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601B1 - 해파리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601B1
KR101895601B1 KR1020160102796A KR20160102796A KR101895601B1 KR 101895601 B1 KR101895601 B1 KR 101895601B1 KR 1020160102796 A KR1020160102796 A KR 1020160102796A KR 20160102796 A KR20160102796 A KR 20160102796A KR 101895601 B1 KR101895601 B1 KR 10189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collecting
collecting unit
traction rod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992A (ko
Inventor
성낙윤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6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서 생육하는 해파리를 유도, 인양 및 수집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부상하여 동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면 위를 지나가는 해파리를 유도함과 동시에 해파리를 수집할 수 있는 해파리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파리 수집 장치 {Apparatus for Guiding, Lifting, and Collecting Jellyfish}
본 발명은 해양에서 생육하는 해파리를 유도, 인양 및 수집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부상하여 동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면 위를 지나가는 해파리를 유도함과 동시에 해파리를 수집할 수 있는 해파리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환경오염이 원인이 되어 원양에서 서식하는 해파리가 근해로 접근함으로 인하여 주변 인근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그물에는 대다수의 해파리가 딸려 올라오는 문제로 인하여 어민들은 상기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하여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그물이 파손되는 등 해파리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해파리는 약 200여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식용이 가능한 해파리는 약 4종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지로 접근하는 해파리는 대부분 식용이 불가능한 해파리에 해당한다.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설치하여 입구를 넓게 하여 해파리가 자연스럽게 그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해파리의 양이 크게 급증한 관계로 그물이 찢어져 파손되어 활용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그물 속에 해파리가 포획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물의 크기가 수십, 수백 미터에 이르는 대형이므로 그물 안에 갇혀 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어민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그물을 설치하는 것은 어업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비용 또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요구하므로 실효성이 없다.
따라서, 근해로 접근하는 해파리들을 모두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계장치를 설치하고 해파리들을 상기 기계장치로 유인하여 지속적으로 해파리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10-2008-0034744호에서는 어망 내에 포획된 해파리를 어망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하되, 이 과정에서 해파리가 모두 절단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포획된 어류의 수거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잡혔던 해파리가 다음 조업 시에 포획되지 않는 해파리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파리 제거 장치는 파괴된 해파리에 의한 2차 오염으로 인해 해파리 부식에 의한 부영양화, 악취, 정자 난자 배출, 잘린 촉수에 의한 해파리 쏘임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해수욕객의 안전과 어민들의 생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바다에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한 장치인 해파리 수집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2133호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출원일자 2015.01.26)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155호 '해파리 제거 장치' (공개일자 2011.04.20)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7310호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공개일자 2014.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의 동력을 이용하여 해파리를 유도 및 수집하고, 수집된 해파리를 수중 밖으로 인양하여 수거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채집망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수집량을 높일 수 있으며, 수집된 해파리를 수면 위로 인양하여 저장함으로써, 해파리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수집된 해파리를 분쇄 및 파괴하지 않아 해파리를 통한 2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파리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파리 수집 장치는 해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부력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부력을 갖는 보조몸체(120)를 포함하는 부유몸체(100); 일측이 상기 몸체(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몸체(120)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10)와 상기 보조몸체(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00);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판(200)의 전방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부유몸체(100)가 전진하면서 내부에 해파리가 유입되는 수집부(300); 상기 수집부(3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집부(300)에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판(20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지지대(410)를 포함하는 권취수단(400); 상기 연결판(2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해파리를 상기 수집부(30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수용공간(S)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부(500); 상기 부유몸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상기 권취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300)는 해파리가 유입되는 유입구(301)가 형성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수집된 해파리가 배출되는 배출구(302)가 형성되도록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며, 배수가 용이하도록 측면의 일부가 메쉬형상의 그물망(303)으로 이루어진 프레임(310); 상기 수집부(300)에 수용된 해파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집부(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302)를 개폐하는 개폐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320)는 일측이 상기 배출구(302)의 양측면에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암(321); 상기 복수개의 제1 회전암(321)의 타측에 형성되는 견인봉(322); 일측이 상기 견인봉(322)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이 배출구(302)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제2 회전암(323); 상기 배출구(302)로 해파리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회전암(321)과 상기 제2 회전암(323) 사이에 구비되는 메쉬망(324);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410)에는 상기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견인될 때 끝단이 상기 견인봉(322)과 접촉되어 상기 견인봉(322)을 가압하는 견인대(411)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봉(322)이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회전암(322)의 타측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출구(30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견인대(411)의 