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480A - 용융 금속용 레이들 - Google Patents

용융 금속용 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480A
KR20200108480A KR1020207024590A KR20207024590A KR20200108480A KR 20200108480 A KR20200108480 A KR 20200108480A KR 1020207024590 A KR1020207024590 A KR 1020207024590A KR 20207024590 A KR20207024590 A KR 20207024590A KR 20200108480 A KR20200108480 A KR 2020010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arc
curvature
refractory layer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966B1 (ko
Inventor
히로키 후쿠무라
가츠미 곤도
히로아키 오오츠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레이들 본체와, 이 레이들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을 갖고, 상기 레이들 본체의 양측에 트러니언축을 구비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로서, 상기 레이들 본체의 상기 트러니언축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상기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상기 트러니언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축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를 구비한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호의 곡률 반경 R1, 상기 제2 원호의 곡률 반경 R2,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하기의 식 (1) 내지 식 (3)을 충족한다.
식 (1): 0.401×R1<R3MIN<R1
식 (2): 0.401×R2<R3MIN<R2
식 (3): R1≤R2

Description

용융 금속용 레이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철소 등에 있어서 용선이나 용강 등의 용융 금속을 보유 지지하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8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5261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어, 제철소 등에 있어서는, 전로나 토피드카로부터의 용선이나 용강을, 레이들(용융 금속용 레이들)로 보유 지지하여 반송하고 있다.
이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고온의 용융 금속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 철제의 레이들 본체와, 이 레이들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레이들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트러니언축이 마련되어 있고, 이 트러니언축을 크레인 등에 의해 끌어 올림과 함께, 트러니언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 상술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들 본체의 수평 단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은, 고온의 용융 금속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 레이들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이 열 열화하여 균열 등이 생긴다. 이 때문에, 일정 사용 횟수에 따라 내화물층을 정기적으로 보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크게 함으로써, 내화물층의 보수 작업까지 취급하는 용융 금속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레이들 본체의 외형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외형을 크게 한 경우에는, 크레인 등의 다른 설비를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외형에 대응시키기 위해 설비 전체의 대폭적인 개조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외형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레이들 용적을 확대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레이들 본체의 수평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근사시킴으로써 레이들 용적의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수평 단면을 원호로 구성함으로써, 코너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67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59940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가일층 제조 비용의 저감을 위해,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가일층의 내화물층의 보수 횟수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수평 단면을 원호로 구성하여 코너부의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있지만, 내화물층으로의 응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고, 내화물층의 보수 횟수가 증가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사용 수명의 연장이 요구되고 있어, 레이들 본체로의 열 응력을 저감하여, 레이들 본체의 변형 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작용하는 열 응력을 억제하여 보수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은, 레이들 본체와, 이 레이들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을 갖고, 상기 레이들 본체의 양측에 트러니언축을 구비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로서, 상기 레이들 본체의 상기 트러니언축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상기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상기 트러니언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축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를 구비한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호의 곡률 반경 R1, 상기 제2 원호의 곡률 반경 R2,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하기의 식 (1) 내지 식 (3)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0.401×R1<R3MIN<R1
식 (2): 0.401×R2<R3MIN<R2
식 (3): R1≤R2
