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02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402A
KR20200106402A KR1020190024912A KR20190024912A KR20200106402A KR 20200106402 A KR20200106402 A KR 20200106402A KR 1020190024912 A KR1020190024912 A KR 1020190024912A KR 20190024912 A KR20190024912 A KR 20190024912A KR 20200106402 A KR20200106402 A KR 2020010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steam generator
humidific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977B1 (ko
Inventor
권민구
김용민
김후진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9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02A/ko
Priority to KR1020210053816A priority patent/KR102443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여과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여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서 분사하여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스팀제너레이터가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가습팬을 추가로 동작시켜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습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유로 및 상기 토출구를 살균하여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깨끗한 가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이 증발되고, 송풍팬이 작동되어도, 송풍팬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모두 실내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열교환기 표면에 재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내온도가 낮을 때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으므로, 난방 중에 이 가습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나,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
본 발명은 냉방, 난방, 공기청정 또는 가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 또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고, 살균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하여 가습을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되고, 여과공기를 사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가습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 후, 가습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살균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여과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서 분사하여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냉방, 난방, 공기청정 또는 가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가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가습팬이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공급하고, 스팀가이드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기 때문에,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로 직접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공기가 토출구까지 독립된 유로로 유동된 후, 토출구에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운전 후,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하여 가습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하여 스팀살균운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된 물을 자동으로 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공급하는 가습팬;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 및 상기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운전이 완료되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상기 가습팬을 추가 동작시켜, 상기 스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를 살균하는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하는 가습모듈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살균모드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살균모드가 설정된 경우 물탱크의 수위에 대응하여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가습팬을 설정시간 동안 추가 동작시켜 상기 스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를 살균하는 단계; 설정시간 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온도가 감소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냉방, 난방, 공기청정 또는 가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되어 4계절 동안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 또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고, 살균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하며, 살균된 스팀 및 여과공기를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생성된 가습공기의 오염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가습공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된 스팀 및 여과공기로 가습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된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여, 물이 일정시간 이상 저장되지 않도록 자동 배수함으로써 깨끗한 가습공기를 생성할 수 있고, 가습공기의 오염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운전 후, 스팀살균을 통해 가습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살균하여 곰팡이의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팬이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공급하기 때문에, 깨끗한 가습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독립된 유로구조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토출구까지 유동시키기 때문에, 가습공기로 인한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의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측면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가습공기를 실어서 확산시키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캐비닛어셈블리의 먼곳으로 유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 표면에서 이슬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을 위한 준비동작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 후의 물의 배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탱크(210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토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34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토출그릴(450)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에 대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대각선 등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대회전시키는 틸팅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도어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도어슬라이드모듈(1300)과,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켜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개방된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할 때,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커버(1210)에 가려지고,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는 상기 도어커버(121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에의 갭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위치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프론트패널(21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내를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 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한다.
상기 도어감지센서(207)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상기 위치감지인자(208)가 배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상기 도어감지센서(207)에 대응된다.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로퍼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홀센서 및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도어감지센서(207)는 홀센서가 사용되고, 상기 위치감지인자(208)는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감지센서로 포토센서가 사용되고, 위치감지인자로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된 리브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토센서의 광신호를 상기 리브가 차단할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좌우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구성>>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숨겨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도이다.
<<<가습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300)(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3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미도시)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를 포함한다.
도한, 가습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전방으로 틸팅되어 있던 물탱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틸팅어셈블리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물탱크의 구성>>
상기 물탱크(21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어셈블리(200)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의 물을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제 1 개방면(OP1)에 위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는 탱크로어바디(211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캥트로어바디(211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미들바디(212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물탱크개구부(210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탱크어퍼바디(2130)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물탱크핸들(2140)과,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에 조립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물탱크밸브(2150)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물탱크(2100)의 바닥을 제공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밸브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홀(2111)은 상기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전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탱크프론트월)까지의 거리는,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배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제 1 리어월)까지의 거리를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홀(2111)을 물탱크(2100)의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밸브(2150)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신속히 이격되어야만 물탱크밸브(2150)가 신속하게 폐쇄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측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연통되는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 하측에 상기 미들바디 개구부(2121)가 배치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 내측에 배치되고, 로어캐비닛(120)에 수납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숨겨진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기능적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고, 구조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최적화된다.
상기 물탱크(2100)에 설치된 물탱크밸브(215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밸브코어(2152)의 하단이 후술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접촉된다.
