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22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322B1
KR102310322B1 KR1020180027403A KR20180027403A KR102310322B1 KR 102310322 B1 KR102310322 B1 KR 102310322B1 KR 1020180027403 A KR1020180027403 A KR 1020180027403A KR 20180027403 A KR20180027403 A KR 20180027403A KR 102310322 B1 KR102310322 B1 KR 10231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umidification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227A (ko
Inventor
이정원
김성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27A/ko
Priority to KR1020210130364A priority patent/KR2021012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본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되면, 전면을 향해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생성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가습모드 설정 시, 상기 스팀통이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일정시간 예열하여 초기 가습한 후, 설정된 가습을 수행하도록 하여, 가습 전에 스팀통의 물을 배수한 후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스팀통 내부에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스팀통 내부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가습모듈의 초기 작동 시,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조절함으로써, 가열되는 물의 총 양이 감소하여 가습모듈이 단시간에 스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가습 기능은 물론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여 특정 계절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사용 가능하도록 기능이 확장되는 추세이다.
공기조화기는 가습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가습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조화기는 스팀기능을 적용하여 가습된 공기를 도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2913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펌프, 스팀노즐을 포험하여 스팀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식기세척기는 스팀발생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팀 급수 단계에서 물량을 조절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4696은 스팀히터와 급수구, 배출구가 구비되어, 스팀 발생 시 가열되는 스팀용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통의 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습 또는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의 경우,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스팀통에 가득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므로 가습기능을 설정하고 실제 가습된 공기가 토출 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시간에 가습모듈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되면, 전면을 향해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가습모드 설정 시, 일정시간 예열하여 초기 가습한 후, 설정된 가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모듈은, 가습모드 설정 시, 상기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에 스팀이 발생되도록 예열하여 상기 초기 가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스팀통의 물을 배수한 후,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급수하여 상기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예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상기 스팀통에 물을 급수하여 지정된 가습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스팀통에 물을 설정 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 스팀부를 예열하여 초기 가습하는 단계, 상기 스팀부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하는 단계,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추가 급수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본 가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스팀통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는, 급수를 시작하면 급수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급수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가습모듈의 초기 작동 시,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공급되는 물을 조절함으로써, 가열되는 물의 총 양이 감소하여 가습모듈이 단시간에 스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일정한 시간에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 전에 스팀통의 물을 배수한 후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스팀통 내부에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스팀통 내부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 패널 개방 시 물통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통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통이 측면이나 후면에 위치하던 것과는 달리 전면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한 자세를 하지 않더라도 쉽게 물통에 물을 급수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물통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의 가습모듈의 배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의 스팀부 예열 시 스팀통의 수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가습모듈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가습모듈의 급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각 모듈 및 각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의 본체(10)가 실내에 구비되고,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실내기(1)는 전면에 토출구(9)가 형성되어,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토출구(9)를 통해 토출한다.
실내기는 본체(10)의 후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는 캐비넷(12)의 측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흡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이 설치된다.
토출구(9)는 서큘레이터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토출구(9)의 내측에는 서큘레이터(15)가 구비된다. 서큘레이터(15)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서큘레이터(15)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한다.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송풍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캐비넷(12)의 측면에는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베이스(미도시), 캐비넷(12), 전면패널(11)을 포함한다. 전면패널(11)은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넷(12)은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베이스에는 근접센서(17)가 설치된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근신호를 입력한다. 그에 따라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292)이 활성화되어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본체(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이 동작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디스플레이모듈(292)이 구비되고, 서큘레이터도어(13)가 설치된다. 전면패널(11)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는 비젼모듈(210)이 설치된다. 또한, 전면패널(11)은 근접센서(미도시), 오디오입력부(미도시), 오디오출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의 어느 일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와 리모컨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토출구(9)를 개폐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본체 동작 시 열려 서큘레이터(1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오픈됨에 따라 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토출구를 폐쇄한다. 전면패널(11)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토출구 개방 시, 서큘레이터도어(13)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본체의 내측으로 후진이동 후,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된다.
