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327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327A
KR20190119327A KR1020180042640A KR20180042640A KR20190119327A KR 20190119327 A KR20190119327 A KR 20190119327A KR 1020180042640 A KR1020180042640 A KR 1020180042640A KR 20180042640 A KR20180042640 A KR 20180042640A KR 20190119327 A KR20190119327 A KR 2019011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fan
case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람
박형호
최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327A/ko
Priority to PCT/KR2019/003599 priority patent/WO2019198953A1/ko
Publication of KR2019011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 및 가습 어셈블리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팬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를 형성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 상기 가습케이스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가습팬 및 상기 가습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가열하는 가습히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실내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실외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공간을 가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가습을 위한 가습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습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을 출원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 제10-2012-0081900호(공개일자 : 2011년 07월 20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기
상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은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이 오염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고 오염된 물이 기화되어 실내공기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면, 상기 가습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 모두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습 어셈블리에서 초음파 가습을 이용하는 경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물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교적 큰 물 입자에는 곰팡이, 세균 또는 석회질이 포함될 수 있어, 이와 같은 물 입자가 공기 중으로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 입자를 살균하여 공기 중으로 제공하는 가습 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물 입자를 생성하고, 가열된 기류를 통해 미세 물 입자로 변환하여 토출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 및 가습 어셈블리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팬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를 형성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 상기 가습케이스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가습팬 및 상기 가습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가열하는 가습히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습팬은 상기 가습케이스의 일 측에 상기 가습케이스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습히터는 상기 가습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가습케이스로 유동되는 경로 중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에는, 가습모드가 ON되고, 진동자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를 형성하도록 작동되고, 가습팬 및 가습히터가 가열된 기류를 형성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가열된 기류를 통해 상기 물 입자가 미세 물 입자로 변환되고, 상기 미세 물 입자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상기 가습모드가 OFF되고, 상기 진동자가 작동정지되고, 상기 가습팬 및 상기 가습히터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된 후 작동정지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된 미세한 물 입자를 공기 중으로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간단한 구조를 물 입자를 생성하고, 가열된 기류를 제공함에 따라 물 입자가 미세 물 입자로 변환됨과 동시에 살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입자와 함께 가열된 기류가 가습 어셈블리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가습 어셈블리의 구성들도 살균되고,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에도 가열된 기류를 일정 시간동안 제공하여 상기 가습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가습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재의 편의상,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실내기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11, 1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 11, 12)는 상하로 연장된 박스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는 직립으로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해당된다.
상기 케이스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0) 및 캐비닛(11, 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실내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도어(10)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10)는 후술할 가습수용부(66)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에는, 소정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100)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는 상기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원형 개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구(100)에는 후술할 제 1 팬(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02)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102)는 대략 사용자가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제 1 토출구(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실내기(1)에 운전과 관련된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02)는 소정의 압력, 터치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2)를 소정의 횟수로 노크하는 경우, 상기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02)에 2번의 노크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고, 3번의 노크가 입력될 경우, 상기 도어(10)를 타 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공간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104)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부(104)는 보다 넓은 공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04)는 상기 실내기(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나 음성, 모션 등을 감지하는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후방에는 상기 캐비닛(11, 12)이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10)는 상기 캐비닛(11, 12)의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 12)은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캐비닛(11) 및 하부캐비닛(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캐비닛(11)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캐비닛(11)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후술할 실내 열교환기(40), 제 1 팬(20), 팬 어셈블리(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캐비닛(11)에는 소정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흡입구(110)는 상기 상부캐비닛(1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0)에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1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112)의 일 측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12)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클리닝어셈블리(50)가 구비된다. 상기 클리닝어셈블리(5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이동가이드(51) 및 상기 이동가이드(51)를 따라 이동되는 클리닝본체(52)가 포함된다.
