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468A -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468A
KR20200108468A KR1020207023882A KR20207023882A KR20200108468A KR 20200108468 A KR20200108468 A KR 20200108468A KR 1020207023882 A KR1020207023882 A KR 1020207023882A KR 20207023882 A KR20207023882 A KR 20207023882A KR 20200108468 A KR20200108468 A KR 2020010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lement
loading compartment
compartment assembly
wal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회펠
파비안 랑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20010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제안된 해결책은 특히 차량용 적재 격실 조립체(V)에 관한 것이며,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지지 요소(T);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배치되는 벽 요소(1)로서, 벽 요소는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 벽 요소(1)는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고, 벽 요소(1)는 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의 전방측(TA)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10B 내지 10D)에 의해 돌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위한 적재 격실(A)을 형성하는, 벽 요소(1); 및 외력에 의한 벽 요소(1)의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1)를 포함한다.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저장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선회되고 적재 공간(A)의 기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가능 장착 기부 요소(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제안된 해결책은 특히 지지 요소를 가지며,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고, 적재 격실을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사용 위치로 올 수 있는 벽 요소를 갖는 차량용 적재 격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지 요소를 가지며,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벽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가 예를 들어 DE 10 2016 102 903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벽 요소는 이 경우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며 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의 전방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세장형 굽힘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탄성 굽힘 요소는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윤곽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만곡된다. 구동 모터를 갖는 구동 수단이 미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의 조정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적재 격실 조립체는 벽 요소가 미사용 위치에서 공간-절약 방식으로 퇴피되고 지지 요소,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트림의 전방으로부터 가능한 적게 돌출하거나 전혀 돌출하지 않도록 한다. 벽 요소가 외향으로 만곡되는 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에 있는 벽 요소를 통해 접근가능한 적재 공간이 물건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 10 2016 10 209 03 A1에서는, 벽 요소의 사용 위치에서 어쨌든 존재하는 저장 격실에 접근가능해지는 것이 특히 강조된다. 사용 위치에 있는 외향 만곡 벽 요소에 의해, 적재 격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구가 따라서 형성된다. 미사용 위치에서, 적재 격실 또는 대응하는 개구가 폐쇄된다.
제안된 해결책은 이제 특히 조정가능한 벽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적재 공간의 사용 용이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적재 격실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적재 격실 조립체 및 청구항 14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적재 격실 조립체 모두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20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지지 요소,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벽 요소, 및 또한 외력 작동에 의한 벽 요소의 조정을 위한 구동 수단 이외에, 저장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벽 요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그 저장 위치로부터 그 기능 위치로 선회되고 그 사용 위치에서 벽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 공간의 기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가능 장착 기부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적재 격실 조립체가 제안된다.
따라서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는 벽 요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재 공간 내의 물건이 배치될 수 있는 기부를 갖는 적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선회가능한 및 따라서 예를 들어 절첩가능한 기부 요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 격실은 벽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에서 특히 벽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 기부를 갖는다. 벽 요소가 그 미사용 위치로 조정되는 경우, 기부 요소는 안으로 절첩되고, 벽 요소는 예를 들어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데, 즉 거기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벽 요소 및 퇴피된 또는 안으로 절첩된 기부 요소는 따라서 지지 요소 상에 긴밀하게 적재된다.
적재 공간의 기부를 형성하는 기부 요소는 원칙적으로 물건이 그 위에 확실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굴곡 강성적일 수 있다.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지지 요소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저장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기부 요소는 따라서 지지 요소 자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는 특히 기부 요소가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형성된 선회축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 상에서 선회될 수 있는 실시예 변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부 요소는 힌지에 의히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가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적재 격실 조립체가 의도된 데로 설치될 때, 이러한 선회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벽 요소 아래에서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회축을 통해 그 저장 위치로부터 그 기능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정 동안, 기부 요소는, 조정 이동의 과정에서 물건이 배치될 수 있는 기부 요소의 점점 커지는 섹션이 연장되도록, 벽 요소 아래의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회전된다. 기능 위치에서, 연장된 기부 요소는 이후 예를 들어 최대 가능 배치 표면적을 제공한다.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그 저장 위치에서 사용 위치에 있는 벽 요소와 지지 요소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수용된다. 특히, 이 경우 기부 요소는 벽 요소와 지지 요소 사이에 완전히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그 사이에 끼인다. 예를 들어, 기부 요소는 판 유형 구성요소로서 실현되며, 저장 위치로 절첩될 때 미사용 위치에 있는 퇴피된 벽 요소의 내측의 반대측에 놓이며, 따라서 적재 격실 조립체는 벽 요소가 지지 요소의 미사용 위치에 있을 때 매우 평탄한 구조를 실현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부 요소는 그 기능 위치에서 벽 요소에 기댈 수 있다. 이 경우 기부 요소가 따라서 그 기능 위치에 있는 경우, 기부 요소는 사용 위치에 있는 벽 요소에 접촉한다. 이는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 격실의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기능 위치에서, 기부 요소는 이 경우 지지 요소의 내측으로부터 사용 위치에 있는 벽 요소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부 요소는 외측으로부터(예를 들어, 수동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지지 요소를 향한 벽 요소의 변위를 방해한다.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그 저장 위치에서 벽 요소와 지지 요소 사이의 간극에 수용되지 않고, 그 저장 위치에서 지지 요소의 전방측 뒤에 위치되는 저장 영역에 수용된다. 