서큘레이터도어(13)가 열리면, 서큘레이터(15)는 전면패널(11)로 전진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서큘레이터(15)는 본체의 내측으로 후진이동하고, 서큘레이터도어(13)의 이동으로 흡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전면패널(11)은 캐비넷(12)의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에 형성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좌우 이동한다. 전면패널(11)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부패널(14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내부패널(141)에는 서큘레이터(15)가 구비되고, 서큘레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내부패널(141)에는 하부에 가습모듈의 물통(329)이 설치된다.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림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물통(329)은 가습모듈에 물을 공급한다.
본체(10)는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3 은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물통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의 물통(329)은 전면을 향해 배치되어,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물통(329)은 하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캐비넷(12)에 연결된다. 물통의 상부는 하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어 투입구(19)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물통(329)은 상부가 내부패널(141)과 소정각(θ)을 이루도록 전면으로 틸팅(tilting)된다.
또한, 물통(329)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통감지부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물통의 투입부가 캐비넷의 내측으로 인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2)은 물통이 내측으로 인입되면 물통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통(329)은 손잡이(미도시)가 전면을 향해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누름 조작에 의해 내측의 고정부(미도시)가 해제됨에 따라 소정각으로 틸팅되어, 물통의 상부가 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근접센서(17)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근접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슬라이딩되어 열림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는 물통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내부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329)은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은 전면의 어느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센서부(215), 전원부(299), 구동부(280), 조작부(230), 디스플레이모듈(292), 메모리(256), 통신부(270), 오디오출력부(291), 오디오입력부(220),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원부(299)는 본체(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15)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1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280)는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구동부, 이동수단 구동부, 밸브구동부, 전면패널구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256)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부(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센서부(215)는 근접센서(17),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통감지부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의 하부, 베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비젼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비젼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젼모듈(210)은 전면패널(11)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넷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청소모듈은 청소로봇(미도시)을 포함한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로봇청소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329)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모듈(3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300)은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초기 가습 후 본 가습을 수행하여 설정시간 내에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가습모듈(300)은, 물통의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습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비젼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또한,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241), 비젼모듈제어부(242), 전원공급제어부(243), 조명제어부(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245), 가습모듈제어부(246), 청소모듈제어부(247)를 포함한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비젼모듈(210)에 비젼모듈제어부(242)가 구비되고, 가습모듈에 가습모듈제어부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300)은 스팀부(320), 수위센서(330), 물통감지부(340), 배수펌프(350), 제 1 밸브(361), 제 2 밸브(362), 그리고 가습모듈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가습모듈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스팀부(320)는 물통(32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화시켜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킨다. 스팀부(320)는 가습을 위한 스팀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통에는 수위센서와 온도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팀부(32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식,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진동을 통해 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식, 가열식과 초음파식을 결합한 복합식, 물을 분무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 원심분무식, 젖은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수위센서(330)는 물통(329)에 투입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수위센서(330)는 물통(329)의 물의 양에 따른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에 물이 일정 량 이상이 되면 만수신호를 출력하고,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 공수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위센서(330)는 세로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수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는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물에 의해 저항값이 변경됨에 따라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330)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수위에 따라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을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물통의 어느 일면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센서를 일렬배치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초음파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물통에 설치되는 호수에 자석을 투입하여 수위에 따라 자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330)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 또는 복수의 방식을 혼합하여 물통의 수위를 감지한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329)의 장착상태를 감지한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329)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 또는 물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것을 감지한다. 물통감지부(34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물통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에러가 출력되도록 제어부(240)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모듈(292)에는 물통아이콘 또는 물통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물통에러에 대한 램프가 점등되거나, 물통장착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배수펌프(350)는 스팀부(320)의 스팀통과 연결되는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스팀용 물통인 스팀통(32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펌프(350)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배수가 완료되면 동작을 정지한다.
배수펌프(350)가 동작하면, 물통(329)과 스팀통 사이의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스팀통의 물이 배수된다. 또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면, 연결된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고,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호스를 통해 배수되어, 물통(329)의 물이 배수된다.
제 1 밸브(361)는 물통(329)과 스팀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391)에 설치된다. 제 1 밸브(361)가 개방되면, 물통(329)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된다. 제 1 밸브는 스팀통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용 밸브이다.