상기 밸브코어(2152)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 물탱크밸브(2150)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제외한 물탱크(2100)의 나머지 구성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서포터(2250)에 지지되면, 다이어프램(2154)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킨다. 반면에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서 분리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이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거치될 때에만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대신 기구적인 배치를 통해 구현한다.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전동식으로 구현할 경우, 이에 따른 전기배선이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기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부위의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틸팅어셈블리에 의해 물탱크(2100)가 틸팅될 때,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각을 제공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과도하게 틸팅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서플라이챔버(2211)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와,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여 틸팅각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거치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로 안내하는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에 제공하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과,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서플라이유로(2231)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워터벨로우즈(2240)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밸브서포터(225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높이 내에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물탱크밸브(2150), 워터벨로우즈(2240) 및 서플라이유로(2231)를 거쳐 서플라이챔버(2211)로 유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물은 자중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킨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면에 설치된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를 틸팅시키기 위해 상기 틸팅어셈블리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설치구조를 활용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후술하는 틸팅어셈블리가 조립되는 부품으로서 이에 관한 구조는 틸팅어셈블리를 설명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겠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물탱크에 저장기간이 길어길 때), 물탱크(2100)를 비롯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모든 물은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외부로 배수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잔류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밸브(2150)와 간섭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킨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밸브코어(2152)를 지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밸브코어(2152)와 간섭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브홀(2111)이 개방된다.
상기 밸브홀(2111)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로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틸팅경사면(2237)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10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상기 물탱크(2100)는 전도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물탱크핸들(214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제공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밸브홀(2258)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홀(2258)이 폐쇄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물은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이동된 만큼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밸브홀(2258)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에서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는 물은 2번의 단속과정을 거친다.
먼저,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다음으로, 플로터밸브(2270)가 미들홀(2258)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2번의 개폐과정을 거쳐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기 때문에, 물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추가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의 구성>>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살균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스팀하우징(2310)과,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2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물공급부(2314)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스팀토출부(2316)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물공급부(2314) 및 스팀토출부(2316)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2314)는 로어스팀하우징(2310)(2312)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에 배치된다.
상기 물공급부(2314)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물공급부(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물공급부(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물공급부(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물공급부(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10)(2312)의 가장 하측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물공급부(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상기 스팀히터(232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수위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수위 보다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상단과 이격거리(H)를 형성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은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10)(2311)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하우징(2310) 밖에서 가습팬이 스팀을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스팀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스팀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측면토출구(301)(302)는 전방 우측 및 전방 좌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토출된다.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가습공기를 토출할 경우,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가습팬의 구성>>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여과공기를 스팀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상기 가습팬(2500)은 스팀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하측면(255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상측면(256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센서부(3215), 전원부(3299), 구동부(3280), 조작부(3230), 디스플레이모듈(3292), 메모리(3256), 통신부(3270), 오디오출력부(3291), 오디오입력부(3220), 비젼모듈(3210), 청소모듈(4400), 가습모듈(200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3240)를 포함한다.
전원부(3299)는 본체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3299)는 연결되는 상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3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원부(3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3280)는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3280)는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3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3280)는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3280)는 원거리 팬어셈블리 구동부, 이동수단 구동부, 밸브구동부, 전면패널구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조작부(3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모듈(3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3292)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3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3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3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3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3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3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3256)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3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3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270)는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부(3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3240)로 입력한다. 센서부(3215)는 근접센서(17),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탱크감지부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17)는 본체의 하부, 베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3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3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비젼모듈(32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비젼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젼모듈(3210)은 전면패널(11)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넷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4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청소모듈은 청소로봇(미도시)을 포함한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400)은 로봇청소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2000)은, 물탱크(2100)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모듈(20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2000)은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모듈은 가습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과 가습어셈블리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됨을 명시한다.
제어부(3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3280)를 제어한다.
제어부(3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3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습모듈(20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비젼모듈(3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또한,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400)을 제어한다.
제어부(3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3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3241), 비젼모듈제어부(3242), 전원공급제어부(3243), 조명제어부(3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3245), 가습모듈제어부(3246), 청소모듈제어부(3247)를 포함한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젼모듈(3210), 청소모듈(3400), 가습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비젼모듈(3210)에 비젼모듈제어부(3242)가 구비되고, 가습모듈에 가습모듈제어부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2000)은 가습어셈블리(2000)를 포함한다.