끝단이 상기 수집부(300)의 상하 회전시 상기 견인봉(322)이 이루는 회전반경의 접점에 위치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410)에 체결되되, 상기 견인대(411)는 끝단이 상기 견인봉(322)과 접촉되면 상기 견인봉(322)을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302)를 개방하도록 상기 수집부(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권취수단(400)은 상기 지지대(410)에 고정되는 권취롤러(420); 상기 권취롤러(42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30); 상기 수집부(300)의 상단과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연결판(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견인프레임(440); 일측이 상기 견인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권취롤러(420)에 권취되는 와이어(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510); 상기 가이드판(5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격벽(520); 상기 가이드판(510)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이동을 안내하고, 해파리가 유입될 때 유입되는 해파리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이루어지 안내판(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파리를 포획하는 그물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의 각도를 선태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해수욕장과 같이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곳과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수집된 해파리를 수면 위로 인양하여 저장함으로써, 해파리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해파리 수집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집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해파리 수집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집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파리 수집 장치는 해수면 위해 부상하도록 부력을 갖는 부유몸체(100)를 갖는다. 부유몸체(100)는 내부에 해파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수용공간(S)을 포함하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동시에 수용공간(S)의 주변에는 해파리의 유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수집홀(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양측에는 각각 몸체(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보조몸체(120)를 갖는다. 보조몸체(120)는 몸체(11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부력을 가지며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몸체(110)와 보조몸체(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00)이 구비된다. 연결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이 몸체(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몸체(120)에 고정되어 몸체(110)와 보조몸체(120)를 연결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수중에 위치하는 해파리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300)가 형성된다. 수집부(30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판(200)의 전방에는 수집부(300)와 체결되는 브라켓(210)이 구비되며, 수집부(300)는 브라켓(210)에 힌지결합, 즉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수집부(3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집부(300)가 수중에 잠기면 부유몸체(100)가 전진하면서 수집부(300) 내부로 해파리가 유입된다. 이후 수집부(3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면 수집부(300)에 수용된 해파리를 수면 위로 인양하여 상기 수용공간(S)으로 해파리를 이동시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수집부(300)는 해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수집부(3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권취수단(400)이 구비된다. 권취수단(400)는 연결판(20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지지대(410)를 포함한다.
또한, 권취수단(400)은 권취롤러(420), 구동모터(430), 견인프레임(440) 및 와이어(450)를 포함한다. 권취롤러(420)는 지지대(4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430)는 권취롤러(420)와 연결되어 권취롤러(420)에 동력(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견인프레임(440)은 일측이 수집부(300)의 상단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브라켓(211)에 체결되어 수집부(3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견인프레임(440)는 수집부(300)의 좌우측에 복수개로 이루어져 수집부(30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450)는 일측이 견인프레임(440)에 고정되고, 타측이 권취롤러(420)에 권취된다. 따라서, 권취롤러(420)의 회전방향을 따라 견인프레임(440)과 수집부(3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연결판(200)의 상단에는 수집된 해파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500)는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해파리를 수집부(300)로부터 전달받아 수용공간(S)으로 이송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가이드부(500)는 연결판(200)의 상단에 안착되는 가이드판(510)을 포함한다. 가이드판(510)은 수용공간(S)이 위치한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되는 해파리가 수용공간(S)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부(500)는 가이드판(510)을 따라 형성되는 격벽(520)을 포함한다. 격벽(520)은 가이드판(51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해파리가 가이드판(510)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판(5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해파리가 유입되는 가이드판(510)의 일측에는 수집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해파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53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안내판(530)은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끝단이 상방향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다. 이는 해파리가 전달될 때 안내판(530)의 경사면을 통해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제공받은 추진력을 통해 해파리가 가이드판(510)을 따라 수용공간(S)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몸체(110)의 상단에는 제어부(600)가 구비된다. 제어부(600)의 내부에는 부유몸체(100)에 추진력(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엔진(미도시)이 구비되며, 권취수단(400)의 작동,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4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43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servo-motor), 스텝모터(stepper motor)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에는 해수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수용공간(S)에 수용된 해파리의 수집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현재의 위치를 관제탑과 송수신할 수 있는 GPS모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무인 또는 별도의 무선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수집부(300)는 프레임(310)과 개폐부(32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은 일측에 해파리가 유입되는 유입구(301)가 형성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수집된 해파리가 배출되는 배출구(302)를 형성하도록 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배출구(302)는 수집부(3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프레임(310) 내부에는 해파리가 수집되는데, 이때 해파리는 프레임(310) 내부에 위치하고, 해수는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지 않는 프레임(310)의 측면은 메쉬형상의 그물망(303)으로 이루어진다.
