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15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153A
KR20200108153A KR1020190025913A KR20190025913A KR20200108153A KR 20200108153 A KR20200108153 A KR 20200108153A KR 1020190025913 A KR1020190025913 A KR 1020190025913A KR 20190025913 A KR20190025913 A KR 20190025913A KR 20200108153 A KR20200108153 A KR 2020010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coupling
camera module
substrat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272B1 (ko
Inventor
이희중
조환균
김형진
윤경원
김승열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탑중앙연구소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중앙연구소,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filed Critical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와;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1결합부와;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제1바디부와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바디부; 및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제1방향으로 맞대어져 융착됨으로써, 제2바디부 내부의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가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야 확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영상 데이터 수집을 위한 카메라 모듈은 점점 더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신 자동차용으로 수많은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어, 차량의 주변 환경 및 경우에 따라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정확하게 감지한다.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이 더욱 개선됨으로써 영상 품질은 점점 더 좋아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추가 기능들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순간적인 오작동이 탑승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가장 우선시되며, 혹한 및 혹서 조건에서의 작동 안정성과 함께, 높은 수밀성이 요구된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고밀도화 및 공간절감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이 제품 성능에 미치는 영향 또한 심각히 고려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그런데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금속 재질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에 비해 경량성 확보가 어렵고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과 금속 재질의 하우징 모두 프런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조립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들의 조립에는 스크류를 이용한 방식만이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방식은 오조립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전체 부품 수 및 공정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방열 성능과 수밀성이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키면서도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1결합부와;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맞대어져 융착됨으로써, 상기 제2바디부 내부의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프런트 바디가 성형되고,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리어 바디가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면은,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목홈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서로 치합되는 치합면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2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2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바디부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는 프런트 바디; 및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2바디부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며, 상기 프런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바디의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바디부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는 프런트 바디; 및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2바디부와 레이저 통과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며, 상기 프런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리어 바디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따르면, 높은 방열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수밀성이 확보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신뢰성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융착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융착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프런트 바디(110) 및 리어 바디(120)를 포함한다.
프런트 바디(110)는,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한다.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가 설치되며, 이를 위해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된다.
렌즈 어셈블리(16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렌즈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경통 구조물, 및 경통 구조물과 프런트 바디 간의 결합을 위해 경통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구조물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을 위한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가 형성된 프런트 바디(110)의 내주면에는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60)의 나사 구조물과 프런트 바디(110)의 나사 구조물 간의 결합을 통해,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바디(110)의 전방에는, 프런트 바디(110)에 설치된 렌즈 어셈블리(160)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카메라 모듈(10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리어 바디(120)에는,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들과 연결된 배선들이 리어 바디(1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배선 수용체(17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리어 바디(120)에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된다.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는,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S)이 내부에 형성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이 전후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전방을 향해, 즉 리어 바디(120)의 전방에 배치된 프런트 바디(110)를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공간(S)에는, 기판들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S)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이 수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중 렌즈 어셈블리(160)와 인접한 전방 측에 배치된 제1기판(13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140)에는, 카메라 모듈(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처리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기판(140)은, 제2기판(140)과 연결된 배선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140)과 연결된 배선은, 리어 바디(120)의 후방에 설치된 배선 수용체(17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는 서로 분리된 별물로 마련되며, 이처럼 별물로 마련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카메라 모듈(100)을 이룬다.
이때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던 수용공간(S)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다.
[프런트 바디의 구조]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바디부(111)는, 프런트 바디(110)의 골격을 이루며, 프런트 바디(11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한다. 렌즈 어셈블리(160)가 프런트 바디(110)에 삽입, 결합 및 안착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은, 제1바디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부(111)는, 전후방향을 따라 제1구간(111a)과 제2구간(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제1구간(111a)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구간이다. 그리고 나머지 제2구간(111b)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간이다.
제1구간(111a)에는, 렌즈 어셈블리(160)가 프런트 바디(110)에 삽입, 결합 및 안착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160)가 설치되는 제1구간(111a)의 전방 측 형상은, 원형 형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형상을 고려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어 바디(120)와 마주보는 제1구간(111a)의 후방 측 형상은, 리어 바디(120)의 외주면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구간(111b)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간이므로, 리어 바디(120)의 내주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간(111b)은,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서 제1기판(130)과 결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제1결합부(113)는,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1결합부(113)는,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제2방향, 바꾸어 말하면 제1바디부(11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11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제1바디부(11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1바디부(11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113)는, 측부에서 봤을 때, 제1구간(111a)과 제2구간(111b)의 경계 지점에 배치된다. 즉 제1결합부(113)는,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구간(111a)과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구간(111b) 간의 경계 지점에 배치된다.
