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018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018A
KR20200014018A KR1020180089364A KR20180089364A KR20200014018A KR 20200014018 A KR20200014018 A KR 20200014018A KR 1020180089364 A KR1020180089364 A KR 1020180089364A KR 20180089364 A KR20180089364 A KR 20180089364A KR 20200014018 A KR20200014018 A KR 20200014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steam
unit
stea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394B1 (ko
Inventor
이정원
강명구
경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가습용 물이 수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으로 부터 급수되는 물을 변화하여 가습된 공기가 생성되는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없음 또는 수위감지를 위한 센서의 이상을 판단하여 가습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물통의 수위를 통해 스팀통의 수위를 예측하고, 수위 비교를 통해 센서의 이상을 감지함으로써, 물없이 가습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가습모듈의 고장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가습된 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가습 기능은 물론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여 특정 계절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가습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스팀기능을 적용하여 가습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스팀기능을 이용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물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의 이상으로 수위가 오감지되는 경우, 물이 없는 상태에서 스팀기능이 작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팀통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또는 수위센서의 이상을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이를 구분할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31841에 따르면,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실내온도를 검출하고, 난방수의 공급수 온도와 환수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난방수의 공급수온도와 환수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일정 시간 경과 후, 온도차 또는 실내온도의 변화를 통해 온도센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센서의 이상으로 수위를 오감지하는 경우 스팀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온도변화 등을 이용할 수 없고, 센서 이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4696은 가습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장치로 스팀히터와 급수구, 배출구가 구비되어, 스팀 발생 시 가열되는 스팀용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통의 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습 또는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의 경우,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센서의 이상을 확인할 방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수위 오감지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가습모듈의 이상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물통의 수위에 따라 스팀통으로의 물공급을 확인하고, 물통의 수위와 스팀통의 수위를 비교하여 물없음을 감지하고, 센서의 이상을 감지하여 가습을 제어하는 가습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생성하는 가습모듈, 동작상태 및 경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물통의 수위와, 상기 물통으로 부터 공급된 물이 수용되며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는 스팀통의 수위를 기 설정된 수위와 각각 비교하여 물이 없거나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가습을 중지하는 가습모듈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과 상기 스팀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에 연결되어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개방되어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스팀통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용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가습용 물이 수용되는 물통,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 수위감지부,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팀통, 상기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수위감지부, 상기 스팀통의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생성하는 스팀부 및 상기 물통의 수위와 상기 스팀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팀부를 제어하여 가습을 수행하고, 물이 없는 경우 물없음에 따른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가습모듈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물통의 수위와 상기 스팀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통 또는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경우 물없음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통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스팀부를 제어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팀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급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물없음에 대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가습모듈의 물통의 수위를 통해 스팀통에 정상적으로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통에 수용된 물이 자동으로 스팀통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물통의 수위를 통해 스팀통의 수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통의 수위와 스팀통의 수위를 비교하여 센서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의 이상 또는 물없음에 대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없이 가습모듈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가습모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이 없는 상태에서 가습이 수행되는 않도록 하여 가습모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 패널 개방 시 물통이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물통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물통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쉽게 물통에 물을 급수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물통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로의 물공급을 감지하는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센서의 이상을 감지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각 모듈 및 각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오픈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의 본체(10)가 실내에 구비되고,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실내기(1)는 전면에 토출구(9)가 형성되어,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토출구(9)를 통해 토출한다.
실내기는 본체(10)의 후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는 캐비넷(12)의 측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흡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이 설치된다.
토출구(9)는 서큘레이터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토출구(9)의 내측에는 서큘레이터(15)가 구비된다. 서큘레이터(15)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서큘레이터(15)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한다.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송풍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캐비넷(12)의 측면에는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베이스(미도시), 캐비넷(12), 전면패널(11)을 포함한다. 전면패널(11)은 본체(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넷(12)은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베이스에는 근접센서(17)가 설치된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근신호를 입력한다. 그에 따라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292)이 활성화되어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본체(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이 동작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디스플레이모듈(292)이 구비되고, 서큘레이터도어(13)가 설치된다. 전면패널(11)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는 비젼모듈(210)이 설치된다. 또한, 전면패널(11)은 근접센서(미도시), 오디오입력부(미도시), 오디오출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의 어느 일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와 리모컨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토출구(9)를 개폐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본체 동작 시 열려 서큘레이터(1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오픈됨에 따라 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닫혀 토출구를 폐쇄한다. 전면패널(11)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토출구 개방 시, 서큘레이터도어(13)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서큘레이터도어(13)는 본체의 내측으로 후진이동 후,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된다.