소정의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클리닝본체(52)가 상기 이동가이드(51)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청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청소할 필요가 없거나, 비교적 큰 시간간격으로 청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부캐비닛(12)은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캐비닛(12)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10) 및 상기 상부캐비닛(11)을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하부캐비닛(12)에는 후술할 가습 어셈블리(6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제 1 팬(20), 팬 어셈블리(30), 실내 열교환기(40) 및 가습 어셈블리(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토출구(1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토출구(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팬(20)은 동작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토출구(100)에 위치되고, 동작되지 않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토출구(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토출구(100)에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를 개폐하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를 폐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이 깔금해지며, 상기 제 1 팬(20)에 이물질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는 상기 제 1 팬(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30)에는, 복수의 제 2 팬(32)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이 설치되는 팬 케이스(34)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32)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팬 케이스(3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제 2 팬(32)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이 상하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기류를 생성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을 '열교환팬'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팬 케이스(34)에는, 소정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도어(10)와 상기 상부캐비닛(11)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냉매배관(42)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기능하며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 또는 수집하는 드레인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어셈블리(60)는 토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가습 어셈블리(60)는 제 2 토출구(36)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가습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에는, 가습공급부(62), 가습생성부(64), 가습수용부(66) 및 가습팬(68)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생성부(64), 상기 가습수용부(66) 및 상기 가습팬(68)은 상기 하부캐비닛(12)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상기 제 2 토출구(36)에 미세 물입자를 토출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생성부(64)에서 상기 제 2 토출구(36)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상기 하부캐비닛(12)에서 상기 상부캐비닛(1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습공급부(62)에는 상기 가습생성부(64)에서 연장되는 제 1 공급부(620) 및 상기 제 1 공급부(620)에서 연장되는 제 2, 3 공급부(622, 62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3 공급부(620, 622, 624)는 일 종의 파이프로, 상기 제 2, 3 공급부(622, 624)는 상기 제 1 공급부(620)가 분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3 공급부(622, 624)는 각각 제 1, 2 분사부(623, 625)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2 분사부(623, 625)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 2 토출구(36)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생성부(64)는 물을 물입자로 변환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생성부(64)에는 초음파 가습을 위한 진동자(640, 도 5) 및 상기 진동자(640)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642)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케이스(642)는 상기 하부캐비닛(12)에 설치되고, 내부공간이 구비된 밀폐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케이스(642)에는 상기 제 1 공급부(620), 상기 가습팬(68) 및 상기 가습수용부(66)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습케이스(642)에는, 상기 가습수용부(66)에서 물이 유동되는 제 1 개구, 상기 가습팬(68)에서 형성된 기류가 유입되는 제 2 개구 및 상기 제 1 공급부(620)와 연통되는 제 3 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개구로는 상기 가습팬(68)에 의해 형성된 기류와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된 물 입자가 유동된다.
이때, 상기 가습팬(68)은 앞서 설명한 열교환팬(20, 32)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교환팬(20, 32)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팬(68)은 상기 가습케이스(642)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습팬(68)은 상기 하부캐비닛(12)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팬(20, 32)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팬(20), 상기 복수의 제 2 팬(32) 및 상기 가습팬(68)이 상기 케이스(10, 11, 12)에 상하로 적층된다.
상기 가습수용부(66)는 상기 가습생성부(64)에 소정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수용부(66)에는 소정의 물이 수용되는 수조(66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수조(66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수조(66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수조(66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660)의 개방된 상면을 가습유입구(662)라 한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유입구(662)를 통해 상기 수조(6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10)는 상기 수조(66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660)는 상기 가습유입구(662)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가습수용부(66)가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02) 또는 상기 감지부(104)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조(660)가 전방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수조(6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손에 공급을 위한 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 간단한 신호를 통해 상기 가습유입구(662)가 노출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내기(1)의 구성들을 간단하게 도시된 것으로 상기 실내기(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앞서 설명한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실내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하나의 흡입구(110) 및 복수의 토출구(100, 36)가 구비된다. 