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94B1 - 해파리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394B1
KR102351394B1 KR1020200001131A KR20200001131A KR102351394B1 KR 102351394 B1 KR102351394 B1 KR 102351394B1 KR 1020200001131 A KR1020200001131 A KR 1020200001131A KR 20200001131 A KR20200001131 A KR 20200001131A KR 102351394 B1 KR102351394 B1 KR 10235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inlet
main body
unit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071A (ko
Inventor
윤정식
김나연
조소연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3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에 연장 형성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유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본체부를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를 분쇄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부, 본체부에 마련되어 본체부의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파리 분쇄 장치 {APPARATUS FOR PULVERIZING JELLYFISH}
본 발명은 해파리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해파리를 분쇄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으로 인해 심해에 서식하는 해파리가 한반도 근해에 출몰하여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
해파리로 인해 한반도 근해의 어획량을 감소하고 있으며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노무라입깃해파리(Nomuras jellyfish)와 같은 대형 해파리가 포획되어 그 무게로 인해 그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흔히 고깔해파리라고도 불리우는 작은부레관해파리(Physalia physalis)는 난대성 해파리로서 길이가 10cm 정도로 작은 편이지만 촉수에 맹독을 포함한다. 독소가 체내로 흡수되면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고 촉수에 접촉된 신체부위가 괴사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는데, 최근 한반도의 근해에 자주 출몰하여 어민들이 조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해수욕장 부근에 출몰하여 관광객들이 다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조업 목적의 그물에 포획된 해파리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28120호와 같이 해파리를 포획하기 위한 목적으로한 그물 형태의 포획장치를 통해 포획된 해파리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1851호와 같이 지상에서 건조, 탈수, 소각 및 화학적 분해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악취 혹은 화학물질이 배출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를 회전부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쇄하고, 회전부를 통해 분쇄된 해파리를 배출구로 배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선상과 같은 외부에서 해파리 분쇄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파리 분쇄 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유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를 분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해양생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사이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회전부를 통과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다수의 회전날이 상기 유입구의 내부를 선회하도록 마련되며, 해파리의 일부를 절단하는 보조날이 상기 회전날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파리 분쇄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이동경로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촬영부는, 상기 영상이 촬영되는 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부는, 적외선 출력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적외선 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입력 받아 상기 유입구의 전방측의 적외선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파리 분쇄 장치는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송신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조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파리 분쇄 장치는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외부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파리 분쇄 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함으로써, 조업장을 포함하는 근해뿐만 해수욕장과 같이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회전력을 통해 해파리를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해파리의 개체수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 분쇄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분해로 인해 배출되는 화학물질 또는 악취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분쇄물은 성어는 물론 치어도 먹을 수 있는 먹이로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전체구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본체부에 개폐부재가 힌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회전날에 보조날이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외부컨트롤러 및 외부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제어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해파리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전체구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본체부에 개폐부재가 힌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회전날에 보조날이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의 외부컨트롤러 및 외부컨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제어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분쇄 장치(10)의 구성은 크게 본체부(100), 회전부(200), 조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되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40)가 유입구(120)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100)는 타원형의 케이스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모양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200)는 유입구(120)로 유입되어 흐르는 물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200)는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을 통해 유입구(120)로 유입되는 해파리(J)를 분쇄하여 배출구(140)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조향부(300)는 회전부(200)에 의해 이동하는 본체부(300)의 수평을 유지하고 이동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본체부(100)는, 해양생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형 형태를 가진 어류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어와 같은 연골어류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될 실시예에서 본체부(100)는 상어의 형상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재와 같은 갑각류의 형태로도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각류의 형태로 설계된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좌우측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유입선별부재(미도시)를 마련하여 진행방향의 장애물을 절단 및 제거하고 유입구(120)로 유입되는 어류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입선별부재(미도시)를 상어의 형상으로 설계한 본체부(100)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력조절부재(160)는 유입구(120) 및 유입구(120)에 연결 형성된 배출구(140)를 통해 본체부(100)에 형성된 관통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조절부재(160)는 물을 저장하여 본체부(100)를 가라 앉게 하는 물탱크의 형태로 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하부에 보조 프로펠러를 마련하여 정회전에 의해 본체부(100)가 하강되도록 하고 역회전에 의해 본체부(100)가 상승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본체부(10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본체부(100)는 힌지 결합되는 개폐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유입구(120) 및 배출구(14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해파리(J)가 배출구(140)로 배출되는 경우, 모든 분쇄물이 한번에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 하기 때문에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개폐부재(18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유입구(120) 및 배출구(140)를 포함한 영역에 남아있는 침전물을 사용자가 직접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개폐부재(180)는 진동발생모터를 구비하여 유입구(120) 및 배출구(140)를 포함한 영역에 남아있는 침전물이 원활하게 제거될수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80)가 본체부(100)를 폐쇄시키는 경우에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180)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오링(O-RING)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부는 통신부(500) 및 제어부(6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1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덮개(190)와 본체부(100) 사이도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190)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오링(O-RING)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해파리가 회전부(200)에 접촉되어 분쇄된 다음 배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면,
회전부(200)는 도 2와 같이 다수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프로펠러 형태로 유입구(12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을 통해 추력을 발생시켜 본체부(120)를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날에 접촉되는 해파리(J) 분쇄한 다음 분쇄한 해파리(J)를 배출구(140)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적 분쇄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분해로 인해 배출되는 화학물질 또는 악취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분쇄방법을 통해 분쇄된 분쇄물은 성어는 물론 치어도 먹을 수 있는 먹이로 이용될 수 있다.