개폐부(320)는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견인되는 경우 수집부(300)에 수용된 해파리를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구(302)를 개폐하는 목적을 갖는다. 즉, 수집부(300)가 하강하여 해파리를 수집하는 경우에는 배출구(302)를 폐쇄하고, 수집부(300)가 상승하여 해파리를 인양하는 경우에는 배출구(302)를 개방하여 해파리를 가이드부(500)로 전달한다.
이하 도 2 및 도 3 내지 도 4 를 통해 개폐부(32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개폐부(320)는 제1 회전암(321), 견인봉(322), 제2 회전암(323), 메쉬망(324)을 포함한다.
제1 회전암(321)은 배출구(302)의 양측면, 즉 배출구(302)와 인접한 프레임(310)의 양측면에 일측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제1 회전암(3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1 회전암(321) 사이에 회전봉(3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견인봉(322)은 제1 회전암(321)의 타측에 구비된다. 즉, 양측단이 복수개의 제1 회전암(321)에 각각 체결되며, 메쉬망(324)이 견인봉(322)과 회전봉(321-1) 사이에 설치된다.
제2 회전암(323)은 일측이 견인봉(322)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제1 회전암(321)의 타측과 제2 회전암(323)의 일측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제2 회전암(323) 또한 제1 회전암(321)의 개수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암(323)의 타측은 배출구(302)의 측면에 고정되는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 회전암(323)의 타측에는 제2 회전암(323)을 지지하는 이동봉(323-1)이 복수개의 제2 회전암(323)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출구(302)와 인접한 프레임(310)의 측면에는 제2 회전암(323)의 타측과 결합되는 슬라이딩홈(310-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견인봉(322)을 수집부(300)의 내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회전암(321)이 회전함과 동시에 제2 회전암(323)의 타측이 슬라이딩홈(310-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302)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봉(323-1)과 견인봉(322) 사이에는 메쉬 형상의 메쉬망(324)이 구비 된다.
이때, 지지대(410)에는 견인봉(322)을 수집부(300)의 내측으로 가압하는 견인대(411)가 구비된다. 견인대(411)는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견인될 때 끝단이 견인봉(322)과 1차로 접촉된다. 이후 수집부(300)가 점차적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집부(30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견인봉(322)을 가압되기 때문에 배출구(302)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견인대(411)는 지지대(4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되며,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지지대(410)에 형성된 스토퍼(410-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수집부(300)가 회전하는 회전지점을 'P1', 상기 P1과 견인봉(411)과의 회전반경의 거리를 'D1' 라고 가정하고, 견인대(411)가 지지대(410)에서 회전하는 회전지점을 'P2', P2와 견인대(411)와 견인봉이 접촉되는 견인대(411)의 끝단의 거리(회전반경)를 'D2' 라고 가정한다.
수집부(300)가 회전하면 견인봉(322)은 P1을 기준으로 일정한 회전반경 D1 을 그리게 된다. 이때 견인대(411)는 견인봉(322)과 접촉되는 끝단이 견인봉(322)이 회전하는 회전반경의 접점(P3)에 위치하도록 스토퍼(410-1)에 의해 지지된다.
수집부(300)가 회전하여 견인봉(322)이 접점(P3)에 도달하여 견인대(411)의 끝단에 접촉한 후, 구동수단(400)에 의해 점차적으로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견인봉(322)과 결합된 견인대(411)는 상측으로 회전한다.
이후, 수집부(300)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견인대(411)가 견인봉(322)을 가압하여 견인봉(322)이 수집부(300)의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회전암(323)의 타측이 슬라이딩홈(310-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구(302)를 개방한다. 이때 개방된 배출구(302)를 해파리가 통과하여 수집부(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구(302)가 개방되는 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해파리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수집부(300)가 하강하는 경우 배출구(302)가 개폐부(320)의 자체중량에 의해 닫히며, 이로 인해 해파리를 수집할 때 배출구(302)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해파리를 포획하는 수집부(3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곳과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수집된 해파리를 수면 위로 인양하여 저장하고, 인양한 후 수집한 해파리가 미끄러져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해파리를 수거할 수 있다.