서큘레이터도어(13)가 열리면, 서큘레이터(15)는 전면패널(11)로 전진이동하여 공기를 토출하고, 동작이 종료되면, 서큘레이터(15)는 본체의 내측으로 후진이동하고, 서큘레이터도어(13)의 이동으로 흡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전면패널(11)은 캐비넷(12)의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에 형성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좌우 이동한다. 전면패널(11)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부패널(14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내부패널(141)에는 서큘레이터(15)가 구비되고, 서큘레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내부패널(141)에는 하부에 가습모듈의 물통(329)이 설치된다.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림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물통(329)은 가습모듈에 물을 공급한다.
본체(10)는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3 은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물통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의 물통(329)은 전면을 향해 배치되어,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11)의 후면에는 캐비넷(12)의 내측방향으로 물통(329)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캐비넷(12)의 내부에는, 물통(329)의 후면에, 물통과 연결된 스팀부(미도시)가 배치된다. 물통과 스팀부의 스팀통은 연결호스(미도시)로 연결되어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된다.
물통(329)은 하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캐비넷(12)에 연결된다. 물통의 상부는 하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어 투입구(19)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물통(329)은 상부가 내부패널(141)과 소정각(θ)을 이루도록 전면으로 틸팅(tilting)된다.
또한, 물통(329)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물통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통감지부는 물통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물통의 투입부가 캐비넷의 내측으로 인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2)은 물통이 내측으로 인입되면 물통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통(329)은 손잡이(미도시)가 전면을 향해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누름 조작에 의해 내측의 고정부(미도시)가 해제됨에 따라 소정각으로 틸팅되어, 물통의 상부가 전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물통(329)은 근접센서(17)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근접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면패널(11)이 슬라이딩되어 열림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투입구(19)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는 물통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내부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329)은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은 전면의 어느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329)은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센서부(215), 전원부(299), 구동부(280), 조작부(230), 디스플레이모듈(292), 메모리(256), 통신부(270), 오디오출력부(291), 오디오입력부(220),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30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원부(299)는 본체(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15)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1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280)는 전면패널(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서큘레이터 구동부, 이동수단 구동부, 밸브구동부, 전면패널구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256)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부(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센서부(215)는 근접센서(17),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통감지부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17)는 본체(10)의 하부, 베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비젼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비젼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젼모듈(210)은 전면패널(11)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넷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청소모듈은 청소로봇(미도시)을 포함한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로봇청소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물통(329)의 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모듈(300)은 스팀을 발생시켜 공기를 가습하고, 가습된 공기가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모듈(300)은 진동을 이용한 진동식, 가열식,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가습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모듈(300)은,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초기 가습 후 본 가습을 수행하여 설정시간 내에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가습모듈(300)은, 물통의 물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습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비젼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또한,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241), 비젼모듈제어부(242), 전원공급제어부(243), 조명제어부(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245), 가습모듈제어부(246), 청소모듈제어부(247)를 포함한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가습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비젼모듈(210)에 비젼모듈제어부(242)가 구비되고, 가습모듈에 가습모듈제어부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300)은 스팀부(320), 제 1 수위감지부(330), 제 2 수위감지부(380), 물통감지부(340), 배수펌프(350), 밸브(360), 가습팬(390), 그리고 가습모듈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가습모듈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스팀부(320)는 물통(32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화시켜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킨다. 스팀부(320)는 가습을 위한 스팀통(3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통에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팀부(320)는 히터를 포함하는 가열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팀부(32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식 외에도,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진동을 통해 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식, 가열식과 초음파식을 결합한 복합식, 물을 분무하여 가습된 공기를 제공하는 원심분무식, 젖은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가습팬(390)은, 송풍력을 발생하여 스팀부(320)로부터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가습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가습팬(390)은 스팀부(320)의 스팀통(321)의 내부의 스팀이 가습유로를 따라 유동하도록 하여 스팀통 내부에 스팀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가습팬(390)은, 가습모드 설정 시 스팀통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 1 수위감지부(330)는 물통(329)에 투입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제 1 수위감지부(330)는 물통(329)의 물의 양에 따른 수위를 감지하여 물통에 물이 일정 량 이상이 되면 만수신호를 출력하고,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 공수위신호를 가습모듈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수위감지부(330) 및 제 2 수위감지부(380)는 설치되는 수위센서의 동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수위감지부(380)는 스팀통(321)에 투입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한다. 제 2 수위감지부(380)는 스팀통에 일정 량 이상의 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소정 신호를 가습모듈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감지부는, 세로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수위값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물에 의해 저항값이 변경됨에 따라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수위에 따라 신호가 입력되는 전극을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물통의 어느 일면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센서를 일렬배치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초음파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감지부는 물통에 설치되는 호수에 자석을 투입하여 수위에 따라 자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수위감지부(330) 및 제 2 수위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 또는 복수의 방식을 혼합하여 물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위감지부(330) 및 제 2 수위감지부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이한 방식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329)의 장착상태를 감지한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329)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 또는 물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것을 감지한다.