이 구성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의하면, 상기 레이들 본체의 상기 트러니언축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상기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상기 트러니언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축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를 구비한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R3MIN<R1, R3MIN<R2로 되어 있으므로, 큰 곡률 반경의 제1 원호와 제2 원호가, 곡률 반경이 작은 곡선부에 의해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수평 단면이 직사각 형상에 근사하고,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는 레이들 본체에 대해, 레이들 용적을 확대한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0.401×R1<R3MIN, 0.401×R2<R3MIN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의 곡률 반경에 대해 너무 작아지지 않고, 제1 원호와 곡선부, 제2 원호와 곡선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고, 레이들 본체의 변형이나 내화물층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내화물 보수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작용하는 열 응력을 억제하여 보수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상기 내화물층은, 상기 레이들 본체측에 배치된 제1 내화물층과, 이 제1 내화물층의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내화물층은 내화 벽돌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내화물층은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내화물층에 응력이 작용하여 균열이 생겨도, 내화 벽돌로 구성된 제1 내화물에까지 균열이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내화물층의 더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을 보수하면 된다. 제2 내화물층은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화물층에 작용하는 열 응력을 억제함으로써 보수 비용을 더욱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작용하는 열 응력을 억제하여 보수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본체의 수평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의 내화물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1)은, 레이들 본체(10)와, 내화물층(20)을 구비하고 있다.
레이들 본체(10)는, 그 폭 방향의 양측에 트러니언축(18, 18)이 마련되어 있고, 이 트러니언축(18, 18)을 사용하여 크레인 등으로 반송하고, 또한 트러니언축(18, 18)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이들 본체(10)는, 트러니언축(18)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러니언축(18, 18)을 연결하는 축선 S1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트러니언축(18)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11)와, 축선 S1에 직교하는 중심축 S2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중심축 S2와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12)와, 제1 원호(11)와 제2 원호(12)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13)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이들 본체(10)의 수평 단면의 곡률 반경 R1, R2, R3MIN은, 레이들 본체(10)의 내벽면에서 측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원호(11)는, 트러니언축(18, 18)을 연결하는 축선 S1 상에 중심을 갖고 있는 점에서, 트러니언축(18, 18)이 배치된 면이, 상술한 제1 원호(11)가 된다.
또한, 제2 원호(12)는, 트러니언축(18, 18)을 연결하는 축선 S1에 직교하는 중심축 S2 상에 중심을 갖고 있는 점에서, 제1 원호(1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곡선부(13)는, 이들 제1 원호(11)와 제2 원호(12)가 교차하는 코너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원호(11)의 곡률 반경 R1, 제2 원호(12)의 곡률 반경 R2,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하기의 식 (1) 내지 식 (3)을 충족하고 있다.
식 (1): 0.401×R1<R3MIN<R1
식 (2): 0.401×R2<R3MIN<R2
식 (3): R1≤R2
상술한 바와 같이,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제1 원호(11)의 곡률 반경 R1, 제2 원호(12)의 곡률 반경 R2에 대해, R3MIN<R1 및 R3MIN<R2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원호(11)와 제2 원호(12)의 교차부(코너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직사각 형상에 근사한 형상으로 되고,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의 레이들 본체에 대해, 외형을 변화시키지 않고, 용적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의 상한을, 0.9×R1 및 0.9×R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제1 원호(11)의 곡률 반경 R1, 제2 원호(12)의 곡률 반경 R2에 대해, 0.401×R1<R3MIN 및 0.401×R2<R3MIN으로 되어 있다. 즉,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의 하한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의 하한이 규정되어 있음으로써, 제1 원호(11)와 곡선부(13), 제2 원호(12)와 곡선부(13)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레이들 본체(10)의 변형이나, 내화물층(20)의 열화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원호(11)와 곡선부(13), 제2 원호(12)와 곡선부(13)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더 억제하기 위해서는,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의 하한을, 0.41×R1 및 0.41×R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2×R1 및 0.42×R2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45×R1 및 0.45×R2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화물층(2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들 본체(10)측에 배치된 제1 내화물층(21)과, 이 제1 내화물층(21)의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2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내화물층(21)은, 내화 벽돌을 쌓아 올려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내화물층(22)은, 부정형 내화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융 금속의 탕면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용손을 억제하기 위해 내화 벽돌에 의해 제2 내화물층(22)을 형성해도 된다.