이러한 저장 영역은 예를 들어 지지 요소에(그 후방측에) 제공되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응하는 저장 위치로부터, 기부 요소는 이후 예를 들어 그 기능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의 개량에서, 평탄한 및 예를 들어 디스크-형상 기부 요소가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슬롯 또는 간극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그 기능 위치에서 벽 요소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 위치의 벽 요소의 하위 에지와 기능 위치의 기부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그 기능 위치로 편향, 특히 탄성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편향력이 기부 요소에 가해지고, 이에 의해 기부 요소는 벽 요소가 더 이상 이러한 조정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 위치로 이동될 때 기능 위치로 자동으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은 외력 작동에 의해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벽 요소를 조정하기 위해서 벽 요소에만 결합된다. 벽 요소가, 사용 위치로 가게 되는 결과로서, 적용된 편향력의 효과에 의해 기부 요소를 시프트되도록 허용하는 경우, 기부 요소는 그 저장 위치로부터 그 기능 위치를 향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시프트된다. 기부 요소는 이 경우 이후에 예를 들어 기부 요소에의 벽 요소의 작용에 의해 그리고 편향력에 반하여 저장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벽 요소는 이 경우,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조정(특히, 구동 수단에 의해 외력 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벽 요소의 조정) 시에 - 필요한 경우 사용 위치로부터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최소 조정 거리를 이동한 후에 - 벽 요소가 기부 요소에 작용하고, 그리고 벽 요소의 추가의 변위 시에 기부 요소를 그 저장 위치의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특히 기부 요소를 그 저장 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기부 요소와 조합되어 작용한다.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는 게이트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롯 및 그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 또는 가이드 요소는 이 경우 기부 요소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 요소의 가이드 요소는 구동 기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가이드 슬롯에 결합된다. 이는 특히 벽 요소 및 기부 요소의 양쪽 모두가 구동 수단에 의해 외력에 의해 작동되며 따라서 모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은 이 경우, 가이드 링크의 선형(병진) 조정에 의해, 가이드 요소가 위에서 슬라이딩할 때에 기부 요소를 위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조정 경로가 부여되고, 따라서 가이드 슬롯의 선형 조정은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기부 요소의 조정 이동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조정된 가이드 슬롯을 통해 기부 요소의 가이드 요소에 작용한다. 따라서, 게이트에 의해, 구동 수단의 구동 요소의 병진 조정 이동이 기부 요소의 회전 또는 선회 이동으로 변환된다.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는 구동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제1 (단부) 섹션을 갖고, 미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벽 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구동 수단에 의해 제1 섹션이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제2 (단부) 섹션을 갖는다. 제1 섹션은 구동 수단에 의해 조정가능한 한편, 제2 섹션은 지지 요소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데, 특히 지지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따라서 제1 섹션을 고정된 제2 섹션에 대해 시프트시키고 이에 의해 벽 요소의 탄성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서 벽 요소의 제1 섹션에만 결합된다. 이 경우, 구동 수단에 의해, 벽 요소의 탄성 변형이 결과적으로 사용 위치를 취하게 하기 위해 지지 요소의 전방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더 크게) 벽 요소를 굽히도록 고정된 제2 섹션에 대한 제1 섹션의 조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의 제1 및 제2 섹션 모두가 예를 들어 (사용 위치를 취하는 목적을 위해) 서로를 향해 그리고 (미사용 위치를 취하는 목적을 위해)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 수단에 의해 조정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벽 요소는 세장형일 수 있는데, 특히 스트립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수단에 결합되는 세장형 벽 요소의 단부 섹션이 벽 요소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벽 요소의 제1 섹션이 지지 요소 상에서 병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은 제1 섹션을 병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선형 가이드를 갖는다. 이러한 선형 가이드는 예를 들어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변형에서, 구동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요소의 후방측에 제공되는데, 특히 이 후방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벽 요소의 제1 섹션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 수단의 선형 가이드가 지지 요소의 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벽 요소의 제1 섹션은 결국 지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통과 개구를 통해 구동 수단의 구동 요소에 결합되어, 구동 요소의 조정의 결과로서 벽 요소의 섹션을 일제히 구동한다.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후 이들 세그먼트들은 예를 들어 벽 요소의 종방향 범위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을 통해 서로 쌍으로 연결된다. 벽 요소의 세그먼트는 이 경우 결과적으로 벽 요소를 사용 위치로 오게 하기 위해 벽 요소의 변형이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허용되게 강성을 갖도록 또는 적어도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보다 강성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은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의 변화를 위해 벽 요소의 선택적 조정성 및 국부적인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구동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벽 요소의 (제1 또는 제2) 섹션은 원칙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벽 요소의 하나의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동 수단에 결합되는 벽 요소의 제1 세그먼트/제1 (단부) 섹션은 벽 요소의 종방향 범위의 방향에서 탄성 변형가능 굽힘 영역에 그리고 이후 벽 요소의 추가적인 (더 강성의) 세그먼트에 연결된다.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수단에 의해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벽 요소를 조정하는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윤곽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만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를 포함한다. 스트립 요소의 일 단부는 이 경우 벽 요소의 조정가능 제1 (단부) 섹션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 스트립 요소의 다른 제2 단부는 지지 요소에 고정되는 벽 요소의 제2 (단부) 섹션의 일부일 수 있다. 이후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립 요소 위에 높이거나 그것을 덮는 벽 요소의 장식 또는 트림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의 개선에서, 벽 요소는 또한 서로 평행하며 각각 탄성 변형가능한 복수의(적어도 2개의) 스트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추가의 개선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는 벽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스트립 요소의 변형을 국부적으로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에 연결된다. 스트립 요소의 변형을 국부적으로 방해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스트립 요소를 국부적으로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에의 스트립 요소의 연결은, 결과적인 적재 공간의 소정의 형상, 및 벽 요소의 한편에서는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으로의 및 다른 편에서는 더 강성의 세그먼트로의 연관된 하위분할을 미리 규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벽 요소의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은 예를 들어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가 보강 요소에 의해 보강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다.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따라서 스트립 요소가 용이하게 변형가능하지 않은, 특히 용이하게 만곡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그에 따라 벽 요소의 (더 강성의/더 강성의) 세그먼트가 존재하게 된다.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사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제안된 해결책의 추가의 양태는 벽 요소를 둘러싸는 영역의 물건이 검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신호 - 이에 따라 구동 수단에 의한 벽 요소의 조정이 제어될 수 있음 - 가 생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예를 들어 적재 공간 또는 벽 요소의 조정 경로에의 물건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몸짓 형태의 미리규정된 동작 이벤트가 신호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센서 수단의 제공의 양태는 이 경우 저장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가능 장착 기부 요소를 적재 격실 조립체에 장착하는 것과 명백히 독립적이다. 