가습모듈(2000)은 스팀제너레이터(2300), 수위센서(3330), 물탱크감지부(3340), 배수펌프(3350), 온도센서, 가습팬(2500), 그리고 가습모듈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가습모듈제어부(3310)(3246)를 포함한다.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탱크(2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화시켜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구성된다.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제 2 수위센서(332)가 설치된다.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식,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진동을 통해 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식, 가열식과 초음파식을 결합한 복합식, 물을 분무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 원심분무식, 젖은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스팀하우징(2310)은 물탱크(2100)으로부터 자동으로 공급된 물이 수용된다.
수위센서(3330)는 물탱크(2100)와 스팀하우징(2310)에 각각 설치되어, 투입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물탱크(2100)에는 제1 수위센서(331), 스팀하우징(2310)에는 제 2 수위센서(332)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3330)는 물탱크(2100)의 물의 양에 따른 수위를 감지하여 물탱크에 물이 일정 량 이상이 되면 만수신호를 출력하고, 물탱크에 물이 없는 경우 공수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위센서(3330)는 세로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수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는 물탱크에 물이 있는 경우, 물에 의해 저항값이 변경됨에 따라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3330)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수위에 따라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을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물탱크 또는 스팀하우징(2310)의 어느 일면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센서를 일렬배치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초음파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물탱크(2100) 또는 스팀하우징(2310)에 설치되는 호스에 자석을 투입하여 수위에 따라 자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3330)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 또는 복수의 방식을 혼합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물탱크감지부(3340)는 물탱크(2100)의 장착상태를 감지한다.
물탱크감지부(3340)는 물탱크(2100)가 전면으로 돌출되어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 또는 물탱크이 본체에서 분리된 것을 감지한다. 물탱크감지부(334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디스플레이모듈(3292)을 통해 물탱크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에러가 출력되도록 제어부(3240)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물탱크감지부(33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모듈(3292)에는 물탱크아이콘 또는 물탱크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물탱크에러에 대한 램프가 점등되거나, 물탱크장착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배수펌프(335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하우징(2310)과 연결되는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스팀용 물탱크인 스팀하우징(231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펌프(3350)는 가습모듈제어부(3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배수가 완료되면 동작을 정지한다.
배수펌프(3350)가 동작하면, 물이 배수된다. 또한, 배수펌프(3350) 동작 시, 스팀하우징(2310)의 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물공급어셈블리(2200)를 통해 물탱크로부터 스팀하우징(2310)으로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어, 배수펌프로 유입되고,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호스를 통해 배수된다.
스팀하우징(2310)의 물은 물탱크의 물과 혼합됨에 따라,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스팀하우징(2310)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스팀하우징으로부터 배수펌프로 배수되는 유로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스팀하우징(2310)의 가열된 물과, 물탱크의 물이 혼합되도록 배치된다.
가습제어부는 배수 시,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스팀하우징(2310)의 물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물식힘 후에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가습제어부는 스팀하우징(2310)의 물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배수호스 또는 배수펌프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설정온도 이하로 감소하면 배수가 시작되도록 한다.
스팀하우징(2310)의 물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라도, 물통의 물과 혼합되어 배수펌프로 유입되도록 물공급어셈블리(2200)가 설치됨에 따라, 스팀하우징(2310)의 물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제어부(32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가습운전이 설정되면, 제어부(3240)는 가습운전에 따른 제어명령을 가습모듈제어부(3310)로 인가하고,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수위, 온도,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동작시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 시, 센서의 상태를 확인하고, 물끊임운전을 선행한 후 가습운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 후에 스팀살균을 수행할 수 있고, 가습운전 또는 스팀살균 후에 물식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습운전 전반을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감지부(3340)를 통해 물탱크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수위센서(3330)를 통해 물탱크의 물의 양을 판단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에 물이 없거나,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물이 공급되도록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내부패널(141) 또는 물탱크(2100)의 일부에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가 수위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가 개방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된 후 장착되면, 물탱크에 새로운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여 물에 대한 사용시간을 설정하고, 물이 투입된 시점을 기준으로 물이 물탱크에 잔류한 시간을 카운트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이 장착되면, 물탱크의 장착전과 후의 수위를 비교하여 새로운 물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물이 일정시간 이상 잔류하는 경우,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3350)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물이 설정된 사용시간까지 잔류하는 경우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 중에 사용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 배수에 따른 알림이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배수 완료 시,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배수가 완료되면 사용시간을 초기화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에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스팀하우징(231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제어하여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로부터 스팀하우징(2310)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고, 스팀제너레이터 동작 시, 물온도의 변화를 통해 스팀히터(2320)의 정상 동작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팀히터(2320)는 용량, 즉 시간당 발열량이 상이한 복수의 히터를 포함한다. 스팀히터(2320)는, 제 1 용량의 제1 히터와, 제 2 용량의 제 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히터는 제2 히터보다 큰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면, 스팀하우징(2310)의 스팀토출부(2316)에 연결된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한다. 스팀가이드(2400)는 토출구 또는 보조 베인에 연결되고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가습된 공기가 실내도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팀가이드(2400)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고,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수위 및 스팀하우징의 수위에 따라 스팀제너레이터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아이콘, 이미지, 알림메시지,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모듈(3292)을 제어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2000)은 가습운전을 설정됨에 따라.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가습운전에 필요한 물의 양을 확인한다(S310). 가습모듈은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함은 물론, 물탱크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2000)은 스팀하우징에 공급된 물, 즉 스팀 수위를 감지한다(S320). 스팀하우징에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히터가 동작할 수 있는 수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가습모듈(2000)은 히터가 동작이 가능한 정도의 수위이면 물끓임 운전(S330)으로 가습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운전을 할 수 있다.