또한, 각 토출구(100, 36)는 서로 다른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실내기(1)의 전면상부에 위치된 상기 제 1 토출구(100)와, 상기 실내기(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상기 제 2 토출구(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구(100)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제 2 팬(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토출구(36)로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팬(20)은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교적 먼 공간까지 토출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을 '원거리용 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팬(32)은 상기 케이스(10, 11, 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구(36)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간섭풍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팬(32)을 '근거리용 팬'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기(1)는 원거리모드 또는 근거리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풍 또는 해당 공간의 빠른 냉난방을 원하는 경우 원거리모드로 동작되고, 간접풍 또는 해당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경우 근거리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원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제 2 팬(32)이 동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빠르게 해당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기 실내기(1)가 원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내기(1)의 후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되어 상기 실내기(1)의 전면 및 측면을 통해 토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팬(20)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 2 팬(32)만 동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팬(20)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토출구(100)는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는 가습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구(36)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1)는 냉방 또는 난방모드 뿐만 아니라, 원거리 또는 근거리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더하여, 해당모드와 동시에 가습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1)는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입력부(102) 및 상기 감지부(104)에서 입력 또는 감지된 소정의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실내기(1)의 ON/OFF, 운전모드 등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04)를 통해 감지된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 등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실내기(1)에 구비된 온도센서(72), 습도센서(74) 및 수위센서(76) 등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값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서는 상기 실내기(1)에 직접 설치되거나, 실내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에 구비된 센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72) 및 상기 습도센서(74)는 실내공간의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76)는 상기 수조(66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1 팬(20), 상기 제 2 팬(32) 및 상기 가습팬(68)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 1 팬(20), 상기 제 2 팬(32) 및 상기 가습팬(68)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동작 또는 동작정지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팬(20), 상기 제 2 팬(32) 및 상기 가습팬(68)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에 구비된 진동자(640) 및 가습히터(6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640)는 상기 가습생성부(64)에 구비된 구성으로 물을 물 입자로 변환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진동자(640)를 동작 또는 동작정지시키거나, 상기 진동자(640)의 진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습히터(69)는 상기 가습팬(68)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가열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즉, 상기 가습히터(69)는 공기 중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히터(69)는 상기 가습팬(68)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히터(69) 상기 가습팬(68)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가습케이스(642)로 유동되는 경로 중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히터(69)는 전기의 입력에 따라 발열되는 PTC히터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스히터(69)를 동작 또는 동작정지시키거나, 상기 가습히터(69)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기재된 구성은 기재의 편의상 일부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의 제어구성을 바탕으로 가습모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의 제어흐름은 가습모드의 ON/OFF과정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모드는 냉방모드, 난방모드, 원거리모드 및 근거리모드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습모드의 ON/OFF와는 별도로 상기 실내기(1)는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방모드 등과 무관하게 상기 가습모드만 ON/OFF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의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는 일반적인 운전모드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원거리모드 및 근거리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하, 상기 실내기(1)의 가습모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습도센서(74)에 의해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실내습도가 측정된다(S10). 또한, 상기 실내습도는 외부장치로부터 실내습도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내습도는 상기 실내기(1)가 ON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중 계속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내기(1)의 동작 중 실내습도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실내습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이때, 미리 결정된 기준습도는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기준으로 권장되는 실내습도값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습도는 40%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기준습도와 같거나 높은 경우, 계속하여 상기 실내습도를 측정한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실내습도가 측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가습모드가 ON된다(S30). 또한, 실내습도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가습모드로 동작되기를 원하는 경우 가습모드가 ON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드가 ON되면, 상기 진동자(640)가 작동되고(S40), 상기 가습팬(68) 및 상기 가습히터(69)가 작동된다(S50).
그에 따라. 상기 가습케이스(642)의 내부에는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물 입자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된 물 입자는 비교적 큰 입자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되는 물 입자는 1-5um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 물 입자에는 물에 포함된 곰팡이, 세균 또는 석회질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된 물 입자를 보다 작게 만들어줄 필요성이 있다.