밸브(360)는 배수호스(393)에 설치되어, 스팀통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호스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360)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구동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팀통과 물통 사이에 급수용 밸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급수용 밸브는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거나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급수용 밸브를 개방하여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펌프(350)는 스팀부(320)의 스팀통과 연결되는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스팀용 물통인 스팀통(32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펌프(350)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배수가 완료되면 동작을 정지한다.
배수펌프(350)가 동작하면, 스팀통의 물이 배수된다. 또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면, 연결된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고,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호스를 통해 배수되어, 물통(329)의 물이 배수될 수 있다.
물통(329)이 장착되면,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된다.
이때 밸브(360)가 열린상태인 경우, 스팀통의 물은 배수호수를 통해 배수될 수 있으며, 물통이 장착되면, 밸브(360)는 닫힘상태가 된다.
스팀통이 만수가 되면, 물통으로부터의 물공급이 중단되고 스팀부가 동작하여 스팀이 발생하게 되면, 증발된 물의 양만큼 물통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스팀통은 만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물통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하인 경우, 스팀동작 중에 스팀통의 수위가 감소할 수 있다.
물통에 잔수가 없는 경우 스팀통으로의 물공급은 중단되고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공수위에 대한 감지신호가 가습모듈제어부로 인가될 수 있다. 소정 시간 후에는 스팀통의 수위 또한 감소하게 되므로, 제 2 수위감지부는 공수위에 대한 감지신호를 가습모듈제어부로 인가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도록 스팀부(320)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감지부(340)를 통해 물통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수위감지부(330)를 통해 물통에 수용된 물의 양을 판단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에 물이 없거나,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물이 공급되도록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오디오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물통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에러가 출력되도록 제어부(240)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모듈(292)은 물통아이콘 또는 물통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물통에러에 대한 램프가 점등되거나, 물통장착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으로의 물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센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경고 또는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내부패널(141) 또는 물통(329)의 일부에 수위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가 수위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이 개방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된 후 장착되면, 물통에 새로운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여 물에 대한 사용시간을 설정하고, 물이 투입된 시점을 기준으로 물이 물통에 잔류한 시간을 카운트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의 장착전과 후의 수위를 비교하여 새로운 물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일정시간 이상 잔류하는 경우,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350)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 배수에 따른 알림이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배수 완료 시, 물없음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배수가 완료되면 사용시간을 초기화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고, 제 1 수위감지부 및 제 2 수위감지부의 수위에 따라, 스팀부(320)를 제어하여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된 공기가 발생하면, 가습팬(390)을 동작시켜 스팀통의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호스(392)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가습유로로 유동하고,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한다.