제1결합부(113)는, 제1바디부(11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13)는, 후술할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며, 제1바디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1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1바디부(111)는 제1결합부(11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결합부(11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바디부(111)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3)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1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제1바디부(111)와 수지 재질의 제1결합부(113)가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바디(11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제1바디부(111)는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바디부(111)의 표면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면은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1바디부(111)를 표면 처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표면처리면을 갖는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는 미세한 홈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하게 되면,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더욱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된 프런트 바디(11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리어 바디의 구조]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바디부(121)는, 리어 바디(120)의 골격을 이루며, 리어 바디(12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한다. 배선 수용체(170)가 리어 바디(120)에 설치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은, 제2바디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12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디부(121)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바디부(121)는, 후술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을 매개로 제1바디부(111)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3)는,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의 개구된 전방에 배치되되, 수용공간(S)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제2바디부(121)의 전방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의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별물로 마련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이 개구되어 있던 수용공간(S)은 이러한 결합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12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2바디부(121)는 제2결합부(12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2결합부(12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바디부(121)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부(121)는,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결합부(123)는, 제1결합부(113)와 마찬가지로 사출이 용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지만, 제1결합부(113)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3)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1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제2바디부(121)와 수지 재질의 제2결합부(123)가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된 리어 바디(12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바디부(121)는,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2바디부(121)의 표면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면은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2바디부(121)를 표면 처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표면처리면을 갖는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는 미세한 홈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하게 되면,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더욱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된 리어 바디(12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프런트 바디와 리어 바디 간의 결합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는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은, 프런트 바디(110)에 구비된 제1결합부(113)와 리어 바디(120)에 구비된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바디부(111)와 제2바디부(121)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1결합부(11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1결합부(113)를 투과한 후 제2결합부(12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2결합부(12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전방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제1바디부(1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조건하에 있다.
또한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가장 먼저 도달하게 되는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가 아닌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어도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바디(110)와 그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바디(120)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융착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된다. 이때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밀착도가 높아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동일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레이저의 조사가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접점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 못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외주면 일부분에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되므로, 융착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없고 융착 부위의 결합 강도도 그만큼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가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한 번의 레이저 조사 작업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접점 전체에 레이저 조사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 작업을 위치와 장소를 바꾸어 가며 여러 번 반복해야만 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간의 증가와 불편함이 가중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의 효율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구조에 비해 매우 효과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1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1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1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1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 구조]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12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돌기(12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114)이 마련된다. 돌기(124)는 오목홈(114)에 삽입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가 오목홈(114)에 삽입됨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13)에 오목홈(114)이 마련되고, 제2결합부(123)에 돌기(124)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결합부(123)에서 돌출된 돌기(124)가 제1결합부(113)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14)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을 위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관여하는 면의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가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게 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은 더욱 향상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로부터 제1결합부(113)를 향해, 즉 제2결합부(123)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와 동일 재질, 즉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아울러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124)가 오목홈(114)에 삽입되었을 때, 돌기(124)의 일부분은 오목홈(114)에 삽입되지 못하고 오목홈(114)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돌기(124)가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때 돌기(124)의 용융이 이루어짐을 고려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레이저는 특히 돌기(124)를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124)는 이처럼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면서 오목홈(114) 내부에서 제1결합부(113)와 융착될 수 있다.