제1 내화물층(21)의 두께 t1과 제2 내화물층(22)의 두께 t2의 비 t2/t1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1)에 있어서는, 전로나 토피드카로부터의 용선 또는 용강을 받고, 천정 크레인의 훅이 트러니언축(18, 18)에 걸려서 반송되고, 트러니언축(18, 18)을 중심으로 틸팅시킴으로써, 용선 또는 용강을 다음 공정의 용기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용융 금속용 레이들(1)은, 고온의 용선 또는 용강이 주입, 배출됨으로써, 가혹한 열 응력이 반복하여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레이들 본체(10)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20)에 균열 등이 생긴 경우에는, 내화물층(20)을 보수하여 다시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1)에 의하면, 레이들 본체(10)의 트러니언축(18)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트러니언축(18, 18)을 연결하는 축선 S1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트러니언축(18)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11)와, 축선 S1에 직교하는 중심축 S2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중심축 S2와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12)와, 제1 원호(11)와 제2 원호(12)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13)를 구비한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R3MIN<R1, R3MIN<R2로 되어 있으므로, 수평 단면이 직사각 형상에 근사한 형상으로 되고,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는 레이들 본체에 대해, 레이들 용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0.401×R1<R3MIN, 0.401×R2<R3MIN으로 되어 있으므로, 곡선부(13)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너무 작아지지 않고, 제1 원호(11)와 곡선부(13), 제2 원호(12)와 곡선부(13)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고, 레이들 본체(10)의 변형이나 내화물층(2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융 금속용 레이들(1)의 보수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화물층(20)은, 레이들 본체(10)측에 배치된 제1 내화물층(21)과, 이 제1 내화물층(21)의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22)을 구비하고 있고, 제1 내화물층(21)은 내화 벽돌로 구성되며, 제2 내화물층(22)은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이들 본체(10)측에 배치된 제1 내화물층(21)으로의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내화물층(21)의 가일층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화물층(20)에 응력이 작용하여 균열이 생겨도 내화 벽돌로 구성된 제1 내화물층(21)에까지 균열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내화물층(21)의 더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22)을 보수하면 된다. 제2 내화물층은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고, 보수 비용을 더욱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의 트러니언축을 갖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의 트러니언축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선 및 용강을 보유 지지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융 금속을 취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화물층을, 제1 내화물층과 제2 내화물층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층의 내화물층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되고, 3층 이상의 내화물층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예로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준비하였다. 또한, 제1 원호의 곡률 반경 R1을 4170㎜, 제2 원호의 곡률 반경 R2를 4170㎜,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을 1700㎜로 하였다. 즉, 0.401×R1<R3MIN<R1, 0.401×R2<R3MIN<R2, R1≤R2를 충족하는 것으로 하였다.
비교예로서, 제1 원호의 곡률 반경 R1을 4170㎜, 제2 원호의 곡률 반경 R2를 4170㎜,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을 1150㎜로 하였다. 즉, R3MIN<0.401×R1, R3MIN<0.401×R2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본 발명예와 비교예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사용하고, 사용 후의 내화물층의 잔 두께의 최솟값을 측정하였다. 도 5에, 본 발명예와 비교예의 당초 두께를 「1」로 하고, 내화물층의 잔 두께의 최솟값의 관계 및 본 발명의 내화물 수명을 맞 는 사용 횟수를 1로 한 경우에, 비교예에 있어서 내화물 수명을 맞는 사용 횟수를 상대값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예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은, 비교예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대해, 사용 후의 내화물층의 잔 두께가 두껍고, 사용 수명을 연장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예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있어서는, 수평 단면이 원형상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비하여 레이들 용적을 확대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시험 No.A 내지 H로서, 트러니언축(18)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에 있어서,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상기 트러니언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축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를 구비한 형상의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준비하였다. R1, R2, R3MIN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제1 내화물층(내화 벽돌)의 두께 t1과 제2 내화물층(부정형 내화물)의 두께 t2의 비 t2/t1을 표 1에 나타낸다.
상술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사용하여 용강의 이송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레이들의 유효 용적, 사용 횟수, 내화물층의 잔 두께의 최솟값, 곡선부에 있어서의 내화물층의 균열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종 평가는, 시험 A를 기준(=1)으로 하여, 상대 평가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R3MIN=0.3×R1, R3MIN=0.3×R2로 한 시험 No.G 및 R3MIN=0.25×R1, R3MIN=0.25×R2로 한 시험 No.H에 있어서는, 곡선부에 있어서 내화물층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0.401×R1<R3MIN<R1, 0.401×R2<R3MIN<R2를 충족시키는 시험 No.B 내지 F에 있어서는,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는 시험 No.A에 비하여 유효 용적이 커졌다. 또한, 곡선부에 있어서의 내화물층으로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R3MIN=0.401×R1 및 R3MIN=0.401×R2로 한 NoE와 No.F를 비교하면, 제1 내화물층(내화 벽돌)의 두께 t1과 제2 내화물층(부정형 내화물)의 두께 t2의 비 t2/t1을 1로 한 No.E는, t2/t1을 0.5로 한 No.F보다, 내화물층의 잔 두께가 40㎜에 도달할 때까지의 내화물 사용 횟수가 많아지고, 내화물층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 금속용 레이들의 레이들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융 금속용 레이들에 작용하는 열 응력을 억제하여 보수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을 제공할 수 있다.
1: 용융 금속용 레이들
10: 레이들 본체
11: 제1 원호
12: 제2 원호
13: 곡선부
18: 트러니언축
20: 내화물층
21: 제1 내화물층
22: 제2 내화물층