제 2 밸브(362)는 배수호스(393)에 설치되어, 스팀통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호스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밸브(361) 및 제 2 밸브(362)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구동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감지부(340)를 통해 물통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수위센서(330)를 통해 물통의 물의 양을 판단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에 물이 없거나,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물이 공급되도록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가 수위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이 개방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된 후 장착되면, 물통에 새로운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여 물에 대한 사용시간을 설정하고, 물이 투입된 시점을 기준으로 물이 물통에 잔류한 시간을 카운트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의 장착전과 후의 수위를 비교하여 새로운 물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일정시간 이상 잔류하는 경우,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350)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설정된 사용시간까지 잔류하는 경우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2 밸브(362)가 오픈되도록 한 후,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 배수에 따른 알림이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배수 완료 시,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배수가 완료되면 사용시간을 초기화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스팀부(320)를 제어하여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면, 스팀통의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호스(392)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한다. 공급호스는 토출구 또는 보조 베인에 연결되고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가습된 공기가 실내도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호스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고,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으로 급수 시, 제 2 밸브(362)를 제어하여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배수호스로부터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수위에 따라 스팀부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아이콘, 이미지, 알림메시지,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3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1 밸브(361) 및 제 2 밸브(362)의 개폐를 제어하며, 배수펌프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를 동작시키기 전, 스팀통(321)의 잔수를 제거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소정 시간 동안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면, 역류방지를 위한 제 2 밸브가 닫히도록 하고, 배수펌프 또한 동작을 정지시킨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물통(329)으로부터 스팀통(321)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오픈 상태로 유지되어,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에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 스팀부(32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스팀부는 구비되는 히터를 동작시켜 스팀통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스팀은 공급호스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와 합류되고, 본체는 가습된 공기를 토출한다.
가습모듈(300)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의 물을 조절하여 설정된 수위, 예를 들어 중수위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부를 예열하여 초기 가습을 수행한다.
가습모듈(300)은 초기 가습 후,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스팀통의 급수를 시작하여 만수상태에서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329)에는 물통감지부(340)와 수위센서(330)가 설치된다.
물통(329)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 개방 시,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방될 수 있고, 또한,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통(329)이 장착되고, 본체의 캐비넷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면,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의 정상 장착에 따른 신호를 가습모듈제어부(310)로 인가한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의 하단부가 본체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물통의 상단부가 캐비넷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통감지부(340)는 캐비넷에 설치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이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물통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330)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물통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복수개(331 내지 335)가 세로로 일렬배치될 수 있고, 또는 물통의 하단부와 물통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공수위와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330)는 물통의 상단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른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개시된 수위센서는 일 예 일뿐, 센서의 설치 위치와 센서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물통(329)과 스팀통(321)은 연결호스(391)로 연결된다. 연결호스(391)에는 제 1 밸브(361)가 설치된다.
물통(329)에 물이 투입되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투입된 물에 대한 사용시간을 설정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사용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329)의 물이 중수의 이상인 경우 그 수위에 따라 3 내지 5일을 사용시간으로 설정하고 저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1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의 레벨은 복수로 설정될 수 있고, 설치되는 센서의 종류 또는 수에 따라 감지되는 레벨은 가변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이 투입된 시간을 기준으로, 경과하는 시간을 카운트 한다.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320)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가습모드 설정 시 제 1 밸브가 오픈된다. 물통(329)의 물은 제 1 밸브(361)가 오픈 되면, 스팀통(321)으로 공급된다.