그러나, 명확하게는, 양 양태의 조합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이 장착된 적재 격식 조립체의 실시예 변형에서, 적재 공간의 물건은 예를 들어 벽 요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어도 벽 요소의 그 미사용 위치로의 조정이 적재 공간에 위치되는 물건에 의해 차단되는지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작동되는 미사용 위치로의 조정은 이 경우 벽 요소의 변위 경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어떠한 장애물도 검출되지 않고 벽 요소의 사용 위치에 형성되는 적재 격실의 적재 공간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벽 요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센서 수단에 의해 적재 공간의 물건이 검출될 수 있는 기본적인 개념에 기초하여, 추가의 개선에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벽 요소는 적재 공간에 위치되는 물건을 적재 공간에 클램핑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서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그러나 미사용 위치로 가는 것은 아님) 의도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적재 격실 조립체는 예를 들어 사용 위치의 벽 요소를 적재 공간에 위치되는 물건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건이 적재 공간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된 벽 요소는 적재 공간의 물건을 클램핑 방식으로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벽 요소는 이 경우 결과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적재 공간에 클램핑하기 위해서 구동 수단에 의해 (더 크게) 텐셔닝(tensioning)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벽 요소를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적어도 약간 조정하고 따라서 미사용 위치의 도달까지의 가능한 조정 경로의 일부에 걸쳐서만 벽 요소를 조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기초한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는 먼저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갈 수 있다. 물건이 결과적인 적재 공간에 배치된 후에, 적재 공간에의 물건의 배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식별되며, 이에 응답하여 벽 요소는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벽 요소는 이 경우 적재 공간에 위치된 물건에 기댈 수 있으며, 물건을 벽 요소의 내측과 지지 요소의 전방측 사이에서 자동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에 의한 물건의 검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는 예를 들어 정전식 또는 유도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 공간의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적재 격실 조립체의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가 예를 들어 특히 사용 위치의 벽 요소의 미사용 위치로의 (완전한) 조정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벽 요소는 이 경우 외력 작동에 의해 예를 들어 사람의 신체의 일부가 벽 요소의 퇴피에 의해 트랩(trap)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재 공간에 위치된 물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미사용 위치로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변형에 기초하여, 적재 공간에서 검출된 물건을 벽 요소에 의해 적재 공간에 클램핑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의 조정이 촉발될 수 있다. 그러나, 벽 요소의 미사용 위치로의 완전한 조정은 차단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벽 요소의 전방의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즉, 적재 공간의 외부에 있는, 예를 들어 벽 요소에 의해 형성된 벽 요소의 외측에 인접하는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연장되는 벽 요소의 조정 경로의 가능한 장애물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 변형에서 벽 요소의 조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서만 촉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작 이벤트, 특히 벽 요소의 전방에서 사용자에 의해 의도한 대로 행해지는 몸짓이 미사용 위치 및/또는 사용 위치로의 벽 요소의 조정을 촉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 및 거기에 결합된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의해 벽 요소의 전방에서 행해지는 몸짓, 예를 들어 휘두르는 몸짓이 검출될 수 있고 이는 연장 및 따라서 사용 위치로의 벽 요소의 조정 또는 반대로 퇴피 및 따라서 미사용 위치로의 벽 요소의 조정을 촉발한다는 의미로 평가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의 추가적인 양태는 외력 작동에 의해 적재 격실 조립체의 벽 요소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벽 요소는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다. 미사용 위치에서, 벽 요소는 지지 요소의 전방측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한편, 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위한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벽 요소는 지지 요소의 전방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의해 돌출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예를 들어, 사용 위치에서, 벽 요소는 전방측의 윤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된다. 제안된 방법은 부가적으로 벽 요소의 조정이 벽 요소를 둘러싸는 영역의 물건이 검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구동 수단에 의한 벽 요소의 조정은 결과적으로 적재 공간 또는 벽 요소의 조정 경로의 물건의 존재 및/또는 예를 들어 몸짓 형태의 미리규정된 동작 이벤트의 비접촉식 식별에 의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이 장착된 적재 공간 조립체의 대응하는 실시예 변형과 관련하여, 위에서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 및 장점은 따라서 제안된 방법의 실시예 변형에도 적용되며 그 반대로도 된다.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는 차량, 특히 차량 도어, 트렁크, 시트 등받이의 후방측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요소는 특히 차량 도어, 트렁크, 시트 등받이,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예로서 제안된 해결책의 가능한 실시예 변형을 나타낸다.
도 1a는 지지 요소의 전방측에 기대어 있는 미사용 위치의 벽 요소를 갖는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실시예 변형을 도시하고;
도 1b는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적재 공간을 갖는 적재 격실이 벽 요소 및 절첩된 기부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사용 위치의 벽 요소를 갖는 도 1a의 적재 격실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2는 벽 요소의 조정을 위한 구동 수단을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의 후방측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모습의 미사용 위치의 벽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4c는 벽 요소가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가고 있을 때의 적재 격실 조립체의 도 3a 내지 도 3c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 위치의 벽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의 도 3a 내지 도 3c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도 6은 적재 격실 조립체의 추가적인 실시예 변형의 도 1b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도 7a 내지 도 7c는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추가적인 실시예 변형의 경우에 있어서의 벽 요소가 그 사용 위치로 그리고 기부 요소가 그 기능 위치로 조정되는 동안의 다양한 단계의 사시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도 8은 퇴피되고 따라서 하우징 상의 저장 위치에 있는 기부 요소의 이면을 향해 봤을 때의 미설치 상태의 도 7a 내지 도 7c의 적재 격실 조립체의 하우징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9는 기부 요소가 제거된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부 요소의 기능 위치로의 조정 동안의 도 7a 내지 도 9의 적재 격실 조립체의 기부 요소의 조정을 위한 게이트를 갖는 조정 기구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5c는 세장형 벽 요소(1)의 조정에 의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지지 요소(T) 상에 적재 격실이 형성될 수 있는 적재 격실 조립체(V)의 벽 요소(1)의 다양한 모습 및 위치를 도시한다. 지지 요소(T)는 도 1a 내지 도 5c에서 평탄한 구성요소로서 표현된다. 이는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내부 트림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 요소는 또한 트렁크 라이닝의 일부, 시트 등받이의 후방측의 일부,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의 일부일 수 있다.