회전부(200)의 구체적인 형태 및 결합구조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통해 자세하게 알아보면 회전부(200)는 회전날(220), 프레임(240), 탄성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블레이드 형태의 다수의 회전날(220)은 회전하여 추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입구(120)의 내부를 선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220)이 유입구(120)의 내부를 안정적으로 선회하도록 프레임(240)은 유입구(120)의 일측에 고정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유입구(120)의 내주면에는 내주면과 단차를 가지는 일부면을 형성하여 프레임(24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40)의 일면에 다수의 회전날(220)이 모터(M1)에 의해회전가능 하도록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220)과 프레임(240) 사이에 탄성부재(260)가 형성되어 해파리(J)가 회전되는 회전날(220)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회전부(220)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회전날(220)의 일면에는 보조날(222)이 돌출 형성되어 해파리(J)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보조날(222)을 통해 1차적으로 해파리(J)의 일부를 절단한 다음 회전날(220)을 통해 해파리(J)의 일부를 다시 절단함으로써 회전날(2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날(220) 만을 이용하여 해파리(J)를 분쇄한 경우보다 분쇄물의 입자가 더 작아지게 됨으로써 회전날(220)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분쇄물이 회전날(22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회전날(22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쇄물의 입자가 작아짐으로써 분쇄물이 배출구(14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통신부(500)가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부(600)측에서 전달받아 모터(M1)가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부(500) 및 제어부(7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회전부(200)에 의해 이동하는 본체부(300)의 수평을 유지하고 이동하는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300)에 대해 도 2 및 4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조향부(300)는 수평조절부재(320) 및 방향전환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조절부재(320)는 어류의 가슴 또는 배 지느러미 역할을 수행하며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울기를 감지하고 본체부(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조절부재(320)는 자이로센서를 통해 본체부(10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고 통신부(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통신부(500)는 다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600)는 다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M2)를 구동시켜 수평조절부재(320)를 제어하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모터(M2)의 일측은 수평조절부재(320)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구(H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H2)는 모터(M2)가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좌우측에 고정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수평조절부재(320)가 일측에 마련된 본체부(340)의 타측에는 방향전환부재(340)가 마련되어 본체부(10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전환부재(340)는 어류의 꼬리 지느러미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본체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통신부(500)가 수신하고 통신부(50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M3)를 구동시켜 방향전환부(340)를 제어하고 이동하는 본체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조향 할 수 있다.
이때 모터(M3)의 일측은 방향전환부재(340)가 좌우로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구(H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구(H3)는 모터(M3)가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후방측에 고정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해파리 분쇄 장치(10)는 영상촬영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촬영부(400)는 본체부(100)의 이동경로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본체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촬영부(400)는 사용자가 선상과 같은 외부에서 해파리 분쇄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영상촬영부(400)는 사용자의 눈의 역할을 대행하여 사용자가 해파리(J)가 많은 지역을 선상과 같은 외부에서 확인하여 본체부(100)를 이동시켜 해파리(J)를 분쇄할 수 있게 되며 해파리(J) 이외의 다른 해양 생물들이 본체부(100)로 유입되어 분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부(400)는 영상이 촬영되는 방향으로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촬영부(40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조명부재(미도시) 배치시켜 영상이 촬영되는 방향을 조명할 수 있으며, 또한 야간에 해파리(J) 분쇄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적외선 출력부재(미도시)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촬영부(400)는 적외선 출력부재(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입력 받아 유입구(120)의 전방측의 적외선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400)를 포함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10)는 통신부(500) 및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500)는 영상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송신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에 해파리(J)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는 해파리 분쇄 장치(10)의 좌회전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통신부(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회전부(200) 및 조향부(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해파리 분쇄 장치(10)는 외부컨트롤러(700)을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컨트롤러(700)는 사용자가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해파리 분쇄 장치(10)에 제어명령을 내리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부(400)가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영상은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컨트롤러(7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촬영 영상을 통해 해파리(J)를 판별하며 외부컨트롤러(700)에 마련된 조이스틱 또는 버튼을 통해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은 다시 통신부(500)를 통해 제어부(600)로 전달되어 해파리 분쇄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함으로써, 조업장을 포함하는 근해뿐만 해수욕장과 같이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회전력을 통해 해파리(J)를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해파리(J)의 개체수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해파리 분쇄 장치
100: 본체부
200: 회전부
300: 조향부
400: 영상촬영부
500: 통신부
600: 제어부
700: 외부컨트롤러

Claims (10)

  1.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유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파리를 분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부재를 포함하고, 해양생물 중 갑각류의 형태로 형성되며,
    진행방향의 장애물을 절단 및 제거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어류를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유입선별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사이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회전부를 통과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다수의 회전날이 상기 유입구의 내부를 선회하도록 마련되며,
    해파리의 일부를 절단하는 보조날이 상기 회전날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본체부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이동경로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는,
    상기 영상이 촬영되는 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는,
    적외선 출력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적외선 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입력 받아 상기 유입구의 전방측 적외선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에게 송신하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조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외부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해파리 분쇄 장치.