물온도가 설정온도, 예를 들어 100도에 도달한다면, 가습모듈(2000)은 가습운전을 시작한다.
가습모듈(2000)은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살균모드의 설정 여부에 따라 스팀을 발생하여 스팀이 유동하는 유로를 살균하는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한다(S350).
살균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스팀살균운전이 완료되면, 가습모듈(2000)은 물식힘운전을 통해 스팀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가 내려가도록 한다(S360).
가습모듈(2000)은 물끓임 운전부터 물식힘 까지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구동하여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키고, 가습팬(25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가습모듈(2000)은 운전에 따라 히터의 용량 또는 히터의 동작대수를 변경하여 실내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2000)은 물탱크에 수용된 물에 대한 시간을 카운트 하여, 일정시간 이상 잔류한 경우 자동으로 배수할 수 있다(S370).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가습운전 후, 가습된 공기가 유동하는 스팀가이드(2400)를 살균하기 위한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가습모듈(2000)은 물끓임운전 후, 가습운전을 수행하여(S410), 가습팬(2500)에 의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부터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이 종료되면(S420), 살균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살균모드는 가습운전설정에 따른 옵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조작부(3230)에 의해 살균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3240)는 가습운전에 따른 제어명령과 함께 살균모드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을 가습모듈제어부로 인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살균모드가 설정된 경우 물탱크(2100)의 수위를 감지하고(S440),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살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물탱크의 수위기 제1 수위 미만이면 스팀살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 1 수위는 가습운전이 가능한 수위에, 스팀살균을 위한 약 500ml 를 포함하는 수위이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이면,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한다(S46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팬이 스팀살균을 위한 살균풍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복수의 히터가 동작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고온으로 가습된 공기가 스팀가이드를 통해 유동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면서, 스팀가이드가 고온에 의해 살균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살균 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시간 동안 스팀살균을 수행한 후 스팀살균운전을 종료한다(S48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살균운전 후 물식힘 운전(S500)을 통해 스팀하우징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감소하도록 한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물부족에 대한 알림이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부족으로 인하여 스팀살균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한 알림을 제어부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여, 알림이 문자, 이모티콘,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살균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스팀살균을 수행하지 않고 물식힘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500).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을 위한 준비동작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2000)은 스팀살균운전 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 1 수위센서(3331)는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가습모듈제어부(3310)로 인가하고,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수위에 따라 가습운전이 가능한지 또는 스팀살균운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탱크의 수위는 공수위부터 가습운전 가능수위(제 2 수위), 스팀살균운전 가능수위(제 1 수위), 만수위 등으로 복수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수위판단에 따른 단계는 설정에 따라 세분화하여 복수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고, 물의 양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2100)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50) 스팀살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물부족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S49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2100)의 수위가 제 1 수위이상이면, 제 2 수위센서(3332)를 통해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를 감지한다(S50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제 11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510), 히터를 동작시킨다(S540). 제 11 수위는 히터가, 수용된 물에 의해 모두 잠기고,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최저수위이다.