공급호스는 토출구 또는 보조 베인으로의 가습유로에 연결되고,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가습된 공기가 실내도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장착 시,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도록 밸브(360)를 제어하여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배수호스로부터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및 스팀통의 수위에 따라 스팀부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3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제 1 밸브(361) 및 제 2 밸브(362)의 개폐를 제어하며, 배수펌프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를 동작시키기 전, 스팀통(321)의 잔수를 제거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소정 시간 동안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면, 역류방지를 위한 제 2 밸브가 닫히도록 하고, 배수펌프 또한 동작을 정지시킨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물통(329)으로부터 스팀통(321)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밸브가 오픈 상태로 유지되어,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스팀통의 수위를 제어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통에 초기 급수가 완료되면, 스팀부(32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스팀부는 구비되는 히터를 동작시켜 스팀통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스팀은 공급호스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와 합류되고, 본체는 가습된 공기를 토출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됨에 따라,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스팀통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된 것으로 판단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고,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스팀통의 수위가 제 2 수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1 수위는 물통의 총 수용량의 0 내지 10% 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수위는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물통의 수용량의 10% 미만이라면 스팀통으로 급수가능한 물의 양이 소량이므로 물없음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3 수위를 설정하여 물통에 물의 총 수용량의 50% 이상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 2 수위 또한, 스팀통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스팀발생장치가 물에 잠기는 정도의 수위 이상이고, 스팀통을 만수위로 만들 수 있는 정도의 수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수위는 스팀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 예를 들어 히터가 잠기는 정도의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위는 스팀통의 총 수용량의 50% 내지 80%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제 1 수위 이상) 감지되는 때에, 제 2 수위감지부에서 물없음 또는 제 2 수위 미만으로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제 1 수위감지부 또는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팀통은 물통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중력에 위해 스팀통에 물이 공급되므로, 물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황에서 스팀통에 물이 없는 상태는 발생할 수 없으므로 가습모듈제어부는 센서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의 연결호스에 이상이 있는 경우 물공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물공급 이상에 대한 에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에 물이 없으나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스팀통에는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물통의 물이 모두 스팀통으로 공급된 경우이므로 물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에 물이 없고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수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물통에 수위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한하여 센서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감지부에 의해 물통이 감지된 시점에서의 제 1 수위감지부의 수위값과, 일정시간 경과 후의 수위값을 비교하여 수위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착된 때, 즉 물통감지부에 의해 물통이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는 때에 감지되는 수위와 일정 시간 경과한 후의 수위를 비교하여 수위변화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팀통에 물이 만수인 상태에서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 물통에는 수위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모드가 해제되거나, 물의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스팀통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스팀통이 공수위인 경우 물통이 장착되면,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됨에 따라 물통의 수위는 감소하게 된다.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에 잔류한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되어 물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지 또는 물통의 수위에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센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1 수위감지부 및 제 2 수위감지부에서 물없음이 감지되면 물없음에 대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는 물이 정상공급된 경우 스팀부를 통해 스팀을 발생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물이 없거나, 센서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팀부의 동작을 중지하고 에러를 출력하여 가습된 공기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아이콘, 이미지, 알림메시지,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장착, 배수, 물없음에 대한 알림이 출력되도록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수위센서의 이상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경고가 디스플레이모듈 또는 오디오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329)에는 물통감지부(340)와 제 1 수위감지부(330)가 설치된다.
물통(329)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 개방 시,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방될 수 있고, 또한,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통(329)이 장착되고, 본체의 캐비넷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면,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의 정상 장착에 따른 신호를 가습모듈제어부(310)로 인가한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의 하단부가 본체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물통의 상단부가 캐비넷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통감지부(340)는 캐비넷에 설치될 수 있다. 물통감지부(340)는 물통이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물통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수위감지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물통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복수개가 세로로 일렬배치될 수 있고, 또는 물통의 하단부와 물통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공수위와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위감지부(330)는 물통의 상단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물의 수위에 따른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개시된 수위센서는 일 예 일뿐, 센서의 설치 위치와 센서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물통(329)과 스팀통(321)은 연결호스(391)로 연결된다.
물통(329)의 물은 연결호스를 통해 스팀통(321)으로 공급된다.
연결호스(391)에는 밸브(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팀부(320)의 스팀통에는 배수호스(393)가 연결된다. 배수호스(393)는 배수펌프(350)와 연결되고, 배수호스(393)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로(미도시)까지 연장 설치된다.
스팀부(320)는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로 공급되도록 공급호스(392)와 연결되고, 공급호스(392)는 스팀통(321)으로부터 상부의 토출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공급호스는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물통(329)에 물이 투입되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투입된 물에 대한 사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이 투입된 시간을 기준으로, 경과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스팀부(320)는 가습모듈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스팀부(320)는 스팀통(321)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가 동작하여 스팀통(321)의 물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발생시킨다. 스팀부는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습된 공기가 발생되면,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팬을 동작시켜,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9)로 공급되도록 한다. 가습된 공기는 가습팬의 송풍력에 의해 가습유로를 통해 유동하여 토출구로 공급되어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된다.
