동 가능한 적어도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과, 부유 장치들 사이에서 위치되어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을 구비하며, 그물을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해파리 포획 장치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유체와, 수용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격벽의 하단과 부유체의 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이송선과;
    포획 공간에서 물과 해파리를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바스켓을 회전시켜 물과 해파리를 포획 공간으로부터 이송선의 수용 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로 구성되며,
    해파리 포획 장치는 상측에 그물의 상측 라인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상부 고정부와, 하측에 그물의 하측 라인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하부 고정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확장부와, 복수의 부유 장치 사이의 포획 공간을 향하는 부유 장치의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확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각각 수용하며, 수직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확장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해파리 포획 장치는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복수의 부유 장치들 각각의 상측면의 후미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직부와, 제 1 및 제 2 수직부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수평부와, 제 1 및 제 2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부유 장치들의 후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확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 장치는 외측면에 복수의 바스켓이 장착되고 회전하는 회전부와, 일단은 제 1 및 제 2 고정부 내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회전부의 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와, 각도 조절부의 양단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며 내부에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며 제 1 및 제 2 연장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와, 제 1 및 제 2 고정부 각각과 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KR1020180033919A 2018-03-23 2018-03-23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KR10202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19A KR102022366B1 (ko) 2018-03-23 2018-03-23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19A KR102022366B1 (ko) 2018-03-23 2018-03-23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66B1 true KR102022366B1 (ko) 2019-09-19

Family

ID=6806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919A KR102022366B1 (ko) 2018-03-23 2018-03-23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71A (ko) * 2020-01-06 2021-07-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해파리 분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744A (ko) 2006-10-17 2008-04-22 김정택 해파리 제거장치
KR100846193B1 (ko) * 2008-01-23 2008-07-15 김동희 해파리 유인 제거 장치
KR20160092133A (ko) * 2015-01-26 2016-08-04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KR20180017992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수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744A (ko) 2006-10-17 2008-04-22 김정택 해파리 제거장치
KR100846193B1 (ko) * 2008-01-23 2008-07-15 김동희 해파리 유인 제거 장치
KR20160092133A (ko) * 2015-01-26 2016-08-04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KR20180017992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수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71A (ko) * 2020-01-06 2021-07-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해파리 분쇄 장치
KR102351394B1 (ko) 2020-01-06 2022-01-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해파리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7265A1 (en) Harvesting system and method for bottom-dwelling marine organisms
EP3209124B1 (en) Submersible cage for aquacultur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epth of said cage
KR20050101226A (ko) 수중 환경에서 해저 생물의 양식 및 저장을 위한 시스템
WO2010087722A1 (en) Device for removing louse from aquatic organisms
KR102022366B1 (ko)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PT1476011E (pt) Cultivo e colheita de marisco
CN111910593A (zh) 一种用于水电站洄游鱼类上行过坝的集运鱼方法及系统
KR20160029879A (ko) 수중 청소로봇
AU2015271355A1 (en) Hydraulic noise suppressor and method for handling a hydraulic noise suppressor
CA3179600A1 (en) Fish farming system
CN109572947B (zh) 一种海漂垃圾收集船
WO2001065925A1 (en)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of net pen
KR20160010945A (ko) 수중승강방식의 양식시스템
KR20170055633A (ko) 패류 채취장치
CN112796286A (zh) 一种适用于水坝集运鱼系统的集鱼装置
KR101730439B1 (ko)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JP5122241B2 (ja) バ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回収方法
JP2016168936A (ja) さんご採捕用無人潜水艇及びさんご採捕システム
KR102253435B1 (ko) 수초 제거장치
ES2315701T3 (es) Aparato y metodo para la cria de moluscos.
CN107140136A (zh) 水面污物打捞系统
CN112796285B (zh) 一种适用于水坝集运鱼系统的防逃装置
KR101895601B1 (ko) 해파리 수집 장치
FR2735329A1 (fr) Dispositif permettant d'aspirer et acheminer en permanence des animaux aquatiques vivants du fond de la mer a bord du bateau de peche
AU2004100617A4 (en) Shellfish Fa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