100 : 부유몸체 110 : 몸체 120 : 보조몸체
200 : 연결판 300 : 수집부 301 : 유입구
302 : 배출구 303 : 그물망 310 : 프레임
320 : 개폐부 321 : 제1 회전암 322 : 견인봉
323 : 제2 회전암 324 : 메쉬망 400 : 구동수단
410 : 지지대 411 : 견인대 420 : 권취롤러
430 : 구동모터 440 : 견인프레임 450 : 와이어
500 : 가이드부 510 : 가이드판 520 : 격벽
530 : 안내판 S : 수용공간

Claims (6)

  1. 해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부력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부력을 갖는 보조몸체(120)를 포함하는 부유몸체(100);
    일측이 상기 몸체(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몸체(120)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10)와 상기 보조몸체(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00);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판(200)의 전방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부유몸체(100)가 전진하면서 내부에 해파리가 유입되는 수집부(300);
    상기 수집부(3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집부(300)에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판(20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지지대(410)를 포함하는 권취수단(400);
    상기 연결판(2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해파리를 상기 수집부(30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수용공간(S)으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부(500);
    상기 부유몸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상기 권취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부(300)는 해파리가 유입되는 유입구(301)가 형성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수집된 해파리가 배출되는 배출구(302)가 형성되도록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며, 배수가 용이하도록 측면의 일부가 메쉬형상의 그물망(303)으로 이루어진 프레임(310);
    상기 수집부(300)에 수용된 해파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집부(3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구(302)를 개폐하는 개폐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20)는
    일측이 상기 배출구(302)의 양측면에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암(321);
    상기 복수개의 제1 회전암(321)의 타측에 형성되는 견인봉(322);
    일측이 상기 견인봉(322)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이 배출구(302)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제2 회전암(323);
    상기 배출구(302)로 해파리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회전암(321)과 상기 제2 회전암(323) 사이에 구비되는 메쉬망(324);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410)에는 상기 수집부(300)가 상방향으로 견인될 때 끝단이 상기 견인봉(322)과 접촉되어 상기 견인봉(322)을 가압하는 견인대(411)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봉(322)이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회전암(323)의 타측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출구(30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411)의 끝단이 상기 수집부(300)의 상하 회전시 상기 견인봉(322)이 이루는 회전반경의 접점에 위치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410)에 체결되되,
    상기 견인대(411)는 끝단이 상기 견인봉(322)과 접촉되면 상기 견인봉(322)을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302)를 개방하도록 상기 수집부(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400)은
    상기 지지대(410)에 고정되는 권취롤러(420);
    상기 권취롤러(42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30);
    상기 수집부(300)의 상단과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연결판(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견인프레임(440);
    일측이 상기 견인프레임(4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권취롤러(420)에 권취되는 와이어(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수용공간(S)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510);
    상기 가이드판(5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격벽(520);
    상기 가이드판(510)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이동을 안내하고, 해파리가 유입될 때 유입되는 해파리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안내판(5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수집 장치.
KR1020160102796A 2016-08-12 2016-08-12 해파리 수집 장치 KR10189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96A KR101895601B1 (ko) 2016-08-12 2016-08-12 해파리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96A KR101895601B1 (ko) 2016-08-12 2016-08-12 해파리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92A KR20180017992A (ko) 2018-02-21
KR101895601B1 true KR101895601B1 (ko) 2018-09-07

Family

ID=615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96A KR101895601B1 (ko) 2016-08-12 2016-08-12 해파리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66B1 (ko) * 2018-03-23 2019-09-19 이재철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CN110758655B (zh) * 2019-12-06 2021-06-25 浙江海洋大学 一种带有捕鱼和输送装置的拖网渔船及捕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75B1 (ko) 2009-10-13 2012-09-11 한만송 해파리 제거 장치
KR101474066B1 (ko) 2012-10-12 2014-12-22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KR101730439B1 (ko) 2015-01-26 2017-04-28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92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46630T3 (en) MARKETING SYSTEM AND PROCEDURE
KR20190024739A (ko) 수질검사를 위한 채수 장치
JPH07259065A (ja) ごみ回収装置
KR102611040B1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KR101474066B1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NO20140872A1 (no) Autonomt apparat for renhold av overflaten til en dykket struktur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KR101895601B1 (ko) 해파리 수집 장치
US5343442A (en) Process and device for catching fish
CN106284188A (zh) 基于集鱼船的自动光气诱鱼系统及方法
KR20140130656A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CN111387152A (zh) 变水层浮游生物采集装置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KR20160077768A (ko) 해파리 제거용 수중 분쇄장치
KR101961756B1 (ko)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KR101730439B1 (ko)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CN112301986A (zh) 一种漂浮物捞取控制方法
CN211107993U (zh) 一种用于桥梁检测的水下无人机
CN211153421U (zh) 一种牵引式集鱼网装置
CN213029512U (zh) 一种便于清洁底部的养殖网箱
CN210157879U (zh) 一种捕鱼船
CN211241361U (zh) 一种用于治理外来物种入侵的机械装置
CN111202034A (zh) 底层浮游生物采集装置
CN111387153A (zh) 浮游生物采集装置
CN208708518U (zh) 一种捕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