지지 요소(T)는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또는 차량의 적재 공간에 대면하는 전방측(TA)을 갖는다. 세장형 벽 요소(1)는 이 전방측(TA)에 배치된다. 도 1에 표현된 미사용 위치에서, 벽 요소(1)는 이 경우에 지지 요소(TA)의 전방측(TA)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며 이 경우 전방측(TA)에 평행하다. 벽 요소(1)는 스트립의 형태로 실현되며,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부터 약간만 돌출한다.
벽 요소(1)는 본 경우에 탄성 가요성 영역(11A, 11B, 11C 및 11D)을 통해 서로 쌍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세그먼트(10A, 10B, 10C, 10D 및 10E)로 구성된다. 벽 요소(1)의 제1 세그먼트(10A)는 벽 요소(1)의 제1 종방향 단부에서 지지 요소(T)의 후방측(TB)에 배치되는 구동 수단(2)에 결합된다. 벽 요소(1)의 다른 종방향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세그먼트(10E)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벽 요소(1)는 이것이 도 1a에 표현된 미사용 평탄 위치로부터 도 1b에 표현된 사용 위치로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특히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11A, 11B, 11C 및 11D)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이러한 사용 위치에서, 중간 세그먼트(10B, 10C 및 10D)를 갖는 벽 요소(1)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만곡되며 그 자체와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 사이에 물건이 배치될 수 있는 적재 공간(A)을 형성한다.
외력 작동에 의한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의 그리고 그 반대로의 벽 요소(1)의 조정 목적을 위해, 제1 세그먼트(10A)는 지지 요소(T) 상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며 구동 수단(2)에 의해 병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0A)가 구동 수단(2)에 의해 고정된 제2(단부) 세그먼트(10D)의 방향으로 구동 방향(R1)을 따라 조정되는 경우, 벽 요소(1)는 그 중간 세그먼트(10B 내지 10D)를 통해 외향으로 자동으로 만곡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구동 방향(R1) 및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수직인 조정 방향(R2)을 따른다.
지지 요소(T) 상에서 제1 세그먼트(10A)를 안내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T) 상에는 상호 평행한 슬롯(S1 및 S2) 형태의 2개의 관통 개구가 형성된다. 이들 슬롯(S1 및 S2)을 통해 연결 요소가 결합되며, 이 연결 요소를 통해 제1 세그먼트(10A)는 구동 수단(2)의 변위가능 안내 슬라이드(21)(특히 도 2 참조) 형태의 구동 요소에 연결된다. 벽 요소(1)는 세그먼트(10A)가 슬롯(S1 및 S2)을 따라 고정 세그먼트(10D)를 향해 또는 고정 세그먼트(10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결과로서 연장 또는 퇴피될 수 있다. 적재 공간(A)을 갖는 적재 격실이 물건을 수용하는데 요구되지 않는 경우, 벽 요소(1)는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도 1a에 표현된 미사용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물건이 적재 공간(A) 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선회가능 장착 판 유형의 굴곡 강성 기부 요소(12)를 포함한다. 이 기부 요소(12)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지지 요소(T)에 장착된다. 도 1에 표현되는 벽 요소(1)의 미사용 위치에서, 기부 요소(12)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방향으로 절첩되며 전방측(TA)과 미사용 위치에 있는 퇴피된 벽 요소(1) 사이의 간극에 수용된다. 이 경우, 기부 요소(12)는 벽 요소(1)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부 요소(12)의 저장 위치로부터, 기부 요소(12)는 벽 요소(1)가 도 1b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올 때 선회 방향(R3)을 따라 선회축(S)을 중심으로 외향으로 자동으로 절첩될 수 있다. 기부 요소(12)는 이후 벽 요소(1)에 의해 선회 방향(R3)을 따라 더 이상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벽 요소(1)가 사용 위치로 올 때 그 기능 위치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절첩된다. 기능 위치에서, 기부 요소(12)는 이후 물건이 배치될 수 있는 적재 공간(A)의 기부를 형성한다.
벽 요소(1)와 기부 요소(12) 사이의 연결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견인 수단에 의해 기부 요소(12)를 그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절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된 벽 요소(1)는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될 때 기부 요소(12)를 그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절첩하기 위해 기부 요소(12)에 견인력을 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기부 요소(12)는 벽 요소(1)가 그 사용 위치로 절첩될 때 자중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자동으로 절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기부 요소(12)는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그 기능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기부 요소(12)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요소는 이 경우 예를 들어 한편에서는 지지 요소에 그리고 다른 편에서는 기부 요소(12)에 지지될 수 있다. 외부로 절첩된 기능 위치에서, 기부 요소(12)는 벽 요소(1)의 내부에 기대며 따라서 그것에 의해 형성된 적재 격실을 보강한다.
구동 수단(2)에 의해 제1 세그먼트(10A)가 고정된 제2 세그먼트(10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정되고, 따라서 벽 요소(1)가 그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경우, 벽 요소(1)는 특히 그 중앙 세그먼트(10C)에 의해 조정 방향(R4)을 따라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방향으로 조정된다. 벽 요소(1)는 이 경우 기부 요소(12)에 작용하며, 따라서 기부 요소(12)는 벽 요소(1)에 의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선회축(S)을 중심으로 저장 위치로 역으로 선회된다. 결과적으로 제1 세그먼트(10A)가 벽 요소(1)를 연장시키기 위한 구동 방향(R1)과 반대인 구동 방향(R5)으로 구동 수단(2)에 의해 조정되는 경우, 기부 요소(12)는 또한 그 저장 위치로 자동으로 절첩된다. 벽 요소(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사용 위치로 완전히 오게 되면, 기부 요소(12)는 다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과 벽 요소(1) 사이에 끼인다.