스팀부(320)는 스팀통(321)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가 동작하여 스팀통(321)의 물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킨다. 가습된 공기는 토출구로 공급되어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320)가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면,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9)로 공급되도록 한다. 스팀부는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통(321)에는 공급호스(392)가 연결되어 가습된 공기, 즉 스팀이 토출구(9)로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호스(392)는 토출구 또는 보조 베인으로 연결되어 가습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공급호스(392)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호스(392)에는 스팀통으로부터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의 토출을 차단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의 잔수를 제거한 후, 가습이 시작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3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1 밸브(361) 및 제 2 밸브(362)의 개폐를 제어하며, 배수펌프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를 동작시키기 전, 스팀통(321)의 잔수를 제거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잔수제거를 위하여, 물통과 스팀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391)에 설치된 제 1 밸브가 닫히도록 하고, 또한, 역류방지를 위한 제 2 밸브를 작동시켜 오픈하며, 배수펌프를 동작시킨다. 제 1 밸브가 닫힘에 따라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의 급수는 중단되고, 제 2 밸브의 오픈과 배수펌프의 동작으로 스팀통에 있는 물은 배수호스를 통해 배수된다. 이때 제 1 밸브는 닫힘상태이므로, 물통(329)의 물은 배수되지 않는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소정 시간 동안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잔수가 모두 배수될 정도의 시간을 설정하여 배수펌프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이 만수인 경우에 대응하여, 스팀통의 물이 모두 배수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물이 모두 배수되면, 역류방지를 위한 제 2 밸브가 닫히도록 하고, 배수펌프 또한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스팀부의 예열을 통해 초기 가습을 수행한 후, 본 가습이 수행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가 소정 시간 정지한 후 재동작하는 경우, 스팀통의 물의 온도에 따라 초기 가습을 수행하거나 즉시 본 가습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361)를 오픈하여 물통(329)으로부터 스팀통(321)으로 물이 급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물통(329)으로부터 스팀통(321)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오픈 상태로 유지되어,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361)가 오픈되면, 시간을 카운트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오픈 된 후,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제 1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제 1 밸브가 닫힘에 따라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의 급수가 중단된다. 설정시간은 스팀부 내부에 설치된 히터가 물에 잠기는 정도의 시간이다. 히터의 크기 또는 설치위치, 연결호스의 직경에 대응하여 설정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히터에 물에 잠시는 정도에서 급수가 정지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물을 배수시킨 후, 급수를 수행함에 따라 급수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팀통의 수위를 연산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32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스팀부는 구비되는 히터를 동작시켜 스팀통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스팀은 공급호스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와 합류되고, 본체는 가습된 공기를 토출한다.
가습모듈(300)은 가습모드 설정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팀통의 물을 조절하여 적은 양을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부를 예열하여 초기 가습을 수행한다. 가습모듈(300)은 초기 가습 후, 스팀통으로 물을 급수하여 스팀통이 만수인 상태에서 스팀부가 동작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초기 가습으로 스팀부를 예열하는 경우, 스팀통이 만수되기 전에 급수를 중단하여, 스팀부의 히터에 의해 적은양의 물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가습을 수행한다. 초기 가습 후,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으로 물을 급수하여 스팀통이 만수위가 되도록 한다. 스팀부는 초기 가습 시 동작하여 본 가습까지 연속으로 동작한다. 초가 가습 후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는 동안에도 스팀부가 동작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스팀부(320) 동작 시, 제 1 밸브(361)는 오픈상태로,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수펌프는 동작 정지하고, 스팀통의 물은 배수되지 않는다.
스팀부(320)의 동작에 의해 스팀통의 물이 미세한 입자로 변경되어 토출구로 토출됨에 따라 스팀통의 물은 감소하게 되는데, 제 1 밸브는 오픈된 상태이므로, 물의 감소분은 물통으로부터 공급되어 스팀통이 만수가 된다. 스팀통이 만수가 되면 물통으로부터 물은 유입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밸브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일정 시간 이상 잔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잔류하는 물이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350)를 작동시킨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배수펌프(350)의 동작과 함께 제 1 밸브(361)가 오픈되도록 하여, 배수펌프에 의해 스팀통(321)의 물이 배수호스(393)를 통해 배수로로 배출되는 동시에,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되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수위센서(330)를 통해 감지되는 물통(329)의 수위에 따라 배수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또한, 물통의 물이 모두 배수되어 공수위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모두 배수되면, 제 1 밸브(361)가 닫히도록 하고, 배수펌프(350)를 정지시킨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없음에 대한 안내가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의 가습모듈의 배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11)의 후면에는 캐비넷(12)의 내측방향으로 물통(329)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캐비넷(12)의 내부에는, 물통(329)의 후면에, 물통과 연결된 스팀부(320)가 배치된다. 물통과 스팀부의 스팀통은 연결호스(391)로 연결되어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된다.
또한, 스팀부(320)의 스팀통에는 배수호스(393)가 연결된다. 배수호스(393)는 배수펌프(350)와 연결되고, 배수호스(393)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로(미도시)까지 연장 설치된다.