이때, 상기 가습팬(68) 및 상기 가습히터(69)에 의해 가열된 기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기류는 상기 가습케이스(642)의 내부로 유동되고,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된 물 입자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물 입자는 가열된 기류에 의해 기화되어 보다 작은 물 입자가 될 수 있다. 즉, 물 입자가 미세 물 입자로 변환되고 가열된 기류와 함께 상기 가습케이스(642)에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공급부(62)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토출구(36)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 입자가 가열됨에 따라 물 입자에 포함된 곰판이, 세균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기류가 상기 가습케이스(642) 및 상기 가습공급부(62)를 따라 유동되며 각 구성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히터(69)는 기류의 온도가 65도가 되도록 작동 및 작동정치를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65도의 기류를 통해 물 입자 및 각 구성들을 거의 100%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적인 값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실내습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습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60),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기준습도 이상인 경우 가습모드를 OFF한다(S70). 즉, 상기 가습모드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기준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660)에 소정의 수위 이상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수위센서(76)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조(660)에 수용된 물이 소정의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OFF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수조(660)에 물을 공급하라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드가 OFF되면, 상기 진동자(640)가 작동정지된다(S80). 그리고, 상기 가습팬(68) 및 상기 가습히터(69)는 소정의 시간(t)동안 작동된 후, 작동정지된다(S90). 이를 통해, 상기 가습공급부(62) 등에 남아있는 물입자가 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의 각 구성이 건조 및 살균되어 오염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시간(t)은 15분일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수치로 각 구성이 건조되는 충분한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습팬(68) 및 상기 가습히터(69)에 의해 가열된 기류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진동자(640)에 의해 형성된 물 입자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 : 실내기 10 : 도어
20 : 제 1 팬 32 : 제 2 팬
36 : 제 2 토출구 60 : 가습 어셈블리
68 : 가습팬 69 : 가습히터
70 : 제어부 110 : 제 1 토출구
640 : 진동자 660 : 수조

Claims (1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 및 가습 어셈블리;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열교환팬;이 포함되고,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를 형성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
    상기 가습케이스를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가습팬; 및
    상기 가습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가열하는 가습히터;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은 상기 가습케이스의 일 측에 상기 가습케이스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습히터는 상기 가습팬에서 형성된 기류가 상기 가습케이스로 유동되는 경로 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습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가습케이스와 연통되는 가습수용부; 및
    상기 가습수용부에서 토출되는 물 입자가 유동되도록, 상기 가습케이스와 연통되는 가습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용부에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상면에 개구되어 형성된 가습유입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수조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일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조는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전면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토출구;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2 토출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팬에는,
    상기 제 1 토출구로 유동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 1 팬; 및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제 2 팬;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 상기 제 2 팬 및 상기 가습팬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공급부에는,
    상기 가습케이스에서 연장되는 제 1 공급부;
    상기 제 1 공급부에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 2, 3 공급부; 및
    상기 제 2, 3 공급부에서 상기 제 2 토출구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2 분사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가습모드가 ON되고,
    진동자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 입자를 형성하도록 작동되고,
    가습팬 및 가습히터가 가열된 기류를 형성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가열된 기류를 통해 상기 물 입자가 미세 물 입자로 변환되고,
    상기 미세 물 입자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고,
    상기 가습모드가 OFF되고,
    상기 진동자가 작동정지되고,
    상기 가습팬 및 상기 가습히터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된 후 작동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실내습도가 측정되고,
    상기 실내습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습모드가 ON되고,
    상기 실내습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습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가습모드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개구되어 형성된 가습유입구를 통해 수조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이 상기 진동자가 수용된 가습케이스로 유동되고,
    상기 진동자가 상기 가습케이스로 유동된 물을 물 입자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어가 일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조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기류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가습히터는 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42640A 2018-04-12 2018-04-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9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40A KR20190119327A (ko) 2018-04-12 2018-04-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03599 WO2019198953A1 (ko) 2018-04-12 2019-03-2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40A KR20190119327A (ko) 2018-04-12 2018-04-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27A true KR20190119327A (ko) 2019-10-22

Family

ID=6816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40A KR20190119327A (ko) 2018-04-12 2018-04-1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9327A (ko)
WO (1) WO2019198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3765B (zh) * 2020-04-03 2022-04-15 九九医疗科技(深圳)有限公司 楼宇空调消杀毒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980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온풍발생가습장치 및 방법
KR100775612B1 (ko) * 2006-06-23 2007-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20149B1 (ko) * 2006-11-2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304028B1 (ko) * 2011-08-16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1791056B1 (ko) *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53A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1864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CN107327945A (zh) 一种空调
CN107328032A (zh) 一种动物房双风机式空调智能控制系统
CN107339752A (zh) 一种空调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GB2244148A (en) Ventilation system
KR2019011932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8708B1 (ko) 옷장
CN103673112A (zh) 一种空调器
KR1020698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1286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47508B1 (ko)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장치
KR2020010640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9659B1 (ko) 환기용 열교환기
CN208952240U (zh) 一种超薄风管式精密恒温恒湿节能空调装置
WO2002073095A1 (fr) Humidificateur de type enfoui dans le plafond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100789161B1 (ko) 저온차단기능을 갖는 전자 제습기
KR101636959B1 (ko) 빌트인 제습기
CN210399217U (zh) 一种一体化医用精密空调机组
CN108916998A (zh) 一种超薄风管式精密恒温恒湿节能空调装置
KR101710166B1 (ko) 벽걸이형 가습기
KR20200010939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217737434U (zh) 卫浴集成系统
KR20180127595A (ko) 복합 환경제어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