벽 요소(1)는 원칙적으로 스트립 유형의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는 예를 들어 스프링 강으로 제조된다. 강성 세그먼트(10A 내지 10E)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스트립 요소는 보강 요소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벽 요소(1)의 외측을 시각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해서 장식 또는 트림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보강 요소는 스트립 요소에 단지 국소적으로만 부착되며, 따라서 2쌍의 인접 세그먼트(10A/10B, 10B/10C, 10C/10D 및 10D/10E) 사이에는 탄성 변형가능 굽힘 영역(11A 내지 11D)으로서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재 격실의 형상을 결정하며 벽 요소(1)가 사용 위치로 외향으로 굽혀질 수 있게 하는 자유 비보강 영역이 존재한다.
도 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수단(2)은 지지 요소(T)의 후방측(TB)에 고정된다. 표현된 실시예 변형에서, 구동 수단(2)은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형 가이드를 갖는다. 이 경우 지지 요소(T)의 후방측(TB)에는 슬라이드(21) 형태의 변위가능 장착 구동 요소를 위한 슬라이드 가이드(200)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20)이 고정된다. 슬라이드(21)는 벽 요소(1)의 제1 세그먼트(10A)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지지 프레임(20)을 따른 슬라이드(21)의 변위가 벽 요소(1)의 고정된 제2 단부 세그먼트(10E)에 대한 제1 단부 세그먼트(10A)의 대응하는 변위를 직접적으로 초래한다.
슬라이드(21)의 조정은 이 경우 슬라이드(21)의 스핀들 너트와 맞물리는 스핀들(20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스핀들(201)은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동 방향(R1 또는 R5)을 따라 - 스핀들(201)의 회전의 방향에 따라 - 슬라이드(21)를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그 스핀들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목적을 위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a 내지 도 3c에 표현된 미사용 위치로부터 도 4a 내지 도 4c에 표현된 중간 위치(1)를 통해 도 5a 내지 도 5c에 표현된 벽 요소(1)의 미사용 위치로 오고 있는 벽 요소(1)를 도시한다. 도 3c, 도 4c 및 도 5c는 이 경우 도 3a, 도 4a 또는 도 5a에 표현된 단면선 C-C를 따른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벽 요소(1)의 그 평탄한 미사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 - 벽 요소(1)가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 상에서 돌출함 - 로의 연장은 예를 들어 구동 수단(2)에 결합된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는 도 1a에 표현된 센서 수단(4.1, 4.2 및 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수단(4.1, 4.2 또는 4.3)은 예를 들어 벽 요소(1) 주위의 영역에서의 물건의 비접촉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정전식 또는 유도식 센서를 갖는다.
도 1a의 실시예 변형의 경우에, 복수의 센서 수단(4.1, 4.2 및 4.3)이 특히 내부에 통합된 벽 요소(1)의 다양한 (여기서는 중간) 세그먼트(10B, 10C 및 10D)에 제공된다. 센서 수단(4.1, 4.2 및 4.3)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센서 신호에 따라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에 의해 벽 요소(1)의 조정이 구동 수단(2)을 통해 제어된다. 이 경우, 센서 수단(4.1 내지 4.3)의 하나 이상의 신호는 예를 들어 적재 공간(A)(벽 요소(1)가 연장되어 있음) 또는 벽 요소(1)의 조정 경로(벽 요소(1)가 사용 위치로 오는 동안 또는 그 전)에의 물건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동작 이벤트가 예를 들어 센서 수단(4.1 내지 s4.3)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검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벽 요소(1)의 조정이 촉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시예 변형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또는 4.3)에 의해 벽 요소(1)가 사용 위치로 시프트된 후에, 형성된 적재 격실의 적재 공간(A)에 물건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적재 격실(A)에의 물건의 배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벽 요소(1)는 그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그러나 미사용 위치로 가는 것은 아님) 자동으로 시프트된다. 이는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벽 요소(1)가 텐션되게 하고 그 중간 세그먼트(10B 내지 10D)가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적재 공간(A)에 위치된 물건이 벽 요소(1)에 의해 전방측(TA)에 대해 가압되고 적재 공간(A)에 클램핑된다. 따라서 물건은 적재 공간(A) 밖으로의 뜻하지 않은 탈락으로부터 보호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또는 4.3)이 각각의 물건이 사용자에 의해 촉발되는 벽 요소(1)의 그 미사용 위치로의 조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재 공간(A)에서 물건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재 공간(A)에서 물건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는 벽 요소(1)의 그 미사용 위치로의 (완전한) 조정을 차단한다. 따라서 센서(4.1, 4.2, 4.3) 중 적어도 하나는 이 경우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에 의해 제공되는 트랩-방지 보호 장치(anti-trap protection device)의 일부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벽 요소(1)를 조정하기 위한 동작 이벤트가 센서 수단(4.1, 4.2 또는 4.3)(또는 복수의 센서 수단(4.1, 4.2 및 4.3)에 의해 검출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사용 위치의 벽 요소의 전방에서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몸짓이 검출가능할 수 있고 적재 격실을 연장시키기 위한 동작 이벤트로서 평가될 수 있다. 허용되는 동작 이벤트가 결과적으로 제어 전자기기(5)의 세트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 구동 수단(2)은 벽 요소(1)를 연장시키고, 기부 요소(12)를 밖으로 절첩시킴으로써 적재 공간(A)을 갖는 적재 격실을 제공하도록 활성화된다. 마찬가지로, 적재 격실이 연장될 때, 사용 위치의 벽 요소(1)의 전방에서 행해진 몸짓이 검출가능할 수 있고, 그 결과 벽 요소(1)는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그 미사용 위치로 돌아가고 따라서 퇴피된다.
도 6에서 일례로서 표현된 바와 같이, 국소적 강성을 갖는 연속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로부터의 벽 요소(1)의 구성이 명확히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6에 표현된 실시예 변형의 경우에, 복수의 상호 평행한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1.1 및 1.2)가 벽 요소(1)에 제공된다. 이들 스트립 요소(1.1 및 1.2)는 탄성 변형가능 가요성 굽힘 영역(11A 내지 11D)을 형성한다. 벽 요소(1)의 강성 세그먼트(10A 내지 10E)는 스트립 요소(1.1 및 1.2)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는 평탄한 보강재의 영역에 형성된다.