이때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와 돌기(124)의 길이 차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오목홈(114)의 내부에서 용융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이 돌기(124)와 오목홈(114)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만큼 돌기(124)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돌기(124)와 오목홈(114)이 완전히 맞물리게 돌기(124)와 오목홈(114)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돌기(124)가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안정적이고도 단단한 강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이와 같은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진다면, 후술할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가 아닌 제1결합부(113)에 마련되고, 후술할 오목홈(114)은 제1결합부(113)가 아닌 제2결합부(123)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마주보는 면에는, 치합면(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치합면(a)은, 돌기(124) 및 오목홈(11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서로 치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치합면(a)은, 돌기(124)의 전방 단부 및 오목홈(114)의 이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돌기(124)의 측방향 외측면 및 이와 마주보는 오목홈(114)의 측방향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돌기(124) 및 오목홈(11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치합면(a)이 형성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관여하는 면의 면적이 더욱 증가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기판 설치 구조]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판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S)에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 즉 두 개의 기판이 수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기판(130)은, 두 개의 기판 중 전방에 배치되며, 제2기판(140)에 비해 프런트 바디(110)의 제1바디부(111)에 좀 더 인접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기판(140)은, 두 개의 기판 중 후방에 배치되며, 제1기판(130)에 비해 배선 수용체(170)에 좀 더 인접한 측에 배치된다.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각각 회로형성부(P1)와 회로미형성부(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형성부(P1)는, 이미지센서나 전원회로와 연결된 회로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그리고 회로미형성부(P2)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회로형성부(P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이 다각 형상의 판,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에서, 회로미형성부(P2)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각각 배치되고, 회로형성부(P1)는 회로미형성부(P2)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일례로서, 회로미형성부(P2)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모서리들 중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30)은, 제1바디부(1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구간(111b)과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의 형상은, 대략 제1기판(130)의 테두리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부(111)와 제1기판(130)이 서로 맞대어졌을 때,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의 테두리 부분에 접촉되는 형태로 제1바디부(111)와 제1바디부(11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바디부(111)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은,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의 전면, 즉 제1바디부(111)와 마주보는 제1기판(130)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들의 결합은,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와 제1기판(130)이 절연제로 본딩(Bonding)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판(140)도 제1기판(130)과 마찬가지로 프런트 바디(110)와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바디(110)는, 제1지지보스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보스부(115)는, 프런트 바디(110)에 구비되되,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1지지보스부(115)는, 대략 제1결합부(113)가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지지보스부(115)에는 제1지지보스부(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보스부(115)의 내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바디부(111)에 결합된 제1기판(130)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보스부(115)의 후방 단부에는, 제1기판(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기판(140)이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맞대어진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을 매개로 제2기판(140)은 프런트 바디(11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보스부(115)는 그 전방 단부가 제1기판(13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그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기판(130)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기판(130)의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회로미형성부(P2)가 배치되고, 제1기판(130)의 각 회로미형성부(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기판(13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회로미형성부(P2)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1기판(130)을 관통하여 제2기판(140) 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13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위치 및 개수는, 제1지지보스부(115)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면, 관통공도 이에 적합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쌍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기판(130)의 각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면, 제1기판(130)의 각 모서리에 관통공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바디(110)에 4개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기판(140)의 네 모서리 부분이 제1지지보스부(115)와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보스부(115)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제1지지보스부(115)의 배치 형태에서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이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판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일례로서,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재질로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사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제1바디부(111)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어 제1지지보스부(115)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기판(140)과 제1지지보스부(115)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데도 유리한 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2기판(14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13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며, 제2기판(14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처리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기판(150)은, 재질이 딱딱한 경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달리,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판(150)은, 수용공간(S) 내부에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가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면, 렌즈 어셈블리(160)와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및 연결기판(150)을 모두 프런트 바디(110)에 고정시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카메라 모듈(100) 제조 과정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상기 결합체에 리어 바디(120)를 결합시키는 작업만을 추가하면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 제조 작업을 한 작업장에서 동시에 진행할 필요 없이,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하는 작업과 이 결합체에 리어 바디(120)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독립된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성형한다(S10,S20).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성형은,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형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는,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는, 인서트 사출되기 전 표면처리단계를 먼저 거칠 수 있다(S30). 표면처리단계는,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을 산화 처리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바디부(111)와 일체가 되도록 제1결합부(113)를 사출하여 프런트 바디(110)를 성형하고(S40), 제2바디부(121)와 일체가 되도록 제2결합부(123)를 사출하여 리어 바디(120)를 성형한다(S50).