KR1020200001131A 2020-01-06 2020-01-06 해파리 분쇄 장치 KR10235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31A KR102351394B1 (ko) 2020-01-06 2020-01-06 해파리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31A KR102351394B1 (ko) 2020-01-06 2020-01-06 해파리 분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71A KR20210088071A (ko) 2021-07-14
KR102351394B1 true KR102351394B1 (ko) 2022-01-13

Family

ID=7686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31A KR102351394B1 (ko) 2020-01-06 2020-01-06 해파리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3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616B1 (ko) 1999-11-04 2002-04-17 한성희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JP2011205978A (ja) * 2010-03-30 2011-10-20 Etsuro Obara クラゲ破砕装置
JP2012228213A (ja) 2011-04-27 2012-11-22 Akai Shokai:Kk 海洋生物の除去装置
KR102022366B1 (ko) 2018-03-23 2019-09-19 이재철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KR102043509B1 (ko) * 2017-10-23 2019-11-11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수거, 인양 및 저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768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제거용 수중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616B1 (ko) 1999-11-04 2002-04-17 한성희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JP2011205978A (ja) * 2010-03-30 2011-10-20 Etsuro Obara クラゲ破砕装置
JP2012228213A (ja) 2011-04-27 2012-11-22 Akai Shokai:Kk 海洋生物の除去装置
KR102043509B1 (ko) * 2017-10-23 2019-11-11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수거, 인양 및 저장 장치
KR102022366B1 (ko) 2018-03-23 2019-09-19 이재철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71A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9481T3 (es) Tanque de cría de peces cerrado, flotante y sumergible y procedimiento de cría de peces
JP6636519B2 (ja) 水中用採取システム及び動物プランクトンを採取するための方法
Brodeur In situ observa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juvenile fishes and scyphomedusae in the Bering Sea
Buskey et al. he swarming behavior of the copepod Dioithona oculata: In situ and laboratory studies
KR20190076157A (ko) 쌍동선 형태의 무선 조종 해양쓰레기 수거 드론
KR102351394B1 (ko) 해파리 분쇄 장치
Kough et al. In situ swimming and orientation behavior of spiny lobster (Panulirus argus) postlarvae
Land Optics of the eyes of marine animals
CN110558289A (zh) 一种珊瑚礁区中小型海洋生物研究保护用诱捕采集装置
Mills et al. Remote multi‐camera system for in situ observations of behaviour and predator/prey interactions of marine benthic macrofauna
Yau et al. Scavenging by megabenthos and demersal fish on the South Georgia slope
Sosin et al. Through the Fish's Eye: An Angler? s Guide to Gamefish Behavior
Chung et al. Offshore migratory activity of hawksbill turtle (Eretmochelys imbricata) hatchlings, II. Swimming gaits, swimming speed, and morphological comparisons
KR102358243B1 (ko) 수상 청소 드론
Waldichuk The state of pollu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Whitty The fate of the ocean
CN205052562U (zh) 一种基于海鸟声音的渔情探测装置
KR101464106B1 (ko) 해파리 폴립 제거용 장치
Nagar Safeguarding the Marine Ecosystem
US10697191B1 (en) Skimmer net apparatus
James Loch Ness Investigation
SUGANDA The impact of microplastic debris in mollusks ingestion and egestion
Kannankai et al. Microplastic abundance and exposure-related effects on corals, the foundation species of the marine ecosystem
Webber et al. Fish feeding and rapid foraging behavior switching by gray whales (Eschrichtius robustus) in California
Motoh Fishing gear for prawn and shrimp used in the Philippines tod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