도 7a 내지 도 7c, 도 8,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c는, 선회가능 장착 기부 요소(12)가 스트립 유형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재 공간(A)의 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재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제안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추가적인 실시예 변형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10c의 적재 격실 조립체의 벽 요소(1)의 조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이 벽 요소(1)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물건을 검출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도 7a 내지 도 7c의 실시예 변형의 벽 요소(1)는 가요성 스트립으로서, 예를 들어 스프링-강 스트립으로서 실현된다. 가요성 벽 요소(1)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벽 요소(1)와 함께 변위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트림 구성요소로 코팅되고 및/또는 덮일 수 있는데, 특히 덮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 변형과 대조적으로, 기부 요소(12)가 기부 요소(12)의 기능 위치를 형성하는 연장 상태에 있을 때, 도 7a 내지 도 10c의 적재 격실 조립체는 사용 위치의 벽 요소(1)로부터의 간격을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10c의 기부 요소(12)의 선회축(S)이 또한 도 1a 내지 도 6의 실시예 변형의 선회축(S)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적재 격실 조립체가 의도된 데로 설치될 때, 도 7a 내지 도 10c의 실시예 변형의 선회축(S)은 결과적으로 수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기부 요소(12)는 이 경우 지지 요소(1)의 전방측(TA)에 반드시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필요는 없다. 기부 요소(12)는, 저장 위치로부터 그 기능 위치로의 조정 동안, 기부 요소(12)의 그 기능 위치로의 조정 이동의 과정에서, 물건이 배치될 수 있는 기부 요소(12)의 점점 커지는 섹션이 연장되는 방식으로 선회축(S)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부 요소(12)의 상측(12O)의 커지는 섹션이 조정 이동의 과정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 연장된다.
도 7a 내지 도 10c의 실시예 변형의 기부 요소(12)는 디스크-형상이며 이 경우 반원형 단면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기부 요소(12)가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 뒤에 완전히 감춰지는 방식으로 수용되는 저장 위치로부터 최대 가능 배치 표면적이 기부 요소(12)의 상측(12O)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 위치로의 기부 요소(12)의 조정 동안, 디스크-형상 기부 요소(12)는 기능 위치에서 그것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부터 벽 요소(1) 아래의 최대 범위로 돌출할 때까지 지지 요소(T) 밖으로 회전된다. 표현된 실시예 변형에서, 기부 요소(12)는 지지 요소(T) 상의 슬롯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저장 위치에서, 디스크-형상 기부 요소(12)는 도 8 및 도 9에 표현되는 적재 격실 조립체의 하우징(6)의 저장 영역(61)에 수용된다. 이 저장 영역(61)은, 예를 들어 기부 요소(12)가 그 퇴피된 저장 위치에 있을 때 거기서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6)의 하우징 벽의 리세스(61)에 의해 실현된다. 기부 요소(12)의 상측(12O)의 반대측의 기부 요소(12)의 하측(12U)은 리세스(61)를 포함하는 하우징(6)의 하우징 벽과 동일 높이, 특히 표면-동일 높이일 수도 있다.
저장 위치에서, 기부 요소(12)는 전달 기구의 구동부(22)를 완전히 덮으며, 전달 기구의 구동부에 의해 기부 요소(12)는 구동 수단(2)을 통해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조정될 수도 있다. 구동부(22)는 이 경우 전달 기구의 세장형 연결 스트립(23) 형태의 연결 요소에 고정, 예를 들어 그 위에 형성된다. 연결 스트립(23)은 구동 수단(2)에 의해 지지 요소(T)의 후방측(TB)을 따라 직선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구동 수단(2)에 의해 모터-구동되는 연결 스트립(23)의 직선 조정 이동 동안, 구동부(22)는 수반되어 구동되고 따라서 또한 종방향으로 조정된다.
구동부(22)는, 조정 동안, 그 위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20)을 통해, 기부 요소(12)의 하측(12U) 상에 돌출하는 가이드 핀(120)을 가이드 요소로서 수반하여 구동한다. 조정의 연속적인 단계를 위한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2)의 종방향 변위는 가이드 슬롯(220)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핀(120)에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한 선회 이동을 부여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핀(120)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부 요소(12)는, 또한 선회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 연결 스트립(23)이 모터에 의해 조정되는 구동 방향(R1 또는 R5)에 따라 - 기부 요소(12)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서 연장 또는 퇴피된다. 기부 요소(12)의 가이드 핀(120)과 함께, 구동부(22)의 가이드 슬롯(220)은 따라서 기부 요소(12)가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반대로 기능 위치로부터 저장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게이트를 형성한다.
도 7a 내지 도 10c에 표현된 실시예 변형에서, 구동 수단(2)은 따라서 벽 요소(1) 및 기부 요소(12) 양자 모두를 구동한다. 특히 연결 스트립(23) 및 구동부(22)를 포함하는 전달 기구를 통해, 구동 수단(2)의 슬라이드(21)는 예를 들어 결과적으로 벽 요소(1) 및 기부 요소(12) 모두를 구동한다. 구동 수단(2)에 의해 모터에 의해 생성되며 직선으로 작용하는 조정력이 따라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양 구성요소 모두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따라 표현된 실시예 변형에서, 연결 스트립(23)으로부터 수직으로 경사진 판 유형 구동부(22)는 기부 요소(1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기도 하는 하우징(6)의 하우징 벽 상의 리세스(62) 형태의 저장 영역에서 존재하고 안내된다. 연결 스트립(23)은 따라서 지지 요소(T)의 후방측(TB)과 하우징(6) 사이의 간극에서 종방향 변위가능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동부(23)에 의해 하우징(6)의 리세스(62) 내로 돌출할 수 있다. 구동부(22)는 그 가이드 슬롯(220)에 의해 리세스(62)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며, 리세스(62)의 종방향 범위(더 정확하게는, 이 종방향 범위를 형성하는 리세스(62)의 상호 대면 내벽)는 지지 요소(T)를 따른 구동부(22) 및 따라서 연결 스트립(23)의 허용 조정 경로를 형성한다. 구동부(22)는 리세스(62)의 2개의 상호 대면 내벽 중 하나를 넘어 조정될 수 없기 때문에, 기부 요소(12)의 가능한 단부 위치는 리세스(62)에 의해 미리정해진다.