이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사출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 중 제1결합부(113)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제1바디부(11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제1바디부(111)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런트 바디(110)의 성형은,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강한 접합력으로 일체화된 프런트 바디(11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어 바디(120)의 성형은,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강한 접합력으로 일체화된 리어 바디(12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의 성형이 각각 완료되면,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판들을 고정시켜 준다(S60).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바디(110)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이 모두 고정되고,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먼저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이 먼저 이루어진 후, 프런트 바디(110)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은, 제1기판(130)을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와 제1기판(130)의 전면 사이를 절연제로 본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기판(13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1기판(130)을 관통하여 제1기판(130)의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런트 바디(110)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은,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지지보스부(115)의 후방 단부에 제2기판(140)의 전면을 맞댄 후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을 스크류로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의 측부에 연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기판(150)을 각각 연결하여 주면, 프런트 바디(110)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판 설치 방법에 따르면, 렌즈 어셈블리(160)와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및 연결기판(150)을 모두 프런트 바디(110)에 고정시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카메라 모듈(100) 제조 과정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 관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판들이 리어 바디(120) 내부의 수용공간(S) 내부로 삽입되도록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를 서로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프런트 바디(110)의 제1결합부(113)와 리어 바디(120)의 제2결합부(123)를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 융착시킴으로써,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를 전후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S70).
이러한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어 준다. 이때 제2결합부(123)에서 돌출된 돌기(124)가 제1결합부(113)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14)에 끼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을 위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전후방향으로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레이저 빔은 특히 돌기(124)를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124)는 이처럼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용융되면서 오목홈(114) 내부에서 제1결합부(113)와 융착될 수 있다.
이때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와 돌기(124)의 길이 차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오목홈(114)의 내부에서 용융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이 돌기(124)와 오목홈(114)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만큼 돌기(124)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돌기(124)와 오목홈(114)이 완전히 맞물리게 돌기(124)와 오목홈(114)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1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1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1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1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카메라 모듈(100) 내부의 수용공간(S)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므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렌즈 어셈블리(160)나 기판들 같은 각종 부품들에 대한 수밀성 확보가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은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설치되고, 렌즈 어셈블리(160)도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기판들과 렌즈 어셈블리(160)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통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방수 성능과 방열 성능 모두가 향상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도록 제공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제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신뢰성 높은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과 마찬가지로,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는, 각각 장착부(217,227)를 더 포함한다. 즉 프런트 바디(210)는 제1장착부(217)를 더 포함하며, 리어 바디(220)는 제2장착부(227)를 더 포함한다. 이하,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런트 바디(2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장착부(217)는, 제1바디부(111) 및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1바디부(11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장착부(217)가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프런트 바디(2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2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바디(210)에서, 제1장착부(217)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바디(210)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는 프런트 바디(2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복잡한 형상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상부가 제1바디부(111) 상에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복잡한 형상을 금속 재질의 제1바디부(111) 상에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금속 재질의 구조물에 복잡한 형상의 형상부를 형성하는 작업은, 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법에 비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정확한 형상을 형성하기도 어려운 작업이다.
이에 비해,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복잡한 형상을 수지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금속에 비해 성형성이 좋은 수지 재질의 특성 상 이러한 형상부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형상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제1장착부(217)에 형성되고, 제1장착부(217)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의 성형이 동시에 함께 이루어지고, 이로써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210)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반드시 금속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면서도 복잡한 형상의 형성부가 형성되어야 할 부분을 제1결합부(113)와 함께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정확성 높고 제조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2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어 바디(2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장착부(227)는, 제2바디부(121) 및 제2결합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바디부(12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장착부(227)가 제2결합부(123)와 동일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리어 바디(2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22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바디(220)에서, 제2장착부(227)는 리어 바디(220)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220)에서,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는 리어 바디(2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복잡한 형상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제2장착부(227)에 형성되고, 제2장착부(227)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의 성형이 동시에 함께 이루어지고, 이로써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220)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반드시 금속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면서도 복잡한 형상의 형성부가 형성되어야 할 부분을 제2결합부(123)와 함께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정확성 높고 제조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2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와 제1기판(330) 및 제2기판(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3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제1기판(330) 및 제2기판(340)에 있다.
제1기판(3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예시된 제1기판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1기판(330)은 제1커넥터(335)를 구비하는데,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1기판(33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기판들 간의 차이점이다.
제1커넥터(335)는, 제1기판(330)에 구비되되, 제2기판(340)과 마주보는 제1기판(330)의 후면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335)는, 제1기판(3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1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기판(340)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예시된 제2기판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은 제2커넥터(345)를 구비하는데,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기판들 간의 차이점이다.