스팀부(320)는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로 공급되도록 공급호스(392)와 연결되고, 공급호스(392)는 스팀통(321)으로부터 상부의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공급호스는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의 스팀부 예열 시 스팀통의 수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가습모듈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어 스팀부의 동작에 의해 스팀통 내의 물이 가열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킨다. 가습모듈은 발생된 스팀을 토출구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기 유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에서 스팀통이 만수위(WL1)인 상태로 스팀부가 동작하도록 한다. 스팀부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함에 따라 스팀통의 물은 감소하게 되는데,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1 밸브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감소하는 분량에 대응하여, 물이 물통으로부터 재공급되어 스팀통이 만수위(WL1)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이 만수상태가 되면 제 1 밸브를 닫고, 소정 시간 후 스팀통의 물이 감소하면 제 1 밸브를 오픈하여 물통으로부터 물이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초기 가습을 통해 스팀부를 예열한 후, 스팀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부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통이 만수위(WL1)에 도달되기 전에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급수를 중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배수펌프를 제어하여 스팀통의 물을 배수한 후, 재급수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는 닫고 제 2 밸브는 오픈한 상태에서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물통의 물을 유지하고, 스팀통의 물만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에 잔수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설정시간 동안 급수함으로써, 스팀통이 소정 수위에 도달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에 만수위(WL1)까지 급수되지 않고, 히터가 잠기는 정도, 예를 들어 중수위(WL2)까지 급수되도록 한 후, 스팀부를 동작시켜 적은양의 물로 초기 가습을 수행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초기 가습 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팀통으로 물을 급수하여 만수위인 상태로 가습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초기 가습 후, 물통의 물이 만수위까지 급수되는 경우 스팀통 내의 물의 온도가 감소하므로, 제 1 밸브를 제어하여 소량의 물을 급수 한 후, 급수를 정지하고, 다시 소량의 물을 급수하여 단계적으로 스팀통의 수위가 증가하도록 한다. 이는 스팀통 내의 물의 온도가 감소하여 스팀발생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가습모듈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가 설정되면(S550), 가습모듈(300)은 스팀통(321)으로의 급수를 정지한 후(S560), 스팀통의 잔수를 배수 한다(S57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329)으로부터 스팀통(321)으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 1 밸브(361)가 닫히도록 하여 스팀통으로의 급수를 정지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닫힌상태에서, 역류방지를 위한 제 2 밸브(362)를 오픈하고, 배수펌프(350)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팀통(321)을 물을 배수한다. 제 1 밸브는 닫힌 상태이므로, 물통(329)의 물은 배수되지 않는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소정 시간 동안 배수펌프(350)를 동작시켜 스팀통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배수한 후, 배수가 완료되면, 제 2 밸브(362)를 닫고 배수펌프를 정지시킨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에 수위센서가 구비된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스팀통의 수위에 대응하여 배수를 종료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배수펌프를 정지시키고, 또한, 제 2 밸브가 닫히도록 하여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S58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배수가 완료되면, 제 1 밸브(361)를 오픈하여 스팀통의 급수를 시작한다(S590).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오픈되면 시간을 카운트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급수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하면(S600), 제 1 밸브(361)가 닫히도록 하여 급수를 정지한다(S610). 설정시간은 스팀부의 히터가 물에 잠기는 정도의 수위로, 예를 들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이 만수위가 되기 전에, 스팀통의 물이 중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중지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320)를 제어하여 스팀부의 히터가 동작하도록 한다(S620). 스팀부는 스팀통의 물이 만수위가 아닌 상태에서 동작하여 스팀을 발생함으로써 예열되어, 스팀을 공급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가습모듈의 급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통의 수위를 조절하여 적은양의 물을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시켜 예열동작한다(S63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예열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예열시간이 경과하면, 스팀통에 급수를 시작한다(S65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밸브를 오픈시켜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급수를 단속제어하여 소정 양 급수된 후, 급수를 정지하고, 다시 소정양 물이 급수된 후, 급수를 정지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물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연속으로 급수할 수 있다.
스팀부는 스팀통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S660).