스팀통(321)에는 공급호스(392)가 연결되어 가습된 공기, 즉 스팀이 가습유도로 유동하게 된다. 공급호스(392)는 가습유로로 연결되어 스팀을 가습유로로 공급한다. 또한, 공급호스(392)는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공급호스(392)에는 스팀통으로부터 발생된, 가습된 공기가 토출구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가습된 공기의 토출을 차단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 설정 시,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스팀통의 잔수를 제거한 후, 가습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스팀부(320)가 동작하기 전, 스팀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물통과 스팀통의 위치관계에 따라, 스팀통이 물통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제 1 수위 이상) 있는 경우, 스팀통은 만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팀통의 위치에 따라 물 수용량의 80%을 만수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물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스팀통에 물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예를들어 제 2 수위 미만으로 감지되는 경우,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제 2 수위 미만으로 감지되고, 물통의 수위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물통과 스팀통 사이의 연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제 1 수위감지부(330)를 통해 물통의 수위를 판단하고, 제 2 수위감지부를 통해 스팀통의 수위를 판단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두 수위값을 비교하여 센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통(321)에 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스팀부(320)는 가습모듈제어부에 의해 동작을 시작한다. 스팀부(320)의 스팀발생장치, 예를 들어 히터의 동작에 의해 스팀통의 물이 미세한 입자로 변경되어 스팀이 발생한다.
발생된 스팀은, 상부의 공급호스를 통해 가습유로(395)(396)로 유동한다(F1)(F2). 또한, 가습팬(390)의 동작에 의해 상부의 연결유로(397)로 유동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F2). 이때, 연결유로 또는 가습유로는 각각 보조 토출구로 연결되거나, 메인 토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로 또는 가습유로는 공조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습된 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공조된 공기와 함께 토출될 수 있다.
스팀부(320)에서 스팀이 발생함에 따라, 스팀통의 물은 감소하게 된다. 이때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스팀발생으로 감소한 물의 양만큼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어 스팀통은 만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팀통이 만수가 되면 물통으로부터 물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연결호스에 밸브가 구비되는 경우, 가습모듈제어부는 밸브의 개폐를 통해 스팀통으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습모드의 설정에 의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가습모드 설정 및 그 동작상태를 아이콘, 이미지, 문자 또는 숫자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모듈로의 물공급을 감지하는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감지부(340)에 의해 물통 장착이 감지되면(S310), 제 1 수위감지부(330)는 물통의 수위를 감지한다(S32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모드가 설정되면(S330), 제 1 및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다. 제 1 수위감지부는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고 제 2 수위감지부는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한다(S340).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스팀통으로 자동으로 급수됨에 따라, 물통 장착 직후의 수위와 소정 시간 후의 물통의 수위는 상이할 수 있다.
이때, 물통과 스팀통 사이에 별도의 밸브가 설치된 경우 밸브의 개폐에 따라 물통으로부터 스팀통으로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팀통에는 배수호스가 연결되고 배수펌프와 배수용 밸브(360)가 구비된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 탈거 시 자동으로 스팀통의 잔수를 모두 배수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가습모드가 해제되면 스팀통의 물을 배수할 수도 있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물에 대한 사용시간이 설정된 경우 사용시간 경과 시 스팀통의 물을 배수할 수도 있다.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의 수위와 스팀통의 수위를 입력받아 물의 양을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스팀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급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물통에 물이 없거나, 스팀통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설정수위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물공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습모듈제어부는 물이 없는 경우, 물없음 경고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위가 설정된 수위 미만이면 그에 대한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S360).
또한, 가습모듈제어부는 물이 없으므로 스팀 발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습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390). 가습모듈제어부는 제어부로, 가습모드 해제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경고 또는 안내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물이 정상공급된 경우,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생성장치, 예를 들어 히터를 구동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S370).
가습모듈제어부(310)는 가습팬(390)을 구동하고, 발생된 스팀은 가습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S380).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센서의 이상을 감지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위감지부(330)는 물통 장착 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한다(S410).
제 2 수위감지부는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한다.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제 1 수위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또한,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스팀통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2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과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경우, 즉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정상적으로 급수된 것으로 판단한다(S440).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부의 스팀발생장치, 예를 들어 히터를 구동하여 스팀이 발생하도록 한다(S450).
한편, 물통의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이고, 스팀통의 수위가 제 2 수위 미만인 경우,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통의 수위센서의 이상으로 판단한다(S470).
스팀통은 물통의 하부에 뭍통과 연결되므로,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스팀통에 물이 급수된다. 따라서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의 수위가 제 1 수위이상이면 스팀통의 수위 또한 제 2 수위 이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가습모듈제어부는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의 수위에 대하여 수위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통해, 스팀통의 센서 이상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수위변화가 있는 경우,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급수된 것을 의미하므로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의 수위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물통과 스팀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물통의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가습모듈제어부는 스팀통의 수위가 제 2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물통과 스팀통에 모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습모듈제어부는 물없음을 표시한다(S490).
이때,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의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이면 제 2 수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관계없이 물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스팀통의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S470).