제2커넥터(345)는, 제2기판(340)에 구비되되, 제1기판(330)과 마주보는 제2기판(340)의 전면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커넥터(345)는, 제2기판(3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2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는,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기판과 제2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연결기판이 이용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가 이용된다.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결합 및 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기판(33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제1기판과 동일하게 프런트 바디(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1기판(330)과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는, 절연제로 본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기판(340)은, 프런트 바디(210)가 아닌 리어 바디(220) 측에 결합된다.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제2기판들과의 또 다른 차이점이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제1기판(330)은 프런트 바디(210)에 고정되고 제2기판(340)은 리어 바디(220)에 고정되는 기판 설치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리어 바디(220)에는, 지지보스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보스부(329)가 마련된다. 제2지지보스부(329)는, 리어 바디(220)에 마련되되, 리어 바디(220)의 후방에 구비된 장착부, 즉 제2장착부(227)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장착부(227)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지지보스부(329)에는 제2지지보스부(329)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지지보스부(329)의 내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지지보스부(329)의 후방 단부에는, 제2기판(340)이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맞대어진 제2지지보스부(329)와 제2기판(340)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을 매개로 제2기판(340)은 리어 바디(22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바디(220)에 4개의 제2지지보스부(329)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기판(340)의 네 모서리 부분이 제2지지보스부(329)와 각각 결합되어 제2지지보스부(329)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제2지지보스부(329)의 배치 형태에서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제2지지보스부(329)와 제2기판(340) 간의 결합이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판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일례로서,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장착부(227)와 동일한 재질로 제2장착부(227)와 일체로 사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바디부(121)와 동일한 재질로 제2바디부(121)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장착부(227)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2장착부(227)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어 제2지지보스부(329)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기판(340)과 제2지지보스부(329)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데도 유리한 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바디부(1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기판(34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프런트 바디(210)에 제1기판(330)이 결합된 한 단위의 결합체(이하 "프런트 바디 결합체"라 한다)와 리어 바디(220)에 제2기판(340)이 결합된 다른 한 단위의 결합체(이하 "리어 바디 결합체"라 한다)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210)와 제1기판(330)이 하나로 결합된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와 제2기판(340)이 하나로 결합된 리어 바디 결합체가 독립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제조된 이들 결합체를 결합시키는 작업만을 추가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두 결합체를 결합시키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프런트 바디 결합체가 전방에 배치되고 리어 바디 결합체가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두 결합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두 결합체를 가압하여 준다. 이에 따라 두 결합체의 내부에서는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전기적인 연결 및 이에 따른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을 연결기판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추가할 필요 없이,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리어 바디 결합체를 밀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두 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빠르게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 결합체의 외부에서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되며 맞대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되어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3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카메라 모듈(300) 내부의 수용공간(S)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밀폐되고, 이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160)나 기판들 같은 각종 부품들에 대한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330,340)은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설치되고, 렌즈 어셈블리(160)도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기판들(330,340)과 렌즈 어셈블리(160)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통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방수 성능과 방열 성능 모두가 향상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300)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품이 두 개의 결합체로 단순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될 뿐 아니라,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리어 바디 결합체를 밀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빠르게 완성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제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프런트 바디(410) 및 리어 바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4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프런트 바디(410)에 있다.
프런트 바디(410)는, 제1바디부(411), 및 제1바디부(411)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1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이처럼 일체로 성형되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 바디(410)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프런트 바디(41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400)에 따르면,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프런트 바디(410)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프런트 바디(410) 전체가 알루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저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가벼운 카메라 모듈(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카메라 모듈(40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프런트 바디(110) 및 리어 바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5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리어 바디(520)에 있다.