Claims (2)

  1. 레이들 본체와, 이 레이들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화물층을 갖고, 상기 레이들 본체의 양측에 트러니언축을 구비한 용융 금속용 레이들이며,
    상기 레이들 본체의 상기 트러니언축을 포함하는 수평 단면이,
    상기 트러니언축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1이며, 상기 트러니언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1 원호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중심축 상에 중심을 갖고, 곡률 반경이 R2이며,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제2 원호와,
    상기 제1 원호와 상기 제2 원호를 연결하는, 최소 곡률 반경이 R3MIN인 곡선부
    를 구비한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호의 곡률 반경 R1, 상기 제2 원호의 곡률 반경 R2, 상기 곡선부의 최소 곡률 반경 R3MIN이 하기의 식 (1) 내지 식 (3)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
    식 (1): 0.401×R1<R3MIN<R1
    식 (2): 0.401×R2<R3MIN<R2
    식 (3): R1≤R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층은, 상기 레이들 본체측에 배치된 제1 내화물층과, 이 제1 내화물층의 내측에 배치된 제2 내화물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내화물층은 내화 벽돌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내화물층은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용 레이들.
KR1020207024590A 2018-08-14 2019-08-13 용융 금속용 레이들 KR102410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2619 2018-08-14
JP2018152619 2018-08-14
PCT/JP2019/031852 WO2020036179A1 (ja) 2018-08-14 2019-08-13 溶融金属用取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80A true KR20200108480A (ko) 2020-09-18
KR102410966B1 KR102410966B1 (ko) 2022-06-22

Family

ID=6952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590A KR102410966B1 (ko) 2018-08-14 2019-08-13 용융 금속용 레이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92016B2 (ko)
KR (1) KR102410966B1 (ko)
CN (1) CN111788024B (ko)
TW (1) TWI716065B (ko)
WO (1) WO202003617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728A (ja) 1999-03-08 2000-09-19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用取鍋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2010188405A (ja) * 2009-02-20 2010-09-02 Kobe Steel Ltd 取鍋内の残鋼量の低減方法
JP2016059940A (ja) 2014-09-18 2016-04-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金属用取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9Y2 (ja) * 1980-01-21 1985-03-2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内張耐火材の解体作業における可動デッキ
JP3508421B2 (ja) * 1996-10-08 2004-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金属の輸送容器
DE102004003522B3 (de) * 2004-01-21 2005-05-25 Mannesmannröhren-Werke Ag Gefäß für metallurgische Zwecke
JP4506587B2 (ja) * 2005-06-28 2010-07-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金属保持容器
CN201823925U (zh) * 2010-03-08 2011-05-11 浙江自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包包底冲击区的预制块
CN102430749B (zh) * 2011-12-31 2013-08-21 大冶特殊钢股份有限公司 椭圆形钢包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728A (ja) 1999-03-08 2000-09-19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用取鍋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2010188405A (ja) * 2009-02-20 2010-09-02 Kobe Steel Ltd 取鍋内の残鋼量の低減方法
JP2016059940A (ja) 2014-09-18 2016-04-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金属用取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92016B2 (ja) 2021-06-18
JPWO2020036179A1 (ja) 2021-02-15
KR102410966B1 (ko) 2022-06-22
CN111788024B (zh) 2021-09-07
TWI716065B (zh) 2021-01-11
CN111788024A (zh) 2020-10-16
TW202014256A (zh) 2020-04-16
WO2020036179A1 (ja)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03450A (ja) 連続鋳造鋳型
JP5001213B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102410966B1 (ko) 용융 금속용 레이들
AU2006207148B2 (en) Reverse slant lining structure of furnace with reduced part structure
JP6023650B2 (ja) ランスパイプ
JP2009108363A (ja) 炉の逆傾斜ライニング構造
KR101185979B1 (ko)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이음부 및 용접 구조체
JP2022160897A (ja) 溶融金属容器のライニング構造
JP5606177B2 (ja) 溶鋼搬送用取鍋
JP6645444B2 (ja) スラグ鍋
JP2020059904A (ja) 絞り部のれんが脱落防止構造
KR200444098Y1 (ko) 턴디쉬 댐
JP2016059940A (ja) 溶融金属用取鍋
JP3197534U (ja) 注湯受け部材、傾注樋及びスラグバケット
JP6226483B2 (ja) 真空脱ガス装置の環流管
TWI673124B (zh) 鑄造用注嘴
JP2013072137A (ja) 製鋼用容器の内張りライニング構造
JP5671811B2 (ja) インジェクションランス
JP2017136598A (ja) スライディングゲートプレート
KR101586931B1 (ko) 래들
WO2021106120A1 (ja) 溶鋼処理用の浸漬管
JP2019115917A (ja) 溶融金属保持容器の内張り耐火物の施工方法及び溶融金属保持容器
JP2010227958A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5291814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2010162571A (ja)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鋼板溶接継手及び溶接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