가습모듈제어부는 물없음을 표시하고, 또한, 센서 이상에 따른 경고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S480).
물통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물통에 있던 소량의 물이 스팀통으로 급수되어, 물통에는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고, 스팀통에는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스팀통의 내부는 쉽게 확인할 수 없고, 스팀통 내부의 수위센서가 물때끼임 등으로 인하여 수위가 잘못 감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스팀통에 잔수가 있더라도 센서 이상으로 판단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습모듈제어부는 물통의 수위변화를 통해 실제로 물통의 물이 스팀통으로 급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물통에 잔수가 없다면 가습모드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할 수 없으므로, 가습모듈제어부는 그에 따른 물 없음 표시를 출력하고 가습모드를 해제한다.
스팀통에 물이 있더라도 물통에 물이 없다면 발생되는 스팀의 양은 제한적이고 일정시간 이상 가습모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물없음을 표시하여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습모드가 수행되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습모드 설정 시, 물통과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없는 상태에서 가습모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팀부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과 스팀통의 수위를 통해, 스팀통 내부의 센서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실내기 9: 토출구
10: 본체 11: 전면패널
12: 캐비넷 13: 서큘레이터도어
15: 서큘레이터 17: 근접센서
17: 근접센서 141: 내부패널
210: 비젼모듈 292: 디스플레이모듈
300: 가습모듈 310: 가습모듈제어부
320: 스팀부 329: 물통
330, 380: 수위감지부 340: 물통감지부
360: 밸브 350: 배수펌프
390: 가습팬 400: 청소모듈

Claims (17)

  1. 토출구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가습용 물이 수용되는 물통;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 수위감지부;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팀통;
    상기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 수위감지부;
    상기 스팀통의 물을 미세한 입자로 변환하여 가습된 공기를 생성하는 스팀부; 및
    상기 물통의 수위와 상기 스팀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팀부를 제어하여 가습을 수행하고, 물이 없는 경우 물없음에 따른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가습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때에,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때에,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상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팀통의 수위에 관계없이 물없음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때에,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상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수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과 상기 스팀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상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통은 상기 물통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물통과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물통에 형성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이 자동으로 급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상기 본체 내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물통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위감지부는 상기 물통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이 감지되면,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위감지부는 상기 물통이 감지된 이후, 소정 시간 동안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통에 연결되어 배수호스를 통해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통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가습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물통이 탈거되는 경우 및 상기 물통의 물에 대한 사용시간이 결과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스팀통의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밸브를 열고, 상기 배수펌프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제어부는 상기 물통 또는 상기 스팀통의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습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가습모드가 설정되면, 제 1 수위감지부에 의해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제 2 수위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스팀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물통의 수위와 상기 스팀통의 수위에 따라 상기 스팀통으로 물이 급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통 또는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경우 물없음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통에 물이 급수되면, 가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물이 있는 경우,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팀통에 물이 정상적으로 급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물없음에 대한 경고를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물이 없는 경우,
    상기 스팀통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수위감지부의 센서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물없음에 대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물통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이 감지되면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또는 상기 스팀통에 물이 없는 경우, 또는 센서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습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89364A 2018-07-31 2018-07-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7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64A KR102272394B1 (ko) 2018-07-31 2018-07-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64A KR102272394B1 (ko) 2018-07-31 2018-07-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18A true KR20200014018A (ko) 2020-02-10
KR102272394B1 KR102272394B1 (ko) 2021-07-01

Family

ID=6962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364A KR102272394B1 (ko) 2018-07-31 2018-07-3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311A (ko) * 2002-05-17 2002-09-23 김서영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110110428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클라이온 냉매응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20170003813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 공기청정기
KR20180083739A (ko) * 2017-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경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311A (ko) * 2002-05-17 2002-09-23 김서영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110110428A (ko) * 2010-04-01 2011-10-07 주식회사 클라이온 냉매응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20170003813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 공기청정기
KR20180083739A (ko) * 2017-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경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394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91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20146130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KR10210835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1846441B2 (en) Air conditioner
KR10224697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40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9294A (ko) 전열 교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096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140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012790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の表示装置
KR1020073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03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060374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688616B (zh) 空调
KR201601098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3524B1 (ko) 공기조화기
KR102163624B1 (ko) 공기조화기
KR201901062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041790A (ja) 液体微細化装置
JP7352775B2 (ja) 電解水散布装置
KR10221265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2535A (ko) 공기조화기용 송풍감지장치
WO2019012591A1 (ja) 浴室乾燥機
WO2023218565A1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