리어 바디(520)는, 제2바디부(521), 및 제2바디부(521)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2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이처럼 일체로 성형되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바디(520)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리어 바디(5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500)에 따르면,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리어 바디(520)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리어 바디(520) 전체가 알루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저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가벼운 카메라 모듈(500)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카메라 모듈(20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융착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프런트 바디(610) 및 리어 바디(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 바디(6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 도 14 참조)의 프런트 바디(410; 도 14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또한 리어 바디(6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의 리어 바디(120; 도 14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600)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 간의 차이점은, 제2결합부(623)가 제2바디부(62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제2결합부(6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바디부(62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결합부(613)도,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613)는, 프런트 바디(610)와 리어 바디(620)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었을 때, 제2결합부(623)와 맞대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613)는 제1바디부(6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611)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보다 제2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6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6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 간의 융착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레이저 용접장치(L)가 레이저 빔을 조사하되, 후방에서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613) 및 제2결합부(6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623)를 향해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제2결합부(6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 빔은 제2결합부(6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6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6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프런트 바디(710) 및 리어 바디(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 바디(7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 도 16 참조)의 프런트 바디(110; 도 16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또한 리어 바디(7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의 리어 바디(520; 도 16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700)과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 간의 차이점은, 제2결합부(723)가 제2바디부(72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제2결합부(7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바디부(72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결합부(713)도,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713)는, 프런트 바디(710)와 리어 바디(720)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었을 때, 제2결합부(723)와 맞대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713)는 제1바디부(7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711)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보다 제2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7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7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 간의 융착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후방에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713) 및 제2결합부(7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7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7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7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7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7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700 : 카메라 모듈
110,210, : 프런트 바디
111 : 제1바디부
111a : 제1구간
111b : 제2구간
113 : 제1결합부
114 : 오목홈
115 : 제1지지보스부
120,220 : 리어 바디
121 : 제2바디부
123 : 제2결합부
124 : 돌기
130,330 : 제1기판
140,340 : 제2기판
150 : 연결기판
160 : 렌즈 어셈블리
170 : 배선 수용체
217 : 제1장착부
227 : 제2장착부
329 : 제2지지보스부
335 : 제1커넥터
345 : 제2커넥터
S : 수용공간
P1 : 회로형성부
P2 : 회로미형성부
a : 치합면

Claims (18)

  1.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1결합부;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맞대어져 융착됨으로써, 상기 제2바디부 내부의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가 서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수지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프런트 바디가 성형되고,
    상기 제2바디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리어 바디가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면은,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목홈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서로 치합되는 치합면이 각각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2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1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2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결합부를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된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분이 상기 제2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17.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바디부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는 프런트 바디; 및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2바디부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며, 상기 프런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바디의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서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8.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1바디부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는 프런트 바디; 및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제2바디부와 레이저 통과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되며, 상기 프런트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바디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리어 바디의 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서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025913A 2019-03-06 2019-03-06 카메라 모듈 KR10218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13A KR102182272B1 (ko) 2019-03-06 2019-03-0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13A KR102182272B1 (ko) 2019-03-06 2019-03-0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153A true KR20200108153A (ko) 2020-09-17
KR102182272B1 KR102182272B1 (ko) 2020-11-25

Family

ID=727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13A KR102182272B1 (ko) 2019-03-06 2019-03-0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987A (ko) * 2021-03-12 2022-09-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 막가습기
KR102620537B1 (ko) 2021-10-15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954A (ko) * 2001-08-08 2005-05-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20160145980A (ko) * 2015-06-11 2016-12-21 이정미 사용일이 표기된 다중 밀폐기능을 갖는 기밀용기
KR20180038165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121196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에스피솔루션 개선된 기밀성과 내진성을 갖는 반도체 제조 설비용 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954A (ko) * 2001-08-08 2005-05-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KR20160145980A (ko) * 2015-06-11 2016-12-21 이정미 사용일이 표기된 다중 밀폐기능을 갖는 기밀용기
KR20180038165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80121196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에스피솔루션 개선된 기밀성과 내진성을 갖는 반도체 제조 설비용 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272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272B1 (ko) 카메라 모듈
US794468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263304B1 (ko) 배터리 셀 연결보드
JP717899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WO2009113631A1 (ja) 電気接続箱
KR102331863B1 (ko) 전기 커넥터의 부착구조 및 전기 커넥터 모듈의 제조방법
US20190025674A1 (en) Holder assembly for camera module, camera module having same, and waterproof connector
KR102182283B1 (ko) 카메라 모듈
KR102182261B1 (ko) 카메라 모듈
JP2018098533A (ja) 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JP503788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102180430B1 (ko) 카메라 모듈
KR102182279B1 (ko)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JP2017102338A (ja) 車載カメラ
JP2008288116A (ja) 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接続装置
US987630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ontrol unit in a motor vehicle
KR102618045B1 (ko) 카메라 모듈
WO2021161919A1 (ja) センサモジュール
JP2016035984A (ja) 光モジュール
JP7396529B1 (ja) 車載カメラ用リアケース及び車載カメラ用ケース
WO2017064931A1 (ja) 電気接続箱
US20240187718A1 (en) In-vehicle camera
WO2022118621A1 (ja) センサモジュール
KR102093416B1 (ko) 차량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