구동부(22)를 위한 리세스(62)는 이 경우 기부 요소(12)를 위한 리세스(61) 내에 제공되지만, 이 경우 기부 요소(12)를 향하는 리세스(61)의 지탱 표면에 대해 후퇴된다. 이는 구동부(22)가 하우징 벽과 기부 요소(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하며, 이는 다시 적재 격실 조립체의 콤팩트한 설계를 지원한다.
제안된 해결책은, 사용되지 않을 때, - 지지 요소(T)의 내측(TA)에 평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는 적재 구성요소의 공간 절약적이고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배치를 허용한다. 적재 구성요소는, 필요한 경우에만, 즉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벽 요소(1)의 외향 만곡에 의해 가용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구성요소는, 외부 절첩식 기부 요소(12)에 의해, 결과적인 적재 공간(A)에 배치된 물건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재 격실 기부를 갖는다. 동시에, 기부 요소(12)의 외부 절첩은 제공된 적재 격실을 보강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변환가능 적재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또는 4.3)이, 적재 공간(A)에 배치된 물건이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자동으로 보장하고, 신체 부분의 원치 않는 걸림을 방지하며 및/또는 벽 요소(1)의 조정을 비접촉식으로 제어하도록 추가적인 동작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 벽 요소
1.1, 1.2 스트립 요소
10A 내지 10E 세그먼트
11A 내지 11D 굽힘 영역
12 기부 요소
120 가이드 핀(가이드 요소)
12O 상측
12U 하측
2 구동 수단
20 지지 프레임
200 슬라이드 가이드
201 스핀들
21 슬라이드(구동 요소)
22 구동부
220 가이드 슬롯
23 연결 스트립(연결 요소)
4.1, 4.2, 4.3 센서 수단
5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
6 하우징
61, 62 리세스(저장 영역)
A 적재 공간
R1, R5 구동 수단
R2, R4 조정 방향
R3 선회 방향
S 선회축
S1, S2 슬롯
T 지지 요소
TA 전방측
TB 후방측
V 적재 격실 조립체

Claims (22)

  1. 차량용 적재 격실 조립체로서,
    - 지지 요소(T),
    -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배치되고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벽 요소(1)로서, 벽 요소(1)는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고, 벽 요소(1)는 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위한 적재 공간(A)을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10B 내지 10D)에 의해 돌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벽 요소(1), 및
    - 외력 작동에 의한 벽 요소(1)의 조정을 위한 구동 수단(2)을 포함하고,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저장 위치와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벽 요소(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저장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선회되고 적재 공간(A)의 기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가능 장착 기부 요소(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지지 요소(T)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전방측(TA)에 형성된 선회축(S)을 중심으로 또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T) 상에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그 저장 위치에서 미사용 위치의 벽 요소(1)와 지지 요소(T)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수용되거나, 또는 기부 요소(12)는 그 저장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 뒤의 저장 영역(61)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그 기능 위치에서 벽 요소(1)에 기대거나, 또는 기부 요소(12)는 그 기능 위치에서 벽 요소(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그 기능 위치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 요소(12)는 게이트(120, 220)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그 기능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1)는 구동 수단(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제1 섹션(10A), 및 제2 섹션(10E)을 갖고, 제1 섹션(10A)은 벽 요소(1)를 그 미사용 위치와 그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하는 목적을 위해 구동 수단(2)에 의해 제2 섹션(10E)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섹션(10A)은 구동 수단(2)에 의해 지지 요소(T) 상에서 병진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제2 섹션(10E)은 지지 요소(T)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가요성 굽힘 영역(11A 내지 11D)을 통해 쌍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세그먼트(10A 내지 10E)를 포함하며, 및/또는 벽 요소(1)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탄성적이 되도록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1. 제8항 또는 제9항 및 제10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제1 섹션(10A)은 복수의 세그먼트(10A 내지 10E)의 제1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섹션은 복수의 세그먼트(10A 내지 10E)의 제2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1)는 벽 요소(1)를 그 미사용 위치로부터 그 사용 위치로 조정하는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1.1,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 스트립 요소(1,1, 1.2)는, 벽 요소(1)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10A 내지 10E) 상에서, 스트립 요소(1,1, 1.2)의 변형을 국소적으로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4. 특히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차량용 적재 격실 조립체로서,
    - 지지 요소(T),
    -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배치되고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벽 요소(1)로서, 벽 요소(1)는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고, 벽 요소(1)는 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위한 적재 공간(A)을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10B 내지 10D)에 의해 돌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벽 요소(1), 및
    - 외력 작동에 의한 벽 요소(1)의 조정을 위한 구동 수단(2)을 포함하고,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을 포함하고,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벽 요소(1)를 둘러싸는 영역의 물건이 검출될 수 있고,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라 구동 수단(2)에 의한 벽 요소(1)의 조정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벽 요소(1)가 그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재 공간(A)의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물건이 적재 공간(A)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되는 벽 요소(1)에 의해 적재 공간(A)에 물건을 클램핑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벽 요소(1)를 그 사용 위치에서 그 미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적재 공간(A)의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벽 요소(1)를 그 사용 위치에서 그 미사용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전자기기의 세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1)의 전방의 물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동작 이벤트가 미사용 위치 및/또는 사용 위치로의 벽 요소(1)의 조정을 촉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격실 조립체.