제 2 수위센서(3332)는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인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비교하여, 스팀하우징 내의 수위변화를 통해, 그에 따라 물공급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탱크(2100)의 물은 자동으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공급되어 스팀하우징(2310)에 수용된다. 따라서 물탱크(2100)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하우징은 만수위인 것이 일반적이나, 물탱크의 물이 새로 공급된 경우, 물탱크로부터 스팀제너레이터로 물이 공급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물이 새로 공급된 경우를 고려하여,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수위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 수위가 제 11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제 1 시간 대기 후 수위를 2차 판단할 수 있다. 제 1 시간은 스팀하우징 내에 물의 공수위인 것을 기준으로 물탱크로부터 제 11 수위까지 물이 공급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제 1 시간 이후, 제 1 시간 보다 짧은 제 2 시간 단위로 복수회 수위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S52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복수회 수위변화를 판단하여, 스팀 수위가 제 11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회 감지된 스팀 수위가 제 11 수위 미만인 경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이상으로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모듈은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물공급에 따른 에러를 출력한다(S530).
물탱크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인 상황에서 제 1 시간 이상 경과하도록 스팀수위가 제 11수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물탱크로부터 스팀하우징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하우징 내에 제 11 수위 이상의 물이 수용된 경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한다(S54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팬(2500)이 살균풍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포함된, 용량이 상이한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를 모두 동작시켜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한다.
가습팬(2500)은 가습운전 중에, 살균풍, 가습풍, 건조풍의 3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가습팬의 회전속도는 살균풍, 가습풍, 건조풍의 순서로 증가하도록 설정된다.
살균풍 설정 시, 가습팬은 최소풍량으로 동작하며, 1000 내지 15000rpm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팬은 약 1120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가습된 공기의 풍량은 약 0/.25CMM이다.
스팀살균운전 시, 제 1 및 제 2 히터가 모두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발생함에 따라 가습된 공기가 온도가 단시간에 고온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가습운전으로 스팀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스팀살균이 진행됨에 따라 가습가이드 및 토출구의 온도 또한 상승하여 살균이 가능해 진다. 반면, 토출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송풍력은 최소로 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스팀살균운전의 동작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시간에 도달하면(S470), 스팀살균운전을 종료한다(S480).
스팀살균은 단시간에 스팀의 온도가 고온에 도달하여 토출되며, 약 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15분 동안 스팀살균을 수행하는 경우, 약 99%의 살균이 가능해진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스팀살균운전 후의 물의 배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모듈(2000)은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S550)하여, 물통에 일정시간 이상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이 새로 공급된 시간을 기준으로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통이 탈거 후 장착된 경우 감지되는 수위를 기준으로 사용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에 수용된 물에 대하여, 설정된 물사용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60), 물사용시간에 도달한 경우, 가습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70). 이때 가습운전은 물끓임부터 물식힘까지의 동작 전반을 포함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사용시간 도달 시 현재 가습운전 중인 경우 물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S580). 경우에 따라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물을 배수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가습운전중이 아니거나 가습운전이 완료되면, 사용시간이 경과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배수펌프를 동작시키기 전, 온도센서를 통해 스팀하우징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S590).
배수를 시작하면 스팀하우징에 수용된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되는데, 고온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되는 경우 배수호스는 물로 배수펌프가 고온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물온도를 확인한 후 배수펌프를 동작시킨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고(S600), 설정온도 이상이면 물식힘 후(S610)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배수펌프를 동작시킨다(S620).