예열 후, 급수 중에도 스팀부는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의 물량을 조절하여 단시간에 스팀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이 발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을 배수한 후, 물이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스팀통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을 배수한 후, 스팀통에 급수를 시작하여 센서 없이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스팀부를 예열하는 초기 가습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스팀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이 전면패널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면패널의 개폐만으로 손쉽게 급수할 수 있고, 물통의 탈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실내기
9: 토출구
10: 본체 11: 전면패널
12: 캐비넷 13: 서큘레이터도어
15: 서큘레이터 17: 근접센서
17: 근접센서 141: 내부패널
210: 비젼모듈 292: 디스플레이모듈
329: 물통 400: 청소모듈

Claims (20)

  1.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본체;
    스팀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물통으로부터 상기 스팀통으로 공급된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스팀통이 만수위보다 낮은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일정시간 예열하는 초기 가습을 수행한 후, 상기 스팀통에 물을 추가 급수하여 지정된 가습을 수행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스팀통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부;
    상기 스팀통에 연결되어 배수호스를 통해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스팀통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스팀부를 동작시키는 가습모듈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스팀통의 물을 모두 배수하고,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스팀통으로 물을 급수하여 상기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하여 상기 초기 가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초기 가습을 수행하여 스팀을 발생 시킨 후,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지정된 가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물통과 상기 스팀통에 연결된 연결호스에 구비된 급수용 제 1 밸브는 닫고, 상기 배수호스에 구비된 역류방지용 제 2 밸브는 오픈하여 상기 스팀통의 물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제 2 밸브는 닫고 상기 배수펌프를 정지시킨 후, 상기 제 1 밸브를 오픈하여 급수시간을 카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초기 가습을 수행할 때, 상기 스팀통의 물이 중수위에 도달하는 시간 동안 급수한 후, 급수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초기 가습을 수행할 때, 상기 스팀통의 물이, 상기 스팀부가 잠기는 수위 이상이고 만수위 미만인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 동안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초기 가습 후, 상기 스팀통으로 만수위까지 물이 급수되도록 하고,
    상기 스팀부는 연속으로 동작하여 스팀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동작상태 및 운전설정을 출력하고, 상기 물통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되면, 상기 물통의 일부가 전면을 향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27403A 2018-03-08 2018-03-0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03A KR102310322B1 (ko) 2018-03-08 2018-03-0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130364A KR20210124134A (ko) 2018-03-08 2021-09-3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03A KR102310322B1 (ko) 2018-03-08 2018-03-0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364A Division KR20210124134A (ko) 2018-03-08 2021-09-3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27A KR20190106227A (ko) 2019-09-18
KR102310322B1 true KR102310322B1 (ko) 2021-10-07

Family

ID=680708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03A KR102310322B1 (ko) 2018-03-08 2018-03-0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130364A KR20210124134A (ko) 2018-03-08 2021-09-3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364A KR20210124134A (ko) 2018-03-08 2021-09-3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0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801A (ja) * 2000-11-15 2002-05-22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湿器
KR100820149B1 (ko) * 2006-11-2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2017090003A (ja) * 2015-11-13 2017-05-25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184A (ja) * 1993-05-26 1994-11-2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装置
KR101724696B1 (ko) 2010-03-31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12913B1 (ko) 2015-08-03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801A (ja) * 2000-11-15 2002-05-22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湿器
KR100820149B1 (ko) * 2006-11-2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2017090003A (ja) * 2015-11-13 2017-05-25 株式会社コロナ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34A (ko) 2021-10-14
KR20190106227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33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2055308B2 (en) Air conditioner
KR10210835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688616B (zh) 空调
JP4391516B2 (ja) 全熱交換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340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03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697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JP6059606B2 (ja) 送風装置
KR10213038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7239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090003A (ja) 加湿装置
KR102087975B1 (ko) 공기조화기
JP2017116255A (ja) 送風装置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6151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청소 방법
KR018252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443524B1 (ko) 공기조화기
KR102163624B1 (ko) 공기조화기
JP2013155959A (ja) 加湿空気調和装置
KR102284508B1 (ko) 공기조화기
KR102146865B1 (ko) 공기조화기
KR10032211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1163581A (ja) 壁掛型空気調和機用の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