  20. 적재 격실 조립체(V)의 벽 요소(1)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벽 요소(1)는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에 배치되고 미사용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벽 요소(1)는 미사용 위치에서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고, 벽 요소(1)는 사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건을 위한 적재 공간(A)을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T)의 전방측(TA)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섹션(10B 내지 10D)에 의해 돌출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며,
    벽 요소(1)의 조정이 벽 요소(1)를 둘러싸는 공간의 물건이 검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4.1, 4.2, 4.3)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적재 격실 조립체를 갖는 차량.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재 격실 조립체(V)는 차량 도어, 트렁크, 또는 시트 등받이의 후방측 상에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07023882A 2018-01-23 2019-01-23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KR20200108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1004.8 2018-01-23
DE102018201004.8A DE102018201004A1 (de) 2018-01-23 2018-01-23 Staufachbaugruppe mit fremdkraftbetätigtem Wandungselement und schwenkbarem Bodenelement
PCT/EP2019/051563 WO2019145325A1 (de) 2018-01-23 2019-01-23 Staufachbaugruppe mit fremdkraftbetätigtem wandungselement und schwenkbarem boden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468A true KR20200108468A (ko) 2020-09-18

Family

ID=6527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882A KR20200108468A (ko) 2018-01-23 2019-01-23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4019B2 (ko)
JP (1) JP7482787B2 (ko)
KR (1) KR20200108468A (ko)
CN (1) CN111655543A (ko)
DE (1) DE102018201004A1 (ko)
WO (1) WO2019145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2085A1 (de) 2018-07-19 2020-01-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baugruppe für ein Fahrzeug mit einem schwenkbaren Tischelement
FR3087404B1 (fr) * 2018-10-23 2020-10-16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 volume de rangement escamotable
DE102019216049A1 (de) * 2019-10-17 2021-04-2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taufach und Baugruppe
DE102020108954A1 (de) 2020-03-31 2021-09-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rretierungsmechanismus für eine Front eines in einer Fahrzeugtür vorgesehenen Staufachs
DE102020108953A1 (de) 2020-03-31 2021-09-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element zur Befestigung einer Front eines in einer Fahrzeugtür vorgesehenen Staufachs
DE102020108951A1 (de) 2020-03-31 2021-09-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element zur Befestigung einer Front eines in einer Fahrzeugtür vorgesehenen Staufach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814B2 (ja) * 1986-10-08 1995-05-10 株式会社ニフコ カツプホルダ
DE19908959A1 (de) * 1999-03-02 2000-09-07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in einem Kraftwagen
US6863200B2 (en) * 2002-12-17 2005-03-08 Lear Corporation Cup holder assembly
DE10341833A1 (de) 2003-09-09 2005-04-14 Daimlerchrysler Ag Haltevorrichtung für Gebrauchsgegenstände im Innenraum von Kraftwagen
DE20315236U1 (de) 2003-09-23 2003-12-18 Brändle, Martin, Dipl.-Kaufm. Ausziehbare Ablagefläche für eine Tür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5017565B4 (de) 2005-04-16 2008-11-13 Daimler Ag Haltevorrichtung
DE102005035273B4 (de) 2005-07-28 2010-07-01 Daimler Ag Haltevorrichtung
SE531042C2 (sv) * 2005-12-29 2008-11-25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Gripdon och metod för att tillhandahålla ett gripdon
DE102007014801A1 (de) 2007-03-28 2008-10-02 Volkswagen Ag Aufnahmeeinrichtung für Gegenstände in einem Fahrzeug
DE102008018553A1 (de) 2008-04-12 2009-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stecktasche, insbe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1088377B4 (de) 2011-12-13 2017-02-02 Lisa Dräxlmaier GmbH Konturintegrierte Ablage für ein Kraftfahrzeug
GB201403769D0 (en) 2014-03-04 2014-04-16 Ford Global Tech Llc A storag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9566912B2 (en) 2014-06-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closing arrangement for vehicle stowage compartments
DE102014215178B4 (de) 2014-08-01 2017-11-2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Kartentasche
DE202015101858U1 (de) 2015-04-16 2015-04-30 Lisa Dräxlmaier GmbH Ab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02903B4 (de) 2016-02-19 2022-11-10 Lisa Dräxlmaier GmbH Ablage für ein Fahrzeug
US10029618B2 (en) 2016-04-08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and expand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DE102016010209A1 (de) 2016-08-20 2018-0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enst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ahrzeugtür sowie Verfahren zum Öffnen einer Fahrzeugscheibe
DE102017201626A1 (de) 2017-02-01 2018-08-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vorrichtung für die Bereitstellung eines Staufaches mit einem Stau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1256A (ja) 2021-05-06
WO2019145325A1 (de) 2019-08-01
US11414019B2 (en) 2022-08-16
CN111655543A (zh) 2020-09-11
US20210362655A1 (en) 2021-11-25
JP7482787B2 (ja) 2024-05-14
DE102018201004A1 (de)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8468A (ko) 외력 작동식 벽 요소 및 선회가능 바닥 요소를 갖는 적재 격실 조립체
US6837544B2 (en) Adjuster mechanism for setting the height of an armrest on a motor vehicle door
JP4393480B2 (ja) スリットを完全に覆う引き出し部材を有する後部窓用ローラブラインド
JP4503978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US5690194A (en) One-way pivoting gear damper
US8033588B2 (en) Sliding lid guard
EP1486374A1 (en) Moving device
US5195796A (en) Deck lid hinge assembly
EP3342647B1 (en) Vehicle door
US20070145760A1 (en) Vehicle door container holder
KR20180036761A (ko) 자동차의 모터-조정 가능한 트렁크 장치용 제어 시스템
US5409260A (en) Swingable passenger retai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4056271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ing belt with device to provide an arrangement in which shoulder belt is prevented from touching seated occupant's neck
CN112360258B (zh) 车门限位器
US8042302B2 (en) Window pane for a motor vehicle
JP2007039981A (ja) 車両用ドアのチェック機構
US5829851A (en) Floating gear damper
KR101966153B1 (ko)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작동 장치
EP3342610B1 (en) Tailgate for a vehicle
US4013306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ing belt with device to provide an arrangement in which shoulder belt is prevented from touching seated occupant's neck
JP7098357B2 (ja) 乗物用サンバイザ装置
KR101869086B1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JPWO2019145325A5 (ko)
JP4290079B2 (ja) 車両用収納物保持装置
JP3788934B2 (ja) 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