배수펌프가 동작하면, 스팀하우징 내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됨과 동시에 물탱크의 물 또한 배수펌프로 유입되어 스팀하우징과 물탱크의 물이 배수된다(S630). 이때 스팀하우징 내의 물과 물탱크의 물이 혼합되어 배수펌프로 유입됨에 따라, 물의 온도가 감소하고, 배수펌프는 고온에 의한 손상 없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배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40), 배수가 완료되면 물없음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은 물없음 알림을 출력한다(S650).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의 수위와 스팀하우징의 수위에 따라 배수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수호스 등에 물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가습모듈제어부(3310)는 물탱크와 스팀하우징이 공수위로 감지된 이후 소정시간동안 배수펌프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900 : 카메라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Claims (24)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공급하는 가습팬;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
    상기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운전이 완료되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상기 가습팬을 추가 동작시켜, 상기 스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를 살균하는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하는 가습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제 1 히터와 상이한 용량의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가습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스팀살균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살균모드의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물부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스팀살균운전이 종료된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 1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위한 최소수위인 제 1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고, 상기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물부족으로 판단하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확인한 후, 상기 제 2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수위가, 가습공기의 발생을 위한 최소수위인, 기준수위 이상이면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2 수위센서를 통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물의 수위를 복수회 감지하고,
    설정 횟수 동안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이면 물공급 에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2 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물의 수위를 1차 판단한 후,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수위를 2차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2차 판단 후, 상기 제 1 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제 2 시간 간격으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물의 수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스팀살균운전 시, 상기 가습팬을 살균풍으로 설정하여, 최소풍량으로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은 상기 살균풍 설정 시, 약 1000 내지 15000 rpm으로 회전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팀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스팀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토출부는 열교환된 공기와 분리되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스팀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가습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가습운전이 종료되면, 살균모드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살균모드가 설정된 경우 물탱크의 수위에 대응하여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가습팬을 설정시간 동안 추가 동작시켜 스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를 살균하는 단계;
    설정시간 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온도가 감소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 1 수위센서를 통해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위한 최소수위인 제 1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물부족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물부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스팀살균운전이 종료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를 정지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감소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기 전,
    제 2 수위센서를 통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수위가, 가습공기 발생을 위한 최소수위인, 기준수위 이상이면 상기 스팀살균운전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의 수위를 상기 기준수위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수위 이상인지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하면, 수위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수위판단 후, 상기 제 1 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제 2 시간 간격으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물의 수위를 복수회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물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물공급 에러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팀살균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가습팬이 최소풍량의 살균풍으로 동작하여, 상기 가습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팀살균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식히는 단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배수펌프를 동작하는 단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물탱크의 물이 혼합되어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사용시간에 도달한 때에, 상기 가습운전 또는 상기 스팀살균운전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시간에 도달하면, 배수펌프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물탱크의 물이 혼합되어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24912A 2019-03-04 2019-03-0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12A KR102246977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53816A KR102443524B1 (ko) 2019-03-04 2021-04-2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12A KR102246977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16A Division KR102443524B1 (ko) 2019-03-04 2021-04-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02A true KR20200106402A (ko) 2020-09-14
KR102246977B1 KR102246977B1 (ko) 2021-04-30

Family

ID=7247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12A KR102246977B1 (ko) 2019-03-04 2019-03-0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931A (zh) * 2020-12-24 2021-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
WO2023156619A1 (fr) * 2022-02-17 2023-08-24 Sun-Ice Energy Pte. Ltd.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taux d'humidité pour un system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066B1 (ko) * 1996-12-27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에어콘의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
KR19990046925A (ko) * 1997-12-01 1999-07-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20000013337A (ko) * 1998-08-07 2000-03-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가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58894B1 (ko) * 1998-02-18 2000-06-15 박경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JP2001218827A (ja) * 2000-02-14 2001-08-14 Yoshihiko Takeoka 殺菌機能つき空調装置
KR20100013525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30109738A (ko) 2012-03-28 2013-10-08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JP2015048954A (ja) * 2013-08-30 2015-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2017215112A (ja) * 2016-06-01 2017-12-07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066B1 (ko) * 1996-12-27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에어콘의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
KR19990046925A (ko) * 1997-12-01 1999-07-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0258894B1 (ko) * 1998-02-18 2000-06-15 박경순 농업용 난방 및 가습기 겸용 스팀 살균 장치
KR20000013337A (ko) * 1998-08-07 2000-03-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가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1218827A (ja) * 2000-02-14 2001-08-14 Yoshihiko Takeoka 殺菌機能つき空調装置
KR20100013525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30109738A (ko) 2012-03-28 2013-10-08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JP2015048954A (ja) * 2013-08-30 2015-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2017215112A (ja) * 2016-06-01 2017-12-07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931A (zh) * 2020-12-24 2021-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
WO2023156619A1 (fr) * 2022-02-17 2023-08-24 Sun-Ice Energy Pte. Ltd.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taux d'humidité pour un system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977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6130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KR10224697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JP7174082B2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CN109974182B (zh) 超声波雾化组件、空气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032848A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
EP2719960B1 (en) Air conditioner
KR10210835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641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43524B1 (ko) 공기조화기
CN111868451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CN110762608A (zh) 一种加湿装置和空调室内机
KR102638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197563U (zh) 超声波雾化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设备
KR1024340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28642B1 (ko) 공기조화기
KR1023103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17540900U (zh) 新风空调器
JP2013155959A (ja) 加湿空気調和装置
KR2019011932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N219367817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CN215809050U (zh) 新风设备及空调系统
JP2024059902A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JPH1163581A (ja) 壁掛型空気調和機用の加湿器
KR202000140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6398939A (zh) 用于空调器室内机